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 (精神病) - 정신분열증 (精神分裂證) - 전광 (癲狂)
정신병 (精神病)
1. 참조문(參照文)
1) 전간(癲癎), 전광(癲狂) 參照
2) 광언광주(狂言狂走)
3) 우울증(憂鬱症)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魚際(어제), 少商(소상).
手陽明大腸經 : 陽溪(양계), 溫溜(온유), 曲池(곡지,止驚).
足陽明胃經 : 太乙(태을, 止癲), 滑肉門(활육문, 吐弄舌), 冲陽(충양), 解溪(해계, 憂鬱
症), 廬兌(려태, 不安).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井).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神門(신문), 少冲(소충).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滎),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陽谷(양곡,經), 支
正(지정,經), 小海(소해), 聽宮(청궁).
足太陽膀胱經 : 絡却(락각), 心兪(심수), 肝兪(간수), 飛揚(비양,絡-足少陰), 申脈(신맥,
陽交脈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脈), 束骨(속골,輸), 足通谷(족
통곡,滎).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筑賓(축빈), 陰谷(음곡).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 八脈交會穴,通陰兪脈), 大陵(대
능, 輸,原), 勞宮(노궁,滎).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滎).
足少陽膽經 : 腦空(뇌공), 光明(광명,絡).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 太冲(태충), 曲泉(곡천).
任脈 : 會陰(회음),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經과 交會), 巨闕(거궐,心의 募穴),
鳩尾(구미,絡).
督脈 : 長强(장강), 筋縮(근축), 身柱(신주),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風府(풍부, 太
陽經,陽兪脈과의 交會), 腦戶(뇌호) 强間(강간), 后頂(후정), 百會(백회), 上星
(상성), 神庭(신정), 水泃(수구) 兌端(태단) 齦交(은교).
頸部奇穴 : 安眠(안면).
2) 太乙(태을), 百會(백회), 心兪(심수), 神門(신문), 大陵(대능).
3) 冲陽(충양), 豊隆(풍륭), 神門(신문), 后谿(후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① 太乙(태을), 百會(백회), 心兪(심수), 神門(신문), 大陵(대능).
② 太乙(태을, 止癲), 滑肉門(활육문).
③ 冲陽(충양), 豊隆(풍륭, 祛痰), 神門(신문), 后溪(후계).
足太陽膀胱經 : 飛揚(비양),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水泃(수구).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 水泃(수구), 百會(백회), 合谷(합곡).
督脈 ① 身柱(신주), 神門(신문), 行間(행간).
② 風府(풍부), 大椎(대추), 本神(본신), 身柱(신주).
③ 水泃(수구), 啞門(아문), 風府(풍부).
4. 辨證取穴(변증취혈)
1) 심장병(心臟病)으로 인기(引起)된 바보 천치 : 神門穴(신문혈) - 痛玄指要賦
2) 바보 천치 미친병 : 神門穴(신문혈) 針刺,
虛弱者(허약자) ① 面赤(면적) 心悸(심계) : 通里穴(통리혈) 5분 刺入(자입),
② 心中驚氣(심중경기)에 補法(보법),
③ 虛煩(허번)에 瀉法(사법)을 使用한다
3) 바보 천치 : 神門穴(신문혈) - 雜病穴法歌
4) 정신병(精神病) : 先刺 間使穴(간사혈) - 長桑君天皇秘訣歌
5) 섬어(譫語) 도한(盜汗) 악몽(惡夢) : 風府穴(풍부혈) 間使穴(간사혈) - 肘后歌
6) 心性이 바보천치 같으며, 슬퍼서 눈물을 계속 흘릴 때 - 西江月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刺 - 通里(통리), 后谿(후계), 神門(신문), 大鍾穴(대종혈)을 治療(치료)
7) 心臟(심장)이 놀라고, 미치고, 人事不省(인사불성)일 때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刺 - 少冲(소충), 心兪(심수), 中脘(중완), 十宣穴(십선혈)을 治療
8) 健忘症(건망증)이 심해서 잃어버리길 잘하고, 言无論次(언무론차)일 때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刺 - 心兪(심수), 通里(통리), 少冲穴(소충혈)을 치료.
5. 舍岩五行鍼解說
1) 火熱門(화열문)
⑴ 君火 : 心火(심화)가 平安(평안)하지 못한 症狀(증상) 言語失常(언어실상), 精神如
癡(정신여치), 悲哭不樂(비곡불락), 棄衣上墻(기의상장) 등 大狂症(대광증)
處方 : 陰谷(음곡) 少海(소해) 補, 大敦(대돈) 少冲(소충) 瀉.
⑵ 相火 : 肝腎火(간신화)의 妄動(망동)으로 말미암은 일반적인 陽狂狀態(양광상태)
를 發(발)하는 症(증)
處方 : 大敦(대돈) 陰谷(음곡) 補, 支溝(지구) 崑崙(곤륜) 瀉.
6. 針灸經驗方
1) 헛소리 하고 실없이 잘 웃는다. “狂言喜笑”
處方 : 양계(陽溪), 족삼리(足三里), 신문(神門), 양곡(陽谷), 수구(水泃), 열결(列缺),
대능(大陵), 지구(支泃), 신정(神庭), 간사(間使), 백로혈(百勞).
2) 잘 우는 증 “善哭”
處方 : 백회(百會), 수구혈(水溝穴).
3) 풍전(風癲) 및 미쳐서 내달리고 자기가 신이라고 우겨대며 슬프게 울거나 앓는 소리
를 내는 증 “風癲及發狂欲走 稱神自高 悲泣呻吟”
處方 : 이를 사수(邪祟)라고 하는데 먼저 간사혈(間使穴)에 침을 놓고 나서 13 귀혈
(鬼穴)에 침을 놓는다.
4) 욕설을 쉼 없이 하고 귀신의 말을 하는 증 “罵詈不息 身稱鬼語”
處方 ⑴ 심수혈(心兪穴)에 100장, 귀안(鬼眼), 후계(后溪), 대능(大陵), 노궁(勞宮), 용
천(湧泉) 등 혈에 각각 뜸 3장을 뜨고 풍부혈(風府穴)을 쓴다.
⑵ 입술과 얼굴의 경계부위(赤白肉際)에 뜸 1장을 뜨거나 입술 위 한가운데 부
위에 뜸을 1장 뜬다.
5) 여우에 홀려 미친 증 “狐魅癲狂”
處方 : 귀안혈(鬼眼穴)에 21장, 신정혈(神庭穴)에 100장의 뜸을 뜬다.
7. 이침(耳針)
1) 정신신경계통(精神神經系統) 질병(疾病) : 枕, 腦(皮質下),
정신분열증 (精神分裂證)
1. 참조문(參照文)
1) 담화우심 (痰火扰心)을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井).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足陽明胃經 : 頭維(두유), 豊隆(풍륭).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合), 靈道(령도,經), 通里(통리,絡-太陽經),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小海(소해,合).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患門穴), 肝兪(간수), 申脈(신맥,陽交脈의 起始部, 八
脈交會穴, 通陽交脈).
足少陰腎經 : 筑賓(축빈,陰兪脈의 郄穴).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勞宮
(노궁,滎).
督脈 : 長强(장강), 陶道(도도,太陽經과 交會),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啞
門(아문,陽兪脈과 交會), 水泃(수구).
任脈 : 巨闕(거궐,心의 募), 鳩尾(구미,別絡).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頭維(두유),合谷透后谿(합곡투후계), 太冲透涌泉(태충투용천)
任脈 : 巨闕(거궐), 風池透風池(풍지투풍지),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督脈 : 大椎(대추), 陶道(도도), 二椎下(无名), 身柱(신주).
頭頸部奇穴 : 安眠(안면), 人中(인중), 大椎(대추), 陶道(도도).
4. 이침(耳針)
耳穴 : 枕(침).
전광 (癲狂) : ☞ 精神病
1. 참고문
1) 정신병 (精神病)
2) 백합병 (百合病)
3) 장조 (臟躁)
2. 癲狂(전광)은 精神錯亂(정신착란)으로 語言(어언) 및 行動(행동)에 이상이 생기는 疾病(질
병)이다. 靑年(청년)과 長年(장년)의 환자가 비교적 많다. 癲證(전증)은 대부분 呆靜(매정)
하므로 陰(음)에 속하고, 狂證(광증)은 대부분 躁動(조동)하므로 陽(양)에 속한다. 兩者(양
자)는 病理上(병리상)에서 일정한 연계가 있고 증상에도 截然(절연)히 분리되지 못하며
병정 역시 서로 전변되기 때문에 癲狂(전광)이라 統稱(통칭)된다. 精神分裂證(정신분열
증), 狂躁性(광조성) 抑鬱性精神病(억울성정신병), 更年期精神病(갱년기정신병) 등은 모
두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하라
病因病機(병인병기)
癲證(전증) : 주로 痰氣鬱結(담기울결)로 비교적 서서히 발병하고, 대부분 思慮過多(사려
과다), 所求不遂(소구불수)로 肝失條達(간실조달), 脾氣不運(비기불운), 津液
凝滯(진액응체)하여 痰(담)으로 되면 痰蒙心竅(담몽심규)하고, 神明失常(신
명실상)으로 癲證(전증)이 발생된다.
狂證(광증) : 주로 痰火亢盛(담화항성)으로 비교적 급하게 발병되고, 대부분 평소에 痰火
(담화)가 盛(성)한데 재차 暴努急躁(폭노급조)하면 肝陽(간양)이 痰(담)을 끼
고 위로 신명을 요란 시키므로 神志逆亂(신지역란)으로 狂證(광증)이 발생된
다.
만약 癲證(전증)의 痰氣(담기)가 鬱(울)하여 火(화)로 변하면 癲狂(전광)으로 전변될 수 있
고 狂證(광증)의 鬱火(울화)가 得泄(득설)되면 痰氣留滯(담기류체)로 역시 癲證(전증)으
로 전변될 수 있다. 癲狂(전광)이 오래되거나 失治(실치)되면 때로는 虛實夾雜(허실협잡)
의 痼疾(고질)로 별할 수 있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癲證(전증)
證狀 : 沈黙(침묵), 痴呆(치매), 精神鬱積(정신울적), 表情淡漠(표정담막)하고 혹은 혼자
중얼거리며, 言語(언어)의 前末(전말)이 뒤섞이고, 때로는 슬퍼하며, 때로는 기
뻐하고, 哭笑无常(곡소무상)하며, 의심이 많고 잘 놀라며 失眠多夢(실면다몽),
不思飮食(불사음식)에 舌苔薄膩(설태박니)하며 맥은 弦細(현세) 혹은 弦滑(현
활)하다.
治則 : 調氣化痰(조기화담), 淸心安神(청심안신).
- 手少陰(수소음), 厥陰(궐음), 足陽明(족양명), 太陰(태음) 및 任脈經穴(임맥경
혈)을 취한다.
處方 : 神門(신문), 大陵(대능), 印堂(인당) 膻中(전중) 豊隆(풍륭) 三陰交(삼음교)
方義 : ① 神門(신문)은 心經(심경)의 原穴(원혈)인데 心性痴呆(심성치매)를 주치
② 大陵(대능)은 心包經(심포경)의 原穴(원혈)로써 전광을 통치하는 “十三鬼穴
(십삼귀혈)”의 하나이며
③ 印堂(인당), 膻中(전중)은 調氣醒腦(조기성뇌)하고,
④ 豊隆(풍륭), 三陰交(삼음교)는 和胃化痰(화위화담)한다.
만일 : ① 妄見(망견)이 나타나면 睛明穴(정명혈)을 加하여 明目(명목)하고
② 妄聞(망문)이 있으면 聽宮穴(청궁혈)을 加하여 益聰開竅(익총개규) 한다.
治法 : 灸法(구법)을 겸용하며 補瀉(보사)도 겸하여 사용한다.
15~30분 留針(류침)하며 매일 한번씩 7차를 한 療程(료정)으로 한다.
2) 狂證(광증)
證狀 : 狂躁不安(광조불안), 兩目怒視(양목노시), 끊임없이 소리치며 욕하고, 사람 을
알아보지 못하고, 심지어 사람을 때리고, 물건을 집어 던져 파손시키고, 氣力
(기력)이 평소보다 왕성하고, 높은 곳에 올라가며, 노래부르고, 옷을 벗고 돌아
다니며, 밤이 되면 잠을 않자고, 頭痛(두통)이 나고, 面目紅赤(면목홍적), 舌質紅
赤(설질홍적), 苔黃膩(태황니), 脈弦滑(맥현활)하다. 오래되면 정신이 피로하고
권태하며 음식 먹을 생각을 않고, 체질은 여위어가며 뺨은 붉고, 입은 마르며
입술은 터지고 혀는 붉으며 태는 적고 맥은 약하다.
治則 : 瀉火豁痰(사화활담), 淸心醒腦(청심성뇌). - 督脈穴(독맥혈)을 위주로 취하고,
足陽明(족양명), 手厥陰經穴(수궐음경혈)과 배합한다.
處方 : 大椎(대추), 風府(풍부), 水溝(수구), 內關(내관), 豊隆(풍륭).
方義 : ① 大椎(대추), 水溝(수구)를 합용하면 淸泄陽邪(청설양사), 醒腦開竅(성뇌개규)
② 風府(풍부)는 髓海(수해)의 아래 혈이며 醒腦作用(성뇌작용)을 한다.
③ 內關(내관)과 豊隆(풍륭)을 배합하면 理氣和胃(리기화위), 淸心豁痰(청심활
담)하여 심신이 안정되면 狂躁(광조)가 정지된다.
만약 : ① 발광이 심하면 太冲(태충), 支溝(지구)를 加하여 平肝瀉火(평간사화)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大椎(대추), 風府(풍부)는 좀 깊게 침자
하면 좋으나 조작이 비교적 어려워 잘못 침자하면 意外(의외)의 사고가 발생된
다. 일반적으로 留針(류침)하지 않는다. 하루에 1~2번 치료하며10번을 한 療
程(료정)으로 한다. - 中醫 -
3. 기타 치료법
癲病(전병) : 氣鬱(기울) 痰蒙心包(담몽심포) - 精神憂鬱(정신우울) 孤獨无聊(고독무료),
精神恍惚(정신황홀), 言語昏亂(언어혼란), 笑哭无常(소곡무상), 如醉酒事(여
취주사).
狂病(광병) : 七情過盛(칠정과성), 五志火邪(오지화사), 里熱(리열) 蒸津生痰(증진담), 痰
蒙心竅(담몽심규).
主穴 : 人中(인중), 大陵(대능), 神門(신문), 心兪(심수), 湧泉(용천). - 針灸法
配穴 : 間使(간사), 后谿(후계), 豊隆(풍륭), 太冲(태충), 少商(소상), 合谷(합곡).
治法 : 內關(내관), 神門穴(신문혈)에 針刺(침자) - 效果(효과)를 迅速(신속)히 볼 수
있다.
먼저 少冲穴(소충혈)에서 瀉血(사혈)한 다음 神門穴(신문혈)에 針刺(침자)한
다. 患者(환자)가 깊이 자고 깨면 精神(정신)이 爽快(상쾌)하고 再發作(재발
작)하지 않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