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52 이질환(耳疾患)

Aktualisiert: 9. Apr. 2022


이각 (耳殼) - 이병 (耳病) - 이창 (耳瘡) - 이창 (耳脹, 耳閉) - 이통 (耳痛) - 이하선염 (耳下腺炎) - 자시 (痄腮) - 정이(聤耳) - 중이염 (中耳炎)


이각 (耳殼) : 이륜(耳輪), 이개(耳介) - 귓바퀴

1. 主治穴(주치혈)

1) 發赤(발적), 腫脹(종창)

處方 : 手少陽三焦經 : 角孫(각손).


이병 (耳病)

1. 參照文(참조문)

1) 膽病中 膽實證(담실증) 參照

2) 이창 (耳脹)과 이폐 (耳閉)

3) 이창 (耳瘡), 이절 (耳癤)

4) 이통 (耳痛)

5) 중이염 (中耳炎)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近部選穴 : 耳門(이문), 翳風(예풍).

2) 本經選穴 : ① 膽經(담경) - 足臨泣(족림읍).

② 三焦經(삼초경) - 中渚(중저), 外關(외관) 등.

3)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 - 俠溪(협계), 金門(금문).

4) 本經配穴法 : 足臨泣(족림읍), 中渚(중저), 外關(외관).


이창 (耳瘡) : 이절(耳癤)

1. 辨病取穴(변병취혈)

1) 耳癤(이절), 耳瘡(이창)

⑴ 風熱邪毒外侵(풍한사독외침) 腫脹疼痛時(종창동통시)

針刺 : 合谷(합곡), 內關(내관), 少商(소상).

- 疏痛經絡(소통경락), 泄熱止痛(설열지통). -中醫 -


이창 (耳脹, 耳閉)

1. 參照文(참조문)

1) 이명이농 (耳鳴耳聾)

2) 이병 (耳病)

2. 中醫耳鼻喉科學

耳脹(이창), 耳閉(이폐)

1) 風邪侵襲(풍사침습), 經氣痞塞(경기비색).

針灸 : 聽宮(청궁), 聽會(청회), 耳門(이문), 翳風(예풍), 合谷(합곡), 內關(내관) 등 혈,

每次選(매차선) 2~3穴(혈), 中强度刺激(중강도자격), 留針(류침)10~20 分鍾

(분종), 以達 疏通經氣(이달 소통경기), 止痛目的(지통목적).

耳針 : 內耳(내이), 神門(신문) 등 혈, 혹은 耳殼(이각) 上部(상부)에 壓痛点(압통점),

매차 1~2혈, 針刺(침자) 혹은 埋針(매침), 埋針期間(매침기간)는 매일 按壓(안

압)해서 埋針處(매침처)를 정하고 3~4次, 刺激(자격)을 加强(가강)한다.

其他療法 : 輔助療法(보조료법)으로는 손가락으로 이병을 안압(手指尖按壓耳屛)하거

나 혹은 손거락(手指尖)을 귓구멍에 삽입(揷入耳道口)해서, 눌렀다 놓기를

(一按一放) 여러 차례 반복(反復多次)하여, 疏通經氣(소통경기)하고 减輕症

狀(감경증상)시킨다.

2) 邪毒滯留(사독체류), 氣血瘀阻(기혈어조).

針灸 : 귀 주위에 있는 局部穴(국부혈)을 除外(제외)한다. (參考 “風邪侵襲 經氣痞塞”

型) 脾虛者(비허자) :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脾兪(비수) 等穴

肝腎陰虛(간신음허) : 三陰交(삼음교), 關元(관원), 肝兪(간수), 腎兪(신수) 등

强壯作用(강장작용)의 穴位(혈위)

虛寒者(허한자) : 艾灸法(애구법)을 매일 1번 사용할 수 있다.

穴位注射 : 聽宮(청궁), 翳風(예풍), 耳門(이문) 등 혈, 注入(주입) 丹參注射液(단

삼주사액), 當歸注射液(당귀주사액) 등을 매번 매혈마다 0.3~ 0.5

ml 을 注入(주입)한다.- 中醫 -


이통 (耳痛)

1. 主治穴(주치혈) 및 배합혈(配合穴)

1) 手陽明大腸經 : 陽谿(양계,經).

手少陽三焦經 : 顱息(로식), 角孫(각손).

足少陽膽經 : 頭竅陰(두규음), 完骨(완골).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外關(외관).

3. 辨病取穴(변병취혈) 針灸經驗方

1) 耳痛(otalgia)과 귀울음(耳鳴)

⑴ 갈대로 만든 대롱(筒)을 길이 5치 되게 잘라 한쪽 끝을 귓구멍에 끼고 진흙으로 주위

를 둘러막은 후, 밖으로 나온 갈대 대롱의 구멍에 원뿔쑥뜸을 七壯 뜨는데 右側(우

측) 귀가 아프면 左側(좌측)에 左側(좌측)귀가 아프면 右側(우측)에 뜸을 뜬다.

⑵ 갈대 筒(통) 대신, 蒼朮(창출)에 네모진 鐵針(철침)으로 竹筒(죽통)같은 구멍을 뚫고

위와 같이 원뿔쑥뜸을 21壯 뜨는데 아주 효과가 좋다.

2) 귓밥이 빨갛게 붓고 아플 때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合谷(합곡), 翳風(예풍), 頰車穴(협거혈)에 針刺한다.-西江月 針灸大成

4. 이침 (耳針)

耳穴 : 利膽(이담).


이하선염 (耳下腺炎)

1. 참조문(參照文)

1) 자시 (痄腮)

2) 삼초경병중(三焦經病中) 사열상충(邪熱上冲)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井).

手陽明大腸經 : 溫溜(온유, 郄), 合谷(합곡, 原), 溫溜(온유,郄).

足陽明胃經 : 大迎(대영), 地倉(지창,手足少陽,陰交의 會), 頰車(협거), 下關(하관,

足陽明,少陽의 會).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經).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翳風(예풍,足少陽의

會), 角孫(각손).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完骨(완골).

頭頸部奇穴 : 牽正(견정), 翳明(예명).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急性(급성) - 足陽明胃經 : 頰車(협거), 翳風(예풍), 合谷(합곡).

2) 慢性(만성) - 手少陽三焦經 : 角孫(각손), 曲池(곡지).

頭頸部奇穴 : 牽正(견정), 翳風(예풍), 合谷(합곡).

3) 急慢性(급만성) -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4. 이침(耳針)

耳穴 : 耳尖(이첨), 對屛尖(대병첨).


자시 (痄腮) : 急發生하며 耳下 頰腫痛을 特徵으로 하는 證狀

1. 參照文(참조문)

1) 이하선염 (耳下腺炎)

2. 中醫針灸學 (343面)

痄腮는 병이 급하게 발생되며 耳下(이하) 頰腫痛(협종통)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急性傳

染病(급성전염병)이다. 現代醫學(현대의학)의 耳下腺炎(이하선염)이다. 본병은 일년 사계

절 모두 발생되는데 봄과 겨울에 비교적 많이 발생되며 5~9 세의 소아에게 많이 나타난

다.

病因病機(병인병기)

주로 風溫病毒(풍온병독)으로 발생된다. 病邪(병사)가 입과 코로 침입하여 痰火(담화)를

끼고 少陽經絡(소양경락)에 壅阻(옹조)되면 鬱而不散(울이불산)으로 뺨에 몰려 발생된다.

絡脈(락맥)이 壅滯(옹체)되면 氣血(기혈)의 流通(유통)이 抵碍(저애) 받기 때문에 兩側(양

측) 혹은 한쪽의 耳下腺(이하선)이 부으며 堅硬(견경)하여 통증이 생긴다. 少陽(소양)은 厥

陰(궐음)과 상호 표리관계이며 족궐음의 맥은 陰器(음기)를 감싸고돌기 때문에 만약 邪氣

(사기)의 感受(감수)가 비교적 엄중하면 궐음으로 내전되어 고환이 벌겋게 붓고 아프다.

만약 溫毒內竄(온독내찬)으로 心(심)과 肝(간)이 손상을 받으면 痙厥(경궐) 昏迷(혼미)가

발생된다.

1) 輕證(경증)

證狀 : 耳下腺(이하선) 부위가 붓고 아프며(腫痛), 음식을 씹기가 불편하며(飮食咀嚼不

利), 惡寒發熱(오한발열)과 전신이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며, 舌苔微黃(설태미

황), 脈浮數(맥부삭).

治則 : 疏風解表(소풍해표), 淸熱解毒(청열해독).

- 手少陽(수소양),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翳風(예풍), 頰車(협거), 外關(외관), 合谷(합곡).

方義 : ① 본병은 주로 風溫病毒(풍온병독)의 外感(외감)으로 少陽經脈(소양경맥)을 壅

阻(옹조)하여 발생된다.

② 족소양경의 교회혈인 翳風(예풍)과 陽明經穴(양명경혈)인 頰車(협거)를 배합

하면 局部氣血(국부기혈)의 壅滯(옹체)를 宣散(선산)시키고,

③ 外關(외관)은 手少陽經穴(수소양경혈)이며 또 陽兪脈(양유맥)의 交會穴(교회

혈) 인데 陽明經穴(양명경혈) 合谷(합곡)과 배합하면 疏風解表(소풍해표), 淸

熱解毒(청열해독)한다.

만약 : ① 熱(열)이 나면 大椎(대추), 商陽(상양)을 가하되 点刺出血(점자출혈)하여 瀉熱

(사열)한다.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

2) 重證(중증)

證狀 : 귀 아래로 頰部(협부)가 뜨겁고 붓고 아프다(腫痛), 음식을 씹기가 불편하며(咀

嚼不利), 高熱(고열), 頭痛(두통), 煩躁(번조), 口渴(구갈)이 생기고 大便乾燥(대

변건조)하며, 소변이 짧고 색이 붉으며(小便短赤), 嘔吐(구토), 睾丸腫痛(고환종

통)이 생기고, 심한 사람은 신혼(甚者神昏), 痙厥(경궐)이 발생한다. 舌苔黃(설

태황)하고, 脈滑數(맥활삭)하다.

治則 : 淸熱解毒(청열해독), 通絡消腫(통락소종).

- 手少陽(수소양),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禾髎(화료), 外關(외관), 關冲(관충), 合谷(합곡), 曲池(곡지), 少商(소상), 豊隆(풍

륭).

方義 : ① 禾髎(화료)는 少陽經穴에 속하며 通經活絡(통경활락)하여 국부의 腫痛(종통)

을 解除(해제)하고,

② 外關(외관), 關冲(관충)은 少陽經穴에 속하며 少陽(소양)의 瀉熱(사열)을 疏

解(소해)하고,

③ 合谷(합곡), 曲池(곡지) 는 手陽明經(수양명경)게 속하며 肺經(폐경)의 井穴

(정혈) 少商(소상)과 합하면 疏風散熱(소풍산열), 淸熱解毒(청열해독)하고,

④ 豊隆(풍륭)은 足陽明經(족양명경)의 絡穴(락혈)이며 痰火(담화)를 없애고 消

腫止痛(소종지통)한다.

만약 : ① 身熱(신열)이 있으면 大椎(대추), 十二井穴(십이정혈)을 가하여 点刺出血(점

자출혈)시켜 瀉熱(사열)하고,

② 睾丸腫痛(고환종통)은 太冲(태충), 曲泉(곡천)을 가하여 少陽(소양)과 厥陰

(궐음)의 熱毒(열독)을 해제하고,

③ 頭痛(두통)은 俠谿(협계), 風池(풍지)를 가하여 少陽(소양)의 瀉熱을 疏解(소

해)하고,

④ 痙厥(경궐) 神昏者(신혼자)는 人中穴(인중혈)을 가하여 開竅醒神(개규성신)

한다.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


정이(聤耳)

聤耳(정이)는 귓구멍에 발생하는 化膿性疾病(화농성질병)을 가리키는 것으로 고름의 색

이 黃色(황색)인 경우이다. 만일 고름의 색이 푸른색이 섞이면 囊耳(낭이)라 하고, 백색

이면 纏耳(전이)라 하며, 고름에서 취한 냄새가 나는 것을 耳疳(이감)이라 한다.

西醫(서의)의 急性中耳炎(급성중이염)은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한다.

병인병기(病因病機)

本證(본증)은 虛實(허실) 2가지로 나눈다. 實證(실증)은 膽火上炎(담화상염)으로 火毒(화

독)이 귀에 침입되거나 外感風邪(외감풍사)로 熱毒內盛(열독내성)하여 灼傷肌膜(작상기

막)하므로 化腐生膿(화부생농)한다. 虛證(허증)은 대부분 脾虛失健(비허실건)으로 濕濁不

化(습탁불화)하며 귓속에 집결되어 발생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1) 實證(실증)

症狀 : 귀뿌리가 아프며, 黃色(황색)의 粘膿(점농)이 흐르고, 聽力减退(청력감퇴), 犮熱

(발열), 頭痛(두통), 脘悶(완민), 便秘(변비)가 생기고, 舌質紅(설질홍) 苔黃(태황)

하며 脈弦數(맥현삭)하다. 治則 : 疏風淸熱(소풍청열), 解毒開竅(해독개규) - 手

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 위주

處方 : 風池(풍지), 翳風(예풍), 聽會(청회), 合谷(합곡), 外關(외관), 足臨泣(족림읍).

方解 : ① 瀉肝膽火(사간담화)이다.

② 足少陽經(족소양경)의 風池(풍지), 足臨泣(족림읍).-祛風淸熱(거풍청열)

③ 合谷(합곡) + 外關(외관) : 淸熱解毒(청열해독).

④ 翳風(예풍) + 聽宮(청궁) : 疏風開竅(소풍개규).

만일 : ① 熱甚(열심) : 加 大椎(대추), 關冲(관충). - 淸熱(청열)

② 頭痛(두통) : 加 太陽(태양), 上星(상성). - 消風鎭痛(소풍진통).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 15~30분간 留針(류침)하며 매일 하번씩, 6번을 한 료정으

로 한다.

2) 虛證(허증)

證狀 : 귓속에서 淸稀(청희)한 고름이 계속 나오며, 오래도록 낫지 않고, 眩暈(현훈), 四

肢倦怠(사지권태), 食少(식소), 面色黃(면색황), 便溏(변당), 舌質軟(설질연) 舌苔

薄白(설태박백), 脈濡弱(맥유약)

治則 : 健脾化濕(건비화습).

- 手少陽(수소양), 足陽明(족양명),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 위주

處方 : 翳風(예풍), 足三里(족삼리), 陰陵泉(음능천).

方義 : ① 手少陽經(수소양경) 翳風(예풍) - 通絡開竅(통락개규)

② 足三里(족삼리), 陰陵泉(음능천) : 健脾化濕(건비화습)

만약 : ① 眩暈(현운) : 加 脾兪(비수), 太白(태백) - 健脾(건비) 補益氣血(보익기혈)한다.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 兼灸(겸구). 15~30분간 留針(류침)하며, 하루에 1번씩 10

번을 1療程(료정)으로 한다.


중이염 (中耳炎)

1. 參照文(참조문)

1) 이농 (耳膿)

2) 이창 (耳瘡)

3) 이병(耳病)

4) 외이도염(外耳道炎)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足陽明,少陽의 會).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手少陽三焦經 : 顱息(로식), 翳風(예풍,手足少陽의 會), 이문(耳門).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上關(상관).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① 聽宮(청궁), 合谷(합곡), 外關(외관).

② 聽宮(청궁), 翳風(예풍), 合谷(합곡).

手少陽三焦經 : ①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② 耳門(이문), 翳風(예풍), 合谷(합곡).

2) 處方 : ① 翳風(예풍), 合谷(합곡).

② 風池(풍지), 聽宮(청궁), 外關(외관).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消炎(소염) : ① 耳門(이문), 聽會(청회), 聽宮(청궁), 翳風(예풍), 中渚(중저), 外關(외

관), 陽陵泉(양능천), 丘墟(구허).

② 聽宮(청궁), 合谷(합곡), 外關(외관).

③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2) 外耳道炎(외이도염) -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3) 中耳炎(중이염) : ①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4. 針灸大成解釋

② 瀉 聽會穴(청회혈) - 玉龍歌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