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 181 출혈 (出血)

Aktualisiert: 5. Juni 2021

출혈 (出血)

出血是指脈絡損傷(출혈시지맥락손상), 血溢脈外的病證(혈일맥외적병증). 包括咯血(포괄

각혈), 衄血(뉵혈), 尿血(뇨혈), 便血(변혈), 紫斑等(자반등). 出血悤屬脈絡損傷(출혈총속맥

락손상), 血液不循常道之候(혈액불순상도지후), 究其病因(구기병인), 可槪括爲虛實兩端

(가개괄위허실양단), 實者多因火(실자다인화), 火盛逼血則妄行離經(화성핍혈칙망행이

경), 虛者多責于氣(허자다책우기), 氣不攝血則血不安宅(기불섭혈칙혈불안 택), 間有因瘀

血阻脈(간유인어혈조맥), 血行不暢(혈행불창), 瘀積阻道而致出血者(어적 조도이치출혈

자). 治療本病(치료본병), 特別是出血量較多(특별시출혈량교다), 病勢危 急者(병세위급

자), 應以止血爲第一要法(응이지혈위제일요법), 止血之后(지혈지후), 繼 以消瘀(계이소

어), 寧血等法(영혈등법), 以防再發(이방재발).

1) 辨證要点(변증요점)

⑴ 辨出血途徑(변출혈도경)

出血途徑(출혈도경) 一般不難分辨(일반불난분변), 惟有咳血(유유해혈), 吐血與齒衄等

(토혈여치뉵등) 容易混淆(용이혼효), 需細辨(수세변). 血隨嘔出(혈수구출), 或血中混有

食物殘渣(혹혈중혼유식물잔사), 不與痰相兼(불여담상겸), 且出血前(차출혈전) 常有上

腹不適或疼痛(상유상복부적혹동통), 嘔吐惡心等症者(구토오심등증자), 屬于吐血(속

우토혈); 血隨咳出(혈수해출), 血中有泡沫痰涎(혈중유포말담연), 或痰中帶血(혹담중

대혈), 出血前常有喉痒(출혈전상유후양), 胸悶等症者(흉민등증자), 爲咳血(위해혈); 血

溢口內(혈일구내), 粘齦附舌(점은부설), 甚或血積滿口(심혹혈적만구), 隨唾而出(수타

이출), 且可直視齦(차가직시은), 舌部位出血(설부위출혈), 而无咳嗽(이무해수), 嘔吐見

症者(구토견증자), 多屬齦衄(다속은뉵), 舌衄(설뉵).

⑵ 辨輕重(변경중)

出血量是判斷(출혈량시판다) 其輕重程度的(기경중정도적) 重要指標(중요지표), 不同

的出血證(부동적출혈증) 其判斷標準(기판단표준) 有所不同(유소부동). 咳血(해혈), 每

次(매차) 50 毫升以內(호승이내) 或每天(혹매천) 累計不超過(루계불초과) 100 毫升者

(호승자) 爲輕度(위경도), 每次(매차) 50∼100 毫升(호승) 或每日累計(혹매일루계)

50∼500 毫升者爲中度(호승자위중도), 每次(매차) 100 毫升以上(호승이상) 或每日累

計(혹매일루계) 500 毫升以上者爲重度(호승 이상자위중도); 吐血(토혈), 每日(매일)

500 毫升以內爲輕度(호승이내위경도), 每日(매일) 500∼1000 毫升爲中度(호승위중

도), 每日(매일) 1000 毫升以上爲重度(호승이상위중도); 便血(변혈), 黑便成形者(흑변

성형자) 爲輕度(위경도), 大便爛稀(대변란희), 色黑如漆者(색흑여칠자) 爲中度(위중

도), 便血頻作(변혈빈작), 且有吐血者(차유토혈자) 爲重度(위중도). 這種分度(저종분

도), 尙需參考脈率(상수참고맥율), 血壓(혈압), 血色素等指徵(혈색소등지징).

⑶ 辨性質(변성질) 血熱之證(혈열지증) 爲出血量多色鮮(위출혈량다색선), 幷見脣干口燥

(병견순간구조), 喜冷畏熱(희냉외열), 心煩易怒(심번이노), 頭暈耳鳴目赤(두운이명목

적), 口苦口穢(구고구예), 苔黃脈數等(태황맥삭등); 陰虛火旺者(음허화왕자), 多出血色

鮮而量少(다출혈색선이량소), 幷見潮熱(병견조열), 盜汗(도한), 顴紅(권홍), 手足心熱

(수족심열), 脈細數等(맥세삭등); 氣虛之候(기허지후), 多出血色淡不鮮(다출혈색담불

선), 幷見面色不華(병견면색불화), 神疲无力(신피무력), 舌淡脈弱等(설담맥약등) 虛弱

徵象(허약징상).

2) 類證鑒別(류증감별)

本病應與(본병응여) 肺癰(폐옹), 痢疾(이질), 痔(치), 淋證及經行吐衄等(림증급경행토 뉵

등) 進行鑒別(진행감별).

⑴ 肺癰(폐옹)

肺癰是指(폐옹시지) 肺葉之膿瘍(폐엽지농양), 可有咯血見症(가유각혈견증), 與本 證咳

血相近(여본증해혈상근). 但肺癰的咯血(단폐옹적각혈) 多以膿血痰相兼(다이 농혈담

상겸), 腥臭異常爲主要表現(성취이상위주요표현), 幷伴有發熱(병반유발열), 憎寒(증

한), 胸痛等(흉통등) 肺部生癰的典型症狀(폐부생옹적전형증상), 與本病不 難鑒別(여본

병불난감별)

⑵ 痢疾(이질)

痢疾便膿血(이질변농혈), 特別是赤痢(특별시적리), 與便血相似(여변혈상사). 但痢 疾

多以膿血相兼(단이질다이농혈상겸), 且有明顯的腹痛(차유명현적복통), 里急后 重(리

급후중), 而便血則无此類症狀(이변혈칙무차류증상), 兩者不同(양자부동).

⑶ 痔瘡(치창)

痔(치), 肛門裂(항문열), 直腸息肉等(직장식육등) 都有便血(도유변혈), 氣血不與大 便相

混(기혈불여대변상혼), 附于大便表面(부우대변표면), 或便時点滴而下(혹변시 점적이

하), 或一線如箭(혹일선여전), 或有肛門疼痛(혹유항문동통), 檢査可見肛門 局部(검사

가견항문국부) 或直腸有病灶存在(혹직장유병조존재), 故與本病有別(고 여본병유별).

⑷ 淋證(임증)

石淋(석림), 血淋均有尿血(혈림균유뇨혈), 可見尿色紅赤(가견뇨색홍적), 甚至尿出 純

血(심지뇨출순혈), 與本病尿血相近(여본병뇨혈상근). 但淋證是以(단림증시이) 排尿困

難(배뇨곤란), 小便淋漓澀痛(소변임리삽통) 爲主要表現(위주요표현), 特別 是石淋(특

별시석림), 尿時澁滯不暢(뇨시삽체불창), 刺痛窘迫(자통군박), 且夾有砂 石(차협유사

석). 故疼痛和排尿通暢與否(고동통화배뇨통창여부), 是淋證與本病的鑒 別要点(시림

증여본병적감별요점).

⑸ 經行吐衄(경행토뉵)

經行吐衄亦称倒經(경행토뉵역칭도경), 與鼻衄(여비뉵), 吐血相類(토혈상류). 但經 行

吐衄(단경행토뉵) 只限于女性(지한우여성), 幷與月經周期一致(병여월경주기일 치), 與

一般吐衄不同(여일반토뉵부동).

3) 針灸(침구)

⑴ 体針(체침)

症候 : 咳 (咯) 血者(해 (각) 혈자).

選穴 : ① 主穴 - 列缺(열결), 孔最(공최).

列缺(열결) : 手太陰絡穴(수태음락혈)

孔最(공최) : 手太陰經郄穴(수태음경극혈) 二者相配有(이자상배유) 淸

肺止血之效(청폐지혈지효)

加减 : ① 若因(약인) 外感風熱者(외감풍열자)

加 風府(풍부), 合谷(합곡). - 解表淸熱(해표청열).

② 肝鬱化火者(간울화화자) 加 行間(행간), 大敦(대돈). - 淸肝降火(청간강화).

③ 吐血者(토혈자) 主要取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和胃止血(화위지혈).

④ 若肝氣橫逆犯胃者(간기횡역범위자

加 肝兪(간수), 太冲(태충). - 疏肝降逆止血(소간강역지혈).

⑤ 脾胃虛損者(비위허손자)

加 脾兪(비수), 隱白(은백), 承滿(승만).- 健脾補益氣血(건비보익기혈)

⑥ 便血者(변혈자)

主要取 : ㉠ 大腸兪(대장수).- 爲大腸之背兪(위대장지배수).

㉡ 上巨虛(상거허).- 爲大腸之下合穴(대장지하합혈).

㉢ 兩穴配合(양혈배합) - 能淸腸止血(능청장지혈)

㉣ 腰兪(요수).- 局部取穴(국부취혈), 可凉血止血(가량혈지혈).

⑦ 尿血者(뇨혈자)

主要取 : ㉠ 中極(중극), 足通谷(족통곡), 然谷(연곡), 金門(금문),大敦(대돈).

方解 : ㉠ 中極(중극) : 可淸泄膀胱鬱熱(가청설방광울열)

㉡ 足通谷(족통곡), 然谷(연곡) : 通利膀胱(통리방광).

㉢ 金門(금문) : 爲足太陽郄穴(위족태양극혈),

專治尿血(전치뇨혈) “過陰器(과음기)” 治尿血要穴(치뇨혈요혈).

⑵ 耳針(이침)

① 咳血(해혈) : 肺(폐), 支氣管(지기관), 神門(신문), 下屛尖(하병첨).

② 吐血(토혈) : 胃(위), 小腸(소장), 食道(식도), 肝(간).

③ 鼻衄(비뉵) : 脾(비), 神門(신문), 下屛尖(하병첨), 肺(폐).

④ 便血(변혈) : 大腸(대장), 直腸下段(직장하단), 小腸(소장), 胃(위), 食道(식 도),

肝(간), 下屛尖(하병첨).

⑤ 尿血(뇨혈) : 腎(신), 膀胱(방광), 神門(신문), 下屛尖(하병첨).

治法 : 每次選(매차선) 2∼3 穴(혈), 交替使用(교체사용). 每穴針刺(매혈침자) 1∼2

分(분), 有針感后捻轉(유침감후념전) 0.5∼1 分鍾(분종), 留針(류침) 30 分

鍾(분종). 或有埋針法(혹유매침법) 或有葯籽貼穴法(혹유약자첩혈법).

⑶ 穴位主射(혈위주사)

① 咳血(해혈) : 孔最(공최), 尺澤(척택).

② 吐血(토혈) : 足三里(족삼리), 血海(혈해).

③ 鼻衄(비뉵) : 曲池(곡지), 足三里(족삼리).

④ 便血(변혈)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陰陵泉(음능천).

⑤ 尿血(뇨혈) : 三陰交(삼음교), 復溜(복류).

用法 : 每次(매차) 1 穴(혈, 双側(쌍측)), 交替使用(교체사용).

仙鶴草素(선학초소) 注射液(주사액) : 每次(매차) 5 毫升(호승, 10 毫克(호극)),

每穴注射(매혈주사) 2.5 毫升(호승);

安絡血(안락혈) 注射液(주사액) : 每次(매차) 2 毫升(호승), 每穴注射(매혈주사)

1 毫升(호승). 適用于各種出血(적용우각종출혈)


中醫針灸學(중의 침구학)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血液(혈액)이 정상적인 궤도 즉 血管(혈관)을 순행하지 못하고 위로는 입과 콧구멍으로

나오고 아래로는 二陰(이음)으로 나오며, 筋肉(근육), 皮毛(피모)로 滲透(삼투)되는 것을

출혈이라 한다. 病因病機 血(혈)은 氣(기)와 서로 依賴(의뢰)하며 脈中(맥중)에서 循環(순

환), 運行(운행)하며 끊임없이 흘러 전신을 濡潤(유윤)하고 五臟六腑(오장육부)를 조화시

킨다.

만약 陰陽(음양)이 偏盛(편성)하면 氣血(기혈)이 失調(실조)되는데 이때 陽盛(양성)이면

뜨거워 迫血妄行(박혈망행)하고, 氣虛(기허)하면 攝血(섭혈)을 못하게 되는데 이런 상황

은 모두 脈絡(맥락)을 손상시켜 혈액이 外溢(외일)되어 出血(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咳血(해혈)

⑴ 肝火犯肺(간화범폐)

證狀 : 기침이 나며 가래(痰)에 피가 섞이는 咯血(각혈)을 하는데 혈색은 鮮紅(선홍)

혹은 紫暗色(자암색)이고 가슴, 옆구리가 당기며 아프고 煩躁(번조)하며 성

(怒)을 잘 내며, 소변이 붉고, 입이 쓰고(苦), 맥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泄肝淸肺(설간청폐), 和絡止血(화락지혈).

手太陰(수태음), 手足厥陰經穴(수족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魚際(어제), 勞宮(노궁), 行間(행간), 肺兪(폐수).

方義 : ① 魚際(어제), 肺兪(폐수). - 肺熱(폐열)을 瀉(사)하여 止血(지혈)하고

② 行間(행간).- 肝火(간화)를 瀉(사)하여 逆氣(역기)를 눌러 혈을 所藏(소장)

시키고

③ 勞宮(노궁).- 血熱(혈열)을 제거하여 妄行(망행)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4穴(혈)을 배합하면 泄肝淸肺(설간청폐), 和絡止血(화락지혈)의 목적

을 달성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20~30분간 留針(류침)하며 하루에 1번씩 침자 한다.

⑵ 陰虛火旺(음허화왕)

證狀 : 기침이 나며 가래(痰)는 적고 가래에 피가 섞이는데 색은 鮮紅色(선홍색)이

고, 潮熱(조열), 盜汗(도한), 口乾咽燥(구건인조)하며, 양쪽 뺨이 붉고 신체가

여위며 舌紅苔少(설홍태소)하고, 맥은 가늘고 빠르다(脈細數).

治則 : 益陰養肺(익음양폐), 淸熱止血(청열지혈).

手太陰(수태음), 足少陰經穴(족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尺澤(척택), 魚際(어제), 孔最(공최), 百勞(백노), 然谷(연곡).

方義 : ① 尺澤(척택)을 補(보)하고, 魚際(어제)를 瀉(사)하면 益肺陰(익폐음), 淸肺熱

(청폐열)하므로 止血(지혈)시키고

② 肺經(폐경)의 郄穴(극혈) 孔最(공최)와 經外寄穴(경외기혈) 百勞(백노)는

益肺止血(익폐지혈)하며,

③ 然谷(연곡)은 腎經(신경)의 滎穴(형혈)로서 益陰淸熱(익음청열)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주로 보법을 사용하며 때로는 보사를 겸한다.

2) 鼻衄(비뉵)

⑴ 肺熱(폐열)

證狀 : 코와 목이 마르고 몸에 열이 나며 기침하고 혀는 붉으며 맥은 빠르다.

治則 : 淸泄肺熱(청설폐열), 凉血止血(량혈지혈).

- 督脈(독맥), 手太陰經穴(수태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神庭(신정), 天府(천부), 合谷(합곡), 風府(풍부),

方義 : ① 神庭(신정), 風府(풍부)는 督脈(독맥)의 경혈이며 泄熱止血(설열지혈) 의

공능이 있고,

② 天府(천부)는 肺經(폐경)의 穴(혈)이며

③ 合谷(합곡)은 大腸經穴(대장경혈)인데 이 두혈은 表里(표리)이며 대장경

은 또 코에 도달하기 때문에 서로 배합하면 泄熱止血(설열지혈)의 목적을

달성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⑵ 胃熱(위열)

證狀 : 코피가 鮮紅色(선홍색)이며, 구갈로 물을 많이 마시고 가슴이 답답하며 煩躁

(번조)하고, 口臭(구취), 便秘(변비)가 생기며, 혀는 붉고 설태는 황색이며 맥

은 빠르고 유력(脈數有力)하다. 治則 : 淸泄胃熱(청설위열), 瀉火止血(사화지

혈). 督脈(독맥), 手足陽明經穴(수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上星(상성), 二間(이간), 中脘(중완), 厲兌(려태), 隱白(은백).

方義 : ① 上星(상성)은 독맥경혈이며 淸熱止衄(청열지뉵)의 공능이 있고

② 二間(이간)은 수양명경혈의 滎穴(형혈)이며 본경은 코에 도달하기 때문에

淸陽明(청양명), 止衄血(지뉵혈) 작용이 있고,

③ 中脘(중완), 厲兌(려태), 隱白(은백)은 胃火(위화)를 瀉(사)하여 熱(열)을 下

行(하행)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3) 吐血(토혈)

피가 胃腑(위부)로부터 식도를 거쳐 입으로 나온다. 만약 피가 嘔吐(구토)로 나오면 嘔

血(구혈)이라 부른다.

⑴ 胃中積熱(위중적열)

證狀 : 吐血(토혈)이 鮮紅色(선홍색) 혹은 紫黯色(자암색)이며 飮食(음식) 찌꺼기와

섞여 나오고 脘腹脹痛(완복창통), 口臭(구취), 便秘(변비)가 생기고 大便色

(대변색)이 검고 혀는 붉으며, 설태는 黃膩(황니)하고, 맥은 滑數(활삭)하다.

治則 : 淸泄胃熱(청설위열), 降逆止血(강역지혈).

- 任脈(임맥), 足陽明經穴(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上脘(상완), 郄門(극문), 內庭(내정).

方義 : ① 上脘(상완)은 任脈(임맥)의 經穴(경혈)이며 胃(위)의 上口(상구)에 위치하

였는데 降逆止血(강역지혈) 작용을 하고

② 郄門(극문)은 心包經(심포경, 膈經(격경))의 郄穴(극혈)이며 止血(지혈)의

공능이 있으며

③ 內庭(내정)은 胃經(위경)의 滎穴(형혈)로써 이상의 혈과 배합하면 淸泄胃

熱(청설위열)하고, 降逆止血(강역지혈)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⑵ 肝火犯胃(간화범위)

證狀 : 吐血色(토혈색)이 鮮紅(선홍)하거나 혹은 紫黯(자암)하고, 입이 쓰고, 옆구리

가 아프며, 煩躁易怒(번조이노)하고, 舌質(설질)은 紅絳(홍강)하며, 脈(맥)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淸肝和胃(청간화위), 瀉火止血(사화지혈).

- 足陽明(족양명), 厥陰經穴(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不容(불용), 梁丘(량구), 太冲(태충), 地五會(지오회), 勞宮(노궁).

方義 : ① 不容(불용)과 梁丘(량구)를 배합하면 和胃止血(화위지혈) 작용을 하고

② 太冲(태충), 地五會(지오회)는 淸肝瀉火(청간사화), 降逆止血(강역지혈)

③ 勞宮(노궁)은 心包經(심포경, 膈經)의 滎穴(형혈)이며 淸血熱(청혈열)하여

止血(지혈)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⑶ 脾胃虛弱(비위허약)

證狀 : 비교적 많이 토하며 血色(혈색)이 紫黯(자암)하고 면색이 蒼白(창백)하며, 정

신이 피로하고 食量(식량)이 감소되며 혀는 연한 색이고 설태는 희며 맥은

沉細(침세)하다.

治則 : 益氣攝血(익기섭혈). 足陽明(족양명), 太陰經穴(태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隱白(은백), 中脘(중완), 脾兪(비수).

方義 : ①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脾兪(비수)는 中氣(중기)를 補益(보익)하여 攝

血(섭혈)하고

② 隱白(은백)은 족태음경의 井穴(정혈)이며 작은 艾炷(애주)로 뜸을 뜨면 健

脾統血(건비통혈)의 공능이 있다.

治法 : 針(침)과 灸法(구법)을 겸용한다.

4) 便血(변혈)

⑴ 脾氣虛弱(비기허약)

證狀 : 대변이 나온 후에 피가 나오는데 血色(혈색)은 暗黑色(암흑색)이며, 배가 은

은하게 아프고, 면색이 빛이 없으며(无華), 정신이 疲困(피곤)하고, 말하기 싫

으며(懶言), 음식이 감소되고, 혀는 연한색이며 맥은 약하다.

治則 : 健脾統血(건비통혈).

- 足太陰(족태음), 陽明(양명), 任脈經穴(임맥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太白(태백), 足三里(족삼리), 關元(관원), 會陽(회양).

方義 : ① 太白(태백), 足三里(족삼리)는 健脾統血(건비통혈)하고

② 關元(관원)은 益氣攝血(익기섭혈)하며

會陽(회양)은 肛門(항문) 隣近部位(인근부위)에 위치하여 있으며 便血(변

혈)을 주치하기 위한 局部取穴(국부취혈)이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도 겸용한다.

⑵ 大腸濕熱(대장습열)

證狀 : 피가 먼저 나온 후에 대변이 나오며 혈색은 鮮紅色(선홍색)이고 항문이 뜨거

우며 아프고 설태는 黃膩(황니)하고 맥은 빠르다(脈數).

治則 : 淸熱利濕(청열이습), 和營止血(화영지혈).

- 督脈(독맥),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長强(장강), 次髎(차료), 上巨虛(상거허), 承山(승산).

方義 : ① 長强(장강)은 督脈(독맥)의 經穴(경혈)이며 腸風下血(장풍하혈)을 주치

② 次髎(차료)는 下焦(하초)의 濕熱(습열)을 淸利(청리)하는 작용이 있고

③ 承山(승산)은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이며 그 經別(경별)은 肛門(항문) 속

에 別入(별입)되었기에 항문질병을 치료하는 주혈이고

④ 上巨虛(상거허)는 대장의 下合穴(하합혈)이며 이를 瀉(사)하면 大腸濕熱

(대장습열)을 淸瀉(청사)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5) 尿血(뇨혈)

小便(소변)을 볼 때 피가 섞여 나오거나 혹은 핏덩어리가 섞여 나오는 것을 尿血(뇨혈)

이라 한다. 본증은 血淋(혈림)과 狀似(상사)한데 그 구별은 陰莖(음경)에 현명한 疼痛

(동통)이 없는 자는 尿血(뇨혈)이라 하고 소변을 볼 때 痛證(통증)이 참기 어려운 자는

血淋(혈림)이라 한다.

⑴ 陰虛火旺(음허화왕)

證狀 :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頭暈(두운), 耳鳴(이명), 潮熱(조열), 盜汗(도한), 腰

腿酸軟(요퇴산연), 舌紅苔少(설홍태소), 脈細數(맥세삭)이다.

治則 : 養陰淸熱(양음청열), 降火止血(강화지혈).

- 任脈(임맥), 足厥陰(족궐음), 少陰經穴(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關元(관원), 陰谷(음곡), 太谿(태계), 大敦(대돈).

方義 : ① 關元(관원)은 任脈(임맥)과 足三陰經(족삼음경)의 交會穴(교회혈)이며 補

陰淸熱(보음청열)의 작용이 있고

② 陰谷(음곡), 太谿(태계)는 益陰瀉火(익음사화)하며

③ 大敦(대돈)의 調肝藏血(조간장혈)을 돕는다.

이상의 穴(혈)들을 배합하여 養陰淸熱(양음청열)하고, 瀉火止血(사화지혈)의

효과를 얻는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瀉(보사)를 겸용한다.

⑵ 心火亢盛(심화항성)

證狀 : 소변에 鮮紅色(선홍색)의 피가 섞여 나오며 소변이 뜨겁고 붉으며 心煩口渴

(심번구갈), 口舌生瘡(구설생창)이 나고 혀끝이 붉으며 맥이 빠르다(脈數).

治則 : 淸營血(청영혈), 瀉心火(사심화).

- 任脈(임맥), 手厥陰(수궐음), 足少陰經穴(족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關元(관원), 勞宮(노궁), 然谷(연곡).

方義 : ① 關元(관원)은 소장의 募穴(모혈)이며 瀉(사)하면 小腸熱을 없애고

② 勞宮(노궁)은 心包經(심포경,膈經)의 滎穴(형혈)이며 瀉心火(사심화), 淸血

熱(청혈열)의 작용이 있으며

③ 然谷(연곡)은 腎經(신경)의 滎穴(형혈)이며 益陰淸熱(익음청열)의 작용을

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 中醫 -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慢性出血性疾患(만성출혈성질환)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脾兪(비수).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經漏(경루) - 交信(교신), 合陽(합양), 冲門(충문), 氣冲(기충).

2) 鼻出血(비출혈) -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郄).

3) 消化管(소화관) 出血(출혈) -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井).

4) 消化管(소화관) 潰瘍(궤양)․出血(출혈) -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5) 胃出血(위출혈) -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郄), 大陵(대능,輸,原).

6) 乳房癌(유방암) 出血(출혈) -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

7) 腸出血(장출혈) - 足太陰脾經 : 太白(태백,輸).

8) 腸風下血(장풍하혈) - 長强(장강), 承山(승산), 二白(이백).

3. 辨病取穴(변병취혈)

舍岩五行鍼 (사암오행침)

1) 吐血(토혈)

證狀 : 嘔血(구혈)과 같이 꿀꺽 소리를 내지 않고 純血(순혈)을 吐出(토출),

卽 엉키지 않은 胃出血(위출혈)

處方 : 肝驚(간경) - 陰谷(음곡) 補, 中封(중봉) 瀉, 三里(삼리) 迎.

2) 損血(손혈)

證狀 : 外傷出血(외상출혈) 過多症(과다증).

處方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絶骨(절골) 瀉.

- 肝正格 略治方 肝을 補하고 膽을 瀉하는 處方

3) 瘀血(어혈)

證狀 : 非衛生的(비위생적)인 血液(혈액)이 滯(체)하여 행하지 않아서 된 것으로 다음

과 같다. ⑴ 上部蓄血 : 심한 煩躁(번조)를 나타내나 물을 마시려 하지 않는다.

⑵ 下部蓄血 : 譫語(섬어)를 자주하고 미친 사람 같으며 發黃(발황), 舌

黑(설흑), 小腹憫(소복민), 小便長(소변장), 大便黑(대변흑), 脈沉實

(맥침실).

處方 : 肺虛(폐허)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曲池(곡지) 瀉. - 肺正格 略治方

4) 咳血(해혈)

證狀 : 有聲无痰(유성무담), 出血(출혈, 咳血)

處方 : 肺傷(폐상)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曲池(곡지) 瀉. - 肺正格 略治方

※ 柳泰佑 - 濁血(탁혈), 出血(출혈), 瘀血(어혈), 妄行(망행) 等은 모두 心虛證(심허

증)에 속한다. 따라서 心正方(심정방)을 쓰는 것이 최상이다.

病因(병인) 및 證治(증치)

杏坡按 - 血(혈)은 靈樞決氣篇(령추결기편)에 이른바 “中焦受氣取汁(중초수기취즙), 變

化而赤(변화이적), 是謂血(시위혈)”이라 한 것이 그것으로서 人体流質(인체류

질)의 일종이며 經脈(경맥)중에 灌注(관주)하여 신체 각부를 영양하고 또한 廢物(폐물)의

액체를 배설함이 가능하다. 그 빛이 鮮紅(선홍)하고 혹은 暗赤(암적)하며 水(수)에 비하

여 濃重(농중)하고 臭氣(취기)가 있으며 맛이 짜고 本性(본성)이 엉기기를 잘 하며 血管

(혈관)및 心臟中(심장중)에 있는 것은 전신에 周流(주류)하므로 혈액순환이라 하는데 其

成分(기성분)은 赤血球(적혈구), 白血球(백혈구) 및 血漿(혈장)으로 성립되었다. 다시 말

하면 혈액은 水穀精微(수곡정미)의 所化(소화)로서 生(생)하고 心(심)에서 息(식)하며 肝

(간)에 藏(장)하고 肺(폐)에 布(포)하며 腎(신)에 施(시)하여 가지고 氣(기)를 따라 運行(운

행)하여 一身(일신)에 周流(주류)하게 됨으로 經絡(경락), 臟腑(장부), 耳目(이목), 手足

(수족)이 모두 이에 힘입어 運用(운용)되게 된다. 그러나 陰(음)에 主(주)함으로 動(동)함

이 不宜(불의)하니 動(동)하면 病(병)이 되며 損(손)함이 不宜(불의)하니 損(손)하면 病(병)

이 된다. 그 動(동)은 多分火盛(다분화성)에 基因(기인)하며 그 損(손)은 多分氣傷(다분

기상)에 基因(기인)하는데 其證(기증)은 上(상)이라면 七竅(칠규)에 見(견)하고, 下(하)라

면 二陰(이음)에 出(출)한다. 經絡(경락)에 壅瘀(옹어)하면 癰疽(옹저)가 되고, 膿血(농혈)

이 腸胃(장위)에 鬱結(울결)되면 留(유)하여 血痂(혈가), 血塊(혈괴)가 되며, 風熱(풍열)이

乘(승)하면 斑(반)과 疹(진)이 되고, 陰寒(음한)에 滯(체)하면 痛(통)과 痹(비)가 되는데 病

(병)의 來勢(래세)가 낮에는 輕(경)하고 밤에는 重(중)하다. 婦人(부인)의 經閉(경폐), 崩中

(붕중)이 대개는 안으로七竅(칠규)의 過度(과도)와 밖으로 四氣(사기)의 不齊(부제)에 기

인하여 升, 降(승,강)이 宜(의)를 失(실)함으로 錯經妄行(착경망행)의 所致(소치)이다.

治(치)의 大要(대요)는 內傷(내상)이라면 滋補(자보)함이 妥當(타당)라고, 外感(외감)이라

면 淸凉(청량)이 適宜(적의)하다. 그러나 先賢(선현)이 이른바 “保全脾胃之說(보전비위

지설)”은 이것이 治本(치본)의 義(의)이니 醫(의)된 者(자) 不可分(불가분) 알아야 될 것이

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內則血(내칙혈), 外則汗(외칙한) 汗血安行(한혈안행), 其脈堅强(기

맥견강), 汗血如運於其間(한혈여운어기간), 經絡倂行不悖(경락병행불패), 循環无端(순

환무단), 或太過而陽實(혹태과이양실), 周流不息(주류불식), 或不及而陰弱(혹불급이음

약), 知其百端(지기백단), 以此(이차), 補而无瀉(보이무사), 溫而不凉(온이불량)”이라 하

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한 男子(남자)가 醉中(취중)에 무거운 짐을 싫다가 안고 넘어져서 거슴을 傷(상)한지

라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曲池(곡지) 瀉(사) 하였더니 數度(수도)

에 낫더라.

2) 한 사람이 불두덩을 채서 허리를 펴지 못하고 앉지도 못하여 불편해 하는지라 腎經

正格(신경정격)을 썻더니 數度(수도)에 병이 낫더라

3) 한 남자가 年近七十餘(연근칠십여)에 잘못하여 오른손이 骨折(골절)되었으나 血氣

(혈기)가 衰弱(쇠약)하여 亂針(난침)이 不可(불가)한지라 나무를 깎아대어

졸라매고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曲池(곡지) 瀉(사)하였더니 一度(일도)에 낫더

라.

♧ 1) 吐血(토혈), 衄血(뉵혈) - 荊芥炭(형개탄), 九節草(구절초), 栢木銀(백목은).

2) 便血(변혈) - 荊芥炭(형개탄), 槐花(괴화).

3) 崩漏(붕루) - 荊芥炭(형개탄), 地楡炭(지유탄), 側栢炭(측백탄).

4) 子宮出血(자궁출혈, 機能性) : 脾病中(비병중) 脾氣虛弱(비기허약) 참조

5) 消化道出血(소화도출혈) : 肝病中(간병중) 肝火上炎(간화상염) 참조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