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구 131 안병 (眼病)

Aktualisiert: 9. Apr. 2022


안병 (眼病) - 안염 (眼炎) - 안와상신경통 (眼窩上神經痛) - 안외각통증 (眼外角痛症) - 안창 (眼瘡) - 안혼 (眼昏) - 야맹증 (夜盲症) - 영풍유루 (迎風流淚) - 예막 (翳膜)

註 홍채염 (虹彩炎)



안병 (眼病)

1. 참조문(參照文)

1) 목병 (目病)과 목통 (目痛)을 參照

2) 간병중 (肝病中) 간화상염(肝火上炎), 간양상항(肝陽上亢) 參照

3) 담병중 (膽病中) 담실증(膽實證) 參照

4) 소장경병중(小腸經病中) 心移熱瘀小腸(심이열어소장)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三間(삼간,輸), 手三里(수삼리), 臂臑(비노).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養老(양노,郄).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 曲差(곡차), 玉枕(옥침), 肝兪(간수).

足少陰腎經 : 照海(조해).

手少陽三焦經 : 臑會(노회), 絲竹空(사죽공).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 曲鬢(곡빈), 率谷(솔곡), 陽白(양백), 頭臨泣(두림읍),

靈(승령),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光明(광명), 丘墟(구허).

頭頸部奇穴 : 太陽(태양), 球后(구후), 翳明(예명), 耳尖(이첨).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選穴 : ① 膽經(담경) - 光明(광명).

② 三焦經(삼초경) - 液門(액문).

2)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 - 足臨泣(족림읍), 光明(광명).

3) 本經配穴法 : 光明(광명), 俠溪(협계).

4) 手陽明大腸經 : ① 臂臑(비노), 合谷(합곡), 二間(이간), 光明(광명).

② 臂臑(비노), 睛明(정명), 承泣(승읍).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 合谷(합곡), 太冲(태충).

足太陽膀胱經 : ① 承光(승광), 行間(행간), 光明(광명).

② 玉枕(옥침), 風池(풍지), 太陽(태양), 太冲(태충).

手少陽三焦經 : 絲竹空(사죽공), 攢竹(찬죽), 太陽(태양), 睛明(정명).

足少陽膽經 : ① 曲鬢(곡빈), 風池(풍지), 角孫(각손), 腎兪(신수), 太陽, 合谷.

② 陽白(양백), 肝輸, 腎輸, 風池(풍지), 睛明(정명).

③ 目窗(목창), 風池(풍지), 攢竹(찬죽), 瞳子髎(동자료).

④ 風池(풍지), 睛明(정명), 承泣(승읍), 肝兪(간수), 足三里(족삼리).

⑤ 光明(광명), 睛明(정명), 承泣(승읍), 肝兪(간수), 風池(풍지).

督脈 : ① 百會(백회), 風池(풍지), 太陽(태양), 合谷(합곡), 睛明(정명).

② 神庭(신정), 上星(상성), 睛明(정명), 前頂(전정), 太陽(태양).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眼瞼松弛(안검송이)” : 足三里(족삼리). - 皮膚病中醫診療學

2) 諸眼目病(제안목병) : 頭臨泣穴(두림읍혈) - 蘭江賦 針灸大成

3) 眼痛(안통), 頭痛(두통) : 大都穴(대도혈), 혹 太淵穴(태연혈) - 雜病十一穴歌

4) 風邪(풍사)의 侵入(침입)으로 눈시울이 짓무르는 症狀 經驗方

處方 : 太陽(태양), 當陽(당양), 尺澤穴(척택혈)에 針刺瀉血(침자사혈)하면 神效(신효) -

5) 角膜白濁(각막백탁, nephelium)

處方 : ⑴ 角膜白濁이 생긴 부위와 관련이 있는 經脈(경맥)의 穴(혈)을 사용하여 매일

氣(기)를 통하게 하면 新奇(신기)한 效驗(효험)을 보지 않을 수 없다.

⑵ 肝兪穴(간유혈)과 第九脊椎間隙(제구척추간극) 灸七壯(구7장), 合谷(합곡),

外關(외관), 睛明(정명), 崑崙穴(곤륜혈)에 모두 오랫동안 留針(유침)한다.

大骨空穴(대골공혈)에 灸九壯뜨는데 끝낼 때는 입으로 불어서 끈다.

엄지손가락 掌側橫紋末端(장측횡문말단)에 各 三壯씩 뜨고, 小指(소지) 밑 마

디 뾰족한 部分에 各各 三壯씩 뜸을 뜬다. 耳尖(이첨, apex auriculae)에 灸七

壯을 뜨는데 많이 떠서는 안 된다.

6) 눈알(眼球)이 아프고 눈물이 나오는 症狀

處方 : 中脘(중완), 內庭穴(내정혈)에 오랫동안 留針하고 瀉하면 神效하다.

7) 눈시울 아래가 검푸르죽죽한 症狀

處方 : 尺澤穴(척택혈)에 針刺(침자) 3푼 하면 神效(신효)하다.

8) 眼球突出症(안구돌출증, exophthalmus)

處方 : 湧泉(용천), 然谷(연곡), 太陽(태양), 太冲(태충), 合谷(합곡), 百會(백회), 上髎(상

료), 次髎(차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肝兪(간수), 腎兪(신수).

9) 夜盲症(야맹증, nigth blindness)

處方 : 肝兪穴(간수혈)에 灸七壯 뜨고, 엄지손가락 손톱 뒤 첫 번째 마디 橫紋末端(횡문

말단) 赤白肉際(적백육제) 各 灸一壯씩 뜬다.

5. 피부침 (皮膚針)

침(針)이 5개인 것은 매화침(梅花針) 7개는 칠성침(七星針) 18개는 라한침(羅漢針)으로

세 종류가 있다. 그 사용법에 관해서는 필자의 침구사전(針灸辭典)을 참고 하시오!

處方 : 눈 주위와 간수(肝兪) 담수(膽兪) 신수(腎兪)를 취하며

⑴ 녹내장(綠內障) : 풍지(風池) 찬죽(攢竹) 등 혈(穴)과 배합하고

⑵ 백내장(白內障) : 풍지(風池) 동자료(瞳子髎) 등 혈(穴)과 배합하며

⑶ 결막염(結膜炎) : 태양(太陽) 동자료(瞳子髎) 찬죽(攢竹) 등 혈(穴)과 배합한다.

6. 이침(耳針)

耳穴 : 肝(간), 目1(목1), 目2,(목2), 眼(안).


안염 (眼炎)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電光性眼炎(전광성안염)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 合谷(합곡).


안와상신경통 (眼窩上神經痛)

1. 主治穴(주치혈)

足少陽膽經 : 陽白(양백).

頭頸部奇穴 : 魚腰(어요,眉中).

2. 臨床應用(임상응용)

頭頸部奇穴 : 魚腰(어요,眉中), 攢竹(찬죽), 四滿(사만), 內關(내관).


안외각통증 (眼外角痛症)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懸厘(현리), 陽白(양백).


안창 (眼瘡)

1. 소아 반창입안(斑瘡入眼) : 눈꺼풀에 생긴 헌데가 각막으로 침법해 들어가는 것

處方 : 대저(大杼)에 뜸을 7~21장을 뜨고 침범한 곳을 자세히 살펴서 각각 그 경락(經絡)

을 치료한다. - 針灸經驗方


안혼 (眼昏)

1. 參照文(참조문)

1) 목현 (目眩)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히스태리性 眼昏 : 頭頸部奇穴 - 球后(구후), 神門(신문).


야맹증 (夜盲症)

1. 參照文(참조문)

1) 肝病中 肝血不足(간혈부족)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陽交,任脈,足陽明의 會).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手足太陽,足陽明,陽交,陰交와의 會), 肝兪(간수).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交會-手太陽經), 光明(광명,絡-厥陰經).

頭頸部奇穴 : 翳明(예명).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肝兪(간수), 光明(광명), 養老(양로).

足少陰腎經 : 照海(조해), 睛明(정명), 肝兪(간수), 光明(광명).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 睛明(정명), 養老(양노), 足三里(족삼리).

2) 處方 ① 肝兪(간수), 腎兪(신수), 睛明(정명), 承泣(승읍).

② 足三里(족삼리), 行間(행간), 光明(광명).

③ 風池(풍지), 承泣(승읍), 睛明(정명), 膈兪(격수).

④ 攢竹(찬죽), 絲竹空(사죽공), 四白(사백), 太溪(태계).

3) 小兒 夜盲症 - 足太陽膀胱經 : 胃兪(위수).

4) 雀目(작목) : 睛明穴(정명혈)과 行間穴(행간혈)을 자세히 찾아야 한다.- 百症賦

5) 老少 夜盲症(nigth blindness)

處方 : 肝兪穴(간유혈)에 灸七壯(뜸7장) 뜨고 엄지손가락 손톱 뒤 첫 번째 마디 가로

금 끄트머리의 흰빛을 띠는 살 경계 부위에 각각 1장씩 뜬다.

6) 소아야맹증(小兒夜盲症) “小兒雀目”

處方 : 엄지손가락 손톱 뒤 첫째 마디의 가로금 안쪽 끄트머리의 적백육제(赤白肉

際) 뜸을 각각 1장씩 뜨고, 간수혈(肝兪穴)에 9장 뜸을 뜬다.


영풍유루 (迎風流淚)

바람을 맞으면 눈물을 흘리는 것이 특징이다. 본증은 冷泪(냉루), 熱泪(열루) 두 가지

로 나눈다.

冷泪(냉루)는 보통 겨울에 비교적 엄중하지만 그러나 시일이 오래되면 여름 겨울을

가리지 않고 계속 눈물이 나며, 熱泪(열루)는 대부분 外障眼病(외장안병)이 겸하여

생기는 증상이다.

病因病機(병인병기)

冷泪(냉루)는 대부분 肝氣(간기)와 腎氣(신기)의 부족으로 精血(정혈)이 모손되어 泪

竅(루규)가 좁아지면서 風邪外引(풍사외인)으로 눈물이 나오게 된다.

熱泪(열루)는 대부분 肝火熾盛(간화치성)의 內因(내인)과 風邪侵襲(풍사침습)의 外因

(외인)으로 발생된다. 또한 外障眼疾(외장안질)과 겸하여 나타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冷泪證 : 눈이 벌겋거나 아프지는 않고. 눈물을 계속 흘리는데, 바람을 맞으면 더

욱 심해지고(迎風尤甚), 눈물색은 맑으며(泪色淸稀), 눈물을 흘릴 때 열감

은 없다. 장기간 치료시기를 놓치면 시력이 어두워진다.

治則 : 補益肝腎(보익간신). -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 爲主(위주)

處方 : 睛明(정명), 攢竹(찬죽), 風池(풍지), 肝兪(간수), 腎兪(신수).

方義 : ① 睛明(정명), 攢竹(찬죽) : 通泪竅(통루규)

② 風池(풍지)는 陽維(양유)의 交會穴(교회혈), 祛風要穴(거풍요혈) : 氣血

調化(기혈조화)

③ 肝兪(간수), 腎兪(신수) : 壯腎水(장신수), 養肝木(양간목) - 灸하면 精血

耗損(정혈모손)을 補益(보익).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

2) 熱泪證 : 目赤腫痛(목적종통), 광선을 두려워하며(畏光), 눈물이 빽빽하고 끈끈하

며(泪液粘稠), 바람을 맞으면 더욱 심해지고(迎風尤甚), 눈물에 열감이

있다(泪熱感).

治則 : 散風淸熱(산풍청열), 疏風明目(소풍명목).

足太陽(족태양)과 厥陰經穴(궐음경혈)을 위주로 取穴(취혈)한다.

處方 : 睛明(정명), 攢竹(찬죽), 合谷(합곡), 陽白(양백), 太冲(태충).

方義 : ① 睛明(정명), 攢竹(찬죽), 合谷(합곡) : 散風淸熱(산풍청열).

② 陽白(양백), 太冲(태충) : 肝膽(간담)의 火(화)를 淸熱(청열)하고 消腫

止痛(소종지통)한다.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 - 中醫 -

1. 參照文(참조문)

1) 루증 (泪證) 참조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 四白(사백), 頭維(두유).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 攢竹(찬죽).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 陽白(양백).

督脈 : 上星(상성).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頭維(두유), 睛明(정명), 臨泣(림읍), 風池(풍지).

足太陽膀胱經 : 攢竹(찬죽), 合谷(합곡).

4. 辨病取穴(변병취혈)

1) 바람을 쐬면 찬 눈물이 나오는 症(irritated eoiohora with cold tear) 經驗方-

處方 : 睛明(정명), 腕骨(완골), 風池(풍지), 頭維(두유), 上星(상성), 迎香穴(영향).-

2) 눈이 빨갛게 붓고, 바람만 쏘이면 눈물이 계속 나오며 그치지 않을 때

處方 : 先刺 - 后谿穴(후계혈),

后刺 - 攢竹(찬죽), 合谷(합곡), 小骨空(소골공), 臨泣穴(임읍혈).- 西江月

3) 다래끼와 迎風流淚(영풍유루)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攢竹(찬죽), 絲竹空(사죽공), 二間(이간), 小骨空(소골공).- 西江月


예막 (翳膜)

角膜疾患(각막질환)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 丘墟(구허).- 針灸資生經

頭頸部奇穴 : 球后(구후), 睛明(정명), 翳明(예명), 太陽(태양), 合谷, 肝兪(간수).

2) 白色 翳膜 - 足太陽膀胱經 : 京骨(경골,原).

2. 辨病取穴(변병취혈)

1) 症狀 : 양쪽 눈에 각막백탁(角膜白濁 nephelium)이 생겨서 봄과 가을만 되면 눈동자

를 가리는 것 “兩眼白翳 每到春秋遮瞳(양목백예, 매도춘추차동)”

處方 : 제 9 흉추 마디위에 뜸을 7장 뜨고, 간수(肝兪)에 뜸을 7장 뜬다. - 經驗方 -

2) 굳은살이 눈동자를 덮어 가는 것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和髎(화료), 睛明(정명), 攢竹(찬죽), 肝兪(간수), 委中(위중), 合谷(합곡), 肘

尖(주첨), 照海(조해), 列缺(열결), 十宣穴(십선).- 西江月 -


註 홍채염 (虹彩炎)

홍채(虹膜) : 각막과 수정체 사이에 있는 둥근부분. 이것이 늘어나고 줄어드는 수축

작용에 따라 동공이 커지고 작아지는 것이다. 虹彩(홍채)의 色素(색소)

에 따라 검정눈, 파란눈 증으로 나뉜다. 虹彩(홍채)는 色素細胞(색소세포) 결합조직

과 平滑筋(평활근)을 갖고 있으며, 막의 중심에 있는 瞳孔(동공)은 光度(광도)에 따

라 그 크기가 조절된다. 虹彩(홍채)에는 동공수축근과 동공산대근이 있다. 그리고

동공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부교감신경은 동공을 수축시키

고, 교감신경은 동공을 산대시킨다.

1. 主治穴(주치혈)

1)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3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구211 부록 오행침법

附錄(부록) 行針法(오행침법) 오행침(五行針)은 사암선생(舍岩先生)에 의해 창시된 것으로 황제내경 (黃帝內經)과 난경(難經)에서 완성하지 못한 오행침술(五行針術)을 완성하고 그 비방(秘方)을 사암도인침구요결(舍岩道人針灸要訣)에 담아...

침구210 히스테리

히스테리 이 病(병)의 특징은 觀念(관념)과 感情(감정)이 쉽게 변하고 暗示力(암시력)과 想像力 (상상력)이 亢進(항진)되는 것이다. 症狀(증상)은 多種多樣(다종다양)하다. 知覺(지각) 과 感覺運動(감각운동)이 機能障碍(기능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침구209 흉부질환(胸部疾患)

흉격비만 (胸膈痞滿) - 흉격어혈 (胸膈瘀血) - 흉막염 (胸膜炎) - 흉만 (胸滿) - 흉만기단 (胸滿氣短) - 흉만기단해수 (胸滿氣短咳嗽) - 흉만창통 (胸滿脹痛) - 흉만협통 (胸滿脇痛) - 흉만흉통 (胸滿胸痛) - 흉민 (氣滯胸悶) -...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