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 151 이명-이롱 (耳鳴-耳聾)

Aktualisiert: 9. Apr. 2022



이명-이롱 (耳鳴-耳聾) - 난청 (難聽) - 청신경 (聽神經)


이명-이롱 (耳鳴-耳聾)

耳鳴(이명)과 耳聾(이농)은 모두 정상적인 聽覺(청각)을 상실한 異常的(이상적) 증상

을 가리킨다. 耳鳴(이명)은 귀에서 울리는 소리가 나고, 耳聾(이롱)은 聽力(청력)이

감퇴되거나 喪失(상실)된다. 耳鳴(이명)은 보통 耳聾(이롱)의 先兆(선조, 前兆) 증상

이며, 耳鳴(이명), 耳聾(이롱)의 病因(병인) 및 治療(치료)는 相同(상동)하기 때문에

함께 논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本病(본병)은 虛實(허실) 두 가지로 나눈다.

1) 만약 暴怒(폭노), 驚恐(경공)으로 肝膽火旺(간담화왕)하여 少陽經氣(소양경기)가

閉阻(폐조)되거나 痰熱(담열), 鬱熱(울열)로 淸竅(청규)를 壅遏(옹알)시키면 모두

實證(실증)에 속한다.

2) 만약 腎精(신정)을 虧耗(휴모)하여 精氣(정기)가 귀에 오르지 못하면 虛證(허증)

에 속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實證 : 갑자기 귀가 들리지 않거나(耳聾), 귀속이 답답하며 膨脹感(팽창감)이 나

고, 귀에서 계속 소리가 나는데(耳鳴) 마치 매미우는소리(蟬鳴), 혹은 바다

에 潮水(조수)가 밀려드는 물소리가 나며 귀를 막아도 소리가 없어지지 않

고 들린다.

肝膽火旺者(간담화왕자)는 面紅(면홍), 口乾(구건), 煩躁不安(번조불안), 易

怒(이노), 脈弦(맥현)하고

痰熱鬱結者(담열울결자)는 대부분 胸悶(흉민), 痰多(담다), 脈滑數(맥활삭)

하다.

治則 : 淸肝瀉火(청간사화), 豁痰通竅(활담통규)

- 手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을 위주로 取(취)한다.

主穴 : 翳風(예풍), 聽會(청회), 中渚(중저), 俠谿(협계).

方義 : ① 手足小陽經脈은 모두 귀를 싸고돌기 때문에 手少陽經의 中渚(중저), 翳

風(예풍) 과 足少陽經의 聽會(청회), 俠谿(협계)를 취하여 少陽經氣를 疏

導(소도)한다.

② 肝膽火旺 : 太冲(태충,原穴)과 丘墟(구허,原穴)를 배합하여 肝膽(간담)의

火(화)를 淸泄(청설)한다. 이는 “病在上 取之下”(병재상 취지

하)와 盛則瀉之(성칙사지)“의 뜻이다.

③ 痰熱鬱結 : 豊隆(풍륭), 勞宮(노궁) → 泄熱豁痰(설열활담)하여 淸竅(청

규, 두면부 7규)를 通(통)하게 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15~30分 留針(류침)한다.

매일 1번 10일 1療程(료정)으로 한다,

2) 虛證 : 漸次(점차)로 귀가 듣기지 않고(耳聾證) 耳鳴(이명)이 時作時止(시작시지)

하는데 소리가 가늘고 낮으며 疲勞(피로)하면 심해지고 귀를 막으면 소리

가 약해진다. 대부분 頭暈(두운) 혹은 허리가 시큰거리거나(腰酸), 遺精(유

정), 帶下(대하), 脈虛細(맥허세) 등 症狀(증상)과 겸하여 난다.

原則 : 補益腎精(보익신정) - 手足少陽, 足少陰經穴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翳風(예풍), 聽會(청회), 腎兪(신수), 關元(관원), 太谿(태계).

方義 : ① 수소양의 翳風(예풍)과 족소양의 聽會(청회)는 少陽經氣(소양경기) 를

疏導(소도)하고,

② 족소음의 原穴(원혈) 太谿(태계)는 益腎補虛(익신보허)한다.

③ 腎(신)은 귀에 연계되며 腎(신)이 虛(허)하면 精氣(정기)가 귀에 오르지

못하기 때문에 腎兪(신유), 關元(관원)을 취하여 培腎固本(배신고본)하

며 腎經元氣(신경원기)를 보익하여 精氣(정기)가 귀에 오르도록 한다.

治法 : 毫針(호침) 補法(보법) 可灸(가구, 작은 艾炷). - 中醫

1. 參照文(참조문)

1) 이창(耳脹)과 이폐(耳閉) 참조

2) 爆發性 耳聾耳鳴 : 三焦經病中 邪熱上冲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배합혈(配合穴)

1)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井), 合谷(합곡,原), 陽溪(양계,經), 偏歷(편력).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前谷(전곡,滎), 后溪(후계,輸), 腕骨(완골,原), 陽谷

(양곡,經), 小海(소해,合), 肩貞(견정), 天窗(천창), 天容(천용), 聽宮

(청궁,手足少陽과 會).

足太陽膀胱經 : 絡却(락각), 腎兪(신수).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井), 液門(액문,滎), 中渚(중저,輸), 陽池(양지,原), 外關

(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支溝(지구,經), 會宗(회종,

郄),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 天井(천정,合), 天髎(천료), 天牖

(천유,急性), 翳風(예풍), 瘈脈(계맥), 顱息(로식), 耳門(이문), 耳和

髎(이화료).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上關(상관), 頷厭(함염), 懸厘(현리), 浮白(부백), 頭竅陰

(두규음), 完骨(완골), 腦空(뇌공),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

會), 地五會(지오회), 俠溪(협계,滎), 足竅陰(족규음).

督脈 : 百會(백회).

頭頸部奇穴 : 醫聾(의농), 翳明(예명).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① 腕骨(완골), 通里(통리), 翳風(예풍), 聽宮(청궁).

② 肩貞(견정), 腕骨(완골).

③ 聽宮(청궁), 耳門(이문), 翳風(예풍).

④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會宗(회종).

足太陽膀胱經 : 絡却(락각), 百會(백회), 風池(풍지), 耳門(이문), 后溪(후계).

手少陽三焦經 : ① 液門(액문), 耳門(이문), 聽宮(청궁).

② 中渚(중저), 啞門(아문), 聽宮(청궁), 聽會, 翳風(예풍).

③ 中渚(중저), 耳門(이문), 翳風(예풍).

④ 中渚(중저), 聽會(청회).- 針灸資生經

⑤ 會宗(회종),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⑥ 四瀆(사독), 天牖(천유). - 急性耳聾 - 針灸資生經

⑦ 天牖(천유), 太冲(태충), 聽會(청회).

⑧ 天牖(천유), 聽宮(청궁), 液門(액문).

⑨ 翳風(예풍), 合谷(합곡), 耳門(이문), 聽會(청회), 三里.

⑩ 瘈脈(계맥), 聽宮(청궁), 翳風(예풍).

⑪ 顱息(로식), 聽宮(청궁), 中渚(중저).

⑫ 角孫(각손) 點刺出血(점자출혈).- 治耳鳴

⑬ 耳門透聽宮聽會(이문투청궁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⑭ 耳和髎(이화료), 太溪(태계), 翳風(예풍).

足少陽膽經 : ① 聽會(청회), 章門(장문), 翳風(예풍,足少陽의 會), 外關(외관).

② 聽會(청회), 聽敏(청민), 池前(지전).

③ 聽會(청회), 陽池(양지).- 標幽賦

④ 曲鬢(곡빈), 翳風(예풍), 聽宮(청궁).

⑤ 頭竅陰(두규음), 翳風(예풍), 聽宮(청궁), 聽會(청회).

⑥ 俠溪(협계), 翳風(예풍), 耳門(이문), 聽會(청회).

頭頸部奇穴 : 醫聾(의농), 聽穴(청혈), 聽聰(청총), 翳明下(예명하).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聽覺减退(청각감퇴)

⑴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滎), 中渚(중저,輸), 陽池(양지,原), 耳門(이문).

⑵ 足少陽膽經 : 上關(상관,手足少陽,陽明의 會).

2) 神經性(신경성) 聽覺减退(청각감퇴)

⑴ 手少陽三焦經 : 陽池(양지,原).

3) 神經性(신경성) 耳鳴(이명)

⑴ 手少陽三焦經 : 翳風(예풍,足少陽의 會), 耳門(이문).

4) 耳鳴(이명)

⑴ 귀울림 : 金針用(금침용) - 申脈穴(신맥혈) - 蘭江賦

⑵ 腰痛(요통) : 先 - 地五會(지오회),

后 - 耳門(이문), 足三里(족삼리) - 長桑君天皇秘訣歌

⑶ 蟬曲(선곡) : 聽會穴(청회혈) - 百症賦

⑷ 귀속이 울리고 가렵고 아플 때 - 西江月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客主人, 合谷(합곡), 聽會穴(청회혈)에 針刺한다.

⑸ 귀울림 - 西江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少冲(소충), 聽會(청회), 中冲(중충), 商陽穴(상양혈)에 針刺한다.

5) 耳聾(이롱)

⑴ 귀에서 소리가 들리지 않을 때 - 西江月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聽會(청회), 商陽(상양), 少冲(소충), 中冲(중충)에 針刺.

⑵ 귀머거리, 귀에 氣가 막혀 답답하면서 아플 때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聽會(청회), 腎兪(신수), 三里(삼리), 翳風(예풍)에 針刺.

⑶ 耳聾(이농), 氣滯疼痛甚(기체동통심), 言語不利(언어불리) 등

處方 : 翳風穴(예풍혈) - 玉龍歌

⑷ 耳聾(이농), 不聽(불청), 耳痛(이통), 耳痒(이양), 蟬鳴(선명) 등

處方 : 瀉 聽會穴(청회혈) - 玉龍歌

⑸ 귀가 막힌데 : 聽會穴(청회혈) - 勝玉歌

⑹ 耳聾(이농) : 臨泣(림읍), 金門(금문), 合谷(합곡) - 雜病穴法歌

⑺ 氣滯型(기체형) 耳聾(이농)

處方 : ① 聽會穴(청회혈), 翳風穴(예풍혈) - 百症賦

② 聽會穴(청회혈) - ㉠ 痛玄指要賦 ㉡ 靈光賦

5. 치료허실(治療虛實) : 예(例)

實證 : 暴病耳聾, 耳中覺脹, 鳴聲不斷, 扶之不感, 頭痛, 面赤, 善怒

虛證 : 久病耳聾, 耳中선鳴, 時作時止, 勞暴加極, 按之減弱, 頭暈乏力

治療 : 取手足少陽經爲主, 實證針用瀉法, 虛證宣補, 可兼取足少陽經

取穴 : 聽會, 翳風, 聽宮, 耳門, 百會, 俠溪, 中渚,

隨證 : 肝膽火盛 - 加 太衝, 丘墟,

外感風邪 - 加 外關, 合谷,

腎虛 - 加 腎兪, 足三里, 關元

治法 : 選 3-5穴 隔日 1次 10天 1療程

☞ 秘方 急性耳聾(급성이농) : 四瀆(사독), 天牖穴(천유혈)


6. 辨病取穴(변병취혈) - 舍岩道人針灸要訣

1) 痰厥耳鳴(담궐이명)

處方 : 風池(풍지) 絶骨(절골) 補, 風府(풍부) 啞門(아문) 瀉.

2) 耳聾(이농) : 귀가 먹어 소리가 들리지 않는 症狀

處方 : 腎虛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支溝(지구) 陽輔(양보) 瀉.

3) 耳鳴 : 별안간 兩側(양측) 或偏側(혹편측)에서 淸亮(청량)한 작은 소리가 나는 症

狀(증상).

處方 : 商陽(상양) 通谷(통곡)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 商陽 通谷 補는 膀胱을 補하자 함이고, 太白 太溪 瀉는 腎을 補하고자

하는 處方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腎實症에서 제일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心正方이나 三焦勝方같은 것이 第一 效果가 좋다.

病源(병원) 및 證治槪論(증치개론)

杏坡按 - 耳(이)는 司聽(사청)의 竅(규)로서 머리 양쪽에 외부로 突出(돌출)한 것은

耳輪(이륜, 耳殼(이각))이라 하는데 輭骨質(연골질)의 喇叭形(나팔형)으로

서 不正突起(부정돌기)가 있나니 兜聲(두성)의 用(용)이 되며 안쪽을 耳孔(이공)이

라 하는데 깊이가 約八分(약팔분)으로서 導聲(도성)의 用(용)이 되며 孔口前(공구

전)의 小骨(소골)을 耳眩(이현)이라 한다. 孔內(공내)에는 耳毛(이모)가 있나니 厪埃

(근애, 작은 먼지) 및 小虫(소충)의 竄入(찬입)을 防禦(방어)하기 위함이며 孔底(공

저)에는 卵圓形(난원형)의 薄膜(박막)으로된 鼓膜(고막)이 있나니 彈性(탄성)이 있

어 耳內小骨(이내소골)에 傳聲(전성)하여 聽覺(청각)이 生起(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耳聾(이농)이라 함은 耳(이)는 腎(신)의 竅(규)로서 足少陰經(족소음경)의 所

主(소주)이나 心(심)도 또한 耳(이)에 寄竅(기규)하였으며 十二經脈中(십이경맥중)

에 足少陽(족소양)과 手厥陰(수궐음)을 제외한 十個經脈(십개경맥)은 모두 들어갔

으므로 人体精明(인체정명)의 氣(기)가 多分(다분) 比竅(비규)에 走入(주입)하여 聽

覺(청각) 生起(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一經一絡(일경일락)에 虛, 實(허,실)

혹은 失調(실조)한 것이 있다면 또한 족히 比竅(비규)에 精明(정명)을 어지럽게 하여

或鳴(혹명), 或痒(혹양)으로 聾(롱), 聵(외)에 至(지)하게 된다.

그런데 聾證(롱증)에는 또 虛, 實(허,실)의 異(이)가 있어 年衰体弱(연쇠체약), 精氣

不足(정기부족)으로 基因(기인)한 것은 虛(허)이나 만일 黑瘦健壯(흑수건장)하고도

聾(롱)한 것은 精氣(정기)에 固藏閉塞(고장폐색)의 所致(소치)로서 稟賦(품부)의 有

餘之兆(유여지조)이니 例(예)로 高壽者(고수자)가 많다. 治療(치료)하지 않아도 좋

으니 또 外物(외물)의 所傷(소상), 혹은 大聲所震(대성소진)으로 聽宮(청궁)의 膜(막)

이 破裂(파열)된 것도 있나니 그것도 또한 治療(치료)가 不能(불능)한 것이다. 大抵

脈(대저맥)이 浮(부)하고 盛(성)한 것은 風(풍)이니 踈散(소산)하여야 하며 脈(맥)이

洪(홍)하고 實(실)한 것은 熱(열)이니 踈利(소이)하여야 하며 脈(맥)이 澁(삽)하고 濡

(유)한 것은 虛(허)이니 調養(조양)하는 것이 妥當(타당)하며 邪氣(사기)의 倂退(병

퇴)를 기다려서 다시 通脈(통맥), 調氣(조기), 安腎法(안신법)으로써 善其後(선기후)

를 해야한다.

그리고 耳鳴(이명)으로써 말한다면 腎竅(신규)는 이것이 宗筋(종근)의 所聚(소취)인

지라 精氣(정기)가 調和(조화)하고 腎氣(신기)가 充足(충족)하다면 耳目(이목)이 聰

明(총명)하겠지만 만일 氣血(기혈)을 勞傷(노상)하여 精脫神憊(정탈신비)하면 매양

耳鳴(이명)이 많게 되는데 其鳴(기명)이 혹은 蟬噪(선조)와 같고 혹은 鐘鼓(종고)와

같고, 혹은 水激(수격)과 같으며 똑같지는 않으나 腎虛(신허)한 것으로써 治療(치료)

하여 不效(불효)한 것이라면 平昔(평석)에 飮酒厚味(음주후미)로 痰火(담화)가 上焦

(상초)에 쌓이어서 耳中(이중)에 鬱結(울결)한 까닭이니 마땅히 淸痰降火(청담강화)

하여야 하며 그 虛實(허실)을 分辨(분변)함에 至(지)하여서는 大凡(대범) 暴鳴聲大

(폭명성대)하거나 혹은 손으로 만지면 우는 것이 더욱 甚(심)한 것은 實(실)에 속하

였고, 울수록 소리가 가늘며 손으로 만지면 울지 않거나 혹은 조금 떨리는 것은 虛

(허)에 속하였다. 少壯熱盛(소장열성)한 者(자)는 實(실)이 많고 中年無火(중년무화)

한 者(자)는 虛(허)가 많으니 각각 審證施治(심증시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腎者(신자) 作强之宮(작강지궁), 技巧之出是以(기교지출시

이), 耳者(이자), 腎之外候(신지외후), 北水之一陽(북수지일양), 天一水(천일수), 南

火之二陰(남화지이음), 地二火(지이화), 此水補(차수보), 火瀉(화사), 以寧其本(이녕

기본) 抑官制瀉(억관제사) 以平其末(이평기말)” 이라 하여 上二法(상이법)을 立(입)

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한 男子(남자)가 年四十餘(연사십여)에 筋力(근력)이 壯大(장대)한데 까닭 없이 귀

가 먹어 들리지 않는지라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보), 支溝(지구), 陽輔(양보) 瀉

(사)하였더니 數回(수회)에 病(병)이 낫더라 重病後(중병후)와 耳瘡後餘崇(이창후여

숭)으로 온 耳聾(이롱)과 오랜 耳聾(이롱)도 모주 此(차)로써 治(치)하여 有效(유효)

하였다.

針灸經驗方 許任의 針灸經驗方

1) 耳鳴으로 먼데서 나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症

處方 : 腎兪穴(신수혈)에 灸三十壯(뜸 30장)

2) 귀머거리(耳聾 deafness)

處方 : 우선 百會穴(백회혈)에 침자 후, 合谷(합곡), 腕骨(완골), 中渚(중저), 后谿

(후계), 足三里(족삼리), 折骨(절골), 崑崙穴(곤륜혈)에 針刺(침자) 하는데

모두 오랫동안 留針(류침)한다. 腎兪穴(신수혈)에 灸十四壯(뜸 40장), 혹은

나이 수만큼 뜬다.

3) 消耗性疾病(소모성질병, consumptive disease)으로 몸이 여위고 귀가 잘 들리

지 않는다.

處方 : 腎兪穴(신수혈)에 二十一壯(21장), 心兪穴(심수혈)에 三十壯(30장) 灸 한

다.

7. 이침(耳針)

1) 이명(耳鳴), 이농(耳聾), 청력감퇴(聽力減退)

處方 : 外耳(외이), 腎(신), 內耳(내이).

8. 臨床經驗(임상경험)

52세의 한 中南美女人(중남미여성)이 左側耳鳴(좌측이명) 6개월이 되었는데 오전

에는 耳鳴(이명)이 비교적 微弱(미약)하고, 오후에 심하며, 疲勞(피로) 하면 더욱 심

하고, 귀를 막으면 耳鳴(이명)이 약해지고, 귀를 열면 심해지며, 겸하여 腰痛(요통),

肩臂痛(견비통)이 있고 때로는 頭痛(두통)이 있는 환자이며 46세 때 右側(우측) 乳

房癌(유방암) 除去手術(제거수술)을 받았다.

處方 : 耳鳴(이명) - 虛證(허증)

先刺 : 地五會(지오회),

后刺 : 天窗(천창), 足三里(족삼리), 合谷(합곡), 曲池(곡지), 聽會

(청회), 耳門(이문), 翳風(예풍), 風池(풍지), 完骨(완골).

兼穴 : 外關(외관), 中渚(중저).

治法 : 毫針(호침)으로 右側(우측) 30분 留針(류침) 중간에 捻轉(념전)

結果 : 1回 施術(시술) 耳鳴症(이명증) 消失(소실).


난청 (難聽)

1. 參照文(참조문)

1) 이명-이농(耳聾)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滎), 會宗(회종), 瘈脈(계맥).

手少陽三焦經 : 上關(상관).

足少陽膽經 : 浮白(부백), 頭竅陰(두규음).


청신경 (聽神經)

1. 辨病取穴(변병취혈)

1) 聽神經炎(청신경염) - 手少陽三焦經 : 耳門(이문).

2) 聽神經腫瘍(청신경종양) - ① 手少陽三焦經 : 翳風(예풍,手少陽의 會).

②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4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