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60 전간 (癲癇)

Aktualisiert: 9. Apr. 2022



전간 (癲癇)

癇證(간증)은 한증이라고도 칭하는데 이를 癲癇(전간)을 말하며 또 羊間風(양간풍) 이라

고도 부른다. 이는 일종에 발작성 神志失常(신지실상)의 질병으로서 일종의 지랄병이다.

본병은 突然的(돌연적), 暫時的(잠시적), 反復的(반복적)으로 발작하는 특징이 있다.

발작할 때는 돌연 엎어져 昏迷(혼미)해져 人事不省(인사불성)이 되고 四肢(사지)는 抽축

(추축)되며, 혹 소리를 지르는데 깨어나면 정신이 적인 사람과 같이되돌아온다. 癇證(간

증)은 原發性(원발성)과 繼發性(계발성)으로 나누는데 원발성은 遺傳性(유전성)과 관계

되고, 뚜렸한 병인이 없이 대부분 청소년시기에 많이 발생하고, 계발성은 대부분 기타

질병으로 발병된다. 本節(본절)에서는 다만 癲癇(전간)의 발작만 서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선천유전자는 보통 아동시기에 발작된다. 후천적인 자는 驚恐鬱怒(경공울노), 心肝氣鬱

(심간기울) 하거나 음식으로 脾(비)를 傷(상)하면 脾虛生濕(비허생습)하고 氣鬱化火(기울

화화)되어 煉濕爲痰(련습위담)하고 氣火挾痰(기화협담)으로 두면부에 7 구멍을 몽폐(上

蒙淸竅)시킴으로 陰陽(음양)의 일시적 逆亂(역란)이 발생한다. 癇證(간증)은 수일 혹은

수개월에 한 번씩 발작하거나 심한 경우는 하루에도 수차 발작되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발작의 차수가 빈번하면 병세는 중하다. 매번 발작의 지속시간이 수십 분내지 몇 시간

지나서 깨어나는 환자는 대발작이라 부르고, 증상이 경하며 몇분간 발작하는 환자는 소

발작이라 부른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實證(실증)

證狀 : 癇證(간증) 초기에는 대부분 실증에 속한다. 발작하기 전에는 경상적으로 머리

가 어지럽고(頭暈), 가슴이 답답하며(胸悶), 精神(정신)이 疲勞(피로)한 등 징조

가 있다. 발작할 때는 돌연 엎어지고(跌扑), 人事不省(인사불성)되며, 牙關緊閉

(아관긴폐)하고, 두 눈을 위로 치켜뜨며(兩目上視), 수족이 쫄아들고, 角弓反張

(각궁반장)되고, 입으로는 흰 거품을 토하며 혹은 큰 소리를 지른다. 발작 후 깨

어나면 정상을 회복하지만 피로하고 무력하다. 설태는 薄膩(박니)하고 맥은 弦

滑(현활)하다.

治則 : 熄風化痰(식풍화담), 降火寧神(강화녕신).

- 任脈(임맥), 足厥陰(족궐음), 少陽(소양),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

處方 : 身柱(신주), 本神(본신), 鳩尾(구미), 豊隆(풍륭), 太冲(태충).

方義 : ① 身柱(신주)는 독맥에 속하며 허리 척추의 强痛(강통)을 解除(해제)하고,

② 鳩尾(구미)는 임맥에 속하며 降氣解鬱(강기해울)하므로 간증을 치료하는 主

要穴(주요혈)이다.

③ 本神(본신)은 족소양경혈에 속하는데

- 太冲(태충)과 배합하면 平肝熄風(평간식풍), 醒腦寧神(성뇌녕신)하고,

- 豊隆(풍륭)과 배합하면 和胃降濁(화위강탁), 淸熱化痰(청열화담)한다.

④ 發作時(발작시) 人中(인중), 頰車(협거), 神門(신문)을 加하여 安神(안신), 醒

腦(성뇌), 開噤(개금)하고

⑤ 밤에 발작하면 照海(조해)를 加 하여 安神(안신)시키고

⑥ 낮에 발작하면 申脈(신맥)을 加 하여 頭目(두목)을 맑게 한다.

⑦ 따라서 腰奇(요기), 百會(백회), 風池(풍지) 등 혈을 취하여 醒腦理竅(성뇌리

규)해도 된다.

治法 : 癇證(간증) 發作期(발작기)에는 毫針(호침)으로 强刺戟(강자극)을 주어 瀉法(사

법)을 사용한다. 留針(류침)하지 않는다.

癇證(간증) 間歇期間(간헐기간)에는 보통 平補平瀉(평보평사)의 수법을 위주로

하며 30분간 留針(류침)시킨다. 하루에 한번씩 혹은 이틀에 한번씩 침자하며

10번을 한 療程(료정)으로 삼는다.

2) 虛證(허증)

證狀 : 癇證(간증) 후기에는 빈번히 발작하며 졸아드는 강도는 약해지고 이마에 식은

땀이 나고 호흡이 困難(곤난)하며 코를 골고, 舌紫(설자), 脈細弦(맥세현)하다.

깨어나면 정신이 萎靡(위미)하고, 眩暈(현운), 心悸(심계), 食少(식소), 腰膝酸

軟(요슬산연), 表情痴呆(표정치매), 智力减退(지력감퇴)한다. 脈細无力(맥세무

력)하고 舌痰少苔(설담소태)하다.

治則 : 補益心脾(보익심비), 化痰鎭靜(화담진정).

- 手少陰(수소음), 足陽明(족양명), 太陰(태음), 手少陽經穴(수소양경혈)과 背

兪穴(배수혈)을 취한다.

處方 : 通里(통리), 豊隆(풍륭), 陽陵泉(양능천), 三陰交(삼음교), 筋縮(근축).

方義 : ① 通里(통리)는 養心益智(양심익지)하고.

② 豊隆(풍륭)은 和中化痰(화중화담)하며

③ 腎兪(신수), 三陰交(삼음교)는 滋腎(자신), 平肝熄風(평간식풍)하고

④ 陽陵泉(양능천), 筋縮(근축)은 경련을 해제하여 추축을 정지 시킨다.

⑤ 발작시 혼미가 지속되어 깨어나지 못하면 湧泉(용천)에 침자하여 開竅(개

규)시키고 氣海(기해)에 뜸을 떠서 補氣(보기)시킨다.

⑥ 평시에는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百會穴(백회혈)을 加(가)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한다. 발작할 때는 溫和灸(온화구)를 사용하

고, 발작 間歇期(간헐기)에는 瘢痕灸(반흔구) 법을 사용한다. -中醫-

1. 參照文(참조문)

1) 간질병 (癇疾病)

2) 담화우심 (痰火扰心)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滑肉門(활육문), 下巨虛(하거허,小腸의 下合穴), 解溪(해계,經), 冲陽(충

양,原).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郄).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滎),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陽谷(양곡,經), 小海

(소해,合).

足太陽膀胱經 : 眉冲(미충), 五處(오처), 肺兪(폐수), 心兪(심수,患門穴), 委陽(위양), 飛

揚(비양,絡-足少陰), 申脈(신맥,陽交脈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

脈), 金門(금문,郄), 京骨(경골,原), 束骨(속골,輸), 通谷(통곡,滎).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照海(조해,陽交脈所出,八脈交會穴), 筑賓(축빈,陰兪脈의

郄穴), 足通谷(족통곡).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足太陽膀胱經 : 僕參(복삼).

手少陽三焦經 : 會宗(회종,郄), 天井(천정,合) 消濼(소락).

足少陽膽經 : 頷厭(함염), 天冲(천충), 完骨(완골), 本神(본신), 頭臨泣(두림읍), 腦空(뇌

공),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外丘(외구,郄).

任脈 : 巨闕(거궐,心의 募穴), 鳩尾(구미,絡).

督脈 : 腰兪(요수), 脊中(척중), 筋縮(근축), 神道(신도), 陶道(도도,太陽經과 交會), 大椎

(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腦戶(뇌호,太陽經과 交會),

强間(강간), 后頂(후정), 百會(백회,手足三陽經과 交會), 神庭(신정), 水泃(수구),

兌端(태단).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2) 癲疾多言(전질다언) : 手陽明大腸經 - 偏歷(편력).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陰腎經 : 照海(조해), 巨闕(거궐), 內關(내관), 豊隆(풍륭).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腰奇(요기), 人中(인중), 內關(내관).

任脈 : 巨闕(거궐), 大椎(대추), 人中(인중), 腰奇(요기), 內關(내관).

督脈 : ① 長强(장강)- 點刺出血(점자출혈), 腰奇(요기), 癲癎穴(전간혈).

② 陶道(도도), 腰奇(요기), 人中(인중), 內關(내관), 豊隆(풍륭).

2) 癲疾 : 手陽明 大腸經 : 曲池(곡지), 少澤(소택).

3) 處方 ① 長强(장강), 腰奇(요기), 人中(인중).

② 大椎(대추), 腰奇(요기)

③ 內關(내관), 百會(백회), 心兪(심수).

4. 辨病取穴(변병취혈) - 經驗方

1) 양간(羊癎) : 혀를 내밀고 눈을 부라리며 양 울음소리를 낸다.

處方 : ① 천정(天井) 거궐(巨闕) 백회(百會) 신정(神庭) 용천(湧泉) 大椎穴 각각 뜸을

뜬다.

② 제구척추(第九脊椎 등골뼈 마디)아래 사이에 뜸을 3장 뜨고, 엄지손가락 손

톱과 그 네 모서리에 가가 뜸을 3장씩 뜨면 아주 좋다.

2) 우간(牛癎) : 눈알을 고정한 채 멍하니 노려보고 배가 그득해진다.

處方 : 구미(鳩尾) 대추혈(大椎穴)에 뜸을 각각 3장씩 뜬다.

3) 마간(馬癎) : 입을 벌리고 머리를 흔들고 몸이 뒤로 젖혀진다.

處方 : 복삼(僕參) 풍부(風府) 신궐혈(神闕穴)에 각각 3장씩 뜸을뜨고, 금문(金門) 백회

(百會) 신정혈(神庭穴)에도 뜸을 뜬다

4) 견간(犬癎)

處方 - 노궁(勞宮) 신맥혈(申脈穴)에 각각 3장씩 뜸을 뜬다.

5) 계간(谿癎) : 잘 놀라고 몸이 뒤로 젖혀지며 손에 경련과 저절로 움직인다.

處方 : 령도혈(靈道穴) 뜸 3장, 금문혈(金門穴)에 침을 놓고, 족림읍(足臨泣) 내정혈(內

庭穴)에 각각 3장씩 뜸을 뜬다.

6) 저간(猪癎) : 갑자기 실신(失神)하여 마치 죽은 사람과 같으며, 게거품을 토한다.

處方 : 곤륜(崑崙) 복삼(僕參) 용천(湧泉) 노궁(勞宮) 수구(水泃) 백회(百會) 솔곡(率谷)

완골(腕骨) 내과첨혈(內踝尖穴)에 각각 3장씩 뜸을 뜬다.

7) 오간(五癎) : 다섯가지 간질(癎疾)로 게거품을 토하는 증 “五癎吐沫”

處方 : 후계(后溪) 신문(神門) 간사혈(間使穴)을 쓴다. 심수혈(心兪 穴)에 100장, 네 개

의 귀안혈(鬼眼穴)에 각각 3장씩 뜸을 뜬다.


2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