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 158 장질환(腸疾患)

Aktualisiert: 9. Apr. 2022

장마비 (腸麻痹) - 장명 (腸鳴) - 장명복창 (腸鳴腹脹) - 장열 (腸熱) - 장염 (腸炎)


참조 : 침구 55 대장병 (大腸病)


장마비 (腸麻痹)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天樞(천추).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天樞(천추) 加 氣海(기해), 大腸兪(대장수), 上髎(상료).


장명 (腸鳴)

1. 參照文(참조문)

1) 장명복창 (腸鳴腹脹)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上廉(상렴),

足陽明胃經 : 𥊹窗(응창), 承滿(승만), 關門(관문), 天樞(천추), 氣冲(기충), 足三里(족삼

리), 巨虛(상거허), 陷谷(함곡).

足太陰脾經 : 태백(太白),公孫(공손),三陰交(삼음교), 漏谷(루곡),腹哀(복애),食竇(식두)

足太陽膀胱經 : 督兪(독수), 胃兪(위수), 三焦兪(삼초수), 大腸兪(대장수), 下髎(하료),

陽綱(양강), 意舍(의사), 胞肓(포황).

足少陰腎經 : 復溜(복류), 음도(陰都).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任脈 : 下脘(하완), 建里(건리), 中脘(중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曲池(곡지), 溫溜(온유),下廉(하렴), 合谷(합곡), 上巨虛(상거허).

2) 足陽明胃經 : 陷谷(함곡), 下脘(하완).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大腸兪(대장수), 意舍(의사), 胃倉(위창).

足少陰腎經 : 陰都(음도), 章門(장문), 天樞(천추).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天樞(천추), 上巨虛(상거허).

任脈 : 水分(수분), 陰陵泉(음능천), 足三里(족삼리).


장명복창 (腸鳴腹脹)

1. 參照文(참조문)

1) 장명 (腸鳴)

2) 복창 (腹脹)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會), 漏谷(루곡).

任脈 : 水分(수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三焦兪(삼초수), 小腸兪(소장수), 意舍(의사), 章門(장문).

任脈 : 下脘(하완), 天樞(천추).

2) 三焦兪 小腸兪 意舍 章門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腸鳴(장명) : 下脘穴(하완혈), 陷谷穴(함곡혈).- 平法(평법).- 百症賦


장명복통 (腸鳴腹痛) : 腹痛腸鳴(복통장명)

1. 주치혈(主治穴)

1) 手陽明大腸經 : 溫溜(온유), 上廉(상렴).

足陽明胃經 : 氣冲(기충), 陷谷(함곡, 輸).

任脈 : 신궐(神闕).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任脈 : 神闕(신궐), 足三里(족삼리).


장열 (腸熱)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胃熱(위열)과 腸熱(장열) : 梁門(량문), 氣海(기해), 上巨虛(상거허).


장염 (腸炎)

腸癰(장옹)은 오른쪽 아랫배의 통증이 주요 증상이다. 본병은 오른쪽 다리를 펴지 못하

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縮脚腸癰(축각장옹)이라 부른다. 西醫學(서의학)의 急, 慢性腸炎

(급, 만성장염)은 본절의 論治(론치)를 참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濕熱積滯(습열적체)로 臟腑(장부)가 糟粕(조박)을 轉化(전화)해야 하는데 장애를 받아 氣

血(기혈)이 瘀凝(어응)되고 더욱 발전하여 血肉(혈육)이 腐敗(부패)하므로 腸 癰(장옹)이

형성된다고 본다.

병인을 유인하는 원인으로는 陰食失調(음식실조), 氣滯血瘀(기체혈어), 活動過度(활동과

도)를 들 수 있다.

陰食失調(음식실조) : 膏梁厚味(고량후미) 혹은 生冷(생냉)한 음식을 과식하거나 혹 은 不

潔(불결)한 음식으로 장부가 壅滯(옹체)되어서 鬱濕化熱(울습화열)

하게 되면 腸癰(장옹)으로 발전하게 된다.

氣滯血瘀(기체혈어) : 만약 寒溫(한온)이 부적절 하거나 혹은 七情鬱結(칠정울결)이 있거

나 혹은 産后(산후)에 敗血(패혈)이 留滯(류체)하게 되면 역시 장옹

을 알으킬 수 있다.

活動過度(활동과도) : 급하게 걷거나, 뛰거나, 무거운 집으로 상하거나 특히 식사를 많이

한후에 과분한 활동을 하게 되면 腸絡(장락)이 손상을 받게 되어 병

이 발생하는 원이이 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처음에는 배곱주위가 하프다가 점차 오른쪽 아랫배로 전이되며 손으로 누르면 통증이

심해지고 아픈 부위는 고정되며, 복부의 피부가 긴장된다. 오른쪽 다리를 펴지못하고 發

熱(발열), 惡寒(오한), 惡心(오심), 嘔吐(구토), 便秘(변비)등이 생기고 小便色(소변색)이 붉

고 舌苔(설태)는 薄膩(박니)하며 黃(황)하며 脈數有力(맥삭유력)하다.

만약 만약 복통이 더욱 심해지고, 복부의 피부가 매우 긴장되고 손으로 압박하거나 손을

대기조차 거부하며 국부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高熱(고열)이 나며 땀을 흘리며 舌苔(설

태)는 黃膩(황니)하고 脈(맥)은 洪數(홍삭)하면 이는 嚴重(엄중)한 증상이다.

1) 食滯中阻(식체중조)

證狀 : 脘腹脹滿疼痛(완복창만동통), 拒按(거안), 誤食(오식), 트림하며, 냄새가 나 며,

舌苔厚膩(설태후니), 脈弦滑(맥현활).

原則 : 淸熱道滯(청열도체).

- 足陽明(족양명),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蘭尾(란미), 足三里(족삼리), 大橫(대횡), 陷谷(함곡), 大腸兪(대장수).

方義 : ① 본 처방의 주요 작용은 足陽明(족양명), 太陰(태음)의 經氣(경기)를 疏通(소

통) 調理(조리)하여 胃腸(위장)의 氣血(기혈)을 通暢(통창)하게 하고 기능을

회복시켜 淸熱道滯(청열도체), 散瘀止痛(산어지통)의 공능을 일으키게 한다.

② 蘭尾(란미) - 足陽明經(족양명경)에 위치 되었으며 腸癰(장 옹)을 치료하는

經驗穴(경험혈)이고

③ 足三里(족삼리)는 胃經(위경)의 合穴(합혈)이며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腑氣(부기)를 疏導(소도)하는 작용을 하고

④ 大橫(대횡), 陷谷(함곡)은 脾(비)와 胃經(위경)의 穴(혈)이며 理氣化滯(리기화

체)하는 大腸兪(대장수)와 배합하면 中焦運化(중초운화), 通調腸腑(통조장

부), 消癰導滯(소옹도체)하는 작용을 한다.

萬若 : ① 嘔吐(구토)를 兼(겸)하면 加 內關(내관), 中庭穴(중정혈) - 消食止嘔(소식지

구)하고

② 高熱(고열)을 兼(겸)하면 加 大椎(대추), 曲池(곡지) - 淸熱(청열)하고

③ 腹脹(복창)을 兼(겸)하면 加 內庭(내정) - 消食除脹(소식제창)

④ 便秘(변비)를 兼(겸)하면 加 支溝(지구), 豊隆(풍륭) - 通便(통변)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30-60분 留針(류침)하고 매일 1-2 차씩

침자하며 중한자는 4시간 간격으로 침자한다.

2) 氣血凝滯(기혈응체)

證狀 : 복통은 固定不移(고정불이)이고 拒按(거안)이며 혹시 복부에 덩어리가 집이고

舌質(설질)은 紅色(홍색)이고 舌苔(설태)는 薄白(박백)하고 脈象(맥상)은 弦澁

(현삽)하다.

原則 : 行氣(행기), 通腑(통부), 化瘀(화어).

- 足陽明(족양명), 任脈經穴(임맥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天樞(천추), 上巨虛(상거허), 中脘(중완), 手三里(수삼리).

方義 : ① 天樞(천추)는 대장의 모혈이다. 대장을 疏通(소통)하며 和 營通絡(화영통락)

하고

② 上巨虛(상거허)는 대장의 合穴(합혈)이며 通腸化滯(통장화 체)하고 腑(부)의

合穴(합혈) 中脘(중완)과 大腸經穴(대장경 혈) 手三里(수삼리)와 배합하면 通

腑(통부), 行氣(행기), 化瘀(화어)의 목적을 달성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中醫 -

1. 참조문(參照文)

1) 慢性腸炎(만성장염)

⑴ 脾病中(비병중)에 ① 寒濕困脾(한습곤비) ② 脾陽虛證(비양허증)

⑵ 小腸病中(소장병중)에 小腸虛寒(소장허한)

2) 急性腸炎(급성장염)

⑴ 脾病中(비병중)에 ① 濕熱內蘊(습열내온) ② 脾陽虛證(비양허증)

⑵ 大腸病中(대장병중)에 大腸濕熱(대장습열)

3) 맹장염 (盲腸炎)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急慢性(급만성)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天樞(천추,大腸經의 募), 足三里(족삼리,合,胃의 下合穴), 上巨

虛(상거허,大腸의 下合穴), 條口(조구), 下巨虛(하거허,小腸의 下合穴), 解

溪(해계,經), 內庭 (내정,滎).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脈), 商丘(상구,經), 陰陵泉(음능천,

合).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三焦兪(삼초수), 大腸兪(대장수), 中膂兪(중려수), 會陽(회

양), 承山(승산).

足少陰腎經 : 복류(復溜, 經), 교신(交信,陰交脈의 郄).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原), 章門(장문,足少陽과 交會, 脾의 募穴,臟會).

任脈 : 神闕(신궐).

2) 急性腸炎(급성장염)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井).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3) 慢性腸炎(만성장염)

足陽明胃經 : 內庭(내정,滎).

足太陽膀胱經 : 關元兪(관원수).

督脈 : 腰陽關(요양관), 長强(장강).

任脈 : 神闕(신궐), 下元(하원,任脈,足太陽의 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急慢性(급만성)

足陽明胃經 : 上巨虛(상거허, 大腸의 下合穴), 天樞(천추).

2) 慢性(만성)

足陽明胃經 : 解溪(해계,經).

足太陰脾經 : 商丘(상구), 天樞(천추), 陰陵泉(음능천,合).

足太陽膀胱經 : 關元兪(관원수), 脾兪(비수), 腎兪(신수).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脾兪(비수), 天樞(천추), 足三里(족삼리).

任脈 : 神闕(신궐), 天樞(천추), 大腸兪(대장유).- 治灸法

4. 이침(耳針)

耳穴 : 直腸下段(직장하단), 小腸(소장), 大腸(대장).

5. 辨病取穴(변병취혈) 針灸大成

1) 大腸炎(대장염) 痛症(통증) 혹 痒症(양증)

處方 : 二白穴(이백혈) 針灸 - 玉龍歌

2) 急性腸炎(급성장염) - 설사가 그치지 않고(泄瀉不止),

處方 : 先刺 - 公孫穴(공손혈),

后刺 - 天樞(천추), 照海穴(조해혈)을 針刺한다.- 西江月


장출혈 (腸出血)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大腸兪(대장수), 下髎(하료), 會陽(회양).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大腸出血(대장출혈, 痔疾出血(치질출혈)) : 長强(장강), 承山(승산혈).-百症賦 -


장풍하혈 (腸風下血)

1. 主治穴(주치혈)

1) 長强(장강), 承山(승산), 二白(이백).


장협착 (腸挾窄) : 腸閉塞(장폐색)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大巨(대거).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足陽明(족양명), 合谷(합곡), 內關(내관), 中脘(중완), 天樞(천추), 大腸

兪(대장수), 次髎(차료).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急性

任脈 -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 과 交會).

2) 急性(급성)

任脈 - 中脘(중완), 天樞(천추), 內關(내관), 氣海(기해).

3) 麻痹性(마비성)

任脈 - 氣海(기해), 支泃(지구), 足三里(족삼리), 大腸兪(대장수).

4) 腸閉塞(장패색)

⑴ 久痢(구리) - 任脈 : 神闕(신궐).

⑵ 菌痢(균리) - 足陽明胃經 : 天樞(천추,大腸經의 募).


2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