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臟腑證候(장부증후)
1) 心(심)
⑧ 心火亢盛證(심화항성증) 93
臨床 : 심화항성증은 정서가 순조롭지 못하고 극에 이르러 화(火)를 일으키거나(五志鬱
極化化) 혹은 육음(六淫)이 표증으로부터 리증으로 내전(內傳)되어 화(火)로 화
하거나(傳里化火), 혹은 몹시 매운 음식을 과식(過食辛辣)하여 양열이 안에 가득 차서
(陽熱內盛), 심화(心火)가 항성(亢盛)하게 되는 증후(證候)를 가리키는 것이다. 임상표현
은 입과 혀에 부스럼이 돗고(口舌生瘡), 심장과 가슴이 열이 나서 답답한 번민을(心胸
煩熱) 위주로 하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갑자기 조급해지고 자다 깨면 잠을 잃고(急躁失
眠), 갈증이 나고(口渴), 찬물을 마시려하며(欲冷飮), 소변을 보면 따갑고 오줌색이 붉으
며(小便赤澁), 혀는 붉고(舌紅),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數).
본증상견 : 혈림(血淋), 불매(不寐), 심계(心悸) 등 질병 중에
본증분류 : 열입심영증(熱入心營證), 간화상염증(肝火上炎證) 등
감별 변석(辨析)과 치료(治療)
㈀ 혈림(血淋)
臨床 : 심화항성증(心火亢盛證) 중에 출현하는 혈뇨병(血尿病)의 임상표현은 혈뇨
를 보고(尿血), 입과 혀가 헐어서 문드러지며(口舌糜爛), 가슴이 열로 답답하
고(心中煩熱), 코피를 흘리고 입으로 토하며(吐血衄血), 태는 누렇고 혀는 붉
으며(舌紅苔黃),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數). 대부분 지
나친 근심 걱정으로(思慮過度) 인하여, 심음이 줄게 된다(心陰被耗). 음이 허
하면 양이 오르므로(陰虛則陽亢), 심화가 항성하는(心火亢盛) 것이다.
심(心)과 소장(小腸)은 상호 표리(表里) 관계로써 심화(心火)가 소장(小腸)으
로 전이되어 열화가 음락을 사르므로(火灼陰絡) 혈이 맥 밖으로 넘쳐 나오는
것이다(血溢脈外).
治宜 : 청심사화(淸心瀉火), 양혈지혈(凉血止血).
方用 : 도적산(導赤散)《소아약증직결(小兒葯證直訣)》청열제(淸熱劑)
≒ 감초초(甘草梢), 목통(木通), 생지황(生地黃).
소변을 볼 때 많은 량의 혈을 흘리는 환자(尿血多者)
治 : 양혈지혈(凉血止血), 도열사화(導熱瀉火)
方 : 소계음자(小薊飮子)《제생방(濟生方)》리혈제(理血劑)
≒ 소계(小薊), 포황(蒲黃), 우절(藕節), 활석(滑石), 목통(木通), 생
지(生地), 당귀(當歸), 치자(梔子), 감초(甘草), 죽엽(竹葉).
㈁ 불매(不寐) sleeplessness, hyposomnia, insomnia.
臨床 : 심화항성증(心火亢盛證) 중에 출현하는 불매병의 임상표현은 대체로 잠이
쉽게 들지 않으며(不易入寐), 입과 혀에 부스럼이 생기고(口舌生瘡), 조급해
하고 답답해하며(煩躁), 귀 울림과 머리가 어지럽고(頭暈耳鳴), 혀는 붉고 태
는 없으며(舌紅无苔),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뛰는(脈細數) 등 대체로 신음이 손상되고 줄어들어(腎陰虧損) 위로
심(心)을 건너지 못함으로(不能上濟于心), 심화가 홀로 위로 오르게 되고(心
火獨亢) 심신이 교제(交濟)를 잃기 때문이다.
治宜 : 자음강화(滋陰降火)
方用 : 지백지황환(知柏地黃丸)《의방고(醫方考)》
≒ 지모(知母), 황백(黃柏),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
葯), 모단피(牡丹皮), 택사(澤瀉), 복령(茯苓).
合 교태환(交泰丸)《한씨의통(韓氏醫通)》
≒ 생황련(生黃連), 육계(肉桂).
㈂ 심계(心悸)
臨床 : 심화항성증(心火亢盛證) 중에 출현하는 심계병(心悸病)은 임상에서 심장의
두근거리고(心悸), 입이 마르고(口乾), 조급하고 답답하며(煩躁), 마음이 불편
하고(心神不寧), 변이 마르고(便乾), 혀는 붉고(舌紅), 맥은 한번 호흡하는 동
안에 5번 이상 뛰는(脈數) 등은 대부분 심양이 홀로 항진하여(心陽獨亢), 심
이 유양할 곳을 잃거나(心失所養) 혹은 정서가 변하여 화(火)로 되기(五志化
火) 때문이다.
治宜 : 청심강화(淸心降火). 청열해독(淸熱解毒).
方用 :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金匱要略》淸熱劑., 일명 사심탕(瀉心湯)
≒ 대황(大黃), 황련(黃連), 황금(黃芩).
或 : 양격산(凉膈散)《화제국방(和劑局方)》청열제(淸熱劑)
≒ 調胃承氣湯(대황(大黃), 망초(芒硝), 감초(甘草))
加 치자(梔子), 황금(黃芩), 연교(連翹), 박하엽(薄荷葉).
심(心)과 소장(小腸)의 상호 표리(表里) 관계는 경락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있다.
소장경(小腸經)은 표(表)이고, 심경(心經)은 리(里)로써 심화가 항성하면(心火亢盛)
아래의 소장으로 전이 되어, 소변색이 진하고 량이 적으며(小便短赤), 뇨도가 불로
사르듯 뜨겁고 욱신거리는 통증은(尿道灼熱疼痛) 소장실열증(小腸失熱證)으로써
이를 소홀히 보지 않는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