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76 천식 (喘息)

Aktualisiert: 20. Sept. 2019


천식 (喘息) Bronchial asthma : 氣喘(기천)

천식(喘息)이란 공기의 폐출입이 장해되어 발작적으로 일어나는 호흡곤란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Asthma라 하면 Bronchial asthma를 지칭하고 있지만 이밖에도 심장성천식

(心臟性喘息)과 뇨독성천식(尿毒性喘息)이 있다. 그러나 이들 성인은 현격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엄격히 구별하여야 한다. 본병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발병의 기초로서는

천식기질에 있으며 기질의 일부는 유전성이 많다.

이같은 기질상에서의 외인성천식(外因性喘息)과 내인성천식(內因性喘息)이 있다.

外因性 : 기초적 원인은 Allergy(과민물질)로서 참된 원인은 환경이다. Allergy의 접촉은

흡입, 식물섭취, 피내주사 등에 의한다. 성인의 경우는 먼지의 흡입이며 소아의

경우는 食物의 攝取가 접촉의 기회가 된다. 먼지에 의한 천식을 진애천식이라 지칭하며

화분(花粉) 양모(羊毛) 목면(木棉) 피혁(皮革) 염료(染料) 표백제(漂白劑) 등등 그 수를 헤

아릴 수 없이 많으며 식물에 의한 천식은 식이천식이라 지칭하며 계란(鷄卵) 우유(牛乳)

어육(魚肉) 등이 대표적인 식물로 소아에게 많다.

內因性 : Allergy가 체내에 있는 것으로 주택(住宅) 직업(職業) 식이(食餌)등과 아무런 관

계가 없다. 유인으로는 감기(感氣) 한냉(寒冷) 등이 있으며 폐기종이나 만성 기관

지염이 있는 사람이 감기에 걸리면 거의 대부분이 천식을 일으킨다. 45세 이후에 돌연 발

병하는 것은 급성호흡기 감염증에 속하는 것과 특별한 유인이 없이 발병하는 것도 있다.

기타 반사성 성인, 중독성 성인, 신경성 성인 등에 의하여 발병하는 것도 있다.

신경성 성인 가운데는 신경증상의 것도 있으나 자율신경 이상 특히 부교감신경 긴장체질

을 가진 사람이 이환 되기 쉽다.

證狀 : 돌연한 발작과 더불어 강도의 흉내 고민과 공기 기아감을 수반하는 호흡곤 란으

로 시작한다. 환자는 심한 호흡곤란으로 식은땀을 흘리면서 기좌호흡을 하며 발

작상태가 특유하여 천명(喘鳴)을 수반하는 호기성호흡곤란(呼氣性呼吸困難)을

나타낸다. 이밖에도 coughing, sputum, 도한(盜汗 nightsweat), anorexia, wea-

riness 등 증이 있다.

고여 있던 액체는 급속하게 흡수되어 소실되는 경우도 있으나 때로는 수주일 혹

은 수개월 동안 고여 있을 때도 있다. 고였던 액체가 흡수된 후에는 섬유소의 침

착에 의하여 마찰음이 들리면서 이어서 흉막에 유착하여 두껍게 되어 유착성흉막

염이 된다.

治療 : 결핵성인 것은 화학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의 치료법은 기 관지염

(氣管支炎) 치법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


1. 參照文 담천 (痰喘) ☞ 咳嗽(해수), 喘息(천식)

1) 효천 (哮喘)

2) 기관지염 (氣管支炎)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腑(중부,募), 云門(운문), 天府(천부), 俠白(협백), 尺澤(척택), 列缺(열결,

絡,八脈交會穴,通任脈), 經渠(경거), 魚際(어제,滎).

手陽明大腸經 : 三間(삼간,輸), 下廉(하렴), 扶突(부돌).

足陽明胃經 : 人迎(인영,足陽明,少陽의 會), 水突(수돌), 氣舍(기사), 缺盆(결분), 氣戶(기

호), 𥊹窗(응창), 豊隆(풍륭,絡-太陰經).

足太陰脾經 : 天溪(천계), 大包(대포).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絡-太陽經).

手太陽小腸經 : 肩中兪(견중수).

足太陽膀胱經 : 風門(풍문,督脈과 會), 腎兪(신수), 魄戶(백호), 神堂(신당), 譩譆(의희),

足通谷(족통곡,熒).

足少陰腎經 : 太谿(태계,輸,原), 大鍾(대종,絡-太陽經), 兪府(수부).

手少陽三焦經 : 天井(천정).

足少陽膽經 : 腦空(뇌공), 輒筋(첩근), 足竅陰(족규음,井).

任脈 : 中脘(중완), 鳩尾(구미,絡), 中庭(중정), 膻中(전중,足太陰,足少陰,手太陽,手少陽

과 交會), 玉堂(옥당), 紫宮(자궁), 華盖(화개), 璇璣(선기), 天突(천돌,陰兪脈과 交

會), 廉泉(렴천).

督脈 : 大椎(대추,督脈,手足三陽의 會), 至陽(지양).

寄穴 項背腰部 : 定喘(정천).

腰背部 : 華佗夾脊(화타협척).

上肢部 : 四縫(사봉).

2) 處方 : ① 云門(운문), 尺澤(척택), 列缺(열결).

② 孔最(공최), 大椎(대추), 肺兪(폐수), 風門(풍문).

③ 彧中(욱중), 肺兪(폐수), 膏肓(고황), 膻中(전중).

3) 임상응용(臨床應用)

⑴ 遠道選穴 : 尺澤(척택).

⑵ 本經選穴 : 肺經(폐경) - 列缺(열결), 尺澤(척택), 太淵(태연).

⑶ 手太陰肺經 : ① 中府(중부), 定喘(정천), 內關(내관), 膻中(전중).

② 云門(운문), 尺澤(척택), 列缺(열결).

③ 孔最(공최), 大椎(대추), 肺兪(폐수), 風門(풍문).

足陽明胃經 : 屋翳(옥예), 大椎(대추), 肺兪, 膻中(전중), 璇璣(선기), 尺澤(척택).

足太陰脾經 : ① 食竇(식두), 列缺(열결), 天突(천돌).

② 周榮(주영), 天突(천돌), 尺澤(척택), 膻中(전중).

足太陽膀胱經 : ① 大杼(대저), 膻中(전중), 豊隆(풍륭).

② 肺兪(폐수), 中府(중부), 膻中(전중), 孔最(공최).

③ 肺兪(폐수) 肺熱穴(폐열혈), 膻中(전중), 中府(중부), 內關(내관).

④ 백호(魄戶), 폐수(肺兪), 중부(中府), 전중(膻中), 척택(尺澤).

⑤ 膏肓(고황), 天突(천돌), 大椎(대추).

足少陰腎經 : 彧中(욱중), 肺兪(폐수), 膏肓(고황), 膻中(전중).

足少陽膽經 : 輒筋(첩근), 肺兪(폐수), 孔最(공최).

任脈 : ① 天突(천돌), 尺澤(척택), 膻中(전중).

② 膻中(전중), 定喘(정천), 天突(천돌), 內關(내관).

③ 璇璣(선기), 大椎(대추), 解喘(해천).

④ 天突(천돌), 定喘(정천), 膻中(전중), 豊隆(풍륭).

項背腰部奇穴 : 定喘(정천), 天突(천돌), 璇璣(선기),膻中(전중),內關(내관),豊隆(풍륭).

4) 辨病取穴(변병취혈)

⑴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病機 : → 肺氣腫(폐기종) → 肺心病(폐심병) → 心衰(심쇠), 肺(폐), 脾(비), 腎(신)

呼氣(호기,困難) - 長(장), 吸氣(흡기) - 短(단)

① 發作期(발작기, 實證) - 瀉(사) : 强刺戟(강자극)

處方 : 定喘(정천), 肺兪(폐수), 尺澤(척택), 列缺(열결), 天突(천돌), 豊隆(풍륭)

加 大椎(대추), 風門(풍문), 合谷(합곡), 魚際(어제).

② 緩解期(완해기, 虛證) 補(보)

處方 : 定喘(정천), 肺兪(폐수), 膏肓兪(고황수), 太淵(태연), 關元(관원), 天突(천

돌), 脾兪(비수), 腎兪(신수), 足三里(족삼리).

治法 : 매일 2 ~ 3 穴을 選擇(선택)하여 施術(시술)한다.

⑵ 喘息(천식) : 尺澤穴(척택혈) - 靈光賦

⑶ 喘息甚(천식심) 不可就寢(불가취침)

처방 : 璇璣穴(선기혈) 針刺, 氣海穴(기해혈) 灸法 - 玉龍歌

⑷ 喘息(천식) 氣喘(기천)

처방 : 列缺(열결), 足三里(족삼리) - 雜病穴法歌

⑸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不能睡眠(불능수면)

처방 : 豊隆穴(풍륭) 三分針刺 - 肘后歌

⑹ 氣喘(기천), 痰多(담다)

: 中極穴(중극혈) 灸法 - 玉龍歌

⑺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으로 숨이 차거나 가래가 盛(성)해서 막힐 때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豊隆(풍륭), 兪府(수부), 膻中(전중), 三里(삼리).

⑻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으로 가슴과 횡격막이 갑자기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彧中(욱중), 天突(천돌), 肺兪(폐수), 三里(삼리).

⑼ 喘息(천식)으로 가슴에 氣(기)가 그득하고 肺(폐)가 팽팽하여 누울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兪府(수부), 風門(풍문), 太淵(태연), 中府(중부), 三里(삼리), 膻中(전중).

⑽ 喘息(asthman)

處方 : ① 天突穴(천돌혈)에 뜸 5장(灸五壯)

② 가는 끈으로 목에서 胸骨(흉골)에 劍狀突起(검상돌기)의 뾰족한 곳까지 잰

다음 그 끈의 양쪽 끝을 등 뒤로 가져가 등골뼈 위에 올려놓고 재는데 끈

끝 머리가 닿는 등골뼈 위에다. 점을 찍어 표시한다. 이곳에 뜸을 7장 또는

21장 뜬다.(착오 ? - 시발점이 누락되었다.)- 針灸經驗方

⑾ 喘息痰多(천식담다)

처방 : 豊隆(풍륭), 天突(천돌), 風門(풍문), 中脘(중완), 尺澤(척택), 足三里(족삼리).

⑿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

처방 : 天突穴(천돌혈) 針刺, 膻中穴(전중혈) 灸法 - 針灸大成 玉龍歌

⒀ 風濕性心臟病(풍습성심장병)에 의한 喘息(천식)

처방 : 膻中(전중), 兪府(수부), 膻中(전중), 中府(중부).

4)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肺兪(폐수), 天突(천돌) : 【東醫寶鑑】에는 “숨이 찰 때는 肺兪穴(폐수혈)에 뜸 11장

을 뜨고 天突穴(천돌혈)에 7장을 뜬다.”고 했는데, 指壓(지

압)을 자주 해줘도 도움이 된다.

⑵ 璇璣(선기), 膏肓(고황) :【東醫寶鑑】에는 “오래된 喘息(천식)과 기침으로 밤이 되어

도 눕지 못하고 여름에도 잔등이 차서 옷을 더 입어야 할

때가 있는데 이것은 膏肓(고황) 經穴(경혈)에 病(병)이 든 것이므로 뜸을 뜨면 낫는

다.”고 했는데 가벼운 呼吸器疾患(호흡기질환)에는 이들 經穴(경혈)을 指壓(지압)

해 주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된다.

⑶ 氣海(기해), 大椎(대추) :【東醫寶鑑】에는 “哮喘(효천)에는. . .氣海穴(기해혈)에 뜸을

뜨기도 한다.”고 했는데, 哮喘(효천)이란 목구멍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심하게 나는 喘息(천식)의 일종이다. 氣海(기해)를 指壓(지압)해 주면

氣(기)의 循還(순환)이 좋아져서 氣(기)가 차는 증상을 緩和(완화)시켜준다. 大椎穴

(대추혈)은 六經(육경)의 陽氣(양기)가 모두 이곳에서 交叉되는 곳으로 기침을 가

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또 大椎穴(대추혈) 좌우 1.5cm 지점에 있는 定喘穴(寄穴)을

함께 다스리면 더욱 效果的(효과적)]이다.

5) 피부침 (皮膚針) 1) 中醫針灸學 ⑴⑵⑶⑷⑸⑾⑿⒀⒁ ⒂

⑴ 處方 : 흉추(胸椎) 양측과 폐수(肺兪) 전중(膻中)을 중점으로 천돌(天突) 천추 (天樞)

등 혈(穴)과 배합한다.-中醫-

6) 이침(耳針)

⑴ 퇴열지천(退熱止喘) : 下屛尖(하병첨).

⑵ 천식(喘息) : 對屛尖(대병첨), 肺(폐), 氣管(기관).


1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