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증후92 2.臟腑證候6)臟與臟⑫肺腎陰虛證

Aktualisiert: 21. Juni 2019



2. 臟腑證候(장부증후)

6) 臟與臟(장과장)

⑫ 肺腎陰虛證(폐신음허증) 178

폐신음허증은 肺陰(폐음)이 줄어드는(虧損) 것이 오랜 동안 누적됨으로 해서 나중에는

腎陰(신음)에도 나타나게 되는 즉 肺腎(폐신) 양장이 陰津(음진)이 不足(부족)하고, 폐경

의 락맥이 손상을 받게 되어(肺絡受損) 수습이 줄고 화열이 항성(水虧火旺)하게 되는

증후이다. 대부분 사열이 아직도 폐에 남아 있고(邪熱戀肺), 정서적으로 과도하게 슬프

고 애절해 하고(悲哀過度), 성생활을 절제하지 못하는(房勞不節) 등 때문이다.

임상표현 : 기침하며 가래가 적거나(咳嗽痰少) 혹은 가래에 피가 실처럼 섞여(痰中帶

血)나오고, 입과 목구멍이 건조하며(口燥咽乾), 음성이 쉬고(聲音嘶啞), 허리

와 무릎이 저리고 힘이 약하며(腰膝痠軟(요슬산연), 마음이 번거롭고 괴로우며 답답하

기도 하며 잠을 적게 자고(心煩少寐), 조숫물처럼 밀려드는 열이 뼛골을 찌는 듯 하고

(骨蒸潮熱), 잠을 잘 때 땀이 나며 광대뼈 부위가 붉게 물들고(盜汗顴紅), 혀는 붉고 태

는 적으며(舌紅少苔),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

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본증상견 : 咳嗽(해수), 喘證(천증), 失音(실음), 虛勞(허로), 消渴(소갈) 등 질병 중에

류증감별 : 肺陰虛證(폐음허증), 燥邪犯肺證(조사범폐증), 腎陰虛證(신음허증), 肝火犯

肺證(간화범폐증).

辨析施治(변석시치)

㈀ 해수(咳嗽) bex, cough, tussis

臨床 : 폐신음허증후(肺腎陰虛證候)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증후 중에 해수병(咳嗽病)

일 때는 열사상폐(熱邪傷肺)로 인한 폐락수손(肺絡受損)이 오래되어 필히 신

에 영향을 미쳐(久必及腎), 폐신음허증후(肺腎陰虛證候)를 이루게 된(遂成)

것이다. 그 특징은 기침을 하며 가래가 적고(咳嗽少痰), 혹은 가래에 혈사가

석여 나오고(或痰中帶血), 손과 발바닥 얼굴에 번열이 나는데(五心煩熱), 밤에

더욱 심하며(入夜尤甚), 인후가 건조(咽喉干燥)하고, 귀 울림이 있을 수 있으

며(可有耳鳴), 아찔하고 캄캄해지면서 어지럽고(眩暈), 몸이 여위며(形体消

瘦), 설홍태소(舌紅苔少),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다(脈細數).

治宜 : 자양신음(滋養腎陰), 윤폐지해(潤肺止咳).

方用 : 월화환(月華丸)《의학심오(醫學心悟)》 화재(化裁)

≒ 천동(天冬), 맥동(麥冬), 생지(生地), 숙지(熟地), 산약(山葯), 백부(百

部), 사삼(沙蔘), 천패모(川貝母), 복령(茯苓), 아교(阿膠), 삼칠(三七),

국화(菊花), 상엽(桑葉), 달간(獺肝).

㈁ 천증(喘證) asthma, phthisic

臨床 : 기침을 하면서 숨을 헐떡거리는 해천이 오래 되면(咳喘日久), 폐의 병변이 신

에 미친(肺病及腎), 금불생수(金不生水)로써 어미의 병이 자식에 미치게(母病

及子) 되어 폐신음허(肺腎陰虛)에 이를 수 있다. 때문에 임상에서 천촉(喘促)

을 볼 수 있고, 움직이면 천식이 다시 심해지며(喘息更甚), 몸과 정신이 지치

고 피곤하여 고달프고(形神疲憊), 혀와 목구멍이 건조하며(咽干舌燥), 혀는 붉

고 태는 적고(舌紅苔少),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며 실같이 가늘지만 똑똑하

다. 혹 겸하여 척맥이 약하다(脈沉細或兼尺弱).

治宜 : 자음납기(滋陰納氣)

方用 : 생맥산(生脈散)《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合 칠미도기환(七味都氣丸)《의종기임편(醫宗己任編)》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복령(茯苓), 모단

피(牡丹皮), 택사(澤瀉), 오미자(五味子).

㈂ 실음(失音)

臨床 :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 중에서 보는 실음병(失音病)은 대부분 조화상음(燥

火傷陰)하여 진액을 사르게 되고(津液被灼), 오랜 병으로 폐신이 모두 줄어들

어서(久病則肺腎兩虧), 폐금이 숙강기능을 이행하지 못하고(肺金淸肅不行)

신음이 위로 올라오는 일이 없음으로(腎陰无以上承), 목구멍이 말라 벙어리

가 되는데(故音啞喉燥), 대부분 가래가 적은 마른기침을(乾咳少痰) 겸하는 것

을 보이고, 마음이 허전하며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고(虛煩不寐), 손과 발바

닥에 열이 나고(手足心熱),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저리며(腰膝痠軟), 혀는

붉고(舌紅),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뛰

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治宜 : 양음윤폐(養陰潤肺), 화담(化痰).

方用 : 백합고금탕(百合固金湯)《醫方集解》인조즙암방(引趙蕺庵方)

≒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맥문동(麥門冬), 백합(百合), 당귀

(當歸), 초작약(炒芍葯), 패모(貝母), 감초(生甘草), 현삼(玄參),길경

(桔梗).

㈃ 허로(虛勞)

臨床 :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에서 보는 허로는 지나친 노동으로 인하여 오랜 병을

앓게 됨으로 그 손상이 폐신(肺腎)의 음(陰)에 미치고, 허리가 시큰시큰 쏘며

저리고(腰痠), 조열(潮熱)이 나고, 머리가 어지럽고 귀 울림이 나며(頭暈耳鳴),

목구멍이 건조하여 마른기침을 하며(咽燥干咳), 각혈(咯血)을 하고, 설광소태

(舌光少苔)하며,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細數).

治宜 : 양음윤폐(養陰潤肺), 자신익정(滋腎益精).

方用 : 증음리노탕(拯陰理勞湯)《의종필독(醫宗必讀)》

≒ 모단피(牡丹皮), 당귀신(當歸身), 맥문동(麥門冬), 귤홍(橘紅), 감초

(甘草), 의이인(薏苡仁), 연자(蓮子), 백작(白芍), 오미자(五味子),

인삼(人蔘), 생지황(生地黃), 대조(大棗).

合 대보원전(大補元煎)《경악전서(景岳全書)》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구기자(枸杞

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 소갈(消渴) diabetes. (de) Zuckerkrankheit, Diabetes

臨床 : 폐신음허증(肺腎陰虛證)에서 보는 소갈은 대체로 조열이 폐를 침범하고(燥熱

犯肺) 혹은 방종한 생활로(恣情縱欲) 인하여 정기가 줄어 허하고(精氣虧虛) 신

음이 줄어들게 되면(腎陰被耗) 폐신음허로 된다(遂致 肺腎陰虛)., 폐가 기능상

경중을 분별하는 절도를 잃게 되고(肺失治節之權), 신(腎)이 정(精)을 수섭(收

攝)하고 저장하며 납기(納氣)하는 기능이 견고하지 못하면, 괄략근이 열고 닫

는 분별력이 없어서(約束无權), 수액이 직하(水液直下)하고, 따라서 소변을 많

이 보고 구갈이(尿多口渴) 생김으로 소갈(消渴)이 된다.

治宜 : 윤폐자신(潤肺滋腎), 생진지갈(生津止渴).

方用 : 이동탕(二冬湯)《의학심오(醫學心悟)》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천화분(天花粉), 황금(黃芩), 지모(知

母), 인삼(人蔘), 감초(甘草), 하엽(荷葉).

合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택사(澤瀉), 복령

(茯苓), 모단피(牡丹皮).


본증은 대부분 오랜 병으로 혹은 늙고 음허(年老陰虛)한 사람에게서 보게 되거나 혹은

열병후기(熱病后期)에 보이는 조열로 음액을 작상(燥熱灼傷陰液)하여 폐신 2장에 연루

(累及肺腎二臟)됨에 따라 본증이 이루어진다(遂成本證).

3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증후146 3.溫病 4) 溫熱病 ⑭ 毒壅上焦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⑭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120-219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은 대부분 기후의 변화로(氣候失常) 인하여 온독의 사기에 감 수된(感受溫毒之邪) 열독이 위로 북

증후145 3.溫病 4) 溫熱病 ⑬ 上焦燥熱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⑬ 上焦燥熱證(상초조열증) 121-221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은 폐장이 조열사기에 감수된(肺感燥熱之邪)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폐가 윤하작용을 상실하게 되고(

증후144 3.溫病4)溫熱病⑫痰濁內蒙心包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⑫ 痰濁內蒙心包證(담탁내몽심포증) 126-227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은 탁한 담이 이룬(釀成痰濁) 것으로 탁담이 심포를 덮어씌우고 단절시켜서(痰濁蒙閉心包) 정신의식을 혼몽하게(神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