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臟腑證候(장부증후)
5) 腎(신)
④ 腎氣虛證(신기허증) 153
腎氣虛證(신기허증)은 신장의 원기가 허약함(腎中元氣虛衰)으로 腎(신)이 주관하는 공
능이 감퇴(功能减退) 됨으로써 나타나는 각종 증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대체로 선천적
원기가 부족한(先天不足) 상태로 태어 낳거나, 혹은 후천에 이르러 과도한 노동으로 신
장을 상했거나(勞損過度) 또는 오랜 병고가 신장에 미치는(久病及腎) 등이 원인으로 작
용한다.
임상표현 : 듣는 귀가 점차 약해지고(聽力减退), 귀 울림이 나며(耳鳴), 머리가 어지럽고
(頭暈),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腰膝酸軟), 한밤에 소변을 여러 번 많이 보
고(夜間多尿), 정액이 저절로 흘러 나가거나 성교시에 사정이 급해지며(滑精早泄),혀는
담담하고 태는 희며(舌淡苔白), 맥은 가늘고 약한(脈細弱) 등 증
常見(상견) : 耳鳴(이명), 耳聾(이농), 虛勞(허로), 腰痛(요통), 陽萎(양위), 遺精(유정), 眩
暈(현운)등 질병 중에서 볼 수 있는 증상이다.
鑒別(감별) : 腎陽虛證(신양허증), 腎氣不固證(신기불고증), 腎不納氣證(신불납 기증) 등
辨析(변석) 및 施治(시치)
㈀ 요통(腰痛) lumbago
臨床 : 신기허증(腎氣虛證) 중에 출현하는 요통병일 때의 임상표현은 허리가 아프고
시큰시큰 쏘며 저린(腰痛痠軟) 것이 끝일 줄 모르고 계속 이어지며(綿綿不絶),
넓적다리와 무릎이 무력하며(腿膝无力), 일을 하게 되면 다시 심해지고(遇勞
更甚), 휴식을 취하면 감경하는(臥則减輕)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 오랜 병고가 원인이 되거나(多因久 病), 나이가 많은 노인(年高), 색욕
(房勞) 등이 원인이 되어 신기가 줄어서 허한(腎氣虧虛) 때문이다.
《素問 ․ 脈要精微論》에서 “腰者(요자), 腎之府(신지부), 轉搖不能(전요불능),
腎將憊矣(신장비의)” 라 하였다 즉 허리는 腎(신)이 있는 곳으로써 돌리고 움
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것은 腎(신)에 병변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라고 하였
다.
治宜 : 보신건요(補腎健腰)
方用 : 청아환(靑娥丸)《화제국방(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 대산(大蒜), 보골지(補骨脂), 호도인(胡桃仁), 두중(杜仲).
合 좌귀환(左歸丸)《경악전서(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 숙지(熟地), 산약(山葯), 구기자(枸杞子), 산수유(山茱萸), 우슬(川牛
膝), 토사자(菟絲子), 녹각교(鹿角膠), 구판교(龜板膠).
㈁ 이명(耳鳴), 이농(耳聾), 현운(眩暈)
臨床 : 신기허증(腎氣虛證)에 출현하는 이명, 이농, 현운 등 질병 중에 귀울림(耳鳴),
귀머거리(耳聾), 머리 어지러움(頭暈), 눈이 아찔하고 캄캄하며(目眩), 정신을
잃고 쓰러지며(精神萎靡), 허리가 시큰거리고 연약한(腰酸軟) 등 증상을 볼 수
있다. 신은 귀를 주관한다(腎主耳), 그러므로 신(腎)이 허(虛)하면 정불상승(精
不上承) 함으로 청력이 감퇴(聽力减退) 되는 것이다. 장경악(張景岳) 說 “无虛
不作眩(무허불작현)” 즉 허(虛)하지 않으면 현혹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라고 했으며 신이 허하면 물이 줄어들어 목(木)이 요동을 함으로 눈이 아찔하
고 머리가 어지러운(腎虛則水虧木搖 故眩暈) 것이다.
治宜 : 보신리허(補腎理虛).
方用 : 이농좌자환(耳聾左慈丸)《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목단피(牧丹皮), 택
사(澤瀉), 복령(茯苓), 오미자(五味子), 자석(磁石).
或 : 우귀환(右歸丸)《경악전서(景岳全書)》
≒ 녹각교(鹿角膠), 숙지황(熟地黃), 산약(山葯), 산수유(山茱萸), 두중(杜
仲), 당귀(當歸), 구기자(枸杞子), 토사자(菟絲子), 포부자(炮附子), 육
계(肉桂).
㈂ 양위(陽萎), 유정(遺精)
臨床 : 신기허증(腎氣虛證) 중에 보는 양위(陽萎), 유정병(遺精病)은 성생활이 안 되
고(陽事不用), 너무 일찍 사정하거나 정액이 저절로 흘러 나오며(遺精早泄),
성욕이 감퇴되고(性欲减退), 팔다리가 연약하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肢軟),
머리가 어지러운(頭暈) 등 증(症)을 볼수 있다. 대부분 방자하게 욕구를 따른
(恣情縱欲), 성생활로 신을 상한(房勞傷腎) 때문이다.
治宜 : 고신삽정(固腎澁精)
方用 : 반용환(斑龍丸)《의통방(醫統方)》보익제(補益劑)
≒ 숙지황(熟地黃), 토사자(菟絲子), 보골지(補骨脂), 백자인(柏子仁), 복
신(茯神), 녹각교(鹿角膠).
금쇄고정환(金鎖固精丸)《의방집해(醫方集解)》보익제(補益劑)
≒ 검실(芡實),사원질려(沙苑蒺藜),용골(龍骨),모려(牡蠣).,연자(蓮子).
㈃ 허로(虛勞)
臨床 : 신기허증(腎氣虛證) 중에 보는 허로병은 머리가 어지럽고 귀 울림이 나며(頭
暈耳鳴), 청력이 감퇴되고(聽力减退),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연약하며(腰
膝酸軟), 야간에 소변을 많이 보는(夜間多尿)등 증상(症狀)을 나타낸다.
治宜 : 대보원기(大補元氣).
方用 : 하차대조환(河車大造丸)《醫方集解 (引吳球方)》보익제(補益劑)
≒ 자하차(紫河車),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천문동(天門冬), 맥문
동(麥門冬), 구판(龜板), 황백(黃柏), 우슬(牛膝).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