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臟腑證候(장부증후)
6) 臟與臟(장과장)
⑪ 肺脾腎陽虛證(폐비신양허증) 177
폐비신양허증(肺脾腎陽虛證)은 임상상(臨床上) 동시에 폐기허(肺氣虛)와 비기허(脾氣
虛) 혹은 비양허(脾陽虛)와 신양허(腎陽虛, 또는 신기허(腎氣虛))를 가리키는 일종의 복
합증후(復合證候)이다. 대체로 폐기허(肺氣虛) 혹은 폐비기허(肺脾氣虛)가 일보 발전함
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임상표현 : 3가지 증상(症狀) 분류할 수 있다.
1) 해(咳), 천(喘), 단기(短氣), 토담(吐痰), 자한(自汗), 면백(面白), 성저(聲低)
등 폐기허증상(肺氣虛症狀)
2) 식소(食少), 완창(脘脹), 변당(便溏), 권태(倦怠), 담다이희백(痰多而稀白)
등 비허표현(脾虛表現).
3) 형한(形寒), 지량(肢凉), 요산(腰痠), 소변청장(小便淸長) 혹은 불이(不利),
심혹수종(甚或水腫), 설담반(舌淡胖) 혹유치흔(或有齒痕), 맥약(脈弱) 등 신부족지증(腎
不足之症). 이상의 증상출현(症狀出現)의 순서는 먼저 폐기허(肺氣虛), 이어서 폐비기
허(肺脾氣虛)가 출현하고 최후에 폐비신양허(肺脾腎陽虛)가 출현하게 된다.
본증상견 : 천(喘), 효(哮) 질병 중에 천과 효의 병기 및 표현이 대체로 서로 같기 때문에
함께 토론(討論)한다.
류증감별 : 폐비기허증(肺脾氣虛證), 폐신기허증(肺腎氣虛證).
변석시치(辨析施治) 효천(哮喘)
臨床 : 폐비신양허증(肺脾腎陽虛證)에 출현하는 천(喘) 혹은 효(哮)의 질병 중에 병인(病
因)은 완전하게 같지 않다. 즉 병인은 다를 수 있다.
《景岳全書 ․ 喘促》篇云 “喘有夙根(천유숙근), 遇寒卽發(우한즉발), 或遇勞卽發者
(혹우노즉발자), 亦名哮喘(역명효천)”.
《경악전서 ․ 천촉》편에 이르기를 “喘(천)은 예로부터 한사를 만나면 발작하고,
혹은 일을 하게 되면 발작하는 사람이 있는데 모두 효천이라 명한다.” 하였고
《沈氏尊生書 ․ 咳嗽哮喘源流》云 “大都幼稚之時(대도유치지시), 犯鹽醋(범염초),
滲透氣脘(삼투기완), 一遇風寒(일우풍한), 便窒塞道路(변질색도로), 氣息急促(기
식급촉).” 《심씨존생서 ․ 해수효천원류》에 이르기를 “큰 도읍에서 어린 시절 염
초(鹽醋)를 오식하여 위(胃)에 스며들었는데(滲透), 한차래 풍한(風寒)의 사기를
받게 되니 변이 장도에 막히고 호흡이 급촉(急促)해 졌다”. 하였다.
두 사람은 病機(병기) 및 임상표현이 대체로 유사하다. 또 폐비신양허증(肺脾腎
陽虛證)으로 인해 균일하게 나타나는 천(喘) 혹은 효(哮)의 만기(晩期)에 관해서
《景岳全書 ․ 喘促》편에 이르기를 “폐(肺)는 기(氣)를 주관하고, 신(腎)은 기(氣, 吸
氣)의 근본(根本)이다.” 비(脾)는 또 기(氣)를 산생하는 원천(源泉)이다, 폐, 비, 신
삼장이 모두 부족하면(肺脾腎三臟俱不足), 허천(虛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비폐가 기허한 사람은(若脾肺氣虛者), 기허가 중초와 상초에 불과함으로
(不過在中上二焦), 원천(下焦)은 아직 줄지 않았고(化源未虧), 오히려 그 병은 얕
다(其病猶淺). 만약 간신의 기허(若肝腎氣虛)가, 병이 되어 하초에 나타나게 되면
(則病出下焦), 이는 본말이 모두 병이 들은(而本末俱病) 것으로서, 그 병은 깊은
(其病則深)것이다.” 라고 하였다.
해(咳), 천(喘), 효(哮)은 폐로 인한 병증으로서(本肺之病症), 비신에 영향을 미쳐
서(累及脾腎), 비기가 부족(脾氣不足, 脾陽)하게 되면, 수습이 불화(水濕不化)하
여 진액이 담음으로 되는 것이다(津液而化爲痰飮); 신양이 부족(腎陽不足)하면,
명문화가 쇠약(命門火衰)해지므로 비토가 허약해지고(則脾土虛弱), 운화기능을
잃게 되어(運化失司), 승청 강탁의 직분을 상실(淸濁升降失職)함으로, 수액이 체
내에 모여(水液結聚体內) 담음이 되는 것이다(而爲痰飮). 이와 같이 비는 담을 생
성하는 원천이고(所以生痰之源雖在脾), 폐는 저장하며(而貯于肺), 그를 주관하
는 것은 거듭 신에 속한다.(其主仍屬腎).
治宜 : 부정기위주(扶正氣爲主), 소위배원이고본(所謂培元以固本), 발작지시(發作之時)
方用 : 先用 마황탕(麻黃湯)《상한론(傷寒論)》
≒ 마황(麻黃), 계지(桂枝), 행인(杏仁), 자감초(炙甘草). 姜棗.
소청용탕(小靑龍湯)《상한론(傷寒論)》
≒ 마황(麻黃), 계지(桂枝), 작약(芍葯), 건강(乾姜), 세신(細辛), 오미
자(五味子), 반하(半夏), 자감초(炙甘草).
사간마황탕(射干麻黃湯)《금궤요략(金匱要略)》
≒ 사간(射干), 마황(麻黃), 생강(生姜), 세신(細辛), 자원(紫菀), 관
동화(款冬花), 오미자(五味子), 반하(半夏), 대조(大棗).
緩解時 금궤신기환(金匱腎氣丸)《금궤요략(金匱要略)》
≒ 숙지황(熟地黃, 或乾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
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 부자(炮附子), 계지(桂枝).
우귀환(右歸丸)《경악전서(景岳全書)》
≒ 녹각교(鹿角膠),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두
중(杜仲), 당귀(當歸), 구기자(枸杞子), 토사자(菟絲子), 부자(附
子), 육계(肉桂).
대보원전(大補元煎)《경악전서(景岳全書)》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구기자(枸
杞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