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경병 (足陽明胃經病辨證處方) - 위경련 (胃痙攣) - 위병 (胃病) - 위병변증취혈 (胃病辨證取穴) - 위복부동통 (胃腹部疼痛) - 위산과다 (胃酸過多) - 위산부족 (胃酸不足) - 위신경관능증 (胃神經官能症) - 위암 (胃癌) - 위열 (胃熱) - 위염 (胃炎) - 위완부창만 (胃脘部脹滿) - 위완통 (胃脘痛) - 위창만 (胃脹滿) - 위출혈 (胃出血) - 위통 (胃痛) - 위하수 (胃下垂) - 위확장 (胃擴張) - 위한창 (胃寒脹) - 위장병 (胃腸病) - 위장염 (胃腸炎).
침구32 참조 - 십이지장궤양 (十二指腸潰瘍) - 口腔粘膜潰瘍(구강점막궤양)
위경병 (足陽明胃經病辨證處方)
風寒濕痺(풍한습비), 胃熱隨經上逆(위열수경상역).
1 風寒濕痹(풍한습비)
病因 : 風寒濕邪(풍한습사) 侵襲經脈(침습경맥)
證候 : 膝腫痛(슬종통), 乳房痛(유방통), 缺盆痛(결분통), 腹痛(복통) 或大腿前(혹대퇴전)
臀部外側足背痛(둔부외측족배통), 中趾不遂(중지불수) 혹 半身不遂(반신불수),
혹 下萎縮(하지근육위축), 痲痹(마비), 舌苔白(설태백) 脈沉遲(맥침지).
治法 : 溫通經脈(온통경맥).
處方 : 1) 足三里(족삼리), 內庭(내정), 冲陽(충양), 解谿(해계), 曲池(곡지).
針法 : 瀉法(사법) 혹 針灸結合(침구결합).
2) 梁丘(량구), 足三里(족삼리), 豊隆(풍륭), 解谿(해계), 陽谿(양계), 曲池(곡지).
針法 : 溫針法(온침법).
2 胃熱隨經上逆(위열수경상역)
病理 : 胃部積熱(위부적열), 隨經上逆(수경상역)
證候 : 口脣生瘡(구순생창), 口臭(구취), 頸部腫大(경부종대), 咽喉疼痛(인후동통), 齒痛
(치통), 齒齦腫大(치은종대), 流涕(류체), 衄血(뉵혈).
西醫 : 急性口腔炎(급성구강염), 咽喉炎(인후염), 齒周炎(치주염), 鼻炎(비염).
治法 : 淸火降逆(청화강역).
處方 : 迎香(영향), 地倉(지창), 承漿(승장), 三間(삼간), 合谷(합곡), 溫溜(온유), 曲池(곡
지), 內庭(내정), 合谷(합곡).
針法 : 瀉法(사법).
위경련 (胃痙攣)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足太陰脾經 : 大都(대도,滎), 地機(지기,郄).
足太陽膀胱經 : 胃倉(위창), 意舍(의사,特効穴).
足少陰腎經 : 肓兪(황수), 幽門(유문).
任脈 : 上脘(상완,手太陽經과 交會), 下脘(하완,任脈,足太陽의 會), 中脘(중완,手太陽,
少陽, 足陽明,任脈의 會), 巨闕(거궐,心의 募).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陰脾經 : 腹結(복결), 內關(내관).
위궤양 (胃潰瘍)
1. 참조문(參照文)
1) 궤양병 (潰瘍病)을 參照하고, 兼하여 痛證(極痛證)을 參照
2) 침구 32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不容(불용), 梁門(양문), 足三里(족삼리,合,胃의 下合穴).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任脈 : 中脘(중완,手太陽,少陽,足陽明,任脈의 會), 巨闕(거궐,心의 募).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梁門(양문), 中脘(중완), 手三里(수삼리), 足三里(족삼리).
足少陽膽經 : 居髎(거료), 膈兪(격수), 肝兪(간수), 脾兪(비수).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急性穿孔(급성천공)
任脈 : 中脘(중완), 梁門(양문), 天樞(천추),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2) 위궤양(胃潰瘍)
胃潰瘍 → 食後 1時間, 十二指腸潰瘍 → 食後 3時間 夜食後緩解
症狀 : 劒突下(검돌하) 長期疼痛(장기동통) 鈍痛(둔통) 灼痛(작통) 極痛(극통).
⑴ 肝氣犯胃(간기범위)
證狀 : 胃脘脹悶(위완창민), 噯氣呑酸(애기탄산), 大便不暢(대변불 창),苔白(태
백),脈沉(맥침).
治則 : 佐以柔肝(좌이유간)
配穴 : 陰陵泉(음능천), 太冲(태충).
⑵ 肝胃鬱熱(간위울열)
證狀 : 胃脘灼痛(위완작통), 痛勢急迫(통세급박), 煩躁易怒(번조이노), 舌紅(설
홍), 苔黃(태황), 脈弦(맥현).
治則 : 淸熱解鬱(청열해울).
配穴 : 行間(행간), 內庭(내정).
⑶ 氣滯血瘀(기체혈어)
證狀 : 胃脘灼痛(위완작통),痛有定處(통유정처),刺痛感(자통감),혹黑便(흑변),舌
紫暗(설자암)
治則 : 活血化瘀(활혈화어).
配穴 : 三陰交(삼음교), 膈兪(격수), 公孫(공손).
⑷ 脾胃虛寒(비위허한)
證狀 : 胃急痛(위급통), 喜溫喜按(희온희안), 得食痛减(득식통감), 納差乏力(납차
핍력), 苔白(태백), 脈虛(맥허).
治則 : 溫補脾胃(온보비위).
配穴 : 關元(관원), 氣海(기해).
主穴 : 脾兪(비수), 胃兪(위수), 中脘(중완), 章門(장문), 足三里(족 삼리), 內關(내
관).
耳針(이침)
耳穴 : ① 胃區(위구), 脾區(비구), 十二指腸區(십이지장구), 下脚端(하각단), 神門
(신문), 腦(뇌, 電針(전침)
② 교감혈(交感穴)
자율신경문란 (自律神經紊亂 : 交感․副交感 神經紊亂)으로 인한 각종병
증, 내장에 비교적 강한 통증과 경련이 있는 예를 들면 궤양병(潰瘍病),
위경련(胃痙攣), 담결석(膽結石), 담도회충(膽道蛔虫), 수뇨관결석(輸尿
管結石)으로 인한 교통(絞痛) 등을 치료하고 또 침구마취(針灸痲醉)의
상용혈(常用穴)이며 순환계통의 병증인 무맥증(无脈證), 관심병(冠心
病), 심율실상(心律失常)등에도 효과있는 교감혈(交感穴).
③ 胃(위).
위병 (胃病) : 胃疾患(위질환)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募,足太陰 少陽 陽維의 會)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上下配穴法 : 上下幷用取穴 -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2) 胃病 : 廬兌(려태), 內關(내관).
3) 일체의 위장질환 : 下合穴인 足三里(족삼리)는 腑氣(부기)를 通降(통강).
4) 胃疾患 : 공손(公孫), 내관(內關).
위병변증취혈 (胃病辨證取穴)
胃氣虛弱(위기허약), 胃火熾盛(위화치성), 食滯胃脘(식체위완), 寒凝胃脘(한응
위완).
1. 胃氣虛弱(위기허약)
病因 : 胃氣虛弱(위기허약), 消化不良(소화불량).
證候 : 胃脘不舒(위완불서), 呃氣(애기), 不思飮食(불사음식), 乏力(핍력), 舌淡紅
(설담홍), 右關脈弱(우관맥약).
西醫 : 慢性胃炎(만성위염).
治法 : 溫補胃氣化谷(온보위기화곡)
處方 : 解谿(해계), 足三里(족삼리), 胃兪(위유), 中脘(중완).
針法 : 補法(보법)
2. 胃火熾盛(위화치성)
病因 : 胃火熾盛(위화치성), 熱邪犯胃(열사범위).
證候 : 胃脘部灼痛(위완부작통), 燥渴(조갈), 喜冷多飮(희냉다음), 善飢(선기), 吐
酸臭嗅(토산취후), 嘔吐(구토), 혹 齒齦腫痛(치간종통), 혹 潰瘍出血(궤양
출혈), 舌紅苔黃(설홍태황), 脈滑數(맥활삭).
西醫 : 急性胃炎(급성위염), 齒周炎(치주염), 口腔粘膜潰瘍(구강점막궤양), 糖尿
病(당뇨병).
治法 : 瀉火胃熱(사화위열).
處方 : 梁門(량문), 合谷(합곡), 曲池(곡지), 梁丘(량구), 內庭(내정), 豊隆(풍륭).
針法 : 瀉法(사법).
3. 食滯胃脘(식체위완)
病因 : 飮食不節(음식불절), 暴飮暴食(폭음폭식), 食物蓄胃(식물축위), 胃氣阻滯
(위기조체).
證候 : 胃脘部脹滿(위완부창만), 혹 胃痛(위통), 臭氣上逆(취기상역), 嘔吐食物臭
嗅 (구토식물취후), 혹 泄瀉(설사), 혹 便秘(변비), 舌苔厚膩(설태후니), 脈
滑(맥활).
西醫 : 急性胃炎(급성위염), 消化不良(소화불량).
治法 : 消食導滯(소식도체).
處方 :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公孫(공손).
針法 : 導氣法(도기법)
4. 寒凝胃脘(한응위완)
病因 : 生食(생식) 혹 過食寒冷(과식한냉), 或 素體胃氣虛弱(소체위기허약), 中
焦陽氣不足(중초양기부족), 或 寒邪侵入腹部(한사침입복부), 胃寒凝滯
(위한응체), 胃氣阻滯(위기조체).
證候 : 胃脘部冷痛(위완부냉통), 寒則甚溫則輕減(한칙심온칙경감), 噯氣(애기),
嘔 吐淸水(구토청수), 四肢冷(사지냉), 便溏(변당), 舌苔白滑(설태백활),
脈沉遲 (맥침지).
西醫 : 慢性胃炎(만성위염), 胃下垂(위하수), 幽門部梗塞(유문부경색), 消化道潰
瘍(소화도궤양), 胃神經官能症(위신경관능증).
治法 : 溫胃散寒(온위산한).
處方 : 1) 足三里(족삼리), 解谿(해계), 中脘(중완), 胃兪(위수), 內關(내관).
2) 中脘(중완), 胃兪(위수), 氣海(기해), 脾兪(비수), 食竇(식두),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針法 : 補法(보법), 溫灸(온구).
위복부동통 (胃腹部疼痛)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任脈 : 中脘(중완), 公孫(공손),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위산과다 (胃酸過多) : 呑酸
病源(병원) 및 證治槪論(증치개론)
呑酸(탄산)이라 함은 濕(습), 熱(열)이 肝部(간부)에 鬱積(울적)함으로써 肝火(간화)가
逆上(역상)하여 肺胃之間(폐위지간)에 潛伏(잠복)하므로 飮食(음식)이 胃(위)에 入
(입)하면 그것에 鬱遏(울알, 막혀서)되어 傳化(전화)를 못하는 까닭에 中酸(중산)이
되는 것이므로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漸次的(점차적)으로 噎膈(열격), 反胃(반위)가
되는 前軀證(전구증)이 된다. 脈(맥)이 弦滑(현활)한 것은 痰滯於內(담체어내)를 나타
내는 것이고, 浮緊(부긴)한 것은 寒束於外(한속어외)이며, 沉遲(침지)한 것은 中寒(중
한)이며, 洪數(홍삭)한 것은 火盛(화성)이라 하겠으나 만일 脈(맥)의 兩關(양관)이 모
두 弦(현)한 것은 木來浚土(목래준토)이니 急治(급치) 하여야 한다. 그런데 舍岩(사
암)은 呑酸(탄산)이 모두 寒熱(한열)의 交作(교작)으로서 不能順下(불능순하)한 까닭
이라 하였으며 또 酸(산)이란 것은 肝木(간목)의 味(미)이므로 火盛制金(화성제금)으
로 不能平木(불능평목)이 되면 肝(간)이 스스로 甚(심)하게 됨으로 呑酸(탄산)이 된다
고 上法(상법)을 究明(구명)한 것에 不過(불과)하다.
舍岩(사암)의 經驗方(경험방)
한 남자가 年二十餘(연이십여)에 心下(심하)가 鬱憫(울민)하고 항상 呑酸(탄산)을 呈
(정)하는데 스스로 食滯(식체)가 있다고 말하며, 夏節(하절)을 當(당)하면 尤甚(우심)
한 지라 비로소 心熱酸(심열산)으로 알고 依法施療(의법시료)하였던바 一度(일도)에
快祛(쾌거)하였다. 五十六年(오십육년) 宿疾(숙질)이었다.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輒筋(첩근), 日月(일월).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2. 辨病取穴(변병취혈) 舍岩(사암) 五行針(오행침)
1) 心熱酸(심열산) : 胸中(흉중)에 酸味(산미)가 떠올라서 心臟(심장)을 刺戟(자극)하
며 赤色(적색)을 나타내는 症狀(증상)
處方 :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2) 肝熱酸(간열산) :上症(상증)와 같이 心熱酸症(심열산증)이나 다만 靑色(청색)을 나
타내는 症狀(증상)
處方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中封(중봉) 經渠(경거) 瀉.
3) 食熱酸(식열산) : 胃實症(위실증)
處方 : 中脘(중완) 正, 丹田(단전) 迎, 氣海(기해) 瀉.
위산부족 (胃酸不足)
1. 이침(耳針)
耳穴(이혈) : 十二指腸(십이지장).
위신경관능증 (胃神經官能症)
1. 참조문(參照文)
1) 위병중(胃病中) 한응위완(寒凝胃脘)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梁門(양문).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足太陰,陰兪脈과 交會, 肝의 募穴).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梁門(양문), 內關(내관), 梁丘(양구).
위암 (胃癌)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不容(불용), 承滿(승만), 梁門(양문), 함곡(陷谷,輸).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脈).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肓門(황문).
任脈 : 下元(하원,任脈,足太陽의 會), 中脘(중완,手太陽,少陽,足陽明,任脈의 會), 上脘
(상완,足陽明,手太陽,任脈의 會), 巨闕(거궐,心의 募).
寄穴 腹部 : 臍周(제주).
下肢部 : 通氣穴(통기혈).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指壓療法 (지압료법)
⑴ 中脘穴(중완혈) : 자주 指壓(지압)과 뜸을 떠주면 효과가 있다. 또 발의 복사뼈 뒤 오
목한 곳 外側(외측)에 崑崙穴(곤륜혈)과 內側(내측)에 大鍾穴(대종
혈) 쪽에 나이 숫자 만큼 뜸을 뜬다. 또는 氣海穴에도 뜸을 뜬다.
⑵ 足三里(족삼리), 縣樞(현추), 脾兪(비수) : 이들 經穴(경혈)에 指壓(지압)하고, 또 뜸을
뜨면 좋다.
⑶ 痞根穴(비근혈) : 【東醫寶鑑】에는 “痞塊(비괴)를 치료하는 데는 痞根穴(비근혈)을
쓴다. 하였으며 이 穴(혈)은 13 번째 등뼈 아래에서 양옆으로 3.5
寸 나가서 있는데 흔히 왼쪽에 뜸을 뜬다. 만일 痞塊(비괴)가 좌우에 모두 생겼으면
左右穴(좌우혈)에 모두 뜬다.”고 했다.
또 뜸을 施術(시술)하는데 “볏짚 속대로 患者(환자)의 엄지발가락 끝에서 발뒤축 중
앙 끝점까지 잰 다음 그 한 끝을 꽁무니뼈 끝에 대고 올려 재어 다른 한 끝이 닿는 곳
에서 양옆으로 부춧잎 하나 넓이 정도씩 나가서 뜸을 뜨는데, 病(병)이 왼쪽에 있으
면 오른쪽에 뜨고, 病(병)이 오른쪽에 있으면 왼쪽에 뜬다. 그런데 針(침)을 3分 깊이
로 놓은 담음 뜸(灸)을 7 장씩 떠야 효과가 있다.
또한 ”두 번째 발가락 갈라진 곳(內庭穴)에 5~7 장 뜸을 뜨는데 病(병)이 왼쪽에 있
으면 오른쪽에 뜨고, 病(병)이 오른쪽에 있으면 왼쪽에 뜸을 뜬다. 뜸을 뜬 다음 하
룻밤 지나 배가 끓으면서 덩어리가 움직이는 것이 느껴지면 效果(효과)가 있다“고
했다.
⑷ 삼성고 : 風化(풍화)된 石灰(석회) 300g을 가루 내어 질그릇에 담아서 약간 벌겋게
될 때까지 닦아 약간 식힌다. 담음 大黃粉(대황분) 40g과 섞어 화롯불에 닦
아 약간 식혀서 桂心粉(계심분) 20g과 섞어 다시 약간 닦는다. 이것을 쌀초(粳米醋)
에 넣고 꺼먼 膏葯(고약)같이 되게 달여서 쓰는데 두꺼운 종이에 발라 病部位(병부
위)에 붙인다.
⑸ 호박고 : 大黃(대황), 朴硝(박초) 各各 40g을 가루 내어, 마늘을 고약처럼 되게 짓찧
은 데 넣고 고루 갠 다음 넓적하게 만들어 病部位(병부위) 에 붙인다. 어떤
처방에는 麝香(사향) 2g이 더 있는데 이것을 “초황고” 라고 한다.
⑹ 오선고 : 大黃(대황), 皂角(조각), 生姜(생강), 생파(葱), 마늘(蒜) 各各 300g을 함께 넣
고 잘 짓찧어 물에 달인 다음 찌꺼기는 버리고 汁만 받아 꺼먼 膏葯(고약)이
되도록 다시 졸인다.
이것을 천에 발라서 쓰는데 먼저 病部位(병부위)에 針(침)을 놓은 다음 거기에 붙인
다.
⑺ 첩비고 : 水紅花子(수홍화자)8g, 大黃(대황), 朴硝(박초), 山梔子(산치자) 石灰(석회)
各 4g을 술지게미로 달걀만 하게 만든 것 덩어리 1개와 함께 넣고 膏葯(고
약)처럼 되게 짓찧어 천에 발라 痞塊(비괴)가 생긴 부위에 붙인 다음, 더운물을 넣은
甁(병)으로 찜질하고 수건으로 동여매 두었다가 3일이 지나 풀어보는데 살이 먹같
이 시꺼멓게 되었으면 효과가 있는 것이다.
위열 (胃熱)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胃熱과 腸熱 : 梁門(량문), 氣海(기해), 上巨虛(상거허).
2) 胃熱 : 氣冲(기충),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下巨虛(하거허).
위열망언 (胃熱妄言)
1. 주치혈(主治穴)
1) 足陽明胃經 : 解溪(해계).
위염 (胃炎)
1. 참조문(參照文)
1) 慢性胃炎(만성위염)
⑴ 脾病中(비병중) 脾氣虛弱(비기허약) 참조
⑵ 胃病中(위병중) 胃氣虛弱(위기허약), 寒凝胃脘(한응위완) 참조
2) 急性胃炎(급성위염)
⑴ 胃病中(위병중) 胃火熾盛(위화치성), 食滯胃脘(식체위완) 참조
3) 本節은 痛證(極痛證)의 3. 위극통 (胃劇痛)을 참조
4) 비경병중(脾經病中) 脾熱隨經上擾(비열수경상요) 참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急慢性(급만성)
足陽明胃經 : 承滿(승만), 梁門(양문), 天樞(천추,大腸經의 募), 梁丘(양구, 郄), 足三 里
(족삼리,合,胃의 下合穴), 上巨虛(상거허, 大腸의 下合穴).
足太陰脾經 : 商丘(상구,經), 食竇(식두).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原).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胃兪(위수), 三焦兪(삼초수), 陽綱(양강), 胃倉(위창). 志室
(지실).
足少陰腎經 : 筑賓(축빈), 步廊(보랑).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大陵(대능,
輸,原).
任脈 : 建里(건리),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經과 交會), 上脘(상완,手太陽經과
交會).
2) 急性(급성)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井).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大陵(대능,輸,原).
足太陽膀胱經 : 承山(승산).
3) 慢性(만성)
足陽明胃經 : 內庭(내정,滎).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足少陰腎經 : 幽門(유문).
任脈 : 下元(하원,任脈,足太陽의 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① 解溪(해계,經).
② 梁丘(양구) 加 中脘(중완), 內關(내관).
2) 急性(급성)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脾兪(비수),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任脈 : 上脘(상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手三里(수삼리).
急性 處方 : ① 內關(내관),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② 內關(내관), 天樞(천추), 上巨虛(상거허).
③ 曲澤(곡택), 委中(위중, 放血)
3) 指壓療法(지압료법)
胃炎에는 볶은 소금으로 배꼽 주위를 찜질하거나 쑥을 볶아 따뜻할 때 腹部에 올려놓
으면 腹痛과 腹部 冷症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고, 파를 기름에 데친후 수건에 싸서
복부를 찜질해도 역시 복통과 복부 냉증을 解消하는 효과가 있다.
⑴ 少商 : 急性胃炎(급성위염)에 특히 效果(효과)가 있는데, 指壓(지압)을 한 후 그래도
痛症(통증)과 腹部(복부) 膨滿感(팽만감) 등 不快感(불쾌감)이 가시지 않으면
바늘을 소독한 후 이곳을 찔러 피를 빼면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흔히 民間
(민간)에서 이런 要領(요령)으로 食滯(식체), 胃痛(위통) 등을 解消(해소)하고
있다.
⑵ 巨闕 : 急性胃炎(급성위염)일 때 특히 이 部位(부위)가 불쾌하거나 痛症(통증)을 느
낀다. 이런 명치의 불쾌감을 비롯해서 胃腸症狀(위장증상)에 두루 응용되는
經穴(경혈)이다. 慢性胃炎(만성위염)의 경우에는 指壓(지압)도 필요하지만
뜸을 뜨는 것이 효과적이다.
⑶ 中脘 : 急性胃炎(급성위염)은 물론 특히 慢性胃炎(만성위염)일 때 이 부위에 不快感
(불쾌감)이나 痛症(통증)을 자주 느끼게 된다. 따라서 지압해 주면 효과적이
다.
⑷ 天樞 : 腹筋(복근)의 機能(기능)을 높여서 慢性的(만성적)으로 胃機能(위기 능)이
좋지 못한 것을 根本的(근본적)으로 改善(개선)할 수 있는 經穴(경혈)이다.
⑸ 曲骨 : 腹部(복부)의 여러 證狀(증상)을 鎭靜(진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⑹ 胃兪 : 胃腸(위장)의 痛症(통증)을 내리며 胃機能(위기능)을 活潑(활발)하게 해 준
다.
⑺ 內關 : 胃腸(위장)의 痛症(통증)을 내리고 胃機能(위기능)을 調節(조절)한다.
⑻ 足三里 : 胃(위)의 痛症(통증)을 鎭靜(진정)시키며 消化機能(소화기능)을 强化(강화)
시키는데 아주 效果的(효과적)인 經穴(경혈)이다. 慢性胃炎(만성위염)인
경우에는 뜸을 施術(시술)하는 것이 좋다.
4. 其他治法(기타치법)
1) 急性 : 病因(병인)은 化學性(화학성), 物理性(물리성), 細菌性(세균성)에 의한 것 이며.
中醫學(중의학)의 견해는 飮食不節(음식불절), 脾胃升降失司(비위승상실사)으
로 판단한다.
症狀 : 上腹不造(상복불조), 疼痛(동통), 不欲飮食(불욕음식), 惡心嘔吐(오심구 토), 腹
瀉(복사, 滑瀉(활사)), 嚴重者可(엄중자가) 發熱(발열), 失水(실수), 休克(휴극)
原則 : 升淸降濁(승청강탁), 理氣止痛(리기지통),
- 取足陽明胃經(취 족양명위경), 爲主(위주)
取穴 :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上巨虛(상거허), 內關(내관), 天樞(천추).
治法 : 3- 4穴 瀉爲主 30分 留針 1-2次/日
2) 慢性 : 淺表性(천표성) 萎縮性(위축성) 肥大性(비대성)
中醫學(중의학) : 脾胃虛弱(비위허약).- 補法(보법) - 溫補脾胃(온보비위)
症狀 : 장기간 반복적으로 上腹部(상복부)가 不適切(부적절)하고, 疼痛(동통)이 나고,
惡心嘔吐(오심구토)를 한다.
原則 : 溫補脾胃(온보비위).- 膀胱經(취방광경),
- 任脈(임맥)을 위주로 취한다.
取穴 : 脾兪(비수) 胃兪(위수) 中脘(중완) 章門(장문) 氣海(기해) 足三里(족삼리)
治法 : 溫灸(온구) 5-7장, 매일 1번, 혹은 隔日(격일)에 1번 穴位主射(혈위주사) : 黃芪
注射液(황기주사액), 復方當歸注射液(복방당귀주사액), 徐長卿注射液(서장경
주사액) 每穴(매혈) 2 ml 每日(매일) 1번 30번/療程(료정) (※迷走神經(미주신
경) - 스트레스)
5. 耳針(이침)
耳穴(이혈) - 慢性(만성) : 胃(위), 脾(비), 下脚端(하각단), 神門(신문), 腦(뇌).
위완부창만 (胃脘部脹滿)
1. 辨病取穴(변병취혈)
1) 心胸脹滿(심흉창만), 不思飮食(불사음식) : 承山穴(승산혈) - 雜病穴法歌
위완통 (胃脘痛)
1. 參照文(참조문)
1) 위통 (胃痛)
2) 심하견만 (心下堅滿)
2. 主治穴(주치혈)
1) 不容(불용), 中脘(중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公孫(공손).
2) 任脈 : 建里(건리), 上脘(상완).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前后配穴法 : 中脘(중완), 建里(건리), 脾兪(비수).
2) 足陽明胃經 : 不容(불용), 中脘(중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公孫(공손).
任脈 : 上脘(상완), 中脘(중완).- 玉龍歌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胃脘(위완, 咽喉에서 臍部), 心痛(심통), 結胸(결흉), 傷寒嘔吐(상한구토), 胸悶(흉민),
流涎(류연).
處方 : 列缺(열결), 風池(풍지), 三間穴(삼간혈), 足三里(족삼리), 中冲穴(중충혈)에
三分針刺(삼분침자)- 雜病十一穴歌
2)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脇下疼痛), 心臟(심장)과 胃腸(위장,胃脘部)이 찌르는 듯이
아플(刺痛) 때
處方 : 先針 - 內關穴(내관혈),
后針 - 氣海(기해), 行間(행간), 陽陵泉穴(양능천혈)을 치료 한다.-西江
3) 胃脘痛 : 中脘穴(중완혈) 當處隱痛(당처은통) 按之右便痛甚(안지우편통심)
處方 : 陽谷(양곡) 解谿(해계) 補, 臨泣(림읍) 陷谷(함곡) 瀉, 中脘(중완) 正.-五行
4) 脾痛 : 心刺痛(심자통), 心痛徹臍(심통철제)【靈樞․厥病篇】曰 脾心痛(비심통) - 訶子
散(가자산) 혹 復元通氣散證(복원통기산증).
處方 : 少府(소부) 大敦(대돈) 補, 隱白(은백) 瀉, 丹田(단전) 迎.
病源(병원) 및 證治槪論(증치개론) - 舍岩
胃(위)는 冲和之氣(충화지기)를 稟受(품수)한 것으로서 多氣少血(다기소혈)인지라 壯
(장)하면 邪(사)가 侵犯(침범)하지 못하나, 虛(허)하면 邪(사)가 들러붙어서 病(병)이 되
는 것으로 偏僻(편벽)되게 차거나, 偏僻(편벽)되게 더우면 水停食積(수정식적)이 되어
氣(기)로 더불어 相搏(상박)해 가지고 아프게 되는 것으로서 其病狀(기병상)이 心痛(심
통)과 비슷하다. 그러나 반듯이 혹은 悶(민)하거나, 혹 脹(창), 혹 嘔吐(구토) 吐酸(토
산), 혹 不食(불식), 혹 辯難(변난), 혹 瀉利(사리), 혹 面浮黃(면부황), 四肢倦怠(사지권
태) 등 證(증)을 訴(소)한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肝官入脾(간관입비), 正是土敗木賊之患(정시토패목적지환), 膽
命至胃(담명지위), 必爲君遇臣傷之憂(필위군우신상지우)라 하여 위에 2 法(법)을 立
(입)하였다.
舍岩(사암) 經驗方(경험방)
1) 한 남자가 年可五十(연가오십)에 恒常(항상) 胃脘痛(위완통)을 患(환)하는데 心下
(심하)로부터 臍上(제상)에 이르기까지 作痛(작통)하기 有時无定(유시무
정) 하여 혹 虫痛(충통)과 類似(유사)한지라 陽谷(양곡) 解谿(해계) 補(보), 臨泣(임
읍) 陷谷(함곡) 瀉(사) 하였더니 數度(수도)에 有效(유효)하더라.
2) 한 남자가 年二十餘(연이십여)에 胃脘痛(위완통)이 있어 매양 始痛日(시통일)에는
惡寒(오한), 頭痛(두통), 肢節痛(지절통)등 증과 함께 四肢(사지)에 肉起
(육기)하기가 棗栗(조율)과 같은 것이 數(수)가 없으며 혹은 次次消盡(차차소진) 하
기도 하고 혹은 幾個(기개)가 胃部(위부)와 兩脚上下(양각상하)에 암아 있기도 하
여 十餘日(십여일)을 간격으로 反復(반복)한지가 屢年(루년, 여러해)이라 胃經正格
(위경정격) 五六度(오육도)로 完治(완치)하였는데 오른쪽이 勝(승)하였으므로 左
治(좌치)하였으며 가마를 타고 왔다가 재발로 걸어갔다.
許任 針灸經驗方
배와 옆구리(腹脇) : 위완부(胃脘部)
部位 : 세로 치수는 흉골(胸骨)의 검상돌기(劍狀突起)에서 배꼽까지의 치수를 쓰고 가
로 치수는 양쪽 젖꼭지(乳頭) 사이의 치수를 쓴다.
治療要點 : 복통(腹痛)은 열사(熱邪)로 인하여 생기지 않는다고 한 말이있다. 그러므로
이 장에서 腹痛 특히 위완부동통(胃脘部疼痛)이 한사(寒邪)의 침습(侵襲)
으로 유발(誘發)되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治療經穴 : 족삼음경혈(足三陰經穴)과 오장유혈(五臟兪穴)을 쓴다.
1) 상복부통(上腹部痛-epigastralgia) : 위완통(胃脘痛)
處方 : 肝兪(간수),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膈兪(격수), 太冲(태충), 獨陰(독음),
兩側乳頭下一寸(양측 유두아래 1촌) 灸二十壯(뜸 20장).
2) 식욕부진(食欲不振-anorexia), 뱃속에서 꾸르륵거리는 소리(腸鳴 borborygmus),
대변실금(大便失禁-fecalincontinence), 소변색이 어두운증(尿色黃赤- darkurine).
處方 : 中脘穴(중완혈)에 針刺(침자)하고 大腸兪(대장수), 膀胱兪(방광수), 魂門穴
(혼문혈)에는 各各 灸三壯(뜸 3장)
3) 찬 기운과 더운 기운이 조화롭지 못하여 배꼽에 침입하므로 생긴 복통.“冷熱不調
繞臍攻注疼痛
處方 : 氣海穴(기해혈)에 灸二十一壯(뜸 21장), 天樞穴(천추혈)에 灸百壯(뜸백장),
大腸兪穴(대장수혈)에 灸三壯(뜸 3장), 太溪穴(태계혈)에 灸三壯(뜸 3장).
4) 배가 그득하고 배꼽과 아랫배가 단단한 증 “腹脹堅臍小腹亦堅”
處方 : 水分(수분), 中極穴(중극혈) 各灸百壯(각각 뜸 백장), 三焦兪(삼초수), 膈兪穴
(격수혈) 各灸三壯(각각 뜸 3장), 腎兪穴(신수혈)에 患者(환자) 의 나이 수만
큼 뜸을 뜬다.
太谿(태계), 太冲(태충), 三陰交(삼음교), 脾兪(비수),中脘穴(중완혈)에는 針
刺(침자)한다.
5) 뱃속이 꾸르륵거리고 아픈증 “腸鳴痛”
處方 : 三陰交(삼음교), 公孫穴(공손혈).
6) 배와 옆구리 및 모든 患處(환처)를 돌아다니며 마치 바늘로 찌를는 듯이 쑤시고 아
파서 인내하기 힘든 증상 “腹脇及諸處流走刺痛”
處方 : 부항(附缸=拔罐)단지의 몸통이 좀길고, 손가락 세 개가 들어갈 만큼 커야 독
(毒)을 뽑을 수 있다. 아픈 부위를 따라 부항을 붙이기 전에 삼능침으로 4-5
번 찌른 다음에 부항을 붙인다. 아픈 부위를 따라 針을 놓거나 부항(附缸)이
나 뜸(灸)질을 7번하여 여러번 效驗을 보았다. “- 隨痛隨針 亦附缸灸 累次神
效”
임상응용(臨床應用)
심하견만 (心下堅滿)
1. 參照文(참조문)
1) 위완통(胃脘痛)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陰腎經 : 石關(석관), 膈兪(격수),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위창만 (胃脹滿)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承滿(승만).
足太陽膀胱經 : 意舍(의사).
督脈 : 中脘(중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胃脹滿 : 承滿(승만), 中脘(중완).
위출혈 (胃出血)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患門穴), 膈兪(격수), 膈關(격관).
위통 (胃痛)
胃痛(위통) 胃痛(위통)은 또 胃脘痛(위완통)이라 부른다. 상복부 명치아래 및 그 부근 주
위의 疼痛(동통)이 主證(주증)으로, 고대문헌에 기재된 心痛(심통)은 대부분 胃痛(위통)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심장질환으로 생기는 심병은 眞心痛(진심통)이라 부르는 것 으로 위
통과는 부동한 것이다.
本證(본증)은 急慢性胃炎(급만성위염), 胃十二指腸潰瘍(위십이지장궤양), 胃神經官能症
(위신경관능증) 등에 나타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寒邪(한사)에 감수되면 속으로 위를 범하여 胃氣(위기)가 逆亂(역란)하거나 생냉한 음식
을 과식하여 寒氣(한기)가 위에 쌓여 위기가 不和(불화)하거나 혹은 情緖(정서)의 변화로
肝氣鬱滯(간기울체), 橫逆犯胃(횡역범위)하거나 혹은 과도한 피로로 脾胃(비위)가 허약
하면 中陽不振(중양불진)으로 寒邪內生(한사내생), 胃失和降(위실화강)되는데 이 모두가
위통을 일으킨다. 위통 초기에는 대부분 氣機阻滯(기기조체), 不通則痛(불통칙통)이고
氣滯日久(기체일구)하게 되면 氣滯(기체)가 血瘀(혈어)를 일으키는데 만약 絡脈(락맥)이
손상되면 吐血(토혈), 便血(변혈) 현상이 나타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⑴ 實證 : ① 寒邪犯胃(한사범위) 胃痛暴作(위통폭작), 畏寒喜暖(외한희난), 溫中痛减(온
중통감), 不渴(불갈) 혹 口渴喜熱飮(구갈희열음), 太白(태백) 脈弦緊(맥현긴).
② 傷食氣滯(상식기체) 胃脹痛(위창통), 酸物噯氣(산물애기), 혹 소화되지 않은
食物嘔吐(식물구토), 吐后痛减(토후통감), 大便(대변)이 고르지 않고 舌苔厚
膩(설태후니) 脈滑(맥활).
③ 肝氣犯胃(간기범위) 胃痛(위통)이 옆구리에 미치며, 情緖變化(정서변화)로
胃痛發作(위통발작)하여 嚴重(엄중)해지고 트림이 頻煩(빈번)하며, 大便(대
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고, 舌苔薄白(설태박백), 脈弦(맥현)
治則 : 散寒止痛(산한지통), 疏肝理氣(소간리기), 消食導滯(소식도체).
胃(위)의 募穴(모혈)과 合穴(합혈), 手足厥陰(수족궐음), 足太陰經穴(족태음경
혈)을 취한다.
處方 :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公孫(공손), 太冲(태충).
方解 : ① 中脘(중완) + 足三里(족삼리) = 調和胃氣(조화위기), 導滯止痛(도체지통).
② 內關(내관) + 公孫(공손) = 寬胸解鬱(관흉해울), 胸胃痛證(흉위통증).
③ 太冲(태충) = 疏肝理氣(소간리기)
加减 : ① ※ 甚痛(심통) : 加 梁丘(량구) - 理氣(리기), 和胃(화위), 止痛(지통)
② ※ 脇痛(협통) : 加 陽陵泉(양능천) - 淸肝止痛(청간지통).
治法 : 毫針(호침) 瀉法(사법), 寒證(한증)은 灸法(구법)
⑵ 虛症 : ① 陽虛(양허) - 脾胃虛寒(비위허한) 胃脘隱痛(위완은통), 泛吐淸水(범토청수),
喜暖喜按(희난희안), 納少(납소) 倦怠(권태), 手足不溫(수족불
온) 大便溏薄(대변당박), 舌質淡(설질담) 脈細弱(맥세약).
原則 : 溫中散寒(온중산한)
② 陰虛(음허) - 胃脘久痛(위완구통) 鬱熱傷陰(울열상음), 胃陰不足(위음부족),
胃痛熱感(위통열감), 口苦(구고), 口渴(구갈), 물은 많이 마시지
않고, 舌紅少苔(설홍소태), 舌質(설질)이 대부분 주름지고, 氣滯
血瘀(기체혈어), 胃絡(위락)이 損傷(손상)되면 痛處固定(통처고
정)되고, 마치 바늘로 찌르는 뜻한 刺痛(자통)이 나며 심하면 吐
血(토혈)하는데 마치 커피색 같고, 便血(변혈)이 나는데 마치 백
유(柏油) 같으며, 舌紫点(설자점) 혹 瘀斑(어반)이 있고, 脈細澁
(맥세삽)하다.
原則 : 補脾健胃(보비건위).
陽虛者(양허자) : 溫中散寒(온중산한)
陰虛者(음허자) : 益胃養陰(익위양음) 兪, 募穴(수,모혈) 및 足太
陰(족태음), 陽明經穴(양명경혈)을 위주로 取
(취)한다.
處方 : 脾兪(비수), 胃兪(위수), 中脘(중완), 章門(장문),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三陰
交(삼음교).
方解 : 본 처방은 脾胃(비위)의 兪募穴(수모혈)에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三陰交
(삼음교)를 배합하여 뜸을 뜨면 溫中散寒(온중산한)하고, 補脾和胃(보비화위)하
며, 針(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하면 補脾健中(보비건중)하고, 養胃和絡(양위
화락)하기 때문에 虛證(허증) 胃痛(위통)이다.
① 胃熱感(위열감) : 加 太谿(태계) - 滋陰降火(자음강화) 하고
② 便血(변혈)에는 : 加 血海(혈해) - 理血(리혈)하며
③ 吐血(토혈)에는 : 加 膈兪(격수) - 和血(화혈)한다.
治法 : 毫針(호침) 補法(보법) 可灸(가구).-中醫-
1. 참조문(參照文)
1) 위경련 (胃痙攣)
2) 위완통 (胃脘痛)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原), 手三里(수삼리).
足陽明胃經 : 不容(불용), 承滿(승만), 梁門(량문),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梁丘(량
구), 足三里(족삼리, 合), 條口(조구), 冲陽(충양, 原), 內庭(내정, 滎).
足太陰脾經 : 大都(대도,滎), 태백(太白,輸,原),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
脈).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
足太陽膀胱經 : 膈兪(격수), 胃兪(위수), 胃倉(위창), 魂門(혼문), 意舍(의사), 胃倉(위창).
足少陰腎經 : 商曲(상곡), 石關(석관), 陰都(음도), 幽門(유문).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
脈) 大陵(대능,輸,原).
足少陽膽經 : 居髎(거료,陽交脈과 交會). 任脈 : 下脘(하완),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
足陽明經과 交會), 巨闕(거궐,心의 募穴), 鳩尾(구미).
督脈 : 中樞(중추), 筋縮(근축), 至陽(지양), 靈臺(령대).
上肢部奇穴 : 落枕(낙침,項强).
下肢部奇穴 : 八風(팔풍), 上八風(상팔풍), 里內庭(리내정, 急性).
2) 中脘 內關 足三里 公孫 內庭.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近部選穴 : 中脘(중완), 梁門(양문).
2) 遠道選穴 :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3) 本經選穴 : 胃經(위경)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4) 足陽明胃經 : ① 梁門(량문), 足三里(족삼리), 公孫(공손), 內關(내관).
② 滑肉門(활육문),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③ 梁丘(량구), 中脘(중완), 內關(내관).
④ 上巨虛(상거허), 足三里(족삼리), 公孫, 內關, 曲池(곡지), 天樞(천추).
足太陰脾經 : 대횡(大橫), 비수(脾兪), 삼초수(三焦兪), 중완(中脘).
足太陽膀胱經 : ① 胃兪(위수), 脾兪(비수), 中脘(중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② 胃倉(위창),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脾兪(비수), 胃兪(유수).
足少陰腎經 : 幽門(유문), 中脘(중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 大陵(대능), 內關(내관).
任脈 : ① 建里(건리),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脾輸(비수), 胃輸(위수).
② 中脘(중완), 內關(내관), 梁丘(양구).
督脈 : ① 中樞(중추), 中脘(중완).
② 至陽(지양),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胃痛 : 內關(내관),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公孫(공손).
2) 胃寒證(위한증) : 下脘穴(하완혈) - 勝玉歌
胃劇痛(위극통)
病因病機(병인병기)
극통이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寒邪(한사)를 感受(감수)하여 인체의 經絡(경락)에 머무르고
臟腑(장부)로 內傳(내전)되면 氣血凝滯(기혈응체)되고 不通(불통)함으로 痛證(통증)이 발생
한다. 혹은 憂思悲恐(우사비공) 즉 情緖(정서)의 激動(격동)으로 氣機不暢(기기불창)하면
氣滯血瘀(기체혈어)되어 經脈(경맥)을 막으므로 疼痛(동통)이 발생된다. 그 밖에 발생하는
극통으로는 혹 結石(결석)등이 원인으로 劇痛(극통)이 발생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胃劇痛(위극통)
證狀 : 갑자기 胃(위)가 아프며 畏寒喜暖(외한희난)하고 혹은 胃脘脹痛(위완창 통)하며, 트
림이 나고, 시큼한 胃液(위액)이 올라오며, 胃脘脹滿(위완창만)하고, 아픈데 통증이
옆구리까지 미치며, 胃痛(위통)은 고정되어 있고, 통증은 바늘로 찌르는 뜻, 칼로 베
는 뜻 刺痛(자통)이 나고, 설태는 희고, 맥은 弦脈(현맥)이다.
治則 : 和胃降逆(화위강역), 理氣止痛(리기지통). 足陽明經穴(족양명경혈)을 위주로 取(취)
한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方義 : ① 足三里(족삼리)는 足陽明經(족양명경)의 合穴(합혈)이며
② 中脘(중완)은 胃(위)의 募穴(모혈)이다.
③ 足三里(족삼리)와 배합하면 和胃降逆(화위강역), 理氣止痛(리기지통)의 효과를 얻
는다.
만약 - ① 噯腐呑酸(애부탄산) : 加 下脘(하완), 建里(건리), 內庭(내정). - 消食制酸(소식제산)
한다.
② 통증이 옆구리에 미치면 : 加 陽陵泉(양능천). - 調理肝氣(조리간기)
③ 嘔吐(구토) : 加 內關(내관), 曲澤(곡택), 委中(위중).- 理氣止嘔(리기지구)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피부침 (皮膚針)
處方 : 비수(脾兪) 위수(胃兪) 간수(肝兪) 중완(中脘) 건리(建里) 혈(穴)을 중점으로 공손
(公孫) 족삼리(足三 里) 등 혈(穴)과 배합한다. - 中醫
이침(耳針) 耳穴 : 胃(위).
위하수 (胃下垂)
1. 參照文(참조문)
1) 胃病中(위병중) 寒凝胃脘(한응위완)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不容(불용).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任脈 : 氣海(기해), 下脘(하완),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經과 交會).
督脈 : 懸樞(현추). 胸腹部奇穴 : 胃上(위상).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枳實(지실), 膀胱兪(방광수), 太溪(태계).
任脈 : ① 氣海(기해), 中脘(중완), 天樞(천추), 關元(관원), 足三里(족삼리).
② 中脘(중완), 胃上(위상), 足三里(족삼리).
胸腹部奇穴 : 胃上透臍中(위상투제중), 中脘(중완), 氣海(기해), 足三里.
2) 處方 : 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氣海(기해).
②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胃上穴(위상혈).
③ 中脘(중완), 梁門(양문), 天樞透首都(천추투수도, 左側)
④ 巨闕透肓兪(거궐투황수), 足三里(족삼리).
3) 指壓療法(지압료법)
⑴ 合谷,曲池 : 合谷穴(합곡혈)은 胃腸機能(위장기능)을 强化(강화)하는 효과가 크고
⑵ 曲池穴(곡지혈)은 消化機能(소화기능) 全般(전반)을 調節(조절)하는 經穴(경혈)
이다.
⑶ 不容 : 消化障碍(소화장애) 또는 胃腸痛證(위장통증) 등을 조절하고 鎭靜(진정)하
는 效果(효과)가 크다. 한편 巨闕穴(거궐혈)과 中脘穴(중완혈)을 함께 指壓
(지압)해 주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⑷ 胃兪 : 胃腸(위장)의 기능을 높이고 胃液(위액)의 分泌(분비)를 촉진하여 消化機
能(소화기능)을 활발하게 돕는 經穴(경혈)이다. 한편 胃兪穴(위수혈)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脾臟機能(비장기능)을 돋우는 脾兪穴(비수혈)을
함께 指壓(지압)해 주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위확장 (胃擴張)
1. 參照文(참조문)
1) 위암 (胃癌)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不容(불용).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足少陰腎經 : 幽門(유문).
任脈 : 上脘(상완,手太陽經과 交會), 下元(하원,任脈,足太陽의 會), 中脘(중완,手太陽,
少陽, 足陽明,任脈의 會).
위한창 (胃寒脹)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腎兪(신수).- 針灸資生經
위장병 (胃腸病)
1. 임상응용(臨床應用)
1)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 中脘(중완), 內關(내관), 公孫(공손).
任脈 : 上脘(상완),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內關(내관), 天樞(천추).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위장열 (胃腸熱) : 梁門(량문), 氣海(기해), 上巨虛(상거허).
위장염 (胃腸炎)
1. 參照文(참조문)
1) 위염 (胃炎)
2) 장염 (腸炎)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急慢性(급만성) 足陽明胃經 : 滑肉門(활육문).
2) 急性(급성) 足太陰脾經 : 太白(태백,輸,原).
足太陽膀胱經 : 浮郄(부극), 委中(위중,合,血郄).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急性(급성)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委中(위중), 點刺出血(점자출혈).
2) 息性(식성) 任脈 : 神闕(신궐), 天樞(천추), 上脘(상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화위 (和胃)
1. 主治穴(주치혈)
1)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通絡(통락) : 足陽明胃經 - 梁丘(양구,郄).
2) 和胃寬膈(화위관격) :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輸,原)
3) 和胃利膈(화위이격) : 任脈 - 巨闕(거궐,心의 募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