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 (遺精) - 활정 (滑精) - 부 ; 양위(陽萎)
참조 : 침구135 양위(陽萎)
유정 (遺精 Involuntary)
遺精(유정)은 夢遺(몽유)와 滑精(활정)으로 나눈다. 꿈속에 유정되는 것은 夢遺(몽유)라
부르고, 꿈을 꾸지 않았는데도 잠자리에서 유정이 되거나 심한자는 맑은 정신에서도 精
液(정액)이 저절로 흘러 나오는 것을 滑精(활정)이라 부르는 것이다. 靑年(청년), 長年(장
년)이 혹시 遺精(유정)하며, 유정 후 아무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사람은 대부분 精滿自溢
(정만자일)의 현상이니 치료할 필요가 없다. 본병은 遺精(유정)이 빈번하고 排精量(배정
량)이 비교적 많은 것을 主症(주증)으로 하고 또 頭暈(두운), 心悸(심계), 疲勞(피로), 腰酸
(요산) 등 증상과 겸하여 나타난다.
神經衰弱(신경쇠약), 前列腺炎(전열선염), 精囊炎(정낭염), 睾丸炎(고환염) 등에서 생기
는 遺精(유정)은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하라!
病因病機(병인병기)
정신과 체력의 과도한 피로와 생각과 망상이 많으면 腎陰(신음)이 소모되어 心火(심화)
가 亢盛(항성)되며 相火(상화)를 움직여 精室(정실)을 요동시키거나 혹은 甘肥辛辣(감비
신랄)한 음식을 즐기며 溫濕生熱(온습생열), 濕熱下注(습열하주), 淫邪發夢(음사발몽),
精室不寧(정실불녕)하는 등 모두 유정을 발생한다.
만약 恣精縱欲(자정종욕), 房室過勞(방실과로) 혹은 夢遺(몽유)가 오래되거나 혹은 手淫
(수음)이 빈번하면 腎氣(신기)가 虛費(허비)된다. 陰(음)이 虛(허)하면 虛火妄動(허화망
동), 精室受擾(정실수요)하고, 陽(양)이 虛(허)하면 封藏失職(봉장실직), 精關不固(정관불
고)하는데 이 모두 滑精(활정)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夢遺(몽유)와 滑精(활정)으로 나누며 遺精(유정)이 빈번하고 排精量(배정량)이 비교
적 많은 것이 主症(주증)이고 頭暈(두운), 心悸(심계), 疲勞(피로), 腰酸(요산)등 증상을
겸한다. 神經衰弱(신경쇠약), 전위선염 精囊炎(정낭염), 睾丸炎(고 환염) 등에서 생기
는 遺精(유정)도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한다.
⑴ 夢遺(몽유)
證狀 : 夢中射精(몽중사정) 하루 밤에 수차 혹은 수일에 한번씩 遺精 兼早泄 (유정
겸조설), 頭暈(두운), 心煩(심번), 少寐(소매), 腰酸(요산), 耳鳴(이명), 尿黃(뇨
황), 舌質紅(설질홍), 脈細數(맥세삭).
原則 : 淸心降火(청심강화), 滋陰澁精(자음삽정).
- 背兪(배수), 任脈(임맥), 足厥陰經穴(족궐음경혈).
處方 : 心兪(심수),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封(중봉).
方義 : ① 心(심)은 君火(군화), 腎(신)은 相火(상화)이다.
② 마음에 생각이 있으면 君火(군화)가 위에서 움직이고 꿈에 性交(성교)를
하면 相火(상화)가 아래에서 應(응)하여 정실을 동요하기에 精液(정액)이
射精(사정)된다.
③ 心兪(심수)를 취하여 淸心寧志(청심녕지)하고,
④ 腎兪(신수)를 취하여 補腎滋陰(보신자음)한다.
⑤ 關元은 足三陰經(족삼음경)과 任脈(임맥)의 會穴(회혈)이며 下焦(하초)의
元氣(원기)를 補攝(보섭)하고, 足厥陰經(족궐음경)의 中封(중봉)과 배합
하면 肝火(간화)를 抑制(억제)하여 夢遺(몽유)를 치료한다.
만약 : ① 少寐(소매)이며 : 加 神門(신문), 厲兌(려태).- 寧心安神(영심안신)하고,
② 頭暈(두운)은 : 加 百會(백회).- 淸熱開竅(청열개규)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 혹은 平補平瀉法(평보평사법)을 사용한다.
關元穴(관원혈)은 針感(침감)이 陰莖(음경)에 到達(도달)해야 한다.
매일 혹은 隔日(격일) 1번 15-30分 留針(류침), 10일을 1료정.
⑵ 滑精(활정)
證狀 : 无夢遺精(무몽유정) 심지어 色(색)만 봐도 遺精(유정)이 된다. 遺精頻繁(유
정빈번)하고, 腰酸冷(요산냉), 面色蒼白(면색창백), 倦怠无力(권태무력), 或
兼(혹겸) 陽萎(양위), 自汗(자한), 短氣(단기), 舌淡苔白(설담태백), 脈細(맥
세) 或細數(혹세삭).
原則 : 補益腎氣(보익신기), 固澁精管(고삽정관).
- 任脈(임맥), 背兪(배수),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
處方 :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志室(지실), 腎兪(신수).
方義 : ① 三陰交(삼음교)는 肝脾腎(간비신) 三經(삼경)이 통과하는 要穴(요혈) 이
고 三陰(삼음)의 虛損(허손)을 補益(보익)하며 虛火(허화)를 淸泄(청설)하
는 作用(작용)으로 滑精(활정)을 주치하고,
② 氣海(기해), 志室(지실), 腎兪(신수)와 배합하면 益氣固精(익기고정)하여
下元(하원)의 虛衰(허쇠)를 主治(주치)한다.
만약 : ① 自汗(자한)하면: 加 陰郄(음극),足三里(족삼리).- 益陰固表(익음고표)하고,
② 短氣(단기) : 加 灸肺兪(구폐수).- 宣肺利氣(선폐이기)한다.
治法 : 針(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며 灸法(구법)을 加(가)한다.
氣海穴 (기해혈)은 針感(침감)이 陰莖(음경)에 到達(도달)해야 하며 三陰交
穴(삼음교혈)은 針感(침감)이 大腿內側(대퇴내측)에 도달하면 효과가 좋다.
隔日(격일) 1번, 15-30分 留針(류침) 10일을 1료정으로 하고, 兼灸(겸구)해
도 좋다.
2)-⑴ 夢精(몽정)
證狀 : 心火內動(심화내동), 睡眠不深(수면불심) 夢(몽)의 紛紜(분운), 陽事易擧(양
사이거), 遺精頻繁(유정빈번), 頭昏神疲(두혼신피), 腰痠耳鳴(요산이명).
原則 : 夢遺(몽유)는 交通心腎(교통심신)을 爲主(위주)로 하고,
取穴 : 心兪(심유), 神門(신문), 內關(내관), 三陰交(삼음교).
⑵ 滑精(활정)
證狀 : 腎氣不足(신기부족), 下元不固(하원불고), 動念則精出(동념칙정출), 腰部酸
冷(요부산냉), 神疲乏力(신피핍력), 日久陽萎(일구양위).
原則 : 滑精(활정)은 補腎固澁(보신고삽)을 爲主(위주)로 한다.
取穴 : 關元(관원), 腎兪(신유).- 中醫 -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大巨(대거).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會), 地機(지기,郄), 음능천(陰陵泉,合).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
수), 白環兪(백환수), 上髎(상료), 膏肓(고황), 志室(지실).
足少陰腎經 : 然谷(연곡,滎), 太溪(태계,輸,原), 橫骨(횡골), 大赫(대혁), 四滿(사만).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經), 曲泉(곡천,合).
任脈 : 會陰(회음), 曲骨(곡골), 中極(중극,足三陰經과 交會, 膀胱의 募穴), 關元(관원,足
三陰經과 交會,小腸의 募穴), 氣海(기해).
督脈 : 腰陽關(요양관), 命門(명문).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前后配穴法 : 關元(관원), 命門(명문).
2) 本經配穴法 : 復溜(복류), 照海(조해), 太溪(태계), 然谷(연곡).
3) 足陽明胃經 : 大巨(대거), 關元(관원), 急脈(급맥).
足太陽膀胱經 : ① 心兪(심수), 白環兪(백환수), 膏肓(고황), 腎兪(신수).
②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膀胱兪(방광수), 三陰交.
③ 膀胱兪,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陰陵泉, 三陰交.
④ 白環兪(백환수),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三陰交.
⑤ 上髎(상료),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三陰交.
⑥ 志室(지실), 腎兪(신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⑦ 至陰(지음), 腎兪(신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任脈 : ① 會陰(회음), 中極(중극), 關元(관원), 腎兪(신수).
② 曲骨(곡골), 關元(관원), 歸來(귀래).
③ 中極(중극), 橫骨(횡골), 陰陵泉(음능천).
④ 關元(관원), 腎兪(신수),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⑤ 關元透曲骨(관원투곡골),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⑥ 氣海(기해), 三陰交(삼음교).- 百症賦
督脈 : ① 腰陽關(요양관), 關元(관원), 次髎(차료), 三陰交(삼음교).
② 命門(명문), 關元(관원), 上髎(상료), 次髎(차료).
4) 處方 : ①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志室(지실).
② 八髎(팔료), 內關(내관),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遺精(유정)과 白濁(백탁) : 三陰交穴(삼음교혈), 氣海穴(기해혈). - 百症賦
2) 遺精(유정), 白帶下症(백대하증) : 心兪穴(심유혈) - 勝玉歌
3) 遺精(유정)으로 白濁(백탁)이 나오고, 소변을 자주 본다(腎虛).
處方 : 先刺 - 照海穴(조해혈),
后刺 - 關元(관원), 白環兪(백환수), 太谿(태계), 三陰交穴(삼음교혈)에 針刺(침
자)한다.- 西江月
4) 遺精 : 虛勞(허로)에 遺精(유정)을 참조
處方 : 復溜(복류) 經渠(경거)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舍岩
5) 소모성질병(消耗性疾病)으로 성행위를 하지 않았는데도 무의식 중에 정액이 저절로
나오며 늘 노곤해 하는 증상 “虛勞百損 失精勞症”
處方 : 견정(肩貞) 대추(大椎) 고황수(膏肓兪) 간수(肝兪) 신수(腎兪) 비수(脾兪) 족삼
리(足三里) 기해혈(氣海穴).-經驗方
6) 遺精(유정)을 성교(性交) 또는 특별한 자극에 의하지 않고 사정(射精 ejaculation)하
는 것을 지칭한다. 수면중에 욕정적인 꿈에 의하여 사정하는 것을 몽정(夢精 pollu-
tion)이라 한다. 건강한 독신자에게 한 달에 한 번씩오는 사정은 생리적인 유정으로
병적이라 하지 않는다. 원인으로서는 정신적 과로, neursthenia, 방사과도, 수음(手
淫 masturbation), 중절성교, 후부뇨도염, 만성전립선염, 직장질환(直腸疾患), 척수
질환 등을 들수 있다.
治療 : 유정(遺精 Involuntary), 음위(陰痿 Impotence) 그 어느 것이나 특수한 경우
(기질 저질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성적 신경쇠약에서 유래되는 것으로 침
구료법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主治經과 主治穴의 선정은 절경(切經)에 따
라 결정할 일이지만 신(腎) 간(肝) 비(脾)를 보(補)하고 열(熱)의 상충(上冲)을
제거하는 데 치료목표를 세운다.- 現代針灸 -
4. 피부침 (皮膚針)
處方 : 요추(腰椎) 저추(骶椎) 및 복부 정중선, 관원혈(關元穴) 등을 중점으로 두드리며 잠
이 잘 오지 않으면 삼음교혈(三陰交穴)과 배합한다.- 中醫 -
5. 이침(耳針)
耳穴 : 腎(신), 神門(신문), 內分泌(내분비), 皮質下(피질하).
활정 (滑精)
症狀 : 젊은 사람이 양기(陽氣)와 음정(陰精)이 다 부족하여 몸이 여위고 얼굴이 누래지며
식욕이 없고 기침하며 성행위(性行爲)를 하지 않았는데도 무의식중에 정액이 저
절로 나오고 조열(潮熱 tidal fever) 도한(盜汗 night sweat)이 있으며 가슴과 등이
아픈 증과 오로칠상(五勞七傷)등에 뜸을 뜨면 좋 다
處方 : 환문혈(患門穴) - 밀랍을 먹인 끈이나 짚의 한쪽 끝을 엄지발가락 끝에 내고 발뒤
금치를 지나 위로 올라와 위중혈(委中穴)에서 끊는다. 남자는 왼발, 여자는 오른발
을 잰다. 환자로 하여금 머리털을 풀어 양쪽으로 똑같이 가른 뒤 앞서 끊어 놓은
끈을 한쪽을 코끝에 대고 위로 올려 머리 한가운데를 지나 등골뼈로 내려가 그 끝
이 닿는 곳에 점을찍어 표시한다.(이곳은 혈(穴)자리가 아니다)
그리고 따로 끈이나 짚 한 가닥으로 환자를 자연스럽게 입을 벌리게 하고 양쪽 입
아귀를 재어 끊는다. 이것을 반으로 접어 한가운데를 표시한 중점을 등에 찍은 점
위에 맞추어 가로로 놓고 좌우 끝이 닿는 곳에 점을 찍어 표시한 뒤에 이곳에 환자
의 나이 수만큼 뜸을 뜬 뒤에 1장을 더 뜬다. 어떤 사람은 100장을 뜬다고 하였다.
經驗方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