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창 (連珠瘡)
瘰癧(라력)
본병은 목과 귀앞 및 뒤에 많이 발생하게 되며 또 턱아래 缺盆(결분), 가슴, 겨드랑이까
지 뻗쳐 나갈 수도 있다. 結核(결핵)이 주렁주렁(累累) 마치 구슬을 꿰맨뜻하기 때문에
瘰癧(라력)이라 부른다.
西醫學(서의학)의 淋巴結結核(임파결결핵)은 본절의 論治(론치)를 참고하시라!
病因病機(병인병기)
情志不暢(정지불창)하면 肝氣(간기)가 鬱結(울결)되어 氣鬱化火(기울화화)하므로 火氣
(화기)에 의한 煉液(련액)이 痰(담)으로 되어 經絡(경락)을 凝阻(응조)하고, 이것이 오래
되면 腎水(신수)가 소모되어 肝火(간화)가 더욱 亢盛(항성)하게 되며, 담과 화(痰火)는
서로 응결되어 結核(결핵)을 형성하고 점차로 나아가 血瘀肉腐(혈어육부)로 潰爛(궤
란)되면 잘 아물지 않는다.
辨證論治(변증론치)
처음에는 하나 혹은 몇 알정도의 작은 대추씨만하고, 큰 것은 梅, 李(매,리)만 하다. 피
부색을 변하지 않고, 누르면 딴딴하고, 밀면 움직이며, 뜨겁거나 아프지도 않다. 병이
오래되면 瘰癧(라력)은 점차로 커지며 피부표면과 粘連(점련)되고 어떤 것은 몇 개씩
서로 붙어서 밀어도 움직이지 않고 輕(경)한 통증이 생긴다. 터질 무렵에는 피부색이
暗紅色(암홍색)이 되고 통증도 더욱 심해지며, 터진 후에는 맑은 고름이 나온다.
1) 肝氣鬱滯(간기울체)
證狀 : 정신이 우울하고, 가슴과 옆구리가 팽창하는 통증이 나며, 胃(위)가 먹먹하고, 식욕이 없으며, 설태는 엷고(苔薄), 맥은 현(脈弦)하다.
治則 : 疏肝解鬱(소간해울).
- 厥陰(궐음),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取(취)한다.
處方 : 章門(장문), 天井(천정), 足臨泣(족임읍).
方義 : ① 脾(비)의 募穴(모혈) 章門(장문)은 足厥陰(족궐음), 少陽(소양)의 會(회) 이며
그 공능은 肝膽(간담)을 疏泄(소설)하고, 健脾化濕(건비화습)하여 痰(담)을
解除(해제)한다.
② 天井(천정) : 瘰癧(라력)을 치료하는 경험혈이고 따라서 手少陽(수소양)의
合穴(합혈)이며, 土(토)에 속하는데 “實則瀉其子(실칙사기자)”
의 원칙에 의하여 天井穴(천정혈)을 瀉(사)하면 三焦(삼초)의
火(화)를 재거한다.
③ 足臨泣(족임읍)과 배합하면 목부위의 瘰癧(라력)을 없앤다.
만약 : ① 가슴 또는 옆구리에 脹痛(창통)이 있으면 :
加 陽陵泉(양능천), 內關(내관). - 疏肝解鬱(소간해울)하고
② 胃(위)가 먹먹하고 식욕이 없으면 :
加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 健中消痞(건중소비) 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10~25분 留針(류침)하며 매일 혹은 격일에 1번씩 침자하고 10번을 1療程
(료정)으로 하며, 매 療程(료정)의 간격은 7일이다.
2) 腎陰虧虛(신음휴허)
證狀 : 瘰癧(라력)이 터진 후 오래토록 아물지 않고, 병행해서 骨蒸潮熱(골증조열),
盜汗(도한), 咳嗽(해수), 虛煩不寐(허번불매), 頭暈(두운), 神疲(신피) 증상이 나
타나며, 舌紅少苔(설홍소태), 脈細數(맥세삭)하다.
治則 : 滋陰降火(자음강화).- 手少陰(수소음), 足少陰經穴(족소음경혈)을 위주로 取
(취)한다.
處方 : 天井(천정), 少海(소해), 百勞(백노), 腎兪(신수), 脾兪(비수).
方義 : ① 少海(소해)는 手少陽(수소양)의 合穴(합혈)이며, 心火(심화)를 눌러 痰濁(담
탁)을 없애고,
② 天井穴(천정혈)과 배합하면 瘰癧(라력)을 치료하는 처방이 된다.
③ 百勞(백노) : 經外寄穴(경외기혈)이며 瘰癧(라력)을 主治(주치)한다.
④ 腎兪(신수) : 滋陰降火(자음강화)하고,
⑤ 脾兪(비수) : 健脾益氣(건비익기)하는데 扶正固本(부정고본)의 치료방법이
다.
만일 : ① 盜汗(도한) : 加 陰郄(음극), 膏肓(고황) - 斂陰止汗(렴음지한)하고
② 咳嗽(해수) : 加 列缺(열결), 肺兪(폐수) - 補肺止嗽(보폐지수)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補法(보법)을 사용한다.
3) 兼感風熱(겸감풍열)
證狀 : 發熱(발열), 頭痛(두통)이 생기며, 뼈마디가 시큰거리고 아프며, 舌苔薄黃(설태박황), 脈浮數(맥부삭)이다.
治則 : 疏風淸熱(소풍청열).- 陽明(양명),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取(취) 한다.
處方 : 曲池(곡지),支溝(지구), 肘尖(주첨), 章門(장문).
方義 : ① 曲池(곡지)는 手陽明(수양명)의 合穴(합혈)이며, 發汗淸熱(발한청열)의 작
용을 하고
② 支溝(지구) : 手陽明(수양명)의 經穴(경혈)이며 疏風解表(소풍해표)의 작용
을 하고
③ 章門(장문) : 瘰癧(라력)을 主治(주치)하고
④ 肘尖(주첨) : 瘰癧(라력)을 치료하는 經驗穴(경험혈)이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1. 參照文(참조문)
1) 림파선결핵 (淋巴腺結核) - 頸部
2. 主治穴(주치혈)
1) 消散(소산) : 天鼎(천정), 小海(소해), 肘尖(주첨), 臂臑(비노), 五里(오리), 建里(건리).
2) 手陽明大腸經 : 手三里(수삼리), 曲池(곡지), 手五里(수오리), 臂臑(비노), 肩髃(견우),
巨骨(거골), 天鼎(천정). 扶突(부돌).
足陽明胃經 : 大迎(대영), 人迎(인영), 水突(수돌), 氣舍(기사), 缺盆(결분).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少海(소해).
手太陽小腸經 : 天容(천용).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 支泃(지구), 天井(천정), 臑會(노회), 天牖(천유), 翳風(예
풍).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陽輔(양보).
項背腰部 : 百勞(백로), 痞根(비근). 連珠瘡 : 肘尖(주첨).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大迎(대영), 臂臑(비노).
手少陰心經 : 少海(소해), 天鼎(천정).
手少陽三焦經 : 天井(천정), 翳風(예풍), 百勞(백로).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曲池(곡지), 大迎穴(대영혈)에는 灸法(구법).
2) 症治穴(증치혈)
⑴ 連珠瘡(연주창) - 天鼎(천정), 少海(소해), 肘尖(주첨), 臂臑(비노), 五里(오리), 建
里(건리).
⑵ 項部(항부) 連珠瘡(연주창) : 翳風穴(예풍혈) - 玉龍歌
⑶ 連珠瘡(연주창), 두드러기 : 天井穴(천정혈) 灸七壯(뜸7장).
⑷ 連珠瘡(연주창) : ㉠ 天井穴(천정혈).
㉡ 手少陽三焦經 - 天井(천정), 少海(소해).- 勝玉歌
⑸ 連珠瘡(연주창) : 百會穴(백회혈) - 肘后歌
⑹ 목에 생긴 連珠瘡(연주창)을 蟠蛇癧(반사력)이라 한다. - 西江月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天井(천정), 風池(풍지), 肘尖(주첨), 缺盆(결분), 十宣穴(십선혈).
⑺ 가슴에 퍼진 연주창(連珠瘡)을 과력(瓜癧)이라 한다.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肩井(견정), 膻中(전중), 大陵(대능), 支溝(지구), 陽陵泉穴(양능천혈)
에 針刺
⑻ 連珠瘡(연주창, 瘰癧) : 五里穴(오리혈), 臂臑穴(비노혈).- 百症賦
⑼ 연주창(連珠瘡)
① 처방(處方) : 소산 (消散) - 연주창(連珠瘡)
천정(天鼎), 소해(少海), 주첨(肘尖), 비노(臂臑), 오리(五里), 건리
(建里).
② 處方 : 백로혈(百勞穴)에 21~100장, 주첨혈(肘尖穴)에 100장의 뜸을 드고, 또
맨 처음 생긴 멍울을 찾아서 한가운데를 궤뚫고 곧바로 석웅황(石雄黃)
가루와 삶은 쑥으로 큰 심지를 만들어 멍울위 침구멍에 21장의 뜸을
뜨면 모든 멍울이 저절로 없어진다.
⑽ 라력(瘰癧)이 목둘레에 연달아 생긴 것 - 반사력(蟠蛇癧)
處方 : 천정(天井), 풍지(風池), 주첨(肘尖)등 穴에 뜸을 100장씩 바꾸어 가며 뜬
다.
족삼리(足三里), 백로(百勞), 신문(神門), 중저(中渚), 외관(外關)등 혈을 사
용하고 대추혈(大椎穴)에 뜸을 뜬다.
⑾ 가슴과 겨드랑이까지 연달아 결절이 생긴 증 - 과등력(瓜藤癧)
處方 : 견정(肩井), 전중(膻中), 대능(大陵), 지구(支泃), 양능천(陽陵泉), 외관(外
關) 등 穴을 사용한다.
⑿ 라력(瘰癧)이 오른쪽 귀뿌리에 생긴 것 - 혜대력(惠袋癧)
處方 : 예풍(翳風), 후계(后溪), 주첨(肘尖) 등 혈(穴)을 쓴다.
⒀ 라력(瘰癧)이 왼쪽 귀뿌리에 생긴 것 - 봉과력(蜂窠癧)
處方 : 예풍(翳風), 협거(頰車), 후계(后溪), 합곡(合谷), 외관(外關)등 穴을 사용한
다.- 經驗方
⒁ 瘰癧(라력)
피부침 (皮膚針)
處方 : 제 5~10 흉추(胸椎) 양측을 위주로 병발부위(病發部位)에 배합하여 중
(重)하게 두드린다. 中醫
경선결핵(Lymphadenitis colli tuberculosa) 일명 라력(瘰癧 scrofula)이라고도 지칭하
고 있지만 엄밀한 의미상에서는 결핵성경부 lymphadenitis라 부르고 있다.
경선(cervical gland)은 임파선결핵의 호발부위로 tubercle bacillus는 이하부(턱), 측경
부, 쇄골상와 등의 임파선에 발생하며, 수는 한 개 또는 수 개에 이를 때도 있으며, 때로
는 다수의 선(gland)이 침범되는 경우도 있다. 크기는 완두대에서 계란대까지 여러 가
지며, 처음에는 무통성(无痛性)으로 딱딱하고 탄력이 있지만, 커지면 구형 또는 주정형
이 되며, 건락화(乾酪化)가 진행되면 부드러워지며 화농이 되면 파동을 나타낸다.
초기(初起)에는 가동성이지만 병세가 진행되면 선주위염을 일으켜서 유착하여 가동성
이 없어지면서 불규칙한 덩어리가 된다. 이어서 피부가지 침범하여 발적하며, 끝내는
자연적으로 터져서 결핵성의 누공이나 궤양을 남긴다. 경과는 완만하고 가벼운 자발통
이나 압통이 있을 대도 있으나 대부분 동통과 발열을 수반하지 않는다. 만일 혼합감염
이 있을 경우에는 발열 쇠약 빈혈 등의 증을 가져온다.
治療 : 옛날에는 무서운 병변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오늘날에는 화학요법의 눈부신 발
달로 별로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전신료법으로서 안정, 영양, 일
광욕 등이 필요하며, 여기에 병행하여 S.M과 파스 등의 화학료법이 효과적이다.
☞ 針灸療法은 상당한 위험부담이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무난하다. 現代針灸學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