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고통 (腰股痛) - 요뉴상 (腰杻傷) - 요둔통 (腰臀痛) - 요미골통 (腰尾骨痛) - 요배견통 (腰背堅痛) - 요배구루 (腰背佝僂) - 요부연부조직손상 (腰部軟部組織損傷) - 요배추통 (腰背墜痛) - 요배통 (腰背痛) - 요저통 (腰骶痛) - 요척 (腰脊) - 요척주통 (腰脊柱痛) - 요척추저골통 (腰脊椎骶骨痛) - 요추간반돌출증 (腰椎間盤突出症) - 요통 (腰痛) Lumbago - 요퇴통 (腰腿痛) - 요협동통 (腰脇疼痛)
저골관절질환 (骶骨關節疾患) - 저골관절통 (骶骨關節痛) - 저골통 (骶骨痛) : 腰藨部痛(요표부)
요슬마비 (腰膝麻痹) - 요슬무력 (腰膝无力) - 요슬산통 (腰膝酸痛) - 요슬질환 (腰膝疾患)
참조 : 침구 168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요고통 (腰股痛)
1. 參照文(참조문)
1) 좌골신경통 (坐骨神經痛 Sciatica)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髀關(비관).
足太陽膀胱經 : 小腸輸(소장수), 白環輸(백환수), 跗陽(부양), 申脈(신맥), 京骨(경골).
足少陽膽經 : 居髎(거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① 腎兪(신수), 委中(위중).
② 大腸兪(대장수), 腎兪(신수), 還跳(환도), 風市(풍시), 委中.
③ 承扶(승부), 腎兪(신수), 風市(풍시), 足三里, 三陰交.
④ 委中(위중), 腎兪, 關元兪(관원수), 還跳, 足三里, 三陰交.
足少陽膽經 : ① 居髎(거료), 風市(풍시), 陽陵泉(양능천), 還跳(환도).
② 風市, 腎兪(신수), 還跳(환도), 足三里, 三陰交, 折骨(절골).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다리와 등줄기 疼痛(동통)
處方 : 瀉血 - 丘墟穴(구허혈), 補 - 解谿(해계), 商丘穴(상구혈) - 玉龍歌 針灸大成
2) 腰(요)에서 脚(각)까지 痛症(통증)
處方 : 腕骨穴(완골혈) 針刺后(침자후) 氣(기)가 상승할 때 瀉(사) - 足三里(족삼리). -
雜病穴法歌
3) 腰(요), 腿(퇴), 跨痛(과통) - 더부륵한 기운
處方 : 髖骨穴(관골혈) 七分后, 風市穴(풍시혈), 足三里(족삼리) 一寸三分 針刺(침자)
補瀉(보사), 瀉(사) 三陰交穴(삼음교혈) 一寸, 行間穴(행간혈) 五分針刺, 進退
補瀉(진퇴보사) 및 呼吸補瀉(호흡보사). - 雜病十一穴歌
4) 腰股痛(요고통) 10年 不愈(불유)
處方 : 大都穴(대도혈)- 肘后歌 (葯을 먹는 다면 금전만 낭비한다.)
요뉴상 (腰杻傷) : 腰捻挫傷(요념좌상)
1. 參照文(참조문)
☞ 요통(腰痛) 1) 뉴상 (扭傷)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督脈 : 命門(명문), 水泃(수구), 齦交(은교).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上下配穴法 : 上下幷用取穴 - 人中(인중), 長强(장강).
2)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督脈 : 水泃(수구), 委中(위중).
3) 急性(급성)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 齦交(은교), 壓痛点(압통점).
4) 處方 : ① 腎兪(신유), 委中(위중).
② 天柱(천주) 捻針(념침) 同時活動腰部(동시활동요부)
③ 人中穴(인중혈) 捻針(념침) 同時活動腰部(동시활동요부)
④ 懸鍾(현종), 后谿(후계).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腰扭傷(요뉴상) : 瀉 人中穴(인중혈), 委中穴(위중혈). - 玉龍歌
2) 急性腰杻傷(급성요뉴상) : 外傷史(외상사), 壓痛(압통).
原則 : 通調督脈(통조독맥) 疏通足太陽膀胱經(소통족태양방광경) - 瀉法
取穴 : 腎兪(신수), 大腸兪(대장수), 腰陽關(요양관),水溝(수구),委中(위중),后谿(후계).
治法 : 30분간 留針(류침) 매 5분마다 强刺(강자),
叩刺(고자), 拔罐(발관) 壓痛点(압통점) 加艾灸(가애구).- 中醫
3) 慢性腰杻傷(만성요뉴상)
原則 : 疏經通絡(소경통락), 活血止痛(활혈지통).
取穴 : 腎兪(신수), 大腸兪(대장수), 腰陽關(요양관), 阿是穴(아시혈), 上髎(상료), 委中
(위중), 陽陵泉(양능천), 崑崙(곤륜), 環跳(환도), 居髎(거료), 氣海(기해).
治法 : 5-6穴 選擇(선택) 1次/1天 10天 1 療程(료정) - 中醫
5. 피부침 (皮膚針) : 침이 5개인 매화침(梅花針) 7개인 칠성침(七星針) 18개인 라한침(羅
漢針) 등 세 종류가 있다.
1) 處方 : 요저부(腰骶部)와 허리 양쪽 및 방광경(膀胱經)이 순행하는 하지(下肢)의 민
감점(敏感点) 예를 들면 위중혈(委中穴) 등을 두드린다.
6. 이침(耳針)
1)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耳穴 : 上耳背(상이배), 中耳背(중이배), 下耳背(하이배).
요둔통 (腰臀痛)
1. 참조문(參照文)
1) 요퇴통 (腰腿痛)
2) 좌골신경통 (坐骨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伏兎(복토).
督脈 : 腰陽關(요양관).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督脈 : 腰陽關(요양관), 腎兪(신수), 委中(위중), 還跳(환도), 陽陵泉(양능천).
요미골통 (腰尾骨痛)
1. 主治穴(주치혈)
1) 十七椎下 : 次髎(차료), 秩邊(질변).
요배견통 (腰背堅痛)
요척견통(腰脊堅痛), 요척강직(腰脊强直)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三焦兪(삼초수), 膀胱兪(방광수), 中膂兪(중려수), 委陽(위양), 膈關
(격관).
督脈 : 腰兪(요수), 懸樞(현추), 身柱(신주), 水泃(수구),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① 中膂兪(중려수), 委中(위중), 承山(승산).
② 膈關(격관), 大椎(대추), 肩髎(견료), 天宗(천종).
③ 대저(大杼), 격관(膈關), 수분(水分).- 針灸資生經
督脈 : 腰兪(요수), 委中(위중), 湧泉(용천), 小腸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脊中
(척중).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腰背部 筋肉强直(요배부근육강직) - 足太陽膀胱經 : 殷門(은문).
요배구루 (腰背佝僂)
등과 허리가 굽는(꼽추) 증세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肺兪(폐유).- 針灸大成
요배부연부조직손상 (腰背部軟部組織損傷)
요부연부조직손상 (腰部軟部組織損傷)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① 足太陽膀胱經 : 腎兪(신수).
② 志室(지실), 關元兪(관원수), 殷門(은문).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요배추통 (腰背墜痛)
요척추통(腰脊墜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下巨虛(하거허).
足太陽膀胱經 : 胞肓(포황), 合陽(합양), 承筋(승근).
督脈 : 中樞(중추), 神道(신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허리와 척추의 통증이 고환까지 미치는데 : 下巨虛(하거허).
3. 辨病取穴(변병취혈)
1) 腰脊墜痛(요배추통) : 曲池穴(곡지혈) 一寸五分 針刺 - 肘后歌 針灸大成
요배통 (腰背痛) ☜ 背痛(배통)
1. 참조문(參照文)
1) 腰痛(요통) 參照
2) 背痛(배통)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承扶(승부), 殷門(은문), 承山(승산), 委陽(위양,別絡,
三焦의 下合穴), 委中(위중,合,膀胱의 下合穴,血郄), 承筋(승근), 崑崙
(곤륜,經), 束骨(속골).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 督脈 : 脊中(척중), 中樞(중추), 至陽(지양).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 - 委中(위중), 崑崙(곤륜).
2) 足太陽膀胱經 : ① 白環兪(백환수), 委中(위중).- 百症賦
② 承山(승산), 腎兪(신수), 委中, 陽陵泉(양능천), 后溪(후계).
③ 承山(승산), 復溜(복류). 督脈 : 命門(명문), 腎兪(신수), 還跳(환도),
委中(위중).
3) 后谿(후계), 膈兪(격수), 命門(명문), 腎兪(신수), 委中(위중), 崑崙(곤륜), 大椎(대추),
肝兪(간수).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腰背痛(요배통) : 白環兪穴(백환유혈) 委中穴(위중혈) - 百症賦
2) 腰背痛 : 허리와 등줄기가 갑자기 땅기고 쥐날 때 - 肘后歌 曲池穴(곡지혈)을 1.5촌
침자하면 대단히 妙(묘)하다.
5. 辨病取穴(변병취혈)
腰背痛者, 腎氣虛弱而當風 坐臥觸冷之致也. 臟病不離其處 腑病居處无常 膀胱經及肝
膽經主之. 宜用缸灸 每處針刺每處缸灸 七次神效.
허리와 등이 아픈 것은 신장의 기능활동이 쇠약하고 풍사(風邪)의 침입을 받아서 몸져
눕거나 찬 기운을 받아서 생긴 병이다. 오장(五臟 肝心脾肺腎)으로 인한 요배통은 그
아픈 부위가 일정하고, 육부(六腑 膽小腸胃大腸膀胱)에 의해 생긴요배통은 그 아픈 부
위가 일정하지 않고 옮겨 다닌다.
허리와 등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및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족소양담경(足
少陽膽經)이 주관(主管)한다. 허리(腰)와 등(背)에 생긴 병을 치료하려면 마땅히 부항
(附缸)과 뜸(灸)을 써서 치료해야 하는데 아픈 부위마다 침으로 찌르고 나서 부항(附缸-
拔罐)을 붙이거나 뜸(灸)을 뜬다.
이렇게 7번 하면 신기한 효험을 얻는다.
1) 허리가 아파서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하는 증 “腰痛不能屈伸”
處方 : ⑴ 腎兪(신수), 委中(위중), 尾窮骨(미궁골)上一寸과 尾窮骨(미궁골)上一 寸左
右一寸에 각기 뜸 7장(各灸七壯)을 뜬다.
⑵ 팔꿈치 가로무니 4곳(곡추(曲䐐) 橫紋頭四處) 각 3장씩 뜸(灸)을 뜨는데 불
을 입으로 불어서 끈다. 만약 뜸기운이 환부에 이르지 않으면 병은 낫지
않는다.
⑶ 환자(患者)를 똑바로 서게 하고 대(竹)나무를 땅에서 배꼽(臍)까지재어 끊
은 것을, 발 뒷금치로부터 등골에 이르러 죽장(竹杖)끝이 닷는 부위에 환자
(患者) 나이만큼 뜸(灸)을 뜬다. 그런 다음 죽장(竹杖)을 숨겨두어 환자에게
모르게 한다. (?)
2) 허리가 아프고 뱃속에서 소리 나는 증 “腰痛腸鳴”
處方 : 胃兪穴(위수혈)에 나이만큼 뜸을 뜨고 大腸兪(대장수), 三陰交(삼음교) 太谿
(태계), 太冲(태충), 神闕穴(신궐혈)에 뜸100장 뜬다.
3) 등골뼈(spinal column)가 아프고 소변이 흐린 증 “腰脊疼痛 溺濁”
處方 : 章門穴(장문혈)에 뜸 100장과 膀胱兪(방광수), 腎兪(신수), 委中(위중), 次髎
(차료), 氣海穴(기해혈)에 뜸 100장 뜬다.
4) 노인의 허리 아픔 “老人腰痛”
處方 : 命門穴(명문혈)에 뜸을 3장 뜨고 腎兪穴(신수혈)에 나이만큼 뜸을 뜬다.
5) 등이 굽는 증 (hunchback) “腰腫痛”
處方 : 崑崙(곤륜), 委中(위중), 通里(통리), 章門穴(장문혈).
5. 이침(耳針)
耳穴 : 上耳背(상이배), 下耳背(하이배), 中耳背(중이배). - 經驗方 -
요저통 (腰骶痛)
腰骶骨(요저골, 腰骨, 耻骨)과 尾骨(미골)의 痛症(통증)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秩邊(질변).
足厥陰肝經 : 陰包(음포
요척 (腰脊)
1. 主治穴(주치혈)
1) 通利腰脊(통리요척)
督脈 : 命門(명문).
요척주통 (腰脊柱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
足太陽膀胱經 : 氣海兪(기해수).
督脈 : 懸樞(현추).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허리와 등줄기가 뻣뻣하고, 고개를 앞뒤로 굽힐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 申脈穴(신맥혈),
后刺 - 腰兪(요수), 膏肓(고황), 委中穴(위중혈).
☆ 委中穴(위중혈)에 紫脈(자맥)이 혈성 되었으면 이곳에서 放血(방혈)
한다.
2) 허리와 척추뼈가 아플 때
處方 : 先刺 - 申脈穴(신맥혈).-- 西江月
后刺 - 腎兪(신수), 人中(인중), 肩井(견정), 委中穴(위중 혈)을 治療한다.
요척추저골통 (腰脊椎骶骨痛)
1.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長强(장강).
요추간반돌출증 (腰椎間盤突出症)
추간반(椎間軟骨)은 Glass양 연골판, 선유륜, 수핵 등의 세 가지로 형성하고 있으며, 만일
추간판이 퇴행 변성하거나 또는 외상에 의하여 선유륜의 저항이 약화하거나 단열되면 수
핵이 자기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탈출되어 hernia를 일으키게 된다. 이것을 추간판
(hernia) 또는 디스크(Disc)라 한다. 好發部位 : 제4, 제5요 추간판이
症狀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sciatica)을 위시하여 achilles-tendon반사의 감퇴 하퇴 및
족부에 분포하고 있는 신경영역에 자각마비를 가져온다.
治療 : 요통(腰痛),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요배통(腰背痛) 등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中醫(중의)
典型 : 腰痛(요통), 下肢神經放射痛(하지신경방사통) 臀部(둔부)→ 大腿部(대퇴부) → 目國
窩(목국와) → 足后攣腰(족후련요) 伸膝(신슬) 加重步行疼痛(가중보행동통), 屈骨
寬(굴골관) 屈膝臥床(굴슬와상) 减輕(감경)
原則 : 疏經活血(소경활혈), 益腎健腰(익신건요).
取穴 : 腎兪(신수), 大腸兪(대장수), 環跳(환도), 秩邊(질변), 承扶(승부), 殷門(은문), 委中(위
중), 陽陵泉(양능천).
配穴 : 1) 腰痛(요통) : 阿是穴(아시혈. 壓痛点), 氣海兪(기해수), 上髎(상료), 次髎(차료).
2) 股痛(고통) : 風市(풍시), 犢鼻(독비).
3) 小腿(소퇴) : 飛揚(비양), 承山(승산), 崑崙(곤륜).
其他 : 熱敷推拿(열부추나) 1次/日 10次/療程 當歸注射液(당귀주사액), Vit B1-B2
요통 (腰痛) Lumbago
본증은 요부연조직손상, 筋肉風濕(근육풍습), 脊椎病(척추병)에서 많이 나타난다.
본절에는 寒濕腰痛(한습요통), 勞損腰痛(노손요통)과 腎虛腰痛(신허요통)을 중점으로 서
술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寒濕腰痛(한습요통)
證狀 : 腰冷痛(요냉통)으로 허리가 무겁고 시큰하며 저리고 運動不利(운동불리)하며,
당기고 아파서 屈伸不利(굴신불리)하고, 腰痛(요통)이 臀部(둔부)와 大腿部(대퇴
부)까지 뻗치므로 누워 있어도 痛證(통증)이 减少(감소)되지 않고 氣候(기후)가
차거나 흐리고 비오면 痛證(통증)은 더욱 甚(심)해진다. 舌苔白膩(설태백니), 脈
沉濡(맥침유)하다.
配穴 : 風府(풍부), 腰陽關(요양관).
方義 : ① 風府(풍부)는 祛風散寒(거풍산한)하며
② 腰陽關(요양관)과 함께 督脈(독맥)에 속하며 모두 陽氣(양기)를 宣導(선도)하
는 작용이 있다.
2) 勞損腰痛(노손요통)
證狀 : 허리를 다친 지 오래 되거나 혹은 오랜 腰痛(요통)이 過度(과도)하게 疲勞(피로)
하면 嚴重(엄중)해지며 허리가 强直酸痛(강직산통)하고, 痛處固定(통처고정)이
며, 屈伸回轉不利(굴신과 회전이 불이)하고, 舌質或有瘀班(설질혹유어반), 脈沉
澁(맥침삽).
配穴 : 膈兪(격수), 次髎(차료).
方義 : 膈兪(격수)는 血(혈)의 會穴(회혈)이며 次髎(차료)와 합하여 膀胱經氣(방광경기)
를 通(통)하며 活絡行瘀(활락행어)로 허리 筋肉損傷(근육손상)을 治療(치료)한
다.
3) 腎虛腰痛(신허요통)
證狀 : 徐徐히 發生(발생)되며 늘늘히 항상 아픈 것이 腰部酸痛(요부산통)을 爲主(위주)
로 하고 다리와 무릎이 无力(무력)하며 疲勞(피로)하면 甚(심)해지고 누워있으면
輕(경)해진다.
더불어
⑴ 腎陽虛(신양허) : 疲勞(피로), 面色蒼白(면색창백), 手足冷(수족냉)하고 舌淡
(설담), 脈沉細(맥침세).
⑵ 腎陰虛(신음허) : 虛煩(허번), 面紅(면홍), 手足心熱(수족심열), 舌紅赤(설홍적),
脈細數(맥세삭).
配穴 : 命門(명문), 志室(지실), 太谿(태계).
方義 : 命門(명문)에 灸(구)하고
志室(지실)을 補(보)하여 溫補腎陽(온보신양)하고
太谿(태계)는 少陰經(족소음경)의 原穴(원혈)인데 臟病(장병)은 原穴(원혈)을 取
(취)해야 한다는 뜻이다.
主穴 : 腎兪(신수), 委中(위중), 局部穴(국부혈) 혹은 阿是穴(아시혈).
方義 : 腎兪(신수)를 取(취)하여 腎氣(신기)를 補益(보익)하면 腰肌强直(요기강직)을 治
療(치료)하고, 委中(위중)을 取(취)하여 足太陽經氣(족태양경기)를 疏通(소통)하
는데 이는 허리와 背部(배부)의 疼痛(동통)을 치료하는 要穴(요혈)이다.
局部穴(국부혈)과 阿是穴(아시혈)은 近部取穴(근부취혈)에 속하는데 通經活絡
(통경활락)과 痛作用(지통작용)이 있다. - 中醫 -
1. 參照文(참조문)
1) 腰背痛 參照
2) 신경통 (神經痛) - 요추부(腰椎部), 요배부(腰背部) 등 신경통(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髀關(비관).
足太陰脾經 : 地機(지기).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養老(양노,郄.-急性).
足太陽膀胱經 :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氣海兪(기해수), 大腸兪(대장수), 關元兪
(관원수), 小腸兪(소장수), 中膂兪(중려수), 上髎(상료), 次髎(차료), 中髎
(중료), 下髎(하료), 會陽(회양), 委中(위중,合,膀胱(의 下合穴), 肓門(황
문), 志室(지실), 胞肓(포황), 飛揚(비양), 跗陽(부양), 崑崙(곤륜,經), 仆參
(복삼), 金門(금문,郄).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大鍾(대종,絡-太陽經), 復溜(복류,經), 中注(중주), 肓兪
(황수).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五樞(오추,帶脈과 交會), 還跳(환도), 地五會(지오회).
足厥陰肝經 : 陰包(음포). 任脈 : 神闕(신궐), 關元(관원).
督脈 : 腰兪(요수), 命門(명문), 中樞(중추), 神道(신도).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腎虛), 십칠추(十七椎).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 ① 委中(위중), 崑崙(곤륜).
② 委中(위중)에 求(구)한다.
2) 足太陽膀胱經 ① 關元兪(관원수), 腎兪(신수), 委中(위중).
② 殷門(은문), 腎兪(신수), 委陽(위양).- 屈伸不利(굴신불리)
③ 委陽(위양), 太白(태백), 陰陵泉(음능천), 行間(행간).- 上同.
④ 委中(위중), 腎兪(신수), 崑崙(곤륜).- 針灸大成
⑤ 志室(지실), 委中(위중). - 腎虛腰痛(신허요통)
⑥ 飛揚(비양), 還跳(환도),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⑦ 跗陽(부양), 風市(풍시), 委中(위중), 行間(행간).
⑧ 崑崙(곤륜), 還跳(환도), 委中(위중).
⑨ 束骨(속골), 飛揚(비양), 承筋(승근).
督脈 : 懸樞(현추), 腎兪(신수), 委中(위중).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腎兪(신수), 委中(위중).
3) 辨病取穴(변병취혈)
⑴ 腎虛腰痛(신허요통)
①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 腎兪(신수), 志室(지실).
②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腎兪(신수), 委中(위중), 三陰交(삼음교). ☜ 秘方
③ 腎虛腰痛(신허요통) 小便頻數(소변빈삭) : 腎兪穴(신유혈) - 勝玉歌
④ 腎虛腰痛(신허요통)으로 움직이기 어려울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腎兪(신수), 脊中(척중), 委中穴(위중혈)을 治療한다.
⑤ 腎虛腰痛(신허요통) 運動不利(운동불리) : 腎兪穴(신유혈) 灸法(구법) - 玉龍歌
⑵ 腰部 屈伸不利(굴신불리)
① 殷門(은문), 委陽(위양).- 針灸資生經
② 上次中下髎를 눌러서 몹시 아픈곳에 針刺 - 大成
③ 腰痛으로 일어서기가 어려울 때
處方 : 先刺 - 申脈穴(신맥혈), -西江月
后刺 - 然谷(연곡), 膏肓(고황), 委中(위중), 腎兪穴(신유혈)을治療한다.
④ 寒留(한류)즉 허리와 사타구니가 아플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五處(오처), 委中(위중), 三陰交穴(삼음교혈)을 治療.
⑤ 腰扭傷(요뉴상) : 허리를 삐어서 일어서기가 곤란할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脊中(척중), 腰兪(요수), 腎兪(신수), 委中穴(위중혈).
⑥ 虛弱(허약)하여 濕滯(습체)로 생긴 腰痛(요통)으로 行動(행동)이 无力(무력)해진
것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脊中(척중), 腰兪(요수), 腎兪(신수), 委中穴(위중혈)을 治療한다.
⑶ 腰薦椎附 神經痛(요천추부신경통) - 膀胱兪(방광수).
⑷ 刺腰痛論(자요통론)
§ 諸腰痛時(제요통시) 病在左側時 治右側(통재좌측시 치우측), 病在右側時治左側
(병재우측시치좌측)
① 膀胱經出於腰痛(방광경출어요통) : 墜項脊椎(추항척추), 重脊椎與臀部(중척추
여둔부)
處方 : 委中穴(위중혈) 刺針 或瀉血(침자혹사혈),崑崙穴(곤륜혈) 瀉血(사혈)한다.
- 春節(춘절)에는 木旺(목왕)하고 水氣衰弱(수기쇠약)하니 瀉血(사혈) 하지
안는다.
② 膽經出於腰痛(담경출어요통) : 腰部刺痛(요부자통), 屈伸不利(굴신불리), 項部運
動不利(항부운동불이)
處方 : 陽陵泉穴(양능천혈) 瀉血(사혈)
- 夏節期(하절기)에는 火旺(화왕)하여 木氣衰弱(목기쇠약)하므로 여름에
는 瀉血(사혈)하지 않는다.
③ 胃經出於腰痛(위경출어요통) : 項部 運動不利(항부 운동불이) 움직이면 움직
일 수 있을 것 같고, 슬퍼하기를 잘 한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下巨虛(하거허)에 出血(출혈)하면 治愈
(치유)된다.
- 秋節期(추절기)에는 金旺(금왕)하고 土氣不足(토기부족) 하므로 가을
에는 瀉血(사혈)을 하지 않는다.
④ 腎經出於腰痛(신경출어요통) : 墜痛脊椎與脊椎內側(추통척추여척추내측)
處方 : 復溜穴(복류혈) 瀉血(사혈)
- 春節期(춘절기)에는 瀉血(사혈)하지 않는다. 出血(출혈)이 甚(심)하면
발을 디딜 수 없다. 春節期(춘절기)에는 木旺(목왕) 水氣衰弱(수기쇠
약) 하므로 瀉血(사혈)을 하지 않는다.
⑤ 肝經出於腰痛(간경출어요통) : 角弓反張(각궁반장), 活動不利(활동불리).
處方 : 蠡泃穴(려구혈)을 適當(적당)히 비벼준 다음 治療(치료)한다. 黙黙不語
者(묵묵불어자)는 三痏穴(삼유혈, 寄穴)을 治療(치료)한다.
⑥ 解脈(해맥, 絡脈一種) :
㉠ 症狀 : 腰痛墜徹脊椎(요통추철척추), 目昏(목혼), 尿失禁(뇨실금).
處方 : 委中穴(위중혈) - 色靑或色黑瘀血(색청 혹 색흑 어혈)이 보이는데 이
를 瀉血(사혈)하여 鮮紅色(선홍색)의 血(혈)이 나오면 치려를 끝낸다.
㉡ 症狀 : 脇部墜感(협부추감), 腰部絶痛無休(요부절통무휴), 易驚(이경), 易恐
(이공)
處方 : 발, 오금을 보면 結絡(결락)이 되어 수수나 쌀알만 한 黑色(흑색)의
瘀血(어혈)이 있다. 이를 찔러서 出血시키면 까만 피가 나온다. 그것
을 쭉 짜면 赤色血(적색혈)이 이어서 나오는데 그때에 瀉血(사혈)을
중지한다.
⑦ 同陰脈出於腰痛(동음맥출어요통) : 작은 추가 그 가운데 있는 것과 같이 아프
고 갑자기 腫氣(종기)가생긴다.
處方 : 治同陰脈(치동음맥) - 絶骨(절골), 陽輔(양보), 申脈穴(신맥혈).
⑧ 陽維脈出於腰痛(양유맥출어요통) : 痛症部位(통증부위)가 갑자기 腫起(종 기)
가 된다.
處方 : 治陽維脈(치양유맥) - 金門穴(금문혈), 承山穴(승산혈).
⑨ 冲脈出於腰痛(충맥출어요통) : 屈伸不利(굴신불리), 腰伸則驚倒(요신칙경 도)
- 過勞損傷(과로손상).
處方 : 委陽穴(위양혈) 或 殷門穴(은문혈) 瀉血(사혈).
⑩ 會陰脈出於腰痛(회음맥출어요통) : 痛症部位汗出(통증부위한출), 乾汗后喜飮
(건한후희음), 水飮后喜走行(수음후희보
행).
處方 : 委中穴(위중혈) 瀉瘀血(사어혈), 申脈穴(신맥혈), 承山穴(승산혈).
⑪ 飛陽脈出於腰痛(비양맥출어요통) : 痛症部位(통증부위) 急激痛甚(급격통 심)
痛甚則悲哀或恐怖(통심칙 비애 혹 공포)
處方 : 筑賓穴(축빈혈).
⑫ 昌陽脈出於腰痛(창양맥출어요통) : 腰痛墜徹胸部(요통추철흉부), 目昏(목 혼),
甚則手足痙攣(심칙 수족경련), 舌强不語
(설강불어).
處方 : 復溜穴(복류혈), 內踝(내과)위 二寸(脾經后) 治左右
⑬ 散脈出於腰痛(산맥출어요통) : 冲脈 或脾經別脈(충맥혹바경별맥) 身熱(신열),
甚則煩躁(심칙 번조), 腰下提木(요하제목), 甚則
尿失禁(심칙 뇨실금), 消瘦(소수).
處方 : 地機穴(지기혈) 좌우를 치료한다.
⑭ 肉里脈出於腰痛(육리맥출어요통) : 不能咳(불능해), 咳則筋肉萎縮(해칙 근육
위축), 痛症加甚(통증가심).
處方 : 絶骨穴(절골혈)과 膀胱經(방광경) 중간에 있는 肉里之脈(육리지맥)을
治療(치료)한다.
⑮ 症狀 : ㉠ 腰痛時(요통시), 脊椎側部痛症(척추 측부 통증)이 時有頭痛(시유두
통)을 유발, 目昏(목혼), 痙攣(경련), 不能立身(불능입신)
處方 : 委中穴(위중혈)에서 瀉血(사혈).
㉡ 腰痛折腰感(요통절요감), 屈伸不利(굴신불리), 不能運動(불능운동).
處方 : 治膀胱經(치방광경) - 束骨(속골), 京骨(경골), 崑崙(곤륜), 申脈
(신맥), 僕參(복삼).
㉢ 腰痛引起(요통인기), 墜痛脊椎內側(추통척추내측).
處方 : 治腎經(치신경) - 復溜穴(복류혈).
㉣ 腰痛引起(요통인기) 墜痛小腹與側腹部(추통소복여측복부), 不擧腰
部(불거요부).
處方 : 治八髎穴(치팔료혈) 或下髎穴 近部(혹 하료혈 부근)
⑯ 症狀 과 主治經(주치경)
㉠ 腰痛引起 上部冷感 : 治 膀胱經(방광경) 胃經(위경)
㉡ 腰痛引起 上部熱感 : 治 肝經(간경)
㉢ 腰痛引起 上部熱感 屈伸不利 : 治 膽經(담경)
㉣ 腰痛引起 中焦熱感 氣喘 : 治 腎經(신경), 委中穴(위중혈) 瀉血
㉤ 腰痛引起 上部冷感 項背强幾幾 : 治 胃經(위경)
㉥ 腰痛引起 上部熱感 : 治 脾經(비경)
㉦ 腰痛引起 中部熱感 氣喘 : 治 腎經(신경)
㉧ 腰痛引起 便秘症 : 治 腎經(신경)
㉨ 腰痛引起 小腹脹滿 : 治 肝經(간경)
⑰ 腰痛(요통) 五種(5종) : 委中穴(위중혈) - 靈光賦
⑱ 腰痛(요통)
㉠ : 陰陵泉(음능천), 陽陵泉(양능천), 申脈(신맥), 照海(조해), 足三里穴(족삼리
혈) - 靈光賦
㉡ : 中髎穴(중료혈) - 勝玉歌
㉢ : 環跳穴(환도혈), 委中穴(위중혈). - 雜病穴
⑸ 이침(耳針)
耳穴(이혈) : 1) 外生殖器(외생식기), 腎(신).
2)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 上耳背(상이배).
4. 舍岩
1) 項脊如錘(항척여추) : 모가지(項部)와 등성마루뼈(大椎穴處)위에 쇳덩어리를 놓고 누르
는것 같은 症
處方 : 膽傷(담상) - 通谷(통곡), 俠谿(협계) 補, 商陽(상양) 竅陰(규음) 瀉.
2) 筋骨如折(근골여절) : 筋骨(근골)을 잡아 꺾는 것 같은 痛症(통증)
處方 : 大腸傷(대장상) -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 陽谿(양계) 陽谷(양곡) 瀉.
3) 屈伸刺痛(굴신자통) : 屈伸(굴신)하면 찌르는 것 같은 痛症(통증)
處方 : 腎傷(신상)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4) 張弓弩弦(장궁노현) : 머리가 발에 닿을 만큼 꾸부러진 症狀
處方 : 肺傷(폐상)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病源(병원)과 證治槪論(증치개론)
杏坡按(행파안) : 腰(요)라 함은 신체의 兩側空處(양측공처) 즉 肋骨(늑골)과 髀 骨(비골) 사
이를 通稱(통 칭) 함인데 屈伸(굴신)의 關要(관요)가 된다하여 腰(요)라 한
것이며 腰痛(요통)은 혹은 六淫(육음)릐 外感(외감)으로, 혹은 色欲(색욕)의 內傷(내상)에 의
하여 基因(기인)하는 것이나 대체로 內傷(내상)이 많고 外感(외감)이 적다.
假令(가령) 腎臟(신장)의 眞氣(진기)가 제대로 布護(포호)된다면 六淫(육음)의 氣(기)가 어
찌 能(능)히 害(해)가 될 것이랴 오직 腎臟(신장)이 虛傷(허상)하여 帶脈(대맥)의 氣(기)가 獨
足(독족)하지 못하므로 邪(사)가 손쉽게 틈을 타 들어가서 痛(통)이 되는 것이다. 辨之(변지)
의 법은 아플 때에 悠悠不止(유유불지)하고 乏力--軟(핍력--연)한 것은 房欲(방욕)에 의한
傷腎(상신)이오 잔허리가 잡아 뽑는 것 같고, 四肢(사지)가 倦怠(권태)한 것은 勞力(노력)에
의한 傷氣(상기)이요, 얼굴이 시커멓고 허리가 꼿꼿해서 오래 서있지 못하는 것은 失志傷
心(실지상심)이며, 飮食(음식)이 不能(불능)한 것은 憂思傷脾(우사상비)로 脾氣(비기)의 不
行(불행)이고, 脇腰(협요)가 脹悶(창민)하고 筋弛白淫(근이백음)한 것은 --怒傷肝(--노상간)
이나 腎肝(신간)이 同系(동계)이므로 冷痛沈重(냉통침중)하며 날이 우직하면 發(발)하는 것
은 濕(습)이요, 足冷背强(족냉배강)하여 洒浙拘急(쇄절구급)한 것은 寒(한)이고, 좌우를 牽
連(견연)하여 脚膝(각슬)이 强急(강급)한 것은 風(풍)이며, 왼몸의 俯仰(부앙)이 不能(불능)
하고 動搖(동요)하여 轉側(전측)이 불능한 것은 閃挫(섬좌, 빈것)요 有形作痛(유형작통)하
며, 皮膚(피부)가 淸白(청백)한 것은 痰(담)이요,无形作痛(무형작통)하여 脹滿連腹(창만연
복)한 것은 氣(기)요, 便閉尿赤(변폐뇨적)하며 煩躁口渴(번조구갈)한 것은 膏粱(고량)의 積
熱(적열)이요, 晝輕夜重(주경야중)하고 便黑尿淸(변흑뇨청)한 것은 跌損(질손)의 血瘀(혈
어)이며, 其他(기타) 脈(맥)이 大(대)한 것은 腎虛(신허)이고, 澁(삽)한 것은 瘀血(어혈)이며,
緩(완)한 것은 濕(습)이고, 滑(활)한 것은 痰(담)이며, 緊(긴)한 것은 寒(한)이다. 浮而弦(부이
현)한 것은 風(풍)이고, 沉而實(침이실)한 것은 閃肭(섬눌)이다.
舍岩(사암)의 經驗方(경험방)
大凡(대범) 腰痛(요통)은 모두 膀胱當瀉(방광당사)에 關聯(관련)되는 것이거늘 時醫(시의)
들이 腰痛(요통)을 다스린다는 자가 모두 補瀉法(보사법)을 알지 못하고 다만 委中(위중)
을 刺(자)하고, 혹은 崑崙(곤륜)을 刺(자)하여 혹 낫기도 하고 혹 안 낫는 것은 허물을 모두
病者(병자)의 調理(조리)와 家庭(가정)의 供饋(공궤)에 돌려보내고 肺(폐), 腎(신), 膽(담), 大
腸(대장)의 部分(부분)을 區別(구별)하여 다스릴 줄을 알지 못하니 한탄한들 뭐할까보냐
腰痛(요통)은 커녕 혹은 瘰癧(라력)이 생겨서 肩前陷中(견전함중)으로부터 耳珠下(이주하)
에 이르기까지 貫珠狀(관주상)을 成(성)한 것이라도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보), 陽谿(양
계) 陽谷(양곡)을 瀉(사)하는 大腸正格(대장정격)을 낫지 않는 자가 없더라.
1) 瞳子(동자) 하나가 年十餘(연십여)에 오른 다리를 절고 踝骨(과골) 아래가 돌아가면서
俊痛(준통)하며, 좌우 귀밑에 큰 結核(결핵)이 十餘(십여)이며, 小者(소
자)가 不計其數(불계기수)인데 대부분이 大膓分野(대장분야)에 있으며 兩眼黑睛(양안
흑정)에 紅白絲狀物(홍백사상물)이 亂散(난산)하기를 안개와 같거늘 大膓正格(대장정
격)으로써 治(치) 하였더니 四五度(사오도)에 快愈(쾌유)하더라.
2) 한 남자가 年十餘(연십여)에 第七八椎(제칠팔추)가(腰椎) 구부러지기 주먹과 같아서 行
步(행보)할 적에는 兩手(양수)로 무릎을 짚은 지가 벌써 十年有餘(십년유여)러니 一針客
(일침객)의 壯談(장담)하는 者(자)가 있어서 委中(위중)을 刺(자)한 후부터 담박(단번에)
仰臥不起(앙와불기)하며 兩脚(양각)을 뻗고 구부리지 못하며 부드럽기가 힘줄이 없는
것 같으며 中封穴(중봉혈) 近處(근처)를 만진즉 戰掉搖搖(전도요요)하거능 내가 처음에
는 筋痿(근위)인가 疑心(의심)하여 肝經正格(간경정격)을 썼더니 數月后(수월후)에 眼熱
(안열)이 猝發(졸발)하고 脣口(순구)가 糜爛(미란)하며 兩眼黑白睛上(양안흑백정상)에
團團(단단) 붉고 검은 것이 각각 3~4개씩 生起(생기)어 視物(시물)이 不得(불득)하는지
라 肺正格(폐정격)을 用(용)하기 數度(수도)에 兩眼(양안)이 如常(여상)하고, 兩脚(양각)
을 겨우 屈伸(굴신)하며 腰上起骨(요상기골)이 小减(소감)한 것 같더니 不可避(불가피)
한 事情(사정)이 있어 계속 치료하지 못하고 같다하더라 아까운 것은 度數(도수)를 채우
지 못한 것이 恨(한)이다.
3) 한 부인이 항상 腰痛(요통)의 苦(고)로 먹지도 못하고,全身(전신)에 浮氣(부기)가 있는데
頭, 面(두,면)이 尤重(우중)하며 癮疹(은진)이 生(생)하고 혹은 腹痛(복통)이 있
는 지라 大腸(대장)의 虛(허)임으로 大膓正格(대장정격)을 썼더니 諸證(제증)이 快差(쾌
차)하더라.
4) 한 남자가 年五十(연오십)에 腰痛(요통)과 함께 右脚(우각)이 无力(무력)한지라 任意(임
의) 屢年(루년)이려니 項部(항부)를 診察(진찰)한 결과 大膓分野(대장분야)에
結核(결핵)이 있음으로 大膓正(대장정격)을 썻더니 數度(수도)에 낫더라.
5) 한 부인이 第九腰椎(제구요추)가 구부러지고 일어나면 前后陰(전후음)이 땅기고 아프
며 양쪽 環跳以下(환도이하) 오금(膕(괵)위가 刺痛不仁(자통불인)하며 龜背
(구배)가 되어 張弓弩弦(장궁노현)한지라 肺經正格(폐경정격)을 쓴 결과 諸痛(제통)이
盡除(진제)하고 椎曲(추곡)이 반쯤 퍼졌더니 側近者(측근자)의 詛毁止挽(저훼지만)으로
數度(수도)를 진행했으나 未盡(미진)한 까닭에 快效(쾌효)를 보지 못하였으니 可惜(가
석)한 일이다.
6) 한 남자가 年近六十(연근육십)에 龜背(구배, 곱추)를 患(환)하여 입맛이 쓰고 먹지를 못
하며, 胸中(흉중)이 찢어지는 것 같고 똑바로 서면 身長(신장)이 平日(평일)에
半(반)에 不過(불과)한지라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사)
하였더니 三度(삼도)에 行步(행보)가 自若(자약)하고, 其背(기배)가 平日(평일)에 비하
여 少異(소이)할 뿐이려니 하여 다시 六七度(육칠도)에 快痊(쾌전)하였다.
7) 한 남자가 年二十(연이십)에 龜背(구배)를 患(환)하기 시작하여 나이를 먹음에 따라 더
욱 甚(심)한지라 肺經正格(폐경정격)을 썼더니 一度(일도)에 반쯤 펴지고 仰
臥(앙와)하면 등에서 折骨聲(절골성)이 나더라 8) 내가(舍岩自身) 少時(소시)로부터 隱
隱(은은)히 腰痛(요통)이 있고 혹 換節期(환절기)에는 左右手臂(좌우수비)가 水腫(수종)
과 같았다가 혹 二三月(이삼월)에 풀리기도 하고 혹은 四節(사절)을 풀리지 않기도 하
며 혹은 가을이면 尤劇(우극)하여 胸背(흉배)가 瞀重(무중)하고 上腹(상복)이 如飽(여
포)하며, 耳鳴(이명)이 大作(대작)하고 때로는 肅然(숙연)히 잠이 드나 때로는 恐怖證(공
포증)을 느끼거늘 널리 藥肆(약사)에 물었더니 혹은 內重(내중)이라고도 하고, 혹은 心
火(심화)라고도 하여 百口(백구)가 異說(이설)하고, 한사람도 大膓證候(대장증후)인것
을 말하는 사람이 없더라! 시체 사람들이 잘못 虛勞(허로)라 指稱(지칭)하여 생명을 버
리는 자가 十常八九(십상팔구)로 이것이 大腹(대복)의 虛(허)이다. 나의 三弟(삼제)와 長
姪(장질)이 모두 이것으로써 그릇 쳤다.
얼마 전에(何故) 母胎不足(모태부족)과 痘經(두경)의 餘熱(여열)로 혹은 項核(항핵)이
되고, 혹은 喉熱(후열)이 되며, 혹은 입이 마르고 재채기를 잘 하고, 혹은 脇腋(협액)이
아프며, 혹은 疝氣(산기)도 되고, 혹은 風疾(풍질)도 되며, 혹은 噎膈(열격)도 되고, 혹은
眼疾(안질)도 된다.
此等諸證(차등제증)은 이른바 禀賦不足(품부부족)으로서 가장 恨(한)되는 것은 晩覺(만
각)이다. 經閱(경열)이 아니면 如神(여신)한 此理(차리)를 엇지 알까보냐!
요퇴통 (腰腿痛)
1. 參照文(참조문)
1) 좌골신경통 (坐骨神經痛)
2) 요고통 (腰股痛)
3) 요둔통 (腰臀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承山(승산), 飛揚(비양,絡-足少陰), 申脈(신맥,陽交脈
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脈), 金門(금문,郄), 京骨(경골,原).
足少陽膽經 : 居髎(거료,陽交脈과 交會), 還跳(환도,太陽經과 交會), 風市(풍시).
下肢部奇穴 : 外陰廉(외음렴).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① 腎兪(신수), 腎脊穴(신척혈), 挺腰穴(정요혈).
② 承扶(승부), 關元兪(관원수), 坐骨(좌골), 委中(위중).
③ 秩邊(질변), 殷門(은문), 陽陵泉(양능천).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腰椎(요추)와 다리(股)에 痛症(통증) : 委中穴(위중혈) - 痛玄指要賦
2) 다리(股)와 등줄기(脊) 疼痛(동통) : 商丘穴(상구혈) - 勝玉歌 - 針灸大成
요협동통 (腰脇疼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帶脈(대맥).
足厥陰肝經 : 章門(장문).
저골관절질환 (骶骨關節疾患) : 요표관절질환(腰藨關節疾患)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上髎(상료,絡-少陽經), 중료(中髎), 下髎(하료).
저골관절통 (骶骨關節痛)
표복관절통(藨腹關節痛), 표요관절질환(藨腰關節疾患) - 삼각골관절통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저골통 (骶骨痛) : 腰藨部痛(요표부통)
1. 參照文(참조문)
1) 저골관절통 (骶骨關節痛)
2) 좌골신경통 (坐骨神經痛)
3) 미저골통 (尾骶骨痛)
4) 선골부통 (仙骨部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膀胱兪(방광수), 中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
督脈 : 腰陽關(요양관). 項背腰部奇穴 : 十七椎下(십칠추하).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項背腰部奇穴 : 十七椎(십칠추), 秩邊(질변), 關元兪(관원수).
요슬마비 (腰膝麻痹)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陰市(음시).
요슬무력 (腰膝无力)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腎兪(신수).
요슬산통 (腰膝酸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陰市(음시).
足太陽膀胱經 : 合陽(합양).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腰膝相引急痛(요슬상인급통)
足少陽膽經 : 還跳(환도), 至陰(지음).- 針灸資生經
요슬질환 (腰膝疾患)
1. 針灸大成 1) 肘后歌 ① 腰膝(요슬)이 뻣뻣하고 痛症(통증) : 交信穴(교신혈)
② 腰膝痛(요슬통) 久不愈(구불유) : 崑崙穴(곤륜), 太溪穴(태계혈).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