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 133 애기 (噯氣), 애역 (呃逆)

Aktualisiert: 9. Apr. 2022

애기 (噯氣) : 트림 - 애역 (呃逆) : 딸꾹질

애기 (噯氣) : 트림

1. 參照文(참조문)

1) 조잡 (嘈囃) ⇒ 舍岩道人針灸要訣(사암도인침구요결)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

足太陰脾經 : 食竇(식두).

足陽明胃經 : 氣舍(기사).

足太陽膀胱經 : 膈關(격관).

任脈 : 鳩尾(구미), 中庭(중정).

3. 臨床應用(임상응용) 舍岩五行鍼解說

1) 噯氣(애기) : 트림하는 증이니 목에서 “게~엑”하는 소리가 나면서 胃(위)에서 氣體(기

체)가 입으로 올라오는 증

處方 : 反胃(반위) - 中脘(중완), 陽谷(양곡) 補(보), 臨泣(임읍), 陷谷(함곡) 瀉(사).

4. 이침(耳針)

耳穴 : 賁門(분문).


애역 (呃逆) : 딸꾹질

呃逆(애역)이란 胸膈(흉격)의 氣(기)가 上逆(상역)하여 연속적으로 목을 타고 치밀고 올라

옴으로 딸꾹딸꾹 하는 목소리를 짧고 빈번하게 내므로 일명 딸꾹질이라고하는 것이다.

심한 경우는 스스로 억제하지 못하고, 對話(대화)를 방애하며, 식사 및 수면을 어렵게 한

다.

애역이 때로는 우연히 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증상은 경미한 것이 일반적이어서 치

료하지 않아도 몇 분 내지 몇 시간 지속되다가 사라진다. 그러나 기타 急慢性(급만성) 疾

病(질병)으로부터 繼發(계발)되어 끊임없이 혹은 間歇的(간헐적)으로 발작되면 반드시

치료를 거쳐야 낫게 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呃逆(애역)의 발생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기는 胃(위)의 氣(기)가 위로 치밀고 올라옴

(胃氣上逆)으로 생기는 것이다. 胃(위)는 中焦(중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위로는 胸膈(흉

격)에 貫通(관통)되고 있다. 생리적 기능으로는 受納(수납)한 음식물을 초보적으로 소화

시킨 腐熟(부숙)된 물질을 아래로 내려 보내는 것을 위주로 하는 通降爲順(통강위순)이

다.

만약 음식을 절제하지 못해서(飮食不節), 生冷(생냉)한 음식을 과식하였거나 또는 寒凉

(한량)한 성분의 약물을 복용하여 寒氣(한기)가 위에 뭉쳐지게 되면서 胃(위)의 陽氣(양

기)를 막았거나 혹은 맵고 뜨거운(辛熱) 음식을 과식 하였거나 또는 따뜻하고 건조한(溫

燥) 성분의 약물을 복용하여 속에 메마른 열기(燥熱)가 盛(성)하여 위장이 실증(陽明腑實)

이 되었거나 혹은 정신사유가 억울해서 화(怒)가 나며(情志鬱怒), 이 같은 억울함이 熱火

(열화)로 되어(鬱而化火), 간화가 위를 침범(肝火犯胃)하거나 혹은 연노하고 체질이 약하

거나 또는 오랜 설사병(久病久痢)을 앓게 되면 비위의 양기가 모두 부족(脾胃陽虛)하게

되고, 탁한 담이 중초를 가로막아(痰濁中阻), 맑은 기가 위로 오르지 못하고(淸氣不升),

탁한 기가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濁氣不降)된다. 혹은 熱病(열병)으로 인하여 津液(진

액)의 消耗(소모) 및 汗, 吐,下(땀, 구토, 설사)의 과다로 胃陽(위양)이 소모되어 손상 받으

면 虛火(허화)가 상역되는 등등 모두 胃氣(위기)가 下降(하강) 못하고 胸膈(흉격)으로부터

상역되어 氣機逆亂(기기역란)으로 애역이 발생된다.

呃逆(애역)을 西醫(서의)에서는 橫膈膜痙攣(횡격막경련)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辨證論治(변증론치)

애역초기부터 소리가 높고 힘이 있으며 몸과 정신이 허약하지 않으면(形神不衰) 이는 대

부분 實證(실증)에 속한다.

1) 胃寒證(위한증)

症狀 : 딸꾹질 소리(呃聲)가 가라앉은 듯 느슨하면서 유력(沉緩有力)하고 또 위장이 붓

고 차가우며(胃脘冷脹), 더운 음식을 좋아하고(喜食熱飮),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고(手足不溫), 식사량이 적고(食納量少), 소변이 맑고 많으며(小便淸長), 대변

은 맑고 적으며(大便溏薄), 설태는 희고 번들번들(舌苔白滑)하고, 맥상은 지완

(脈象遲緩)하다.

2) 胃熱證(위열증)

症狀 : 딸꾹질 소리(呃聲)가 높으며 힘 있게 연속되고 胃(위)가 뜨겁고 찬 음식을 모두

즐기며, 입에서 냄새가 나며(口臭), 입이 마르며 갈증이 생기고, 얼굴색은 붉으

며, 소변량은 적고 색이 누렇고(小便短黃), 대변은 건조하다. 설태는 누런데 진

액은 적고(舌苔黃少津), 맥상은 활삭(脈象滑數)하다.

3) 肝氣犯胃(간기범위)

症狀 : 애역이 정서변화로 발작되기도 하는데 이런 환자는 간기가 위를 억압하고(肝氣

犯胃), 그 증상이 엄중해지며, 더불어 가슴과 옆구리에 팽창한 통증(胸脇脹痛)

이 있으며 입이 쓰고(口苦), 트림(噯氣)이 나며, 정서가 잘 변하고(變德), 대변이

묽거나 단단해지며(大便不調)하며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혹은 누렇고

얇다(薄黃), 맥은 현(脈弦)하다.

4) 久病呃逆(구병애역)

症狀 : 딸꾹질 소리(呃聲)이 낮고 무력하며, 피로하고 숨이 차며, 형체가 여위면 대부분

虛症(허증)에 속한다. 비위의 양기가 부족한(脾胃陽虛) 환자는 소리가 낮고 약

하며 숨이 차고, 피로하며, 형체는 여위고, 얼굴색이 밝지 못하며(面色不華), 손

과 발이 따뜻하지 않고(手足不溫), 음식생각이 없으며(不思飮食), 식후에 위가

팽창하고 가래와 침을 자주 뱉으며 설사하고, 혀가 크고 넓적한 고깃덩어리 같

은데 싱겁게 담담하고(舌質淡胖), 맥은 세(脈細) 혹은 濡脈(유맥)이다.

5) 胃陰不足(위음부족)

症狀 : 딸꾹질 소리(呃聲)가 멈추었다가 또 계속되며 急促(급촉)하고, 입과 목이 마르

며. 답답하고 괴롭게 갈증이 나고(煩渴), 몸은 여위고, 뺨이 벌겋고 손과 발바닥

에 열이 나고(手足心熱), 설질은 붉고(舌質紅赤), 태는 얇거나(苔薄) 혹은 없으

며, 번들번들하고 光滑无苔(광활무태)이고 맥은 세삭(脈細數)하다.

治則 : 흉격을 넉넉히 펼치고 위를 화하여(寬膈和胃) 기를 조리 있게 하여 치밀고 올라

오는 기를 아래로 내려 가도록 한다(降逆調氣). 處方 : 中脘(중완),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膈兪穴(격수혈).

方義 - ① 中脘(중완) : 胃(위)의 募穴(모혈)이고

② 足三里(족삼리) : 胃(위)의 合穴(합혈)이다.

③ 中脘穴(중완혈)과 함께 사용하면 위기를 내려 보내어 위를 맑게 하고(淸胃降

氣), 기를 보태어 중초를 따뜻하게(益氣溫中)한다.

④ 膈兪(격수) : 膈(격)을 순리롭게 하여 상역하는 기를 진압(利膈鎭逆)시킨다.

만약 - ① 胃寒(위한) : 梁丘穴(량구혈)에 뜸을 뜨고

② 胃熱(위열) : 陷谷穴(함곡혈)에 침자하여 瀉(사)한다.

③ 陽虛(양허) : 氣海穴(기해혈)에 뜸을 뜨고

④ 陰虛(음허) : 太溪穴(태계혈)에 침자하여 補(보)한다.

⑤ 肝氣橫逆(간기횡역) : 期門穴(기문혈), 太冲穴(태충혈)에 침자하여 瀉(사)한

다.

針法 : 陽(양)이 虛(허)하면 뜸을 뜨고, 陰(음)이 虛(허)하면 침자 한다.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經渠(경거,經).

足陽明胃經 : 氣舍(기사), 缺盆(결분), 氣戶(기호), 乳根(유근), 不容(불용).

足太陰脾經 : 食竇(식두), 天溪(천계).

手太陽小腸經 : 前谷(전곡,滎), 養老(양노).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督兪(독수), 膈兪(격수), 膽兪(담수), 譩譆(의희).

足少陰腎經 : 肓兪(황수), 石關(석관).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郄),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 期門(기문).

任脈 : 下脘(하완), 中脘(중완,手太陽,手少陽,足陽明과 交會), 上脘(상완,足陽明,手太陽

經과 交會), 巨闕(거궐,心의 募穴), 鳩尾(구미,絡), 자궁(紫宮), 天突(천돌,陰兪脈

과 會).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內庭(내정), 梁門(량문).

2) 足陽明胃經 : ① 氣舍(기사), 氣戶(기호), 膈輸(격수).

② 承滿(승만), 乳根(유근).

③ 解溪(해계), 천돌(天突).

足太陰脾經 : 食竇(식두).

手太陽小腸經 : 養老(양노), 內關(내관).

足太陽膀胱經 : ① 膽兪(담수), 膈兪(격수).

② 膈兪(격수), 天突(천돌), 膻中(전중), 巨闕(거궐), 足三里(족삼리).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勞宮(노궁).

足少陽膽經 : 日月(일월), 天突(천돌), 足三里(족삼리).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三里(灸)(삼리).

任脈 : ① 鳩尾(구미), 天突(천돌), 中脘(중완).

② 天突(천돌), 鳩尾(구미).

③ 天突(천돌), 內關(내관), 中脘(중완).

3) 處方 ① 攢竹穴(찬죽혈) 指壓法(지압법).

② 天突(천돌), 內關(내관).

③ 膈兪(격수), 內關(내관).

④ 中脘(중완), 陰郄(음극).

舍岩道人針灸要訣

五行針應用(오행침응용)

1) 呃逆(애역)

⑴ 氣逆上冲(기역상충)으로 인하여 作聲(작성)하는 딸꾹질로서 肺氣不暢(폐기불창)에서

오는 呃逆(애역)을 말하는 것으로 肺濁(폐탁)에 속한다.

處方 : 肺濁(폐탁) -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 陽谷(양곡) 陽溪(양계) 瀉.

⑵ 心咆(심포) - 心氣不順(심기불순)으로 인한 咆逆(포역)

處方 : 心呃(심애) -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2) 冷呃(냉애) : 입을 벌릴 때에 陽氣(양기)가 適當(적당)히 上升(상승)하였다가 寒氣(한기)의

侵入(침입)으로 인하여 陽氣(양기)가 올라가지 못해서(陽不得越) 일어나는

딸꾹질

處方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溪(태계) 太白(태백) 瀉.

3) 濕呃(습애) : 脾胃虛寒(비위허한)으로 誘發(유발)되는 呃逆(애역)이다.

處方 : 土敗(토패)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呃逆(애역)은 氣(기)가 逆於上(역어상), 혹은 衝於上(충어상)으로 由因(유인)된

것으로서 寒(한)을 겸한 자도, 熱(열)을 겸한 자도, 氣滯(기체)를 겸한 자도, 食滯

(식체)를 겸한 자도 있으며 中氣(중기)가 虛(허)한 자도, 혹은 陰氣(음기)가 竭(갈)한 자도

있으나 大凡(대범) 傷寒(상한), 發汗(발한), 吐下後(토하후)에 瀉痢日久(사리일구)한 자 또

는 病後(병후), 産後(산후)의 환자는 모두 脾胃大虛(비위대허)에 속하였으며 만일 痰水(담

수)가 心下(심하)에 停積(정적)했거나 혹은 暴怒氣逆(폭노기역), 痰厥(담궐) 혹은 傷寒熱

病(상한열병)에 失下(실하)한 자는 모두 熱(열)에 속하였다.

虛(허)에 속한 자는 마당이 補(보)하여야 하나 모름지기 寒熱(한열)을 가려서 만일 汗, 吐,

下(한,토,하) 후에 잘못하여 寒凉之劑(한량지제)를 과하게 복용한자는 溫補(온보)하여야

하고, 傷寒(상한)으로 脾胃(비위)가 陰虛(음허)하거나 火逆(화역)이 土衝(토충)하는 자는

平補(평보)하여야 하며, 熱(열)을 挾(협)한 자는 凉補(량보)하는 것이 適宜(적의)하고, 傷

寒失下者(상한실하자)는 寒下(한하) 하여야 하며 만일 痰飮停蓄(담음정축), 혹은 暴怒氣

逆(폭노기역), 痰厥(담궐) 等證(등증)으로 形氣(형기)가 俱實(구실)하고 별로 惡候(악후)가

없는 자는 邪(사)의 소재를 따라 涌, 泄, 吐, 利(용설토리) 등 법을 施(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呃逆(애역)을 「如水中之泡(여수중지포), 諸逆術上(제역술상), 皆屬

於火(개속어화)」라 하여 敍上(서상)의 四大治法(사대치법)을 試圖(시도)한데그쳤다.


3. 피부침 (皮膚針)

침(針)이 5개인 매화침(梅花針) 7개인 칠성침(七星針) 18개인 라한침(羅漢針) 등 세 종류

가 있다.

1) 處方 : 제 9~12 흉추(胸椎) 및 복부 정중선(任脈)을 취하며 따라서 격수(膈兪), 위수(胃

兪), 천추(天樞), 대횡(大橫) 등 혈(穴)과 배합한다.


4. 이침(耳針)

耳穴 : 耳中(이중, 膈), 胃(위), 神門(신문), 交感(교감), 枕(침).

3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