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臟腑證候(장부증후)
5) 腎(신)
⑦ 腎精不足證(신정부족증) 156
신정부족증은 腎精(신정)이 이지러져 줄어(虧損) 들어서, 골수(髓海)가 비고 모자라게
(空虛) 됨으로 발육이 더디고 늦어지며(遲緩), 노후에는 일찍이 쇠약해지고, 肢體(지체)
가 痿弱(위약)해 져서 활동이 불가능해 지는 임상표현 등을 말한다. 대부분 선천적으로
부족함을 안고 태어 낳거나 또 태어난 후에 영양실조(后天失調) 혹은 과도한 노동으로
몸을 상함으로(勞傷過度) 말미암은 임상표현을 나타낸다.
임상표현 : 갑자기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하며 캄캄해지고(眩暈(현운), 귀 울림이 나며
(耳鳴),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힘이 빠지고(腰膝酸軟), 성기능이 시들해
지고 힘이 없으며(陽萎), 임신이 되지 않고(不孕), 소아의 생장과 발육이 더디고(小兒生
長發育遲緩), 지능과 동작이 더디고 둔하며(智力和動作遲鈍), 골격이 약하고 마비되어
절며(骨骼痿弱), 수문이 더디 닫치고(囟門遲閉), 성인이 되어선 일찍이 노쇠하며(成人
爲早衰), 양쪽 다리가 약하고 저리며 마비되어 절름거리고(兩足痿弱), 걸음걸이가 힘들
고 어려우며(步履艱難), 정신을 맑고 똑바르게 차리지 못하고 둔하며(精神呆鈍), 동작
이 더디고 느리다(動作遲緩).,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지만 힘이 없다(脈細无力).
본증상견 : 解顱(해로), 五遲(오지), 五軟(오연), 痿證(위증), 眩暈(현운), 虛勞(허로), 陽萎
(양위), 不孕(불잉) 등 질병 중에
류증감별 : 腎陰虛證(신음허증).
辨析施治(변석시치)
㈀ 해로(解顱)
臨床 : 소아의 해로병(解顱病)은 임상에서 두개골이 붙지 않고 갈라져 열려있고(顱
縫裂開), 정수리 앞부분이 넓고(前囟寬大), 머리 이마에 정맥이 노출되며(頭額
淸筋暴露), 정신 상태가 어리석고 둔하고(神情呆鈍), 눈은 정신을 차리지 못하
며(目无神采), 얼굴색이 흰(面色晄白) 등 특징이 있다. 대부분 선천의 태아로
부터 품부가 부족하거나(先天胎稟不足) 혹은 생후에 오랜 병으로 몸이 약해
져서(久病体虛), 신정이 부족하고(腎精不足), 수해가 충실하지 않은(髓海不
實) 때문이다.《유유집성(幼幼集成)》에서 “腎主腦髓(신주뇌수), 腎虧則腦髓不
足(신휴칙뇌수부족), 故囟爲之開解(고신위지개해).”라 하였다.
治宜 : 보신익수(補腎益髓), 익기양혈(益氣養血).
方用 : 보신지황환(補腎地黃丸)《증치준승(證治准繩)》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모단피(牡丹皮), 택
사(澤瀉), 복령(茯苓), 우슬(牛膝), 녹용(鹿茸).
㈁ 오지(五遲), 오연(五軟)
臨床 : 소아오지오연병(小兒五遲五軟病) 중에 팔다리가 연약(肢体軟弱)하고, 엎드려
있으며 서고, 걷지, 못하고 이가 나지 않으며(屈期不能站立行走和生齒), 겸하
여 두개골이 열려 있고(解顱), 지력이 건전하지 못하며(智力不健), 정신 의지
가 둔하고 어리석으며(神情呆鈍), 몸이 몹시 여윈(形体瘦削) 등 특징이 있다.
대부분 선천적으로 품부가 불충분 하고(先天禀賦不充), 후천적으로 음식 양
육이 적절치 못하여(后天哺養失調), 신정이 불충하고(腎精不充), 기혈이 허약
한(氣血虛弱) 때문이다. 《醫宗金鑑 ․ 幼科心法要訣》에서 말하기를 “소아 오지
증은 대부분 부모가 기혈(氣血)이 허약(虛弱)하고 선천이 줄었음으로(先天有
虧) 태어난 아이가 근골이 연약하고(筋骨軟弱), 보행이 어려우며(行步艱難),
치아가 빨리 자라지 못하고(齒不速長), 평온하게 앉아있지 못하는(坐不能穩)
것은 신(腎)이 부족한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治宜 : 전정보신(塡精補腎), 익기양혈(益氣養血).
方用 : 가미육미지황환(加味六味地黃丸)《의종금감(醫宗金鑑)》
≒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복령(茯苓), 단
피(丹皮), 택사(澤瀉), 녹용(鹿茸), 오가피(五加皮), 사향(麝香).
㈂ 위증(痿證)
臨床 : 신정부족증자(腎精不足證者) 중에 위증(痿證)이 출현은 하지(下肢)가 점차 시
들고 약해져 사용할 수 없게 되며(痿弱不用), 허리와 척추가 시큰시큰 쏘고 연
약하며(腰脊酸軟), 겸하여 눈이 아찔하고 캄캄해지며 어지럽고(兼有眩運), 정
액을 절로 흘리며(遺精), 잠자리에 오줌을 싸는(遺尿) 특징이 있다. 대부분 지
나친 성생활을 하였거나(房勞過度) 혹은 오랜 병으로 정기를 소모하여 줄어
들어서(久病精 氣虧耗), 간신이 손상을 받아 줄어든(肝腎虧損) 때문이다.
治宜 : 보익간신(補益肝腎).
方用 : 호잠환(虎潛丸)《단계심법(丹溪心法)》
≒ 구판(龜板, 酒炙), 황백(黃柏, 酒炒), 지모(知母, 酒炒), 숙지황(熟地黃),
백작(白芍), 쇄양(鎖陽), 호골(炙虎骨), 진피(陣皮), 건강(乾姜).
㈃ 현운(眩暈)
臨床 : 신정부족증자(腎精不足證者) 중에 출현하는 현운병(眩暈病)은 갑자기 눈이
아찔하면서 캄캄하고 어지러우며(眩暈), 정신이 시들어 빠져서 쓰러지며(精
神萎靡), 건망증이 생기고(健忘),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연약하고(腰膝酸
軟), 귀 울림이 나며 어두워져 귀머거리가 되고(耳鳴耳聾),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며 실같이 가늘 은(脈弦細) 등 특징이 있다.
선천(先天)이 부족하거나 혹은 늙어서 기가 쇠약하거나(年高氣衰), 혹은 근을
상한 탓에 힘이 빠지고 늘어지려하며(縱欲筋傷), 신정이 부족하여(腎精不足),
뇌수(腦髓)가 비게 되고(髓海空虛), 상초 하초가 모두 부족하기(上下俱虛) 때
문이다. 《靈樞 ․ 海論》說 “髓海不足(수해부족), 腦轉耳鳴(뇌전이명), 脛痠眩冒
(경산현모), 牧无所見(목무소견), 懈怠安臥(해태안와).”라 했다.
治宜 : 보신익정(補腎益精).
方用 : 좌귀환(左歸丸)《경악전서(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 숙지(熟地), 산약(山葯), 구기자(枸杞子), 산수유(山茱萸), 우슬(川牛膝),
토사자(菟絲子), 녹각교(鹿角膠), 구판교(龜板膠).
㈄ 허로(虛勞), 양위(陽萎), 불잉(不孕)
臨床 :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일 때 출현하는 각종 허약 증후(虛勞), 발기부전(陽
萎), 불임(不孕)은 정액을 흘리며(遺精), 아무 감정 없이 정액을 흘리고(滑精),
귀 울림이 나며, 귀가 어두워지는 귀머거리(耳鳴耳聾), 발기부전(陽痿不擧),
힘이 없고 정신 피로(神疲乏力)를 볼 수 있으며 여자는 월경량이 적거나(經少)
혹은 경폐(經閉), 불임(不孕) 등등
治宜 : 익신전정(益腎塡精),
方用 : 대보원전(大補元煎)《경악전서(景岳全書)》
≒ 인삼(人蔘), 산약(山葯),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구기자(枸杞子),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감초(甘草).
하차대조환(河車大造丸)(《醫方集解》引吳球方)
≒ 자하차(紫河車),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천문동(天門 冬), 맥
문동(麥門冬), 구판(龜板), 황백(黃柏), 우슬(牛膝).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의 출현은 항상 사람에 따라 다르다. 소아의 발육이 늦어지
고(遲緩), 체력(体力), 지력(智力), 체형(体形) 등은 모두 같은 연령층의 아동을 비교
한 것이다.
성인(成人)의 표현은 일찍 늙어가는 현상(早衰現象)이 있으며, 정력을 유지하지 못
하고(精力不支), 기억력감퇴(記憶力减退), 머리털과 치아가 일찍이 빠지며(齒發早
墮), 성기능 감퇴(性機能减退) 등을 변증분석(辨析)함이 마땅하다.
신정(腎精)은 인체(人体)를 유지(維持), 생장(生長), 발육(發育), 생식(生殖) 및 전신 각
장부(臟腑)의 생리활동(生理活動)에 기본물질(基本物質)인 동시에 또한 기혈을 화생
(化氣生血) 한다.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의 병기(病機)가 연변(演變)하는 과정(過程) 중에는 항상 신
정휴허(腎精虧虛)로 인하여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에 이르게 되면 면색이 창백무
화(面色蒼白无華)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호흡이 짧아 숨이 차며(氣短神疲), 팔다리
에 힘이 넚고 연약하며(肢軟乏力), 땀이 절로 나고(自汗), 맥은 촌관척 3부맥이 모두
무력하며 실같이 가늘 은(脈細弱) 등 증상을 수반한다. 치료할 때는 보익신정(補益
腎精)을 제외하고, 익기양혈로 회복하도록 한다(還需益氣養血).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