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경병 (手少陰心經病辨證處方) - 풍습성심장병 (風濕性心臟病) - 심계 (心悸) ⇔ 경계 (驚悸), 심경(心驚) - 심계정충 (心悸怔冲) : 心悸亢進(심계항진) - 심근염 (心筋炎) - 심내막염 (心內幕炎 Endocarditis) - 심염 (心炎) - 심박과속 (心搏過速) - 심방세동 (心房細動) - 심번 (心煩症) - 심번흉민 (心煩胸悶) - 심신질환 (心神疾患) - 심양부족 (心陽不足) - 심열병 (心熱病) - 심염 (心炎) - 심율과완 (心律過緩) - 심율불제 (心律不齊) - 심율실상 (心律失常) - 부정맥 (不整脈) - 심음부족 (心陰不足) - 심장병 (心臟病) - 심장천식 (心臟喘息) - 심장판막증 (心臟瓣膜證 ) - 심포경병 (手厥陰心包經病辨證處方) - 심하부병 (心下部病) - 심혈어조 (心血瘀阻) - 심화상염 (心火上炎)
심통 (心痛) ☞ 침구26
심경병 (手少陰心經病辨證處方) : 心熱隨經上擾, 風寒濕痺
1) 心熱隨經上擾(심열수경상요)
病理 : 心經(심경), 熱邪隨經上擾(열사수경상요)
證候 : 口腔粘膜舌生瘡(구강점막 설 생창), 咽頭痛(인두통), 口乾(구건), 重舌症 (중설
증), 舌苔黃(설태황), 脈數(맥삭).
西醫 : 口腔粘膜潰瘍(구강점막궤양), 急性舌炎(급성설염), 咽頭炎(인두염).
治法 : 淸心瀉火(청심사화)
處方 : 少海(소해), 神門(신문), 內關(내관), 小海(소해), 腕骨(완골),.
針法 : 瀉法(사법).
2) 風寒濕痹(풍한습비)
病理 : 風寒濕邪(풍한습사), 侵襲心經(침습심경), 經脈阻滯(경맥조체), 氣血不通(기혈불
통).
證候 : 肩背疼痛(견배동통), 臂內側疼痛(비내측동통).
治法 : 祛風除濕(거풍제습), 散寒(산한), 行氣活血(행기활혈).
處方 : 心兪(심유), 神門(신문), 太淵(태연), 內關(내관), 大陵(대능).
針法 : 瀉法(사법).
풍습성심장병 (風濕性心臟病) : 루마티즘性 心臟病
1. 參照文(참조문)
1) 심장병 (心臟病)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滎).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患門穴).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郄門(극문,郄), 間使(간사,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
交會穴,通陰兪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 曲澤(곡택), 郄門(극문), 間使(간사).
足太陽膀胱經 : ①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 三陰交(삼음교)-穴位注射
② 心兪(심수), 厥陰兪(궐음수).- 穴位注射(혈위주사)
手厥陰心包經 : ① 曲澤(곡택), 內關(내관), 間使(간사), 少府(소부).
② 郄門(극문), 內關(내관), 曲澤(곡택).
③ 間使(간사), 內關(내관), 少府(소부), 郄門(극문), 曲澤(곡택).
④ 內關(내관), 間使(간사), 少府(소부).
2) 期外收縮(기외수축)
手厥陰心包經 : 大陵(대능), 內關(내관), 郄門(극문), 少府(소부).
심계 (心悸) ⇔ 경계 (驚悸), 심경(心驚)
1. 參照文(참조문) 1) 경계 (驚悸)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靈道(령도,經), 通里(통리,絡-太陽經), 陰郄(음극,郄), 神門(신
문,輸,原), 少府(소부,滎).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 膈兪(격수), 神堂(신당).
足少陰腎經 : 腹通谷(복통곡).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郄門(극문,郄), 間使(간사,
經), 內關(내관,絡-少陽經,八脈交會穴,通陰兪脈), 大陵(대능,輸,原).
足少陽膽經 : 腦空(뇌공).
任脈 : 巨闕(거궐), 鳩尾(구미), 전중(膻中).
督脈 : 神道(신도).
頭頸部奇穴 : 安眠(안면).
上肢部奇穴 : 肱中(굉중).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 通里(통리), 行間(행간).
2) 本經配穴法 : 神門(신문), 通里(통리), 靈道(령도).
3)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 內關(내관).
足陽明胃經 : 人迎(인영), 內關(내관).
手少陰心經 : ① 極泉(극천), 靈墟(령허), 神門(신문).
② 神門(신문), 內關(내관), 大陵(대능).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膈兪(격수), 陰郄(음극).
手厥陰心包經 : ① 郄門(극문), 神門(신문).
② 內關(내관), 神門(신문).
③ 大陵(대능), 內關(내관), 郄門(극문), 少府(소부).
任脈 : 巨闕(거궐), 內關(내관), 心兪(심수).
督脈 : 神道(신도), 心兪(심수).
4. 이침(耳針)
耳穴 : 小腸(소장), 心(심).
심계정충 (心悸怔冲) : 心悸亢進(심계항진)
1. 參照文(참조문)
1) 심계 (心悸)
2) 경계 (驚悸)
3) 심박과속 (心搏過速)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陰郄(음극,郄), 神門(신문,輸,原), 少冲(소충,井).
手厥陰心包經 : 天泉(천천).
上肢部奇穴 : 鷹上(응상)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神門(신문), 通里(통리), 靈道(령도).
심근염 (心筋炎)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絡-陽明經,八脈交會穴,通冲脈).
手少陰心經 : 少冲(소충,井).
足太陽膀胱經 : 京骨(경골,原).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然谷(연곡,滎).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郄門(극문,郄), 間使(간사,經), 大陵(대능,輸,原).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募,足太陰 厥陰 陰維의 會)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京骨(경골), 郄上(극상), 內關(내관), 通里(통리), 少府(소부).
심내막염 (心內幕炎 Endocarditis) ⇒ 심염 (心炎)
심내막 특히 판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세균성과 비세균성으로 분류한다.
1) 비세균성 심내막염
일명 단순성(혈전형성성) 심내막염 또는 Rheumatic성 심내막염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 급성류마치스에서 발병하고 있지만 때로는 Diphtheria(이비인후병),
Phneumonia, Cholera 등에서도 일어난다. 침범 부위는 승모판이 가장 많고 대동맥
판이 다음으로 많으며 드물기는 하지만 심근이나 심막(심낭)에 미칠 때도 있다. 처
음에는 자그마한 혈전성의 사마귀(wart)가 이환부에 발생하여 이것이 점차로 커져
서 미립대, 완두대에 이르며 판막의 협착 또는 폐쇄부전의 원인이 된다.
證狀은 심계항진(心悸亢進) 심장부압박감 내지는 경도(輕度)의 동통(疼痛)을 호소하
며 가벼운 열(微熱)이 있으면서 맥은 빈삭으로 약하고 작다(脈頻數細弱), 심
첨부에서 미약한 수축기 잡음을 청취할 수가 있고, 때로는 부정맥(不定脈)을
나타낸다.
2) 세균성 심내막염 일명 폐혈증성 심내막염이라고 한다. 용혈성 연쇄구균 등에 의한
급성세균성 심내막염과 녹색연쇄구균에 의한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이 있다.
세균성 내막염은 침구(針灸)의 부적응증이므로 생략한다.
治療 : 부정맥(不定脈 Arhythmia)치법에 준한다. - 現代針灸學 -
심염 (心炎)
1. 參照文(참조문)
1) 심장병 (心臟病).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心囊炎 -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2) 心內膜炎 (심내막염)
足太陰脾經 : 大包(대포).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經), 神門(신문,輸,原).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督兪(독수), 譩譆(의희).
足少陰腎經 : 太谿(태계,輸,原).
3) 心外膜炎(심외막염)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任脈 : 巨闕(거궐,心의 募).
심박과속 (心搏過速) : 심장박동과속 ⇔ 심율과완 (心律過緩)
1. 參照文(참조문)
1) 심계정충 (心悸怔冲)
2) 심장빈박 (心臟頻搏)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少府(소부), 通里(통리).
심방세동 (心房細動)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患門穴).
심번 (心煩症)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太乙(태을).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 郄門(극문).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
足少陽膽經 : 족규음(足竅陰).
任脈 : 鳩尾(구미), 전중(膻中), 玉堂(옥당), 후정(后頂).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內庭(내정), 梁門(량문).
2) 手厥陰心包經 : 郄門(극문), 神門(신문).
任脈 : 玉堂(옥당), 幽門(유문).
督脈 : 强間(강간), 承光(승광), 陰郄(음극).
3) 心煩症(심번증) : 幽門穴(유문혈), 玉堂穴(옥당혈). -. 針灸大成 第三十九篇 百症賦
심번흉민 (心煩胸悶)
1. 主治穴(주치혈)
1)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함 : 陽溪(양계).
2) 足少陰腎經 : 神藏(신장).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陰腎經 : 神藏(신장), 靈墟(령허).
심신질환 (心神疾患)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公孫(공손), 隱白(은백).
2. 이침(耳針) 耳穴 : 心(심).
심양부족 (心陽不足)
病因病機 : 思索過度(사색과도), 憂慮引起(우려인기), 損傷心與神明(손상 심여신명)
主要證候 : 心悸亢進(심계항진), 胸悶氣短(흉민기단), 或心痛(혹심통), 面色无華(면색
무화), 舌淡苔白(설담태백), 脈細弱(맥세약) 或結代(혹결대).
西醫 : 類似(유사) 心臟病(심장병), 心不全(심부전) 등
治法 : 溫補心陽(온보심양), 益氣通脈(익기통맥).
處方 : 神門(신문), 內關(내관), 少冲(소충), 太淵(태연), 心兪(심수), 巨闕(거궐),
關元(관원), 氣海(기해).
取穴 : 每次(매차) 4-5个穴, 施行補法(시행보법), 혹 結合針灸法(결합침구법).
심열병 (心熱病) : 心中煩熱(심중번열)
1. 參照文(참조문)
1) 열병(熱病)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
심율과완 (心律過緩) ⇔ 심박과속 (心搏過速)
1.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絡-太陽經).
督脈 : 素髎(소료).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通里(통리), 素髎(소료), 興奮穴(흥분혈).
督脈 : 素髎(소료), 興奮(흥분), 內關(내관).
심율불제 (心律不齊) : 심율이 일정하지 않다.
1. 臨床應用(임상응용)
處方 ① 內關(내관), 通里(통리), 少府(소부).
② 內關(내관), 神門(신문), 大陵(대능).
③ 內關(내관), 通里(통리).
④ 心兪(심수), 少海(소해), 內關(내관).
심율실상 (心律失常) :
심율문란(心律紊亂) 즉 심율이 정상(正常, 빠르지도 안고, 느리지도 안은 것)이 아니
다.
1. 參照文(참조문)
1) 부정맥(不定脈, 不整脈)
2. 臨床症狀(임상증상) 過速(과속), 過緩(과완). - 心慌(심황), 胸悶(흉민), 眩暈(현운).
1) 氣虛血虛(기허혈허)
證狀 : 心悸(심계), 頭暈(두운), 脈弱(맥약)
治則 : 補虛爲主(보허위주).
處方 : 足三里(족삼리), 脾兪(비수), 膈兪(격수).
2) 痰火心悸(담화심계)
證狀 : 胸悶(흉민), 痰多(담다), 氣逆(기역), 咳嗽(해수).
治則 : 瀉實爲主(사실위주)
處方 : 尺澤(척택), 肺兪(폐수), 豊隆(풍륭).
3) 血瘀心悸(혈어심계)
證狀 : 陳發性胸痛(진발성흉통), 脣舌紫暗(순설자암).
治則 : 活血化瘀(활혈화어)
處方 : 血海(혈해), 郄門(극문), 膻中(전중).
原則 : 養心(양심), 安神(안신), 定悸(정계).
主穴 : 內關(내관), 神門(신문), 心兪(심수), 巨闕(거궐).
3. 耳針(이침)
1) 자율신경문란 (自律神經紊亂 : 交感․副交感 神經紊亂)으로 인한 각종병증, 내장에
비교적 강한 통증과 경련이 있는 예를 들면 궤양병(潰瘍病), 위경련(胃痙攣), 담결
석(膽結石), 담도회충(膽道蛔虫), 수뇨관결석(輸尿管結石)으로인한 교통(絞痛) 등
을 치료하고 또 침구마취(針灸痲醉)의 상용혈(常用穴)이며 순환계통의 병증인 무
맥증(无脈證), 관심병(冠心病), 심율실상(心律失常)등에도 효과있는 교감혈(交感
穴).
耳穴 : 心(심), 皮質下(피질하), 神門(신문), 交感(교감), 腎(신).
부정맥 (不整脈, arrhythmia)
심장박동의 간격이 불규칙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동성부정맥, 기외수축성부정맥, 보
충수축부정맥, 호흡성부정맥, 항구성부정맥, 동방 block, 방실 block 등이 있다. 이들의
분석은 심전도에 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병의 원인은 기질적인 것과 기능적인 것으로 대별되고 있으며, 침구료법에 적응이
되는 것은 호흡성 부정맥과 기외수축성 부정맥, 항구성 부정맥 등 세 가지로서 이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호흡성 부정맥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경우라도 심호흡을 하면 흡기시(吸氣時)
에는 맥박이 빨라지고 호기시(呼氣時)에는 늦는 것이 상례지만 심호흡이 아닌 평상
시의 呼吸에도 이 같은 호흡의 변화가 심하게 발현하는 현상을 호흡성 不整脈이라
지칭한다. 특히 吸氣時의 맥박이 呼氣時에 비하여 2 배 이상이 되면 병적이라 하며
迷走神經이 緊張하고 있을 때 잘 나타나며, 小兒에게 많이 볼 수 있는 증상으로 신경
증(神經證), 열성병회복기(熱性病恢復期), 뇌종양(腦腫 瘍), 뇌막염(腦膜炎)의 경우에
도 일어난다. 호흡성부정맥(呼吸性不定脈)은 심장(心臟)의 불량상태가 아니므로 특
별한 병적 증상이 없으면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 기외수축성 부정맥 심장이 정규적인 수축작용을 하는 시기에 앞서서 자극전달로 어
딘가에 이상자극이 일어나서 이것에 의하여 수축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기외수축이라 지칭하며 부정맥 중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그 원인은 기능
적 또는 신경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기질적 질환에 의해서도 일어난
다. 기질적 질환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관상동맥부전(冠狀動脈不全), 심근질환(心筋
疾患), 고혈압(高血壓), 심장판막증(心臟瓣膜證) 등이 있다.
3) 항구성 부정맥 맥박의 순환기가 완전부정으로 장단의 순환기가 불규칙하게 출현하
는 것으로 일명 절대성부정맥(絶對性不定脈) 이라고도 지칭한다. 대부분은 심방 세
동으로 일어나고 일부분은 심방 조동에 의하여 일어난다. Rheumatism 질환을 위
시하여 Basedow's disease, 고혈압, 관상동맥부전, 심근변성 등의 기질적 질환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治療 : 본증은 주로 심포경(心胞經)-비경(脾經)의 1대 치료가 상응되고 있으며, 다음으
로 많이 사용되는 주치경이 심경(心經)-신경(腎經)이며 증후와 경락반응에 따라
서 폐경(肺經)-비경(脾經), 심포경(心胞經)-간경(肝經)이 추가 되기도 한다. 주치
경의 선정은 주치경을 결정하여 압통, 경결, 긴장 등이 있는 병태반응혈을 취혈
하고 기법은 맥의 허실과 피부근육의 후박, 건습을 감안하여 각기 증에 상응한
시술을 한다. 現代針灸學
1. 參照文(참조문)
1) 심율실상 (心律失常)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陰心經 : 少府(소부, 滎).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少陰心經 : ① 通里(통리), 心兪(심수).
② 神門(신문), 心兪, 內關(내관), 陽陵泉透陰陵泉(양능천투음능천)
③ 少府(소부). 通里(통리), 內關(내관), 大陵(대능).
足太陽膀胱經 : 心兪(심수), 神門(신문), 內關(내관), 陽陵泉透陰陵泉(양능천투음능
천).
督脈 : 至陽(지양), 內關(내관).
2) 양손을 마주 비벼 손바닥에 熱이 나게 한 후 양쪽 눈을 가볍게 꼭꼭 눌러주며, 목 주
위 특히 목옆부분(頸部, 안으로는 總頸動脈, 겉으로는 頸靜脈이 흐른다.)을 가볍게
쓸어주듯이 마사지해 준다.
⑴ 復溜(복류) :【東醫寶鑑】에는 이 穴을 “뜸으로 補하면 六脈을 잘 회복시킨다.”고
했다. 하복부가 당기는 듯이 아프거나 胃腸病, 손발의 浮腫 및 不整脈
(arrhythmia)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⑵ 陷谷(함곡) : 가장 폭넓게 쓰이는 穴로써 누르면 통증을 수반한다.
⑶ 中極(중극), 氣海(기해) : 이 兩穴에는 뜸을 뜨는 것이 좋다.
⑷ 間使 : 【東醫寶鑑】에 “헛구역이 멎지 않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맥이 끊어진 데는
間使穴에 30장의 뜸을 뜬다. 이것들은 다 죽어 가는 사람을 살려내는 방법
이다.”라고 했다.
심음부족 (心陰不足)
病因病機 : 陰血化生(음혈화생) 不足(부족), 疲勞過度(피로과도), 傷失陰血(상실음혈)
或失血引起(혹 실혈인기), 心陰血不足(심, 음혈부족), 心火過度亢盛(심화
과도항성).
主要證候 : 心悸亢進(심계항진), 頭暈(두운), 心煩(심번), 失眠多夢(실면다몽), 夢精健
忘(몽정건망), 手心熱感(수심열감), 舌淡紅(설담홍), 舌尖紅(설첨홍), 苔少
乾燥(태소건조), 脈細數(맥세삭).
西醫 : 心臟病(심장병)과 類似(유사), 神經官能症(신경관능증), 貧血(빈혈).
治法 : 滋陰養血(자음양혈), 寧心安神(영심안신).
處方 : 心兪(심수), 神門(신문), 內關(내관), 少冲(소충), 太淵(태연), 太溪 (태계),
厥陰兪(궐음수), 三陰交(삼음교).
取穴 : 每次(매차) 4-5个穴, 施行補法(시행보법).
심장병 (心臟病)
1. 參照文(참조문)
1) 심음부족(心陰不足)과 심양부족(心陽不足)
2) 冠狀動脈硬化, 心不全, 豊饒性心臟病, 狹心症등은 ⇒ 심혈어조 (心血瘀阻)
3) 풍습성심장병 (風濕性心臟病) : 루마티즘性 心臟病.
4) 심염 (心炎)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云門(운문).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經), 通里(통리,絡), 神門(신문,輸,原).
足太陽膀胱經 : 神堂(신당), 心兪(심수).
督脈 : 神道(신도).
3. 心陽不足(심양부족), 心陰不足(심음부족), 心血瘀阻(심혈어조), 痰火擾心(담화요심), 心
火上炎(심화상염), 外邪痹阻(외사비조) 等 風濕性(풍습성) 心臟病(심장병) - 急性發作
期(급성발작기), 慢性活動期(만성활동기) - 栓塞(전색), 血栓(혈전)
1) 氣血毁虛(기혈훼허)
證狀 : 蒼白(창백), 心悸(심계), 脈細弱(맥세약).
治則 : 補益氣血(보익기혈).
處方 : 關元(관원), 足三里(족삼리).
2) 心絡痰阻(심락담조)
證狀 : 脣紫(순자), 眩暈(현운), 咳喘(해천)
治則 : 化痰通心(화담통심)
處方 : 膈兪(격수), 陰郄(음극).
3) 心腎陽虛(심신양허)
證狀 : 面色呆(면색매), 納差(납차), 面浮腫(면부종)
治則 : 溫補心腎(온보심신).
處方 : 命門(명문), 腎兪(신수).
原則 : 寧心(령심), 定悸(정계), 寬胸通絡(관흉통락).
主穴 : 內關(내관), 心兪(심수), 膻中(전중), 郄門(극문), 厥陰兪(궐음수).
針法 : 30分 留針(유침) 隔日(격일) 10 - 15天 一療程(일료정)
4. 臨床應用(임상응용)
1) 本經配穴法 : 神門(신문), 通里(통리), 靈道(령도).
2) 心胸疾患 : 公孫(공손), 內關(내관).
3) 肺原性心臟病 : 心兪(심수), 神門(신문), 豊隆(풍륭).
4) 血栓閉塞性血管炎 : 心兪(심수), 膈兪(격수)., 血海(혈해)와 三陰交(삼음교)에 穴位注
射(혈위주사).
5) 心肥大(심비대) -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輸,原).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足太陽膀胱經 : 厥陰兪(궐음수).
6) 心內外膜炎(심내외막염) - 手少陰心經 : 神門(신문,輸,原).
手厥陰心包經 : 間使(간사,經).
7) 心臟外膜炎(심장외막염) - 手厥陰心包經 : 天池(천지,小腸의 會).
8) 心臟病要穴(심장병요혈) : 大陵穴(대능혈) - 痛玄指要賦 針灸大成
9) 心虛의 病(심허병) : 少冲穴(소충혈) 三分刺入 不灸 - 玉龍歌 金針(금침)을 사용하면
스스로 平安(평안)해진다.
10) 心臟(심장)과 胸部病(흉부병)
- 氣(기)가 胸腹(흉복)을 刺痛(자통) : 大陵穴(대능혈) - 玉龍歌
11) 이침(耳針)
耳穴 : 心(심).
심장천식 (心臟喘息 Cardicc athma)
심장병 환자에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호흡곤란을 심장천식이라 한다. 이는 좌심실 기
능부전의 증후로 대동맥폐쇄부전, 관상동맥경화, 고혈압, 신질환 등이 좌심부전을
일으켰을 때에 나타나는 것으로 일명 발작성 호흡곤란 이라고도 지칭하며 야간 수면
후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신체의 격동이나 과식 회화 등이 요인이 된다.
발작을 일으키면 누워 있을 수가 없고 질식감이나 인후 폐쇄감으로 몹시 고통스러우
며 안면은 창백해져서 Zyanose를 수반하면서 전신은 식은 땀을 흘리고 상반신을 굴
절하여 기좌호흡을 한다. 그리고 폐(肺)에는 울혈(鬱血)이 있기 때문에 흡기와 호기
양쪽이 모두 곤란하여 천명(喘鳴)을 수반하면서 얼굴과 목에 정맥이 노장한다. 발작
은 통상 30분 정도 계속되다가 점차 쇄퇴하지만 만일 장시간 지속할 경우에는 폐울
혈(肺鬱血)에 의하여 폐포내에 액체나 혈액이 삼출(滲出)하여 포말상의 각담(咯痰
sputum)을 토하게 되는데 이것이 곧 폐수종(肺水腫 pulmonary edema)이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맥박이 소실하여 호흡도 끊어져서 죽게 된다.
심장천식은 기능적 질환으로 발작시의 증상은 비록 심하다 하여도 사망의 위험은 극
히 적지만 심장천식은 기질적인 질환으로 발작시에 그 처치를 잘못하면 치명적인 결
과를 초래할 경우가 있다.
治療 : 대증료법으로 발작을 완화하고 발작의 회수를 적게 하는데 상단한 효과가 있
지만 중증 발작의 경우에는 강심제의 투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서의학의 병용
이 불기피 하다.
治法 : 부정맥(不定脈 Arhythmia) 치법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심장판막증 (心臟瓣膜證 Cardiac valvular disease)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심장판막에 장해가 생겨서 판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을 心臟瓣膜證이라 한다. 판막(valve)이 페쇄되어야 할 때에 완전히 페
쇄되지 않어 혈액의 일부가 반대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폐쇄부전이라 하고,
Valve가 반흔성으로 상호 유착하여 완전히 열리지 않고 판구가 좁아진 것을 판구
협착이라 지칭한다.
판막장해가 일어나면 일반적으로 심장의 일정부위가 비대 또는 확장이 생기는데
이는 심장의 혈액 대사기능이 파괴되어 혈류의 원만한 순환이 결여되므로 울혈을
초래 하기 때문이다. 이를 대사기능부전이라 하며 dyspnea, palpitation.
edema, liver-tumor, zyanose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심장판막증의 대부분은 염증성 심내막염에 속발(續發)하는 것으로 Rheuma- tism
열에 의하는 것이 가장 많고, 그밖에는 Angina, Chorea(무도병), 급성전염병, 매
독, 동맥경화 등에 의하여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염증성심내막염에 속발하는 승모판폐쇄부전은 15~30세의 소장자에게 많고, 매
독, 동맥경화증에 의한 대동맥폐쇄부전증은 40~60세의 초로 및 노년기에 많다.
이들에 대한 개요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現代針灸學
1) 승모판 폐쇄부전증(mitral insufficiency)
심장판막증 중에서 50~70%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rheumatic성 심내막염에 속
발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드물게는 동맥경화가 원인이 될 때도 있다.
證狀은 심장박동항진, 심첨박동이 윤기성이 되어 심첨부에 수축기 잡음이 들리는
데 대부분 취명성이다. 이 취명성은 수축기에 혈액이 판구를 통하여 역류
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좌심방에서 가장 높다. 이밖에 좌심실, 우심실
의 확장, 비대를 가져오며 초기에는 제 2 늑간 흉골 좌연에 이어서 수축기
잡음이 가장높다.
폐순환에 울체가 일어나면 제 2 폐동맥음이 항진되며 중증이 되면 울혈성
기관지염이 일어 나며 dyspnea와 더불어 갈색의 담(黃痰)이 생긴다.
2) 승모판 협착증(mitral stenosis) 승모판폐쇄부전과 같이 rheumatic성 심내막염에
속발하는 경우가 많지만 원인은 불명이다. 때로는 승모판폐쇄부전증과 별발하거
나 또는 승모판 폐쇄부전증에 속발하기도 한다.
證狀은 수축기 전 잡음을 위시하여 확장기 잡음, 우심실의 확장과 비대로 청진상
심첨부의 약간 외방 쪽에서 확장기 잡음을 들을 수가 있다. 환자의 면색은
창백하여 양볼 코 입술 등에 Zyanose현상이 나타나고, 가벼운 운동에도
호흡곤 란과 맥박빈삭이 되고, 기외수축이 잘 일어난다. 절대성 부정맥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혈압은 일반적으로 낮다.
3) 대동맥판 폐쇄부전증(Aortic insufficiency)
본증도 심내막염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 매독에 의하여 일어
나고 드물게 동맥경화(Arteriosolerosis)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證狀은 심장 수축기에 좌심실에서 대동맥에 송출된 혈액의 일부가 대동맥 판구를
통하여 좌심실에 역류하는 것으로 그 결과로서 좌심실의 확장, 비대한다.
심첨박동은 좌하방으로 전이하고 심한 경우에는 제 6~7 늑간에 달한다. 또한 요
골동맥의 박동이 긴장 항진하여 특유의 촉맥(促脈)을 나타내며 이밖에 경동맥, 측
두동맥, 상완동맥, 지동맥에도 심한 박동을 볼수가 있고 혈압은 최고치가 정상보
다도 높은 반면에 최저치가 정상보다도 한결 낮은 50~20mm를 나타낸다. 본증
의 초기 또는 중등증의 대사부전 시기에는 특별한 자각적 고통이 거의 없으나 일
단 심한 대사부전이 일어나면 심장천식(心臟喘息), 호흡곤란(呼吸困 難) 동작불능
이 된다. 예후는 심내막염의 것이 가장좋고, 동맥경화성의 것이 가장 나쁘며, 매독
성의 것이 중간이다.
4) 심장판막증에 대한 이상 설명한 것 외에도 대동맥판구협착증, 3첨판폐쇄부전, 3
첨판협착증 등이 있지만 이들은 극히 희소한 질병이다
治療 : 본병은 완치가 불가능한 성질의 것으로 대사기능이 양호할 때는 심신의 과로
를 피하고, 담배, 술, 자극성 음식물을 금하고, 때로는 직업의 전환, 임신의 조
절도 필요하다.
針灸療法은 대증요법으로 증상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경증이
나 중등증에 대하여는 병변을 개선시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 끈기 있는 계속
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증인 경우에는 적응되지 않는 것도 명심하
기 바란다.
治法은 부정맥(Arhythmia)에 준한다. 現代針灸學
심통 (心痛) ☞ 침구(針灸) Nr.26
심포경병 (手厥陰心包經病辨證處方). 風寒濕痹(풍한습비)
病因病機 : 風寒濕邪(풍한습사), 侵襲心胞經(침습 심포경), 不通經氣(불통경기).
主要證候 : 心胸疼痛(심흉동통), 心煩(심번), 臂內側疼痛(비 내측 동통), 筋萎縮(근위
축) 麻痹不遂(마비불수), 手心熱(수심열).
治法 : 逐邪通痹(축사통비).
處方 : 郄門(극문), 大陵(대능), 少府(소부), 消濼(소락).
針法 : 瀉法(사법).
심하부병 (心下部病)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心下部(심하부) 冷感(냉감) : 少澤穴(소택혈) - 靈光賦
2) 心胸(심흉)이 더부룩하고 그득하면 : 承山穴(승산혈) - 雜病穴法歌
심혈어조 (心血瘀阻)
病因病理 : 心氣虛(심기허) 혹 心陽不足(심양부족), 疲勞過度(피로과도), 寒邪侵襲(한
사침습), 혹 情緖激動(정서격동), 要因(요인) 痰濕凝滯(담습응체), 不暢血
脈(불창혈맥), 心血阻滯(심혈조체).
主要證狀 : 胸悶怔忡(흉민정충), 胸部疼痛徹背(흉부동통철배), 汗出(한출), 手足厥冷
(수족궐냉), 舌靑紫(설청자), 혹 瘀血斑点(어혈반점), 脈澁或促, 結, 代(맥삽
혹촉, 결, 대).
西醫 : 冠狀動脈硬化性心臟病(관상동맥경화성심장병), 狹心症(협심증),
豊饒性心臟病(퐁요성심장병), 心不全(심부전) 等
治則 : 通陽化痰(통양화담).
處方 : 少海(소해), 郄門(극문), 陰郄(음극), 膈兪(격유), 足三里(족삼리), 冲陽(충
양).
取穴 : 每次(매차) 3-4个穴, 捻轉提揷(념전제삽), 留針(류침), 5分間隔行針(5분간
격행침)
심화상염 (心火上炎)
病因病理 : 情志鬱結(정지울결), 轉化火熱(전화화열), 혹 六淫邪氣鬱滯(六淫邪氣鬱滯
(육음사기울체), 轉化火熱(전화화열) 혹 過食辛辣厚味(과식신랄후미), 혹
熱性補葯(열성보약)을 過度服用(과도복용)으로 引起(인기)된 心火上炎
(심화상염) 心明攪亂(심명교란), 혹 陰血損傷(음혈손상).
主要證候 : 舌,口腔膜糜爛(설구강막미란), 煩躁不安(번조불안), 咽喉痛(인후통), 目紅
疼痛(목홍동통), 頭痛(두통), 혹 衄血(뉵혈), 吐血(토혈), 舌紅(설홍), 苔黃
(태황), 脈數(맥삭).
西醫 : 類似(유사) 口腔粘膜潰瘍(口腔粘膜潰瘍(구강점막궤양), 舌炎(설염),
神經官能症(신경관능증).
治法 : 瀉火淸心(사화청심).
處方 : 1) 通里(통리), 間使(간사), 少府(소부), 勞宮(노궁), 心兪(심수).
針法 : 瀉法(사법)
2) 通里(통리), 神門(신문), 太淵(태연), 心兪(심수), 完骨(완골).
針法 : 瀉法(사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