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증후43 2. 臟腑證候 1) 心 ⑩ 痰火扰心證



2. 臟腑證候(장부증후)

1) 心(심)

⑩ 痰火扰心證(담화우심증) 96

담화우심증은 痰(담)과 火熱(화열)이 서로 결합하여 위로 心神(심신)을 어지럽게 함으

로 나타나게 되는 일연의 증상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대부분 정서가 우울하고 喜怒(희노)가 无常(무상)한 것은 痰火(담화)가 위에서 요동하

기 때문이다. 痰濕(담습)이 편파적으로 왕성하게 되고, 濕(습)이 오랜 동안 쌓여 熱(열)

이 되는(濕久蘊熱) 것은 역시 痰火(담화)가 心(심)을 擾動(요동) 시키도록 유인하게 한

다.

임상표현 : 심장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心悸) 마음이 괴롭고 답답하고(心煩), 얼굴색

이 붉으며(面赤), 입은 마르고(口乾), 밤잠에 꿈을 많이 꾸며 잠을 잃고(失眠

多夢), 쉽게 잘 놀라며(易驚), 그 증상이 중한 사람은 말에 조리가 없이 호언장담을 하고

(重者胡言亂語), 웃고 울기를 반복하며(哭笑无常), 미친 듯이 날뛰고(狂躁妄動), 소변색

은 누렇게 진하며(小便黃赤), 대변은 마르고(大便乾), 설태는 누렇고 미끈거리며(舌苔

黃膩),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滑

數).

본증상견 : 癲狂(전광), 不寐(불매), 中風(중풍) 등 질병 중

유사증후 : 痰閉心竅證(담폐심규증), 熱灼心營證(열작심영증), 心火亢盛證(심화항성증)

등 감별

辨析施治(변석시치)

㈀ 전광(癲狂) mad

臨床 : 담화우심증(痰火扰心證) 중에 출현하는 전광병의 임상표현은 마음이 답답하

고 괴로우며(心煩), 심장이 두근거리고 두려우며(心悸), 중증 환자는 말에 조

리 없이 횡설수설 입 살에 발린 호언을 하며(胡言亂語), 미쳐서 날뛰고(狂躁妄

動), 대변은 거조하며(大便乾), 설태는 미끈거리고(苔膩)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數). 대부분 의지와 뜻이 잘 풀리지 않고(情志不暢),

몹시 괴로워 화를 내서 간(肝)을 상하고(惱怒傷肝), 간기가 막혀 화(火)가 되며

(氣鬱化火), 열화가 진액을 가열해서 담이 되고(灼津爲痰) 담화가 상초를 어지

럽혀(痰火上擾), 심규(心竅)를 덮어 싸므로(蒙蔽) 정신의지를 어지럽게(神志

逆亂) 하기 때문이다.

治宜 : 척담청화(滌痰淸火) 진심안신(鎭心安神)

方用 : 생철락음(生鐵落飮)《醫學心悟》거담제(祛痰劑)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패모(貝母), 담성(膽星), 귤홍(橘紅),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연교(連翹), 복령(茯苓), 복신(茯神), 현

삼(玄參), 구등(鉤藤), 단삼(丹參), 주사(朱砂), 생철락(生鐵絡)

㈁ 불매(不寐) sleeplessness, (de) Schlaflosigkeit.

臨床 : 담화우심증(痰火扰心證) 중에 출현하는 불매병의 임상표현은 잠들기가 쉽지

않으며(不易入眠), 심한 경우에는 밤을 꼬박 새도록 잠을 못자며(甚則整夜不

眠), 화를 잘 내고 마음이 괴로워하며(心煩易怒), 혀끝으로부터 돌아가며 변

두리가 붉고(舌尖邊紅), 맥은 가야금줄을 누르는 뜻하다(脈弦). 대부부 담화

가 상초를 어지럽히고(痰火上擾), 심신이 편안하지 못하기(心神不寧) 때문이

다.

治宜 : 청심척담(淸心滌痰)

方用 : 십미온담탕(十味溫膽湯)《증치준승(證治准繩)》거담제(祛痰劑)

≒ 반하(半夏), 진피(陳皮), 복령(茯苓), 지실(枳實), 산조인(酸棗仁),

원지(遠志), 오미자(五味子), 숙지황(熟地黃), 인삼(人參), 감초(甘

草).

㈂ 중풍(中風) apoplexy

臨床 : 담화우심증(痰火扰心證) 중에 출현하는 중풍병의 임상표현은 반신불수(半身

不遂),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口眼喎斜), 말을 계속 이어서 할 수 없으며(言語

蹇澁) 정신적 판단이 흐리고(神識朦朧), 마음이 조급하고 성급해 하며 괴롭고

귀찮아하며(煩躁), 입은 마르고(口乾), 마른 변을 보고(便乾), 설태는 누런 것

이 미끈거리며(苔黃而膩), 맥은 가야금줄을 누르는 뜻 하고 한번 호흡하는 동

안에 5번 이상 뛴다(脈弦數). 대부분 우울해 하고(憂), 사모하는 마음이 깊고

(思), 괴로워하며(惱), 화를 내는(怒) 등 일상적인 정서와 의지를 잃게 되고(情

志失常), 식생활을 절제하지 못하며(飮食不節), 기호가 불량한(不良嗜好) 즉

술, 담배, 마약, 밤샘놀음 및 업무상 긴장에 묵인(緊張勞累) 모두가 음양(陰陽)

을 실조(失調)하게 되는 요인이고, 음함우하(陰陷于下)하고, 양항우상(陽亢于

上)하여 양(陽)이 변해서 화(火)가 되고 상초에 담(痰)을 끼워 들여서 어지럽

힘(挾痰上擾)으로 본증을 일으킨다.

治宜 : 청화강역(淸火降逆) 평간식풍(平肝熄風)

方用 : 청간탕(淸肝湯)《류증치재(類證治裁)》청열제(淸熱劑)

≒ 백작(白芍), 당귀(當歸), 천궁(川芎), 산치(山梔), 모단피(牡丹皮), 시호

(柴胡).

만약 열성으로 변이 단단해지면(熱盛便結) : 加 대황(大黃), 로회(蘆薈).

- 탕척열결(蕩滌熱結)해서 사화통변(瀉火通便)한다.

만약 심열로 마음이 괴롭고(心熱心煩), 정신을 잃고 헛소리 치며(神昏譫語), 두통(頭

痛)이 있고, 심하면 사지를 쪽 뻗는다.

治 : 청심개규(淸心開竅)

方 :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痘疹世醫心法》개규제(開竅劑)

≒ 우황(牛黃), 주사(朱砂), 황련(黃連), 황금(黃芩), 치자(梔子), 울

금(鬱金).

3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증후146 3.溫病 4) 溫熱病 ⑭ 毒壅上焦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⑭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120-219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은 대부분 기후의 변화로(氣候失常) 인하여 온독의 사기에 감 수된(感受溫毒之邪) 열독이 위로 북

증후145 3.溫病 4) 溫熱病 ⑬ 上焦燥熱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⑬ 上焦燥熱證(상초조열증) 121-221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은 폐장이 조열사기에 감수된(肺感燥熱之邪)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폐가 윤하작용을 상실하게 되고(

증후144 3.溫病4)溫熱病⑫痰濁內蒙心包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⑫ 痰濁內蒙心包證(담탁내몽심포증) 126-227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은 탁한 담이 이룬(釀成痰濁) 것으로 탁담이 심포를 덮어씌우고 단절시켜서(痰濁蒙閉心包) 정신의식을 혼몽하게(神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