top of page

침구183 치통(齒痛)

Aktualisiert: 20. Sept. 2019

치은궤양 (齒齦潰瘍) - 치은염 (齒齦炎) - 치은종통 (齒齦腫痛) - 치은출혈 (齒齦出血) - 치은통 (齒齦痛) - 치통 (齒痛) - 충치 (虫齒)



치은궤양 (齒齦潰瘍) 상악 (上顎) ☞ 치통(齒痛)

1.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夾承漿(협승장).

치은염 (齒齦炎) : 齒周炎(치주염), 잇몸 염증

1. 참조문(參照文)

1) 치은통 (齒齦痛)

2) 대장경병(大腸經病中)중에 열사상요(熱邪上擾) 고려

3) 위경병(胃經病)중에 위열수경상역(胃熱隨經上逆) 고려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冲陽(충양,原).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經), 天容(천용).

手少陽三焦經 : 角孫(각손,手太陽,陽明,手足少陽의 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小兒 齒齦炎(소아 치은염) -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滎).

4. 이침(耳針)

1) 아주염(牙周炎) : 牙痛点1, 아통점(牙痛点)2.


치은종통 (齒齦腫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天冲(천충).

督脈 : 兌端(태단).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督脈 : 齦交(은교), 合谷(합곡).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이빨과 잇몸이 몹시 아플 때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列缺(열결), 人中(인중), 頰車(협거), 太谿(태계), 太淵(태연), 合谷(합

곡).- 西江月


치은출혈 (齒齦出血)

1.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齦交(은교).


치은통 (齒齦痛) : 잇몸 통증

1. 參照文(참조문)

1) 치은염(齒齦炎)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

督脈 : 齦交(은교


치통 (齒痛)

齒痛은 口腔疾病(구강질병) 중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冷(냉)하거나, 뜨겁거나 시

큼한 등의 자극을 받으면 통증은 심해진다. 現代醫學(현대의학)의 齒髓炎(치수염), 冠周

炎(관주염), 急性根尖周圍炎(급성근첨주위염), 齲齒(우치, 충치)등은 본절의 변증론치를

참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本證(본증)은 虛實(허실) 두 가지로 나눈다. 實痛(실통)은 大腸(대장), 胃府(위부)에 熱(열)

이 있거나 경락에 風邪(풍사)가 外襲(외습)되면 陽明(양명)에 몰려 火(화)로 변하며, 火邪

(화사)가 循經上炎(순경상염)되므로 齒痛(치통)이 발생된다. 또 달(甘)고 신(酸) 음식을 많

이 먹고 口腔(구강)이 不潔(불결)하면 치아를 腐蝕(부식)시켜 통증을 유발한다. 虛痛(허

통)은 腎陰不足(신음부족)으로 虛火上炎(허화상염)하개 되면 역시 치통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風火齒痛(풍화치통)

證狀 : 齒痛(치통)이 심하여 잇몸이 붓고, 몸에 열이 나고, 舌苔(설태)는 薄白(박백)하며,

맥은 부삭(脈浮數)하다.

2) 實火齒痛(실화치통)

證狀 : 齒痛(치통)이 아주 심하며, 口臭(구취), 口渴(구갈), 便秘(변비)가 생기고, 설태는

누렇고(舌苔黃) 맥은 현(脈弦)하다.

3) 虛火齒痛(허화치통)

證狀 : 痔痛(치통)이 은은하며(隱隱), 때로는 아프고 대로는 통증이 멎으며(時痛時止),

齒牙(치아)가 흔들리고. 口臭(구취)는 없으며, 혀끝이 붉고(舌尖紅), 맥은 가늘다

(脈細)

原則 : 淸熱止痛(청열지통).

- 手足陽明經穴(수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主穴 : 合谷(합곡), 下關(하관), 頰車(협거).

配穴 : 1) 風火齒痛(풍화치통) : 外關(외관), 風池(풍지). - 疏風解表(소풍해표).

2) 實火齒痛(실화치통) : 內庭(내정), 勞宮(노궁). - 瀉火淸心胃(사화청심위).

3) 虛火齒痛(허화치통) : 太谿(태계), 行間(행간). - 滋水涵木(자수함목).

方義 : ① 手陽明脈(수양명맥)은 下齒(하치) 중간에 入(입)하며,

② 足陽明脈(족양명맥)은 上齒(상치) 중간에 入(입)하기 때문에

③ 合谷(합곡), 下關(하관), 頰車(협거)등 手足陽明經穴(수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

한다.

④ 風池(풍지), 外關(외관)을 배합하면 疏風解表(소풍해표)하여 風火齒痛(풍화치

통)을 치료하고,

⑤ 內庭(내정)은 胃火(위화)를 瀉(사)하고,

⑥ 勞宮(노궁)은 心火(심화)를 淸(청)하여 實火齒痛(실화치통)을 치료하며,

⑦ 太谿(태계)는 腎陰(신음)을 滋養(자양)하고,

⑧ 行間(행간)은 肝火(간화)를 下降(하강)시키므로 滋水涵木(자수함목)하여 虛火

齒痛(허화치통)을 치료한다.

만약 : ① 上齒痛(상치통) : 加 二間(이간), 陽谷(양곡).- 淸熱止痛(청열지통)

② 잇몸종통 : 加 角孫(각손), 少海(소해),- 淸熱消腫(청열소종).

③ 頭痛(두통) : 加 太陽(태양).- 通絡止痛(통락지통).

治法 : 毫針(호침)으로 虛補實瀉(보허실사)하며 좌우를 交叉(교차)로 針刺(침자)한다.

30~60分 留針(류침) 수시로 捻轉(념전)한다. 혹은 搖刮(요괄)한다. 每日(매일) 1-2

次 針刺(침자)한다.

♧ 方葯 : 白芷(백지)15. 細辛(세신)10, 龍膽草(용담초)15, 柴胡(시호)10, 防風(방

풍)15, 升麻(승마)10. - 煎水(전수)로 양치질을 한다. - 中醫 -

1. 參照文(참조문)

1) 牙痛(아통)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井), 二間(이간,滎), 三間(삼간,輸), 合谷(합곡,原), 陽溪(양계,

經), 지정(支正,絡), 溫溜(온유,郄), 手三里(수삼리), 曲池(곡지, 合).

足陽明胃經 : 巨髎(거료), 大迎(대영), 頰車(협거), 下關(하관,足陽明,少陽의 會), 冲陽(충

양), 內庭(내정,滎), 廬兌(려태,井).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 顴髎(권료), 聽宮(청궁).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手少陽三焦經 :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 消濼(소락), 角孫(각손), 耳門(이문), 絲竹空

(사죽공).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上關(상관), 頷厭(함염), 懸顱(현로), 懸厘(현리), 曲鬢(곡빈), 浮

白(부백), 完骨(완골,頰腫), 目窗(목창), 正營(정영).

任脈 : 承漿(승장,手足陽明,督脈의 交會).

寄穴 頭頸部 : 太陽(태양), 牽正(견정, 下齒).

上肢部 : 八邪(팔사), 上八邪(상팔사).

下肢部 : 外踝尖(외과첨), 八風(팔풍), 上八風(상팔풍).

2) 處方 : 頰車(협거), 合谷(합곡), 內庭(내정), 下關(하관), 承漿(승장), 太溪(태계), 尺澤(척

택)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上下配穴法(상하배혈법)

上下幷用取穴(상하병용취혈) - 合谷(합곡), 內庭(내정).

2) 手陽明大腸經 : ① 二間(이간), 三里(삼리), 合谷(합곡).

② 合谷(합곡), 下關(하관), 頰車(협거), 太陽(태양).

③ 溫溜(온유), 內庭(내정).

足陽明胃經 : ① 頰車(협거), 合谷(합곡).

② 頰車(협거), 齒痛穴(치통혈), 下關(하관), 合谷(합곡), 內庭(내정).

③ 下關(하관), 合谷(합곡).

④ 內庭(내정), 合谷(합곡).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合谷(합곡), 內庭(내정).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二間(이간).

手少陽三焦經 : 三陽絡(삼양락), 合谷(합곡).

足少陽膽經 : 上關(상관), 下關(하관), 頰車(협거), 合谷(합곡).

任脈 : 承漿(승장), 頰車(협거), 合谷(합곡).

頭頸部奇穴 : 太陽(태양), 翳風(예풍).

3) 遠道選穴 : 合谷(합곡), 內庭(내정).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上牙痛方(상아통방) : 太陽(태양), 下關(하관), 合谷(합곡).

2) 下牙痛方(하아통방) : 頰車(협거), 合谷(합곡), 內庭(내정).

3) 下齒痛 (하치통) : 商陽(상양).

4) 齒痛出血(치통출혈) : 督脈 - 齦交(은교)

5) 齒痛(牙痛) : ① 牙痛(아통) 急性發作(급성발작) : 耳門(이문), 絲竹空穴(사죽공혈).

② 어금니 痛症(통증) : 承漿穴(승장혈) 瀉法(사법).

③ 牙痛(아통) : 二間穴(이간혈).- 針灸大成 百症賦

6) 痛玄指要賦 ① 腎虛型(신허형)

7) 齒痛(치통) : 太溪穴(태계혈).- 玉龍歌

8) 양쪽 턱이 붓고 아플 때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人中(인중), 合谷(합곡), 太溪穴(태계혈)에 針刺한다.-西江月

9) 齒痛(치통), 頭痛(두통).

處方 : 太溪穴(태계혈) 三分刺入(삼분자입), 大都穴(대도혈) 左病右取(좌병우취) 右病

左治(우병좌치) - 雜病十一穴歌

10) 牙痛(아통), 頭痛(두통)과 咽喉炎症(인후염증)

處方 : 先 - 二間穴(이간혈),

后 - 足三里(족삼리). - 長桑君天皇秘訣歌

11) 頭風(두풍) 齒痛(치통) : 合谷穴(합곡혈), 三間穴(삼간혈).

12) 齒痛(치통) : 太溪穴(태계혈) 三分針刺(삼분자입), 大都穴(대도혈) 左病右治(좌병우 치),

右病左治(우병좌치).

13) 이빨과 잇몸 痛症 : 頰車穴(협거혈).靈光賦

14) 이빨과 잇몸이 몹시 아플 때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列缺(열결), 人中(인중), 頰車(협거), 太谿(태계), 太淵(태연), 合谷穴(합곡

혈).-西江月

15) 風齒(풍치) 上齒痛(상치통) 面腫(면종)

處方 : 頰車穴(협거혈), 神奇(신기) 瀉, 合谷穴(합곡혈) 臨泣穴(림읍혈) - 雜病穴法歌

16) 上齒痛(상치통)과 입이 열리지 않을 때.- 西江月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太淵(태연), 頰車(협거), 合谷(합곡), 太溪穴(태계혈)에 針刺(침자)한다.

17) 下齒痛(하치통) 과 뺨, 목이 빨갛게 붓고 아플 때.- 西江月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陽谿(양계), 承漿(승장), 頰車(협거), 太溪穴(태계혈)에 針刺한다.

5. 辨病取穴(변병취혈) 舍岩 - 五行針(사암 오행침)

1) 下齒痛(하치통) : 陽陵泉(양능천) 尺澤(척택) 補, 三里(삼리) 絶骨(절골) 瀉.

2) 上齒痛(상치통) : 通谷(통곡) 內庭(내정) 補, 陽谷(양곡) 解谿(해계) 瀉.

3) 風齒痛(풍치통) : 齒齦腫痛(치은종통), 膿鼻(농비).

處方 :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 陽谷(양곡) 陽谿(양계)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齒齦(치은, 잇몸)의 所生骨(소생골)로써 食物(식물)을 咀嚼(저작, 씹는 것)하는 것

인데 俗名(속명)을 牙(아)라 하며 門牙(문아), 虎牙(호아), 槽牙(조아), 上下盡根牙

(상하진근아)의 別(별)이 있고 모두 밖은 琺瑯質(법랑질, 고등 동물치아의 껍질을 구성한

물질)로 包被(포피)되었으며 中(중)은 齒質(치질), 內(내)은 白埡質(백오질)로 되었다. 그 수

가 소아는 20이니 乳齒(유치)라 하고 성인은 약 32이니 久齒(구치)라 한다.

그런데 다시 말하면 齒(치)는 腎(신)의 表(표), 骨(골)의 餘(여)로서 精氣(정기)가 完實(완실)

하면 단단하고 腎(신)이 衰(쇠)하면 새(틈)가 많이 나며 熱(열)하면 흔들리므로 腎(신)이 實

主(실주)가 되며 또 手足陽明(수족양명)의 絡(락)이 上下齒縫(상하치봉)에 纏絡(전락, 얽히

다)되었는데 足陽明(족양명)은 熱飮(열음)을 좋아하고 冷飮(냉음)을 싫어한다.

그러므로 牙痛(아통)은 本(본)은 濕熱(습열)에서 基因(기인)되나 標(표)는 風冷(풍냉)의 所

致(소치)이니 辛凉(신량)을 內服(내복)하여서 基本(기본)을 治(치)하고 辛溫(신온)을 外用

(외용)하여서 其標(기표)를 治(치)하여야 한다.

舍岩(사암)은 “胃熱者上齒痛(위열자상치통), 肺熱者下齒痛(폐열자하치통)”이라 하여 上

(상)의 三法(삼법)을 立(입)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한 女子(여자)가 左邊上下齒(좌변상하치)가 倂痛(병통)하여 如狂如醉(여광여취) 한지

四五日(사오일)에 或坐(혹좌), 或起(혹기)하여 어찌할지 모르며 下齒(하

치)가 先痛(선통)하였다하는데 尺澤(척택) 陰陵泉(음능천) 補(보), 三里(삼리) 絶骨(절골)

瀉(사)하였더니 數回(수회)에 諸痛(제통)이 낫더라

2) 한 婦人(부인)이 年近四十(연근사십)에 上齒(상치)가 虫齒(충치)로 부서지며 때로는 腹

痛(복통)이 있어 神氣(신기)가 不平(불평)한지라 아픈 쪽에 通谷(통곡),

內庭(내정) 補(보), 陽谷(양곡) 解谿(해계) 瀉(사)하였더니 1일에 半減(반감)하고 2일에

完差(완차)하더라 그러면 腹痛(복통)도 또한 胃熱(위열)이 있는 것일까? 알 수 있는 것만

治(치) 하였는데 其餘(기여)는 不期自効(불기자효)한 것이다.


6. 이빨(齒)은 뼈(骨)와 긴밀한 관계가 있으며 뼈는 신장(腎臟-콩팥 kidney)이 간직하고 있는

정(精)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備急千金方》에 이르기를 “무릇 사람이 치병(齒病)에 걸리

는 것은 대개 월식(月蝕)이 있는 날 밤에 飮食을 먹은 탓이다” 라고 하였다.

1) 齒痛(치통)

處方 ⑴ 上齒痛(상치통) : 足三里穴(족삼리혈)에 灸七壯(구칠장)

⑵ 下齒痛(하치통) : 合谷穴(합곡혈)에 灸七壯(구칠장)

2) 上下齒痛(상하치통)

處方 ⑴ 手背側(수배측) 橈骨(요골) 경상돌기(belemnoid)의 上部(상부)에 灸三壯(구

삼장)을 뜬다. 만약 낫 지 않으면 다시 灸七壯을 뜬다.

左側이 아프면 右側에 뜸을 뜨고, 右側이 아프면 左側에 뜸을 뜨는데 神效하

다.

왜냐하면 뼈에는 化膿性感染症(pyogenic infection)이 생기기 때문이다.

⑵ 또 다른 方法은 기왓장에다 사람의 입 모양을 그리고 患者의 이발 수 를 잘

세어서 붓으로 입안에 그려 넣는다.

齒痛이 있을 즈음에 그려넣은 이 위에 21壯의 뜸을 뜨면 며칠 지나지 않아 곧

멎으니 신기한 效驗(효험)이 있을 따름이라 했다.

3) 虫齒(충치)

處方 : ① 合谷(합곡), 列缺(열결), 廬兌(려태), 中渚(중저), 神門(신문), 足三里穴(족삼리

혈) 을 쓴다.

② 식간(蝕齦) : 잇몸이 썩어서 더러운 냄새가 나는 것 “蝕齦穢臭衝人”

處方 : 노궁혈(勞宮穴)에 뜸 1장을 뜬다.

4) 잇몸이 짓무르는 것

處方 : 合谷(합곡), 中脘(중완), 足三里穴(족삼리혈). - 針灸經驗方-

7. 이침(耳針)

1) 上屛尖(상병첨), 牙痛点(아통점)1, 牙痛点(아통점)2,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