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全身證候(전신증후)
3) 血(혈)
① 血虛證(혈허증) 32
혈허증은 체내에 혈액이 부족하여 몸과 사지와 장부 및 모든 맥이(肢體臟腑百脈) 영양 공
급을 받지 못하게 되는(失于濡養) 전신 성 쇠약중후(全身性衰弱證候)를 말하는 것이다.
대체로 과도한 노동으로 지쳐서 내장을 상하거나(勞倦內傷), 과도한 근심 걱정으로(思慮
過度), 모르는 사이에 음액과 혈을 소모하였거나(暗耗陰血), 비위가 허약하여(脾胃虛弱),
기와 혈의 생산이 부족하거나(氣血生化不足) 혹은 과다한 출혈(失血過多)이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오랜 동안 병이 낫지 않거나(久病不愈), 溫病(온병)을 앓고 난 이후(溫病后期)
역시 발병될 수 있다(亦可引起).
임상표현 : 얼굴색이 희고 피지 않거나 혹은 누렇게 시들고(面白无華或萎黃), 입술색은 담
담(脣色淡)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갑자기 눈앞이 아찔하고 캄캄해지며(頭暈目
眩), 심장이 두근거리고(心悸), 잠이 들지 않으며(失眠), 팔다리에 마비가 발작하고(手足發
麻), 부녀자는 월경 량이 적고(月經量少) 연기(衍期) 되며, 심하면 월경이 단절된다(甚則經
閉)., 설질이 담담하고(舌質淡), 맥은 눌러야 집히고 가늘고 힘이 없다(脈沉細无力). 常見
(상견) : 心悸(심계), 虛勞(허로), 眩暈(현운), 頭痛(두통), 痙證(경증), 便秘 (변비), 發熱(발
열), 月經不調(월경불조), 閉經(폐경), 不孕(불잉)등 질병 중에서 볼 수 있다. 分別(분별) :
陰虛證(음허증), 血脫證(혈탈증) 등
辨析施治(변석시치)
㈀ 심계(心悸) cardiac impulse
臨床 : 혈허증 중에서 보는 심계병의 임상표현은 심장이 두근거리고(心悸), 머리가 어
지러우며(頭暈), 잠자리에 꿈을 많이 꾸며 자다 깨면 잠을 잃고(失眠多夢), 얼굴
색이 희고 영화롭지 못하며(面白无華), 힘이 없고 게으르며(倦怠乏力), 설질은
붉고 담담하고(舌質淡紅), 맥은 실 같이 가늘고 똑똑하지만 연하고 꾹 눌러야 짚
인다(脈細弱) 이것은 지나친 근심 걱정을 하고(思慮過度), 심한 노동으로 심비를
상했거나(勞傷心脾), 혹은 오랜 병으로 몸이 허약해지고(久病体虛), 기혈이 부족
하거나(氣血不足), 혹은 과다한 출혈을 하고(失血過多), 소모하여 심의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心失所用).
治宜 : 보혈양심(補血養心) 익기안신(益氣安神).
方用 : 귀비탕(歸脾湯)《제생방(濟生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
(酸棗仁), 목향(木香), 당귀(當歸), 원지(遠志),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
조(大棗).
或 : 자감초탕(炙甘草湯)《상한론(傷寒論)》보익제(補益劑)
≒ 자감초(炙甘草), 대조(大棗), 생강(生姜), 아교(阿膠), 인삼(人參), 맥문
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계지(桂枝), 화마인(火麻仁).
㈁ 허로(虛勞)
臨床 : 혈허증 중에 보는 허로병의 임상표현은 심, 간(心,肝)의 혈허 증상을 위주로 하
고 있다.
㉠ 심혈허(心血虛) : 심계정충(心悸怔忡), 건망(健忘), 실면다몽(失眠多夢), 면색불
화(面色不華), 설담(舌淡),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 맥이거
나 혹은 맥이 느리고 불규칙적으로 정지하거나 규칙적으로 정지한다(脈細或
結代). 대부분 신기가 부족(禀賦不足)하고, 정혈이 왕성하지 못하며(精血不旺),
과도한 사려로 심혈을 소모 또는 손상(思慮耗傷心血)하거나, 큰 병을 앓고 난
후에(大病之后) 몸조리를 못하여(失于調理), 음혈이 줄고 부족한 것이(陰血虧
虛), 오래토록 회복되지 않아(久而不復), 허증이 누적 되애 손상하게 된(積虛成
損) 때문이다.
治宜 : 양혈안신(養血安神)
方用 : 양심탕(養心湯)《증치준승(證治准繩)》안신제(安神劑)
≒ 황기(黃芪), 복신(茯神), 백복령(白茯苓), 반하곡(半夏曲), 당귀(當
歸), 천궁(川芎), 원지(遠志), 산조인(酸棗仁), 백자인(柏子仁), 육
계(肉桂), 오미자(五味子), 인삼(人參),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
조(大棗).
或 : 귀비탕(歸脾湯)《부인량방(婦人良方)》
≒ 인삼(人參),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당귀(當歸), 원지(遠志), 산조인(酸棗仁), 목향(木香), 감초(甘草),
생강(生姜), 대조(大棗).
㉡ 간혈허(肝血虛) : 두운(頭暈), 목현(目眩), 이명(耳鳴), 협통(脇痛), 놀래서 두렵고
불안하며(驚惕不安), 월경불조(月經不調), 경폐(經閉), 심한 경
우에는피부가 딱지가 져서 일어나고(甚則肌膚甲錯), 면색이 창백하며(面色蒼
白), 설질이 담담하고(舌質淡),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한데 실같이 가
늘고 똑똑하다(脈弦細). 이것은 정서가 막히고 의지가 풀리지 않으며(情志鬱
結), 간혈이 모르는 사이에 서서히 줄거나(暗耗肝血), 혹은 과다한 출혈(失血過
多), 병을 오래 앓고 난 후에(久病之后) 몸조리를 못하여(失于調理), 음혈이 줄
어 부족하게 되고(陰血虧虛), t심하면 혈이 말라 부족한 것이(甚則血虛化燥) 오
래 회복되지 못하고(久而不復), 허증이 누적되었는데 심하게 일을 하였기(積虛
成勞) 때문이다..
治宜 : 보혈양간(補血養肝)
方用 : 사물탕(四物湯)《太平惠民和劑局方》보익제(補益劑) 加味
≒ 당귀(當歸), 백작(白芍), 천궁(川芎), 숙지황(熟地黃).
㈂ 현운(眩暈) giddiness, dizziness,
臨床 : 혈허증 중에서 보는 현운병의 임상표현은 매번 현운이 노동을 하고난 뒤에 발
작하거나 가중되며, 얼굴색이 밝지 못하며(面色无華), 입술과 손톱 발톱색이
창백하고(脣甲蒼白), 겸하여 늘 힘이 없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乏力), 숨이 차
고 말할 의욕이 없으며(少氣懶言), 심장이 두근거리고 잠을 깊이 들지 않고 한
번 깨면 쉬 잠이 들지 않는다(心悸失眠). 이것은 오랜 병으로 심비가 모두 허하
거나(久病心脾兩虛), 혹 열병으로 음혈을 소모 또는 손상 하였으며(熱病耗傷陰
血), 혈이 부족하여 몸을 골고루 적셔서 영양하지 못하고(血虛不能滋濡周身),
혈이 위로 뇌를 받들지 못하고(血不上奉于腦), 혹은 혈이 부족하고 음이 말라
(血虛陰虧), 혈이 뜨거워져 위로 청규를 어지럽히기(血熱上擾淸竅) 때문이다.
治宜 : 익기양혈(益氣養血)
方用 : 귀비탕(歸脾湯)《부인량방(婦人良方)》가미(加味)
㈃ 두통(頭痛) cepahalalgia, dolor capitis, encephalalgia, headache
臨床 : 혈허증 중에 보는 두통병의 임상표현은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데(頭痛頭暈), 통
증이 은은하며(隱隱作痛), 일을 하게 되면 심해지고(遇勞則甚), 심장이 두근거
리며 잠이 깊이 들지 않고 한번 께면 쉽게다시 잠을 청할 수 없으며(心悸失眠),
힘이 없고 정신이 피로하며(神疲乏力), 식욕이 부진하다(食欲不振). 이는 오랜
병으로 정기가 허약해지거나(久病正虛), 혹은 과다한 출혈(失血過多), 비위가
허하여(中氣不足), 청양을 불승하거나(淸陽不升), 영혈이 줄어들어 허함으로
(營血虧虛) 위로 뇌를 영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不能上榮于腦).
治宜 : 보양기혈(補養氣血)
方用 : 팔진탕(八珍湯)《정체류요(正体類要)》보익제(補益劑) 가미(加味)
≒ 인삼(人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자감초(炙甘草), 당귀(當歸), 백작(白
芍), 천궁(川芎), 숙지황(熟地黃).
㈄ 변비(便秘) costive, coㅜstipation, obstipation, coprostasis
臨床 : 혈허증 중에 보는 변비병의 임상표현은 대변비결(大便秘結), 힘이 달려 안간힘
을 다 쓰고(努責乏力), 얼굴색이 밝지 못하며(面色无華), 입술과 혀의 색이 담담
하며(脣舌色淡) 갑자기 눈이 아찔하며 캄캄해지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目
眩), 심장이 두근거리며(心悸), 맥은 실 같이 가늘고 똑똑하다(脈細). 이는 오랜
병으로 몸이 허약해지고(久病体虛), 늙어서 몸이 쇠약하며(年高体衰), 산후 출
혈(産后亡血), 혹은 혈이 부족하고 진액이 적어(血虛津少), 대장을 적셔주지 못
하게 되거나(大腸失于濡潤), 혹은 혈이 모자라 음허내열이 되었기(血少而致陰
虛內熱) 때문이다.
治宜 : 윤장통변(潤腸通便)
方用 : 윤장환(潤腸丸)《심씨존생서(沈氏尊生書)》사하제(瀉下劑)
≒ 당귀(當歸), 생지(生地), 마자인(麻子仁), 지각(枳殼), 도인(桃仁).
㈅ 출혈(出血) apoplexy, bleeding, haemorrhagia, hermorrhage, stxis
臨床 : 혈허증 중에 보는 출혈성 잘병중의 임상표현은 비뉵(鼻衄), 치뉵(齒衄), 심하면
혹 기뉵(肌衄), 얼굴색이 하얗고(面色晄白), 머리가 어지러우며 눈에 불꽃이 날
고(頭暈眼花),심장이 두근거리며(心悸), 힘이 빠지고 정신이 피로한(神疲乏力)
등 증상을 나타낸다. 이는 과다한 출혈(失血過多)로, 혈이 부족한 것이 기역시
줄게 되었고(血虛氣亦虧), 따라서 기가 혈을 통섭하지 못하게 됨으로(氣不 攝
血), 출혈이 멎지 않는 것이다(故血出不止).
治宜 : 보기섭혈(補氣攝血)
方用 : 인삼귀비탕(人參歸脾湯)《부인량방(婦人良方)》보익제(補益劑)
≒ 인삼(人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황기(黃芪), 용안육(龍眼肉), 산
조인(酸棗仁), 당귀(當歸), 원지(遠志), 목향(木香), 감초(甘草).
㈆ 발열(發熱) exergomic, fervescence, flush, pyrexia
臨床 : 혈허증 중에 보는 발열병의 임상표현은 발열(發熱), 밤에 중하고 낮에는 경하
며(夜重晝輕), 가슴이 두근 거리고 힘이 없으며(心悸乏力), 얼굴색이 밝지 못하
며(面色不華), 혀는 담담하고(舌淡)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번 호흡하
는 동안에 5번 이상 뛴다(脈細數). 이는 오랜 병으로 심간의 혈이 허하거나(久
病心肝血虛), 혹 비가 혈을 산생하지 못하거나(脾不生血), 혹 과다한 출혈(失血
過多) 때문이다.
治宜 : 청열양혈(淸熱養血)
方用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난실비장(蘭室秘藏)》
종합해 보면 무릇 각기 다른 질병중에 증후가 비록 같은 것이 있다 할지라도(證候雖
同 但在不同疾病中), 그 표현이 각기 특점이 있음으로 임상에 근거하여 병증의 특점
에 따라 변증시치(辨治)를 진행할 수 있다.
혈허증(血虛證)은 비교적 부녀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그 원인은 월경(月經)과 임신
(胎孕)이 혈(血)을 위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임상표현은 월경기가 뒤로 연기되고(經氣延后), 월경량이 적으며(月經量少), 색이 담
담(色淡)하고, 경혈이 묽고 맑으며(質淸稀), 아랫배가 빈 것 같으면서 아프고(小腹空
痛), 심한 경우는 월경이 폐지된다(甚則閉經).
혈이 부족하면 임신이 안 되고(血虛不孕), 유산(滑胎) 등의 병증이 출현하게 된다. 늙
고 몸이 약한 사람이 혈허증을 앓게 되면 항상 나타내는 것은 늙게되면 주요하게 혈
량(血量)이 적고 정이 줄어들게 되면서(精虧血少) 정신이 시들어 빠지게 되고(精神萎
靡), 얼굴색에 영화로움이 없어지고(面色无華), 심장이 두근거리며 잠을 깊이 자지 못
하고(心悸失眠), 머리가 맑지 않으며 눈에서는 불꽃이 날고(頭昏眼花), 귀 울림과 듣
는 귀가 어두워지거나(耳鳴耳聾) 혹 변비(便秘)가 생긴다.
혈은 음이고(血爲陰), 기는 양이며(氣爲陽), 혈은 기의 모가 되며(血爲氣之母), 기는 혈
의 사가 된다(氣爲血之師), 이들은 상호 상대방을 이용한다(相互爲用). 기는 살과 근
육을 따뜻하게 하고(氣有溫煦肌腠), 정혈을 산생하며(生化精血), 혈액을 통솔하고 고
섭함으로써 혈이 맥도를 따라 순환할 수 있게 되고 출혈을 방지할 수 있는(統攝血液)
작용을 한다. 혈은 양기를 실고 운행하며(血有運載陽氣) 살과 피부를 적셔주고 영양
하고 양생시키는(濡養肌腠)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기와 혈(氣血), 양자의 관계는 밀접함으로 혈허증(血虛證)이 존재하는 병기
(病機)가 진행되고 있는 과정 중에는 항상 2가지의 정황이 수반된다. 하나는 혈이 허
하면 기를 실을 수 없기(血虛无以載氣) 때문에 기(氣) 역시 적어 짐으로 기(氣)와 혈
(血)이 모두 허(虛)한 중상에 이르게 된다.
그 임상표현은 얼굴색이 창백하고(面色蒼白), 심장이 두근거리며 밤잠을 잃고(心悸
失眠), 숨이 차고 말할 의욕이 없으며(少氣懶言), 힘이 없고, 땀을 절로 흘리며(乏力自
汗), 혀는 담담하고 야들야들하며(舌淡而嫩),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지만 연하고
힘주어 눌러야 짚인다(脈細弱). 다른 하나는 오랜 동안 만성 출혈(長期慢性失血)이거
나 혹 갑자기 대량 출혈을 하여 혈해가 공허하고(血海空虛), 신음이 부족하여(眞陰不
足) 혈탈증(血脫證)에 이르게 된다. 症見 : 열굴이 희고(面白), 윤지가 없으며(天然不
澤), 눈에는 불꽃이 날고 머리는 어지러우며(頭暈目花), 팔다리가 서늘하고 차며(四肢
淸冷), 맥은 속이 비고 촌, 관, 척 3부맥이 모두 무력하다(脈空虛)
과다한 출혈(失血過多)로 혈탈이 되어 기가 의지할 곳을 잃게 되면(血脫氣无依附) 기
가 따라서 폭탈(氣隨之暴脫)함으로 역시 기수혈탈증(氣隨血脫證)을 형성하게 된다.
症見 : 얼굴색이 창백하고(面色蒼白),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고(四肢不溫), 심하면 운
궐이 된다(甚至暈厥). 맥은 몹시 가늘고 연하며 누르면 끊어질듯하며 맥박을
촉감 할 수 없고, 혹 파를 짚은 것처럼 부대하고 속이 빈 감이있다(脈微細或芤).
치료할 때 새로운 혈은 신속히 산생되는 것이 아니므로(血不能速生) 보기고탈(補氣
固脫)하며 망양의 변고(亡陽之變)를 예방함이 마당하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