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뇨 (遺尿) - 뇨실금 (尿失禁)
침구 40 참고
유뇨 (遺尿) - 小兒遺尿(소아유뇨)
遺尿(유뇨)는 3 세이상의 소아가 수면중에 經常的(경상적)으로 소변이 자기도 모르게 흘
러나오는데 깨어난후에야 비로써 알게되는 일종의 병증이다. 病因病機(병인병기) 腎主
閉藏(신주폐장), 司氣化(사기화)이며, 膀胱(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공능이 있
다. 만약 신기가 부족하고 下元(하원)이 不固(불고)하면 방광의 約束无權(약속무권)으로
유뇨가 발생한다. 肺(폐)는 일신의 氣(기)를 主宰(주재)하며 通調水道(통조수도), 下輸膀
胱(하수방광)의 공능이 있고 중기를 主宰(주재)하며 水谷(수곡)을 運化(운화)하여 制水(제
수)하는 작용이 있다. 만약 脾肺氣虛(비폐기허)하면 上虛(상허)로 아래를 制約(제약)하지
못하니 방광이 約束无力(약속무력)하여 遺尿(유뇨)가 발생된다.
1) 腎陽不足(신양부족)
症狀 : 睡眠(수면) 중에 오줌을 싸는데(遺尿), 하루 밤에 1~2번 혹은 여러 번(多發)싼
다. 面色蒼白(면색창백), 智鈍(지둔), 腰膝痠軟(요슬산연), 尿頻淸長(뇨빈청장)
甚則(심칙), 四肢冷(사지냉), 惡寒(오한), 脈沉遲无力(맥침지무력).
治則 : 溫補腎陽(온보신양).
- 任脈(임맥) 督脈穴(독맥혈) 爲主 - 毫針(호침) 補法(보법) 兼灸(겸구) 10~20 分
留針(류침).
處方 : 關元(관원), 中極(중극), 腎兪(신수), 膀胱兪(방광수), 太谿(태계).
方義 : 關元(관원), 中極(중극), 太谿(태계)는 腎氣(신기)를 補益(보익)하고, 腎 (신)과 膀
胱(방광)은 表里(표리)관계이기 때문에 膀胱兪(방광수)를 취하여 中極(중극)과
배합하면 兪募相配(수모상배)가 된다. 腎氣(신기)가 충실하면 방광의 約束(약속)
이 有力(유력)하다.
만일 - ① 沉睡(침수) : 加 百會(백회), 神門(신문) - 補氣調神(보기조신)
② 遺尿頻繁(유뇨빈번) :
加灸 大敦穴(대돈혈). 大敦(대돈)은 肝經(간경)의 井穴(정혈)이며 肝經(간경)
은 陰器(음기)를 에워싸고 돌아 小腹(소복)을 通(통)하기 때문에 뜸을 뜨
면 陰器(음기)를 溫通(온통)하므로 遺尿(유뇨)가 치료된다.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 兼可灸(겸가구). 10~20분간 留針(류침)하며, 1~2일에 한
번씩 침자하고 6번을 한 료정으로 한다.
2) 肺脾氣虛(폐비기허)
症狀 : 신체가 허약한 사람에게 많이 발생된다. 睡眠(수면)중에 遺尿(유뇨)하는데 소변
량은 적으나 頻煩(빈번)하고 面色蒼白(면색창백)하며, 精神倦怠(정신권태)하고,
四肢无力(사지무력), 食欲减退(식욕감퇴), 便溏(변당), 舌質淡(설질담), 脈緩(맥
완), 或沉細(혹침세)하다.
治則 : 補益肺脾(보익폐비).
- 任脈(임맥), 手足太陰(수족태음), 足陽明經穴(족양명경혈)을 爲主(위주)로 選穴
(선혈)하고 毫針(호침) 補法(보법) 兼灸(겸구).
處方 : 氣海(기해), 太淵(태연),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方義 : 氣海(기해)는 任脈(임맥)에 속하며 下焦(하초)를 調補(조보)하고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는 中氣(중기)를 補益(보익)하며 太淵(태연)은 肺氣(폐기)를 補益
(보익)한다.
이상의 혈을 배합하면 脾氣(비기)는 上升(상승)하고, 肺氣(폐기)는 下降(하강)되
어 膀胱(방광)을 制約(제약)할 수 있으므로 遺尿(유뇨)가 정지된다.
만약 - ① 便溏(변당) : 加 脾兪(비수), 腎兪(신수) - 健脾溫腎(건비온신).
② 小便頻數(소변빈삭) : 加 百會(백회), 次髎(차료) - 補氣(보기).- 中醫 -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
1. 참조문(參照文)
1) 뇨실금 (尿失禁)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太乙(태을).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箕門(기문).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滎), 通里(통리,絡).
足太陽膀胱經 :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大腸兪(대장수), 關元兪(관원수), 小腸兪
(소장수), 膀胱兪(방광수).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橫骨(횡골).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井), 陰包(음포), 足五里(족오리).
任脈 : 曲骨(곡골), 中極(중극,足三陰經과 交會, 膀胱의 募穴), 關元(관원,足三陰經과 交
會,小腸의 募穴), 氣海(기해).
督脈 : 命門(명문), 태단(兌端).
2) 關門(관문), 中府(중부), 神門(신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① 復溜(복류), 照海(조해), 太溪(태계), 然谷(연곡).
② 膀胱兪(방광수), 腎兪(신수), 氣海兪(기해수), 關元兪(관원수).
2) 足陽明胃經 : 關門(관문), 中腑(중부), 神門(신문).
足太陽膀胱經 : 小腸兪(소장수), 腎兪(신수), 關元(관원), 中極(중극), 三陰交(삼음교).
足少陰腎經 : 橫骨(횡골), 中極(중극), 三陰交(삼음교).
任脈 : ① 中極(중극), 陰陵泉(음능천), 三陰交(삼음교).
② 關元(관원), 腎兪(신수), 三陰交(삼음교), 足三里(족삼리).
③ 石門(석문), 三焦兪(삼초수),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督脈 : 命門(명문), 百會(백회),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中髎(중료).
3) 處方 : ① 腎兪(신수), 膀胱兪(방광수), 三陰交(삼음교).
② 三焦兪(삼초수), 足三里(족삼리), 氣海(기해).
③ 關元(관원), 命門(명문), 足三里(족삼리).
④ 關元(관원), 太谿(태계), 三陰交(삼음교).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유뇨증(遺尿症 enuresis)
處方 : 곡골(曲骨)에 뜸을 49장 뜬다.- 針灸經驗方
2) 유뇨증(遺尿症)
處方 : 기해(氣海)에 100장, 대돈(大敦)에 3장의 뜸을 뜬다.
5. 피부침 (皮膚針)
處方 : 요추(腰椎) 저추(骶椎) 양측을 중점으로 두드리며,
성인(成人)은 기해(氣海) 대혁혈(大赫穴),
소아(小兒)는 삼음교혈(三陰交穴)과 배합하여 두드린다.- 中醫-
6. 이침(耳針)
耳穴 : 尿道(뇨도), 緣中(연중, 腦点), 腎(신), 膀胱(방광).
뇨실금 (尿失禁) : 뇨루(尿漏)
1. 參照文(참조문)
1) 대소변실금 (大小便失禁)
2) 이변병 (二便病)
3) 방광병 (膀胱病)중 膀胱虛寒(방광허한)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別絡).
足太陰脾經 : 陰陵泉(음능천,合), 箕門(기문).
足太陽膀胱經 : 志室(지실).
足厥陰肝經 : 陰包(음포).
督脈 : 腰兪(요수).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① 委陽(위양), 志室(지실), 中髎(중료).
② 肓門(황문), 腎輸(신수), 關元(관원), 次髎(차료), 三陰交.
足少陽膽經 : 陽陵泉(양능천)에 施灸(시구)한다.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소변이 조금씩 똑똑 떨어지면서 잘 통하지 않는 것
處方 : 선자 - 照海穴(조해혈),
후자 - 陰陵泉(음능천), 三陰交(삼음교), 關冲(관충), 合谷穴(합곡혈)에 針刺(침
자).- 西江月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