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구148 乳房疾患(유방질환)

Aktualisiert: 9. Apr. 2022


유두 (乳頭) - 유방암 (乳房癌) - 유방염 (乳房炎) - 유방종괴(乳房腫塊) - 유방통 (乳房痛) - 유방창통 (乳房脹痛) - 유벽 (乳癖) - 유선염 (乳線炎) - 유소 (乳少 缺乳) - 유옹 (乳癰) - 유폐 (乳閉)



유두 (乳頭)

1. 辨病取穴(변병취혈)

1) 乳頭炎(유두염)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小腸의 會).

2) 젖꼭지가 붓고 아픈 것과 어린아이의 젖병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中府(중부), 膻中(전중), 少澤(소택), 大敦穴(대돈혈).- 針灸大成 西江月

3) 젖꼭지에 상처가 있는 것을 妬乳(투유)라 한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少澤(소택), 肩井(견정), 膻中穴(전중혈)에 針刺한다.- 針灸大成 西江月


유방암 (乳房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乳根(유근).

足太陰脾經 : 大包(대포).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神門(신문, 輸,原), 少冲(소충,井).

手太陽小腸經 : 臑兪(노유, 手太陽,陽交의 會).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小腸의 會).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手足少陽,足陽明,陽維의 會).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募,足太陰 厥陰 陰維의 會).

任脈 : 膻中(전중, 足太陰,少陰,手太陽,少陽의 會).

寄穴 腋窩部 : 消壞(소괴).

下肢部 : 通氣穴(통기혈).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乳房癌(유방암) 出血(출혈) -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郄).


유방염 (乳房炎)

1. 參照文(참조문)

1) 유선염 (乳腺炎)

2) 유옹 (乳癰)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魚際(어제).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下廉(하렴).

足少陽膽經 : 光明(광명), 足臨泣(족림읍).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天宗(천종), 膻中(전중).

足少陽膽經 : ① 肩井(견정), 乳根(유근), 足三里(족삼리).

② 足臨泣(족림읍), 乳根(유근), 肩井(견정).


유방종괴(乳房腫塊)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任脈 : 石門(석문,三焦의 募), 膻中(전중,足太陰,足少陰,手太陽,手少陽과 交會).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乳房腫塊(유방종괴) - 寄穴(기혈)

腋窩部(액와부) : 消壞(소괴).


유방통 (乳房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陰腎經 : 神封(신봉), 靈墟(령허).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乳房痛 : 乳根(유근), 肓門(황문). 3. 針灸大成

2) 양쪽 젖이 氣가 찌르는 것 같은 痛症 : 太淵穴(태연혈) - 靈光賦

3) 乳房腫痛(유방종통) : 少澤穴(소택혈) 三分針刺 - 玉龍歌

4) 乳房刺痛(유방자통) : 太淵(태연), 列缺(열결). - 雜病穴法歌

5) 乳房刺痛(유방자통) 連脇痛時(연협통시) : 加 陽陵泉穴(양능천혈).

6) 양쪽 乳房(유방)이 빨갛게 붓고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少澤(소택), 大陵(대능), 膻中(전중).- 西江月의 任脈(임맥)


유방창통 (乳房脹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光明(광명).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陽膽經 : 光明(광명), 足臨泣(족림읍).

3. 辨病取穴(변병취혈) 針灸大成

1) 양쪽 乳房이 빨갛게 붓고 아픈 것 - 西江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少澤(소택), 大陵(대능), 膻中穴(전중혈)에 針刺한다.

2) 젖꼭지가 붓고 아픈 것과 어린아이의 젖병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中府(중부), 膻中(전중), 少澤(소택), 大戟(대극).西江月


유벽 (乳癖)

본병은 부녀의 乳房(유방) 부위에 나타나는 慢性腫塊(만성종괴)로써 中, 老年(중,노년)의

부녀에게 많이 발생한다. 대부분 憂鬱(우울)하거나, 怒(노)하거나, 思慮(사려)가 지나치게

많거나 혹은 房室不節(방실불절)로 肝(간)과 腎(신)이 손상되어 발생한다. 證狀 : 한쪽, 혹

운 양쪽 유방에 여러 개의 大小(대소) 圓形(원형)의 結節(결절) 발생하는데 표면은 光滑(광

활)하고, 일반적으로 아프지 않으며, 移動性(이동성)이 있고, 小數(소수)의 환자 중에는 輕

微(경미)한 脹痛(창통)이 있고 月經前(월경전)에 대부분 증상이 많아지고, 月經后(월경후)

에는 증상이 减少(감소)된다. 또 情緖(정서)에 따라 커지고 작아진다.

治療 : 足陽明經穴(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⑴ 主穴 : 屋翳(옥예), 膻中(전중), 足三里(족삼리), 天宗(천종), 肩井(견정), 乳根穴(유

근혈).

⑵ 配穴 : ① 肝鬱(간울) : 肝兪(간수), 太冲(태충). - 疏肝(소간)하고

② 血虛(혈허) : 血海(혈해), 三陰交(삼음교). - 健脾養血(건비양혈)한다.

治法 : 상술한 穴(혈)은 모두 양측을 취하며 20~30분 留針(류침)하고, 류침하는 동안에

2~3번 運針(운침) 시킨다. 肝鬱(간울) 이면 瀉法(사법)을 사용하고, 血虛(혈허)이

면 補法(보법)을 사용한다. 8번을 한 료정으로 하며 2~3일 휴식한 뒤에 새로이 료

정을 계속한다. -中醫

1. 參照文(참조문)

1) 유옹 (乳癰)

2) 유방염 (乳房炎)

3) 유선염 (乳腺炎)

유선염 (乳線炎)

1. 參照文(참조문)

1) 乳房炎(유방염)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中府(중부,募), 尺澤(척택,合).

手陽明大腸經 : 下廉(하렴), 肩髃(견우,手陽明,陽交脈의 會).

足陽明胃經 :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根(유근), 梁丘(량구), 足三里, 下巨虛.

足太陰脾經 : 天溪(천계).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前谷(전곡,滎), 臑兪(노유), 天宗(천종).

足太陽膀胱經 : 督兪(독수), 肓門(황문).

足少陰腎經 : 太谿(태계,輸,原), 神封(신봉), 靈墟(령허).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郄).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丘墟(구허,原),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帶脈), 地五

會(지오회).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輸,原).

任脈 : 石門(석문,三焦의 募穴), 膻中(전중,足太陰,足少陰,手太陽,手少陽과 交會).

寄穴 腋窩部 : 消壞(소괴).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下廉(하렴), 少澤(소택), 膻中(전중), 魚際(어제), 少商(소상).

足陽明胃經 : ① 庫房(고방), 乳根(유근), 肩井(견정), 曲池(곡지).

② 梁丘(량구), 地五會(지오회).

手太陽小腸經 : ① 少澤(소택), 合谷(합곡), 膻中(전중).

② 臑兪(노유), 膻中(전중).

足少陰腎經 : 神封(신봉), 𥊹窗(응창).

足少陽膽經 : ① 肩井(견정), 天宗(천종), 少澤(소택).

② 地五會(지오회), 膻中(전중), 乳根(유근), 足三里, 足臨泣.

任脈 : 膻中(전중), 合谷(합곡), 曲池(곡지).

2) 處方 : ① 足三里 肩井 梁丘 期門

② 膻中 少澤 肩井 合谷

4. 辨病取穴(변병취혈) 針灸經驗方 許任

1) 유옹(乳癰) : 급성유선염(急性乳腺炎)

處方 : 족림읍(足臨泣) 신문(神門) 태계(太溪) 족삼리(足三里) 내관(內關) 격유(膈

兪), 구기죽마혈(灸騎竹馬穴)에 뜸 7장을 뜬다.

5. 耳針(이침)

이혈 : 乳腺(유선), 內分泌(내분비), 腎上腺(신상선), 胸(흉).


유소 (乳少 缺乳) : 유즙분비부족(乳汁分泌不足)

산후에 乳汁(유즙)의 分泌(분비)가 아주 적어 嬰兒(영아)의 需要(수요)에 만족하지 못한

것을 乳少(유소)라 한다. 또는 缺乳(결유)라고도 한다. 본증은 解産后(해산후에 나타날

뿐만 아니라 보유기에도 나타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乳汁(유즙)은 氣血所化(기혈소화)인데 만약 脾胃(비위)가 虛弱(허약)하여 化源不足(화원

부족)하거나 解産(해산)시에 과다한 失血(실혈)로 氣血(기혈)이 損傷(손상), 消耗(소모)되

면 모두 乳汁(유즙) 形成(형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혹은 産后(산후)에 情志不調(정지불

조)하면 氣機不暢(기기불창)하여 肝失調達(간실조달)하게 됨으로 r經脈(경맥)이 鬱滯(울

체)되고 氣血(기혈)이 乳汁(유즙)으로 변화되지 못하거나 변한다 하여도 運行(운행)이 不

暢(불창)하는 등 모두 乳少(유소)를 일으킨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氣血虛弱(기혈허약)

證狀 : 乳汁(유즙)이 통하지 않거나 혹은 아주 적고 유방에 脹痛感(창통감)이 없으며

면색이 창백하고, 입술과 손톱에 색이 없으며, 정신이 倦怠(권 태)롭고, 食量(식

량)이 적고 泄瀉(설사)를 한다. 舌淡苔无(설담태무), 脈 虛細(맥허세)하다.

治則 : 益氣補血(익기보혈), 通乳(통유).

- 任脈(임맥),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膻中(전중), 乳根(유근).

方義 : ①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는 健運脾胃(건운비위), 益氣補血(익기보혈)하고

유방은 陽明經(양명경)이 지나는 곳이므로 乳根穴(유근혈)을 취하여 陽明經

氣(양명경기)를 疏通(소통)해서 催乳(최유)하고

② 膻中穴(전중혈)은 調氣(조기)함으로 催乳(최유)의 적용을 증강시킨다.

만약 : ① 食量(식량)이 적고 설사하면 : 加 中脘(중완), 天樞(천추). - 健脾止瀉(건비지

사)한다.

② 과다한 失血(실혈) : 肝兪(간수), 膈兪(격수).- 補血(보혈) 시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한다. 침자해서 得氣(득기)한 후에 輕 (경)하

게 1~2번 捻轉(념전)한 후 針(침)을 빼거나 혹은 15분 정도 留針(류침)시킨다.

매일 1번씩 6번을 한 療程(료정)으로 한다. 혹은 구법을 사용한다.

2) 肝鬱氣滯(간울기체)

證狀 : 産后(산후)에 乳汁(유즙)이 통하지 않으며 유방에 팽창감이 생기고 정신이 우

울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옆구리가 팽창하며 胃脘脹滿(위완창만), 식욕이 감퇴

된다. 설태는 엷고 맥은 弦(현)하다.

治則 : 疏肝解鬱(소간해울), 通絡(통락).

- 手足厥陰經穴(수족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內關(내관), 太冲(태충), 膻中(전중), 乳根(유근), 少澤(소택).

方義 : ① 內關(내관), 太冲(태충)은 厥陰經(궐음경)에 속하며 疏肝解鬱(소간해울), 寬

胸理氣(관흉리기)하는 작용이 있고

② 膻中(전중), 乳根(유근)은 調氣(조기), 通絡(통락), 催乳(최유)작용을 하며

③ 少澤(소택)은 通乳(통유)의 有效穴(유효혈)이다.

이상의 혈을 모두 배합하여 理氣通乳(리기통유)하는 효과를 얻는다.

만약 : ① 가슴, 옆구리에 팽창감이 생기면 : 加 期門(기문).- 疏肝理氣(소간리기)하고

② 胃脘脹滿(위완창만)은 : 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健脾消脹(건비소창)

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거나 平補平瀉法(평보평사법)을 사용한다.

15분간 留針(류침)하며, 하루에 한 번씩 침자하고 6번을 한 療 程(료정)으로 한

다.-中醫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足陽明胃經 : 乳根(유근).

足太陰脾經 : 天溪(천계).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前谷(전곡,滎).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手少陽三焦經 : 支泃(지구,經).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任脈 : 膻中(전중,足太陰,足少陰,手太陽,手少陽과 交會).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乳根(유근), 膻中(전중), 合谷(합곡), 少澤(소택).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 合谷(합곡), 膻中(전중).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膻中(전중), 乳根(유근), 少澤(소택).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乳根(유근), 足三里(족삼리).

任脈 : ① 膻中(전중), 少澤(소택), 液門(액문).

② 膻中(전중), 乳根(유근), 足三里(족삼리), 少澤(소택).

③ 膻中(전중), 少澤(소택), 乳根(유근).- 針灸大成

2) 處方 : ① 乳根(유근), 膻中(전중), 少澤(소택).

② 少澤(소택), 足三里(족삼리), 脾兪(비수).

③ 乳根(유근), 期門(기문), 肝兪(간수)

3. 耳針(이침)

耳穴 : 耳門(이문), 乳腺(유선), 內分泌(내분비), 胸(흉), 腎上腺(신상선).


유옹 (乳癰)

乳癰(유옹)은 乳房部位(유방부위)의 急性化膿性疾病(급성화농성질병)의 통칭이다.

妊娠期(임신기)에 발생되면 內吹乳癰(내취유옹)이라 부르고, 哺育期(포육기)에 발생되면

外吹乳癰(외취유옹)이라 부른다. 이와 같이 乳癰疾患(유옹질환)은 姙産婦(임산부)에게

발생하는 것으로써 특히 初産婦(초산부)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보통산후 3~4 주일에 발

생된다.

西醫學(서의학)의 急性化膿性乳腺炎(급성화농성유선염)은 본절의 論治(론치)를 참고하

라!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思慮(사려)가 과도하고, 쉽게 잘 노여워하여(怒) 肝氣(간

기)가 鬱結(울결)되거나, 厚味(후미)한 음식을 選好(선호)하고 과식함으로써 胃經(위경)에

熱(열)이 쌓였거나, 젖꼭지 피부가 파열되어 外邪火毒(외사화독)이 유방에 침입되면 脈

絡(맥락)이 阻塞(조색)되어 배유불창 하므로 火毒(화독)과 積乳(적유)가 서로 엉켜서 乳癰

(유옹)이 형성되는 것이다.

辨證論治(변증론치)

乳癰(유옹)은 유방이 벌겋게 붓고 아픈 것이 주요 증상이다. 처음에는 유방이 딴딴 하며

붓고 아프며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동시에 전신이 불편하며 寒熱往來(한열왕래)한다. 만약

유방이 더욱 심하게 붓고 아프면 이는 化膿(화농)될 증상이다. 만약 딴딴하게 부은 중간

이 점차로 연하여 지면 이는 화농이 숙성된 것으로 고름이 通暢(통창)하게 나오면 부었던

것이 내리고 止痛(지통)하며 곧 완쾌된다.

1) 胃熱(위열)

證狀 : 口渴(구갈)로 물을 마시거나, 惡心(오심), 嘔吐(구토), 口臭(구취), 便秘症(변비

증)과 겸한다. 舌苔黃膩(설태황니)하고 脈弦數(맥현삭)하다.

治則 : 淸熱散結(청열산결).

- 手足陽明經穴(수족양명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膺窗(응창), 下巨虛(하거허), 豊隆(풍륭), 溫溜(온유).

方義 : 유방은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분야이며 乳癰(유옹)은 대부분 陽明熱毒(양

명열독)이 壅滯(옹체)되어 氣血(기혈)의 阻遏(조알)로 발생된다.

① 膺窗(응창) - 陽明經氣(양명경기)를 통하게 하고 下

② 巨虛(하거허) - 胃熱(위열)을 瀉(사)하고

③ 豊隆(풍륭) - 족양명의 絡穴(락혈)이며 降痰化濁(강담화탁)하고

④ 溫溜(온유) - 수양명의 郄穴(극혈)이며 邪熱(사열)을 제거하고 胃腸(위장)을

調理(조리)하여 消腫散結(소종산결)한다.

만약 : ① 젖이 불으면 : 加 膻中(전중), 少澤(소택).- 寬中通乳(관중통유)하고

② 頭痛(두통), 發熱(발열) : 加 合谷(합곡), 風池(풍지).- 淸熱止痛(청열지통).

治法 : 針(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하며 30~60분 留針(류침) 시키고, 중간에 捻轉

(념전), 提揷(제삽)으로 3~5분간 강 자극을 준다. 혹은 먼저 침자하고 후에 灸

法(구법)을 사용한다. 매일 한번 시술하는데 만일 병이 중한 환자는 매일 2번씩

6~7일을 한 료정으로 한다.

2) 氣鬱(기울)

證狀 : 가슴이 답답하며, 옆구리가 아프고, 구역질이 나며, 식욕이 없는 증상을 겸한

다. 舌苔薄(설태박)하고 脈弦(맥현)하다.

治則 : 疏肝解鬱(소간해울). - 手足厥陰經穴(수족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期門(기문), 行間(행간), 內關(내관), 天池(천지), 肩井(견정).

方義 : ① 期門(기문)은 肝(간)의 募穴(모혈)이며 足厥陰(족궐음), 太陰(태음), 陰維(음

유)의 會(회)이며, 疏肝理氣(소간리기)하고 化瘀(화어) 작용을 한다.

② 行間(행간), 內關(내관)을 배합하면 厥陰(궐음)의 壅滯(옹체)를 宣泄(선설)시

키며, 寬胸理氣(관흉리기)하고

③ 天池(천지)는 유방과 가깝고 厥陰(궐음)의 經氣(경기)를 疏通(소통)하여 氣

血(기혈)을 통하게 하며

④ 肩井(견정)은 乳癰(유옹)을 치료하는 經驗穴(경험혈)이며,

足少陽膽經(족소양담경),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足陽明胃經(족양명

위경)과 陰維脈(음유맥)의 交會穴(교회혈)로써 이와 交會(교회)되는 모든 경

맥은 무두 가슴, 유방부위를 순행하기 때문에 이 穴(혈)에 침자 하면 모든 經

(경)에 氣(기)를 조절소통하여 淸熱散結(청열산결), 消腫止痛(소종지통)의

작용을 한다.

이외에 또 乳根(유근), 天癸(천계), 梁丘(량구), 大陵(대능), 足臨泣(족림읍) 등

혈을 선택하도 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中醫

1. 參照文(참조문)

1) 유방염 (乳房炎)

2) 유선염 (乳腺炎)

3) 유벽 (乳癖)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젖앓이(乳癰) : 肩井穴(견정혈).- 針灸大成解釋 百症賦 -


유폐 (乳閉) : 유즙불하(乳汁不下)

1. 參照文(참조문)

1) 유소 (乳少)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

3. 辨病取穴(변병취혈) 針灸經驗方 許任

1) 무유즙(无乳汁) : 산모(産母)의 젖이 끊혀 나오지 않는 것

處方 : 전중(膻中)에 뜸을 7~49장 뜨고 침을 놓아서는 안 된다.

소택(少澤)을 보(補) 한다.

2) 乳汁不足(유즙부족)

處方 :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小腸의 會)


회유 (回乳)

1. 産后(산후)에 哺乳(포유)하지 않을 경우에 針灸(침구)로 乳汁(유즙)이 나오지 않도 록 없어

지게 하는 것을 回乳(회유)라 한다.-中醫

處方 : 足臨泣(족임읍), 光明(광명).

治法 : 針刺(침자) 후에 艾蓧灸(애조구)를 10분간 사용한다. 하루에 한번씩 3~5번

이면 回乳(회유)된다.

2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內分泌(내분비), 營養 障碍(영양장애) 및 內臟症狀(내장증상)이 나타나며 精神症狀(정신증상)이 特異(특이) 하게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흉민통 (胸悶痛) - 흉배통 (胸背痛) - 흉배통철심 (胸背痛徹心) - 흉복부질병 (胸腹部疾病) - 흉복수창만 (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