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증후25 4) 津液 ⑸ 痰 ① 寒痰證

1. 全身證候(전신증후)

4) 津液(진액)

⑸ 痰(담)

① 寒痰證(한담증) 71

한담증은 또한 冷痰證(냉담증)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寒(한)과 痰(담)이 서로 달라붙은(搏

結), 寒痰(한담)이 肺(폐)를 險(험)하게(寒痰阻肺)하는 것을 표현하는 일종의 症狀(증상)이

다.

寒痰證(한담증)은 평소에 濁(탁)한 痰(담)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여기에 또 外寒(외한)을

感受(감수)하였거나 혹은 陽(양)이 부족해서 寒(한)이 생겼거나(陽虛生寒), 수습 운화가

불리(水濕不運)하여 寒(한)과 痰(담)이 서로 결탁해서 생긴 증상이다.

임상표현 : 가래의 색이 희고 맑으며 묽고, 가슴이 답답하고 천식으로 기침하며, 몸은 추

워 보이고 팔다리는 차가우며, 오줌색은 맑고 대변은 묽으며, 설질은 담담하

고 태는 희고 번들번들(苔白滑) 하며, 맥은가볍게 누르면 짚이지 않으나 힘주어 눌러야

짚이는 맥이 순조롭고 원활하다(脈沉滑).

본증상경 : 哮(효), 咳嗽(해수), 嘔吐(구토) 등 질병 중에

본증분류 : 濕痰證(습담증), 風寒犯肺證(풍한범폐증) 등

辨析施治(변석시치)

한담증(寒痰證)이 출현하는 효(哮), 해수(咳嗽), 구토(嘔吐) 등의 질병중에는 모두 담(痰)

과 한(寒)이 결합하고 있는 공통된 표현이 있으며 또 각자의 특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

것에 대한 치법을 구별하는 것이다.

한담증(寒痰證)에 의한 효(哮)와 해수(咳嗽)의 병인(病因)과 병인위(病因位)는 동일하다.

㈀ 효천(哮喘)

臨床 : 효(哮)는 한담(寒痰)을 위주로 폐에 잠복(伏肺)하여 담명(痰鳴)과 기천병(氣喘

病)을 반복 발작하며, 발작하지 않을 때는 정상이지만 발작 할 때는 호흡이 급

촉하고, 목구멍에서 으르렁거리는 소리(喉間哮鳴)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治宜 : 온화한담(溫化寒痰) 이기평천(利氣平喘)

方用 : 소청용탕(小靑龍湯)《상한론(傷寒論)》신온해표제(辛溫解表劑)

≒ 마황(麻黃), 계지(桂枝), 작약(芍葯), 세신(細辛), 건강(乾姜), 오미자(五

味子), 반하(半夏), 자감초(炙甘草).

㈁ 해수(咳嗽) bex, cough, tussis

臨床 : 해수가 출현하는 한담증은 한담(寒痰)이 폐(肺)를 요해(要害)하고(寒痰阻肺), 폐

의 선발과 숙강기능을 상실케 하여(肺失肅降) 해수(咳嗽)가 오래가고 그 증세가

때로는 중하고 때로는 경하며(時輕時重), 잔등 뒤에 냉감(后背冷感)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治宜 : 온폐산한(溫肺散寒), 화담지해(化痰止咳)

方用 : 령감오미강신탕(苓甘五味姜辛湯)《금궤요략(金匱要略)》祛痰劑

合 이진탕(二陳湯)《太平惠民和劑局方》거담제(祛痰劑)

≒ 복령(茯苓), 감초(甘草), 오미자(五味子), 건강(乾姜), 세신(細辛).,

合 반하(半夏), 운령(云苓), 노귤홍(老橘紅), 감초(甘草).

㈂ 구토(嘔吐) egestion, emesis, gagging, vomiting, vomiyus

臨床 : 구토가 출현하는 한담증은 한담(寒痰)이 내정(內停)되고 위가 통강기능을 상실

한(胃失和降) 때문이다. 특히 위완이 그득하고 답답하며(胃脘脹悶), 따뜻한 것

을 좋아하고 차가운 것을 싫어하며(喜溫惡寒), 침과 가래를 구토(嘔吐痰涎)한

다.

治宜 : 온화한담(溫化寒痰), 화위강역(和胃降逆)

方用 : 소반하탕(小半夏湯)《금궤요략(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合 복령계지백출감초탕(茯苓桂枝白朮甘草湯)《상한론(傷寒論)》

≒ 반하(半夏), 생강(生姜).,

合 복령(茯苓), 계지(桂枝), 백출(白朮), 감초(甘草).

한담증(寒痰證)은 대부분 양허(陽虛)한 사람에게서 많이 보게 되는 것으로, 양이 허하고

한이 성(陽虛寒盛)하여, 수와 습에 막혀서 요해를(水濕阻滯) 받아, 담이 엉기게 된 것이다

(凝結爲痰). 늙은 사람은 양기가 부족하여 비교적 한담증(寒痰證)이 잘 나타나게 되는데

일연 중에 겨울철에는 음한(陰寒)이 성(盛)하므로 인체 내외의 사기(邪氣)가 합친 한담증

(寒痰證)이 쉽게 겨울철에 발작하고 혹 가중(加重)되는 것이다.

하루 중에(一日之中), 밤중은 음기가 성한(夜晩陰氣盛) 때임으로 한담증의 표현은 왕왕

한밤중에 더욱 중해진다(夜晩加重). 기온이 비교적 낮고(氣溫較低), 음한이 편파적으로

성한(陰寒偏盛), 북쪽 지방이(北方) 남쪽 지방보다 한담증(寒痰證)이 많다.

4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