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증후117 3.溫病1)熱入衛氣營血①溫邪侵襲肺衛證

Aktualisiert: 21. Juni 2021



3. 溫病證候(온병증후)

1) 熱入衛氣營血(열입위기영혈)

① 溫邪侵襲肺衛證(온사침습폐위증) 214 -116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은 풍열사기(風熱邪氣)가 구비(口鼻) 혹은 피모(皮毛)

를 통해 들어와 폐가 선발과 산포기능을 잃고(肺失宣散), 위기(衛氣)가 막혀 발열(發熱)

하고, 추위와 바람을 싫어하며(微惡風寒), 기침하고 목이 마르며(咳嗽而渴), 맥은 가볍

게 눌러도 짚이고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을(脈浮數) 주증으로 하

는 증후이다. 《外感溫熱篇》曰 “溫邪上受, 首先犯肺” 즉 온사(溫邪)가 상초(上焦)를 침

범하면 먼저 폐(肺)를 범한다. 라 했고 그럼으로 또 “溫邪犯肺證(온사범폐증)” 혹은 “風

熱犯肺證(풍열범폐증)”이라 칭한다고 했다.

임상표현 : 발열두통(發熱頭通), 미오풍한(微惡風寒), 약간 땀이 날 수 있고(有少許汗)

혹은 땀이 나지 않으며(或无汗), 기침(咳嗽)을 하고, 목이 좀 마르고(口微渴),

목구멍이 아프며(咽痛), 설태는 희고 얇으며(苔薄白),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는 것이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數).

본증상견 : 풍온(風溫), 감모(感冒), 마진(痲疹) 등

류증감별 : 풍한범폐증(風寒犯肺證), 온조범폐증(溫燥犯肺證), 습알위양증(濕遏衛陽

證), 서열범폐증(暑熱犯肺證) 등

변석시치(辨析施治)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이란 풍열(風熱)의 객사(客邪)가 폐위(肺衛)를 침습한

까닭에 항상 각종 외감열병(外感熱病)에 걸린 초기병변(初起病變)을 본다.

㈀ 풍온(風溫)

臨床 : 풍온병(風溫病) 초기(初起)에 본증은 대부분 풍열사기가 체표를 침습(風熱襲

表)하거나 혹은 풍사가 폐를 침범(風邪犯肺)함으로 본증을 본다. 만약 풍열이

체표를 침습(風熱襲表)하여 위기를 뒤덮으면(衛氣被阻), 폐기가 선발을 잃고

(肺氣失宣), 피모가 사기를 받으며(皮毛受邪), 발열하는 증상을 보고(症見發

熱), 풍한을 싫어하고(微惡風寒), 땀이 적거나 혹은 땀이 없으며(少汗或无汗),

기침(咳嗽)하고, 약간 구갈이 난다(口微渴)., 설태는 희며 얇고(苔薄白),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浮

數).

治宜 : 신양해표(辛凉解表).

方用 : 신양평제(辛凉平劑)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

엽(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만약 : 풍사가 폐를 범하고(風邪犯肺), 폐가 선산을 잃으며(肺失宣散), 사기가 아직

열로 변하지 않고(邪未化熱), 병세가 비교적 경하며(病勢較輕), 전신증상(全

身症狀)이 명현하지 않은(還不明顯), 증상은 기침(咳嗽)를 위주로 하고, 또 머

리에 창통이 나는 것을 보고(且見頭脹), 몸에 열은 심하지 않으며(身不甚熱),

약간 구갈이 있고(口微渴), 설태는 얇으며(苔薄), 맥은 가볍게 눌러도 짚이는

(脈浮) 사람은

治 : 신양해표(辛凉解表).

方 : 신양경제(辛凉輕劑) 상국음(桑菊飮) 온병조변(溫病條辨)》

≒ 상엽(桑葉), 국화(菊花), 행인(杏仁), 길경(桔梗), 박하(薄荷), 감

초(甘草), 로근(蘆根), 연교(連翹).

㈁ 감모(感冒)

臨床 : 본증에서 볼 수 있는 감모(感冒)는 갑자기 나타나는 유행성 감기로써 발병이

더욱 빠르고(其發病快), 또 전염성이 있으며(且有傳染性), 남녀노소가 모두

걸릴 수 있는 병이다(皆可罹病). 전신증상은 비교적 밝게 드러난다(較爲明

顯)., 발열(發熱), 오풍한(惡風寒), 두통(頭痛), 비색류체(鼻塞流涕), 해수인통

(咳嗽咽痛) 등 증상을 보이고, 설태는 누렇고 얇으며(苔薄黃), 맥은 가볍게 눌

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맥이다(脈浮數).

이는 풍열(風熱) 객사(客邪)가 폐위(肺衛)를 침습함으로 말미암아 정기와 사

기가 서로 다툼으로(正邪相爭), 폐가 설발과 숙강 기능을 잃었기(肺失宣肅)

때문이다.

治宜 : 청열해독(淸熱解毒), 거풍해표(祛風解表).

方用 : 은교산(銀翹散)《온병조변(溫病條辨)》

≒ 은화(銀花),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길경(桔梗), 박하(薄荷), 죽엽

(竹葉), 형개수(荊芥穗), 두시(豆豉), 감초(甘草), 노근(蘆根).

或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외과리예(外科理例)》가감(加减)

≒ 형개(荊芥), 방풍(防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

(前胡), 천궁(川芎), 지실(枳實), 인삼(人蔘), 복령(茯苓), 길경(桔

梗), 감초(甘草).

㈂ 마진(痲疹)

臨床 : 마진초기(麻疹初起)에 본증을 볼 수 있는 것은 마독이 폐를 범하므로(麻毒

犯肺), 사열에 막혀서(邪熱壅阻), 폐위가 실선(肺衛失宣)하고, 기도가 불이

(氣道不利)하며, 발열하고 오한(發熱惡寒)이 나며, 기침과 재채기(咳嗽噴嚔)

를 하고, 양 눈은 빛을 두려워하며 눈물을 흘리고(兩眼流泪而畏光), 몸에는

홍진이 돋아나는데(身出紅疹) 귀뒤(耳后), 목덜미(頸部)로 해서 점차 만연되

어 안면과(漸漫及顔面), 몸통(軀体), 사지(四肢)로 퍼지고, 맥은 약간 눌러도

짚이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상 뛰는 빠른 맥이고(脈浮數), 설태는 얇

고 미끈거린다(苔薄膩).

治宜 : 신양투표(辛凉透表).

方用 : 승마갈근탕(升摩葛根湯)《염씨소아방론(閻氏小兒方論)》

≒ 승마(升麻), 갈근(葛根), 작약(芍葯), 자감초(炙甘草).


온사침습폐위증(溫邪侵襲肺衛證)은 겨울과 봄에 항상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질병이다.

봄철(春季) 기후는 따뜻하고 바람이 많음으로(溫暖多風) 풍온(風溫)의 사기가 매번 폐

위(肺衛)를 쉽게 엄습하고 침범하여(襲犯), 본증을 형성한다. 만약 겨울 기후가 응당히

추워야 하는데 반대로 따뜻하면 불지이지(不至而至)하여 풍온(風溫)이 밖으로부터 침

습해서 폐위에 객사가 된다. 혹은 평소에 양기가 부족한 몸이거나(素体陽氣不足), 품

부가 허약(禀賦虛弱)해서 풍열을 감수(感受風熱)하게 되어도 역시 본증이 발생할 수

있다.

본증으로 인한 질병이 연변(演變)하는 과정 중에는 여러 종의 겸증이 출현할 수 있다.

만약 ① 습탁(濕濁) 겸하면 발열(發熱), 해수(咳嗽), 흉민(胸悶). 설태백니(舌苔白膩) 담

다(痰多) 등을 볼 수 있고,

② 열사(熱邪)를 겸하면 대체로 폐위(肺胃)가 평소에 온열(蘊熱)을 위주로 기침

(咳嗽)을 하며, 입이 마르고 목구멍이 아프며(咽痛口干), 마음이 답답하고 괴

로우며(心煩), 잇몸이 붓고 치통이 생기며(齒痛齦腫), 혀는 붉고 태는 누렇다

(舌紅苔黃).

③ 만일 폐락에 어혈이 조체됨을 겸하게 되면(兼來瘀阻肺絡), 발열해수(發熱咳

嗽), 흉통(胸痛), 혹 기침과 각혈로 혈괴가(咳咯血塊) 나오고, 혀에 자줏빛 혈어

(舌瘀紫)가 나타나는 등을 본다.

④ 만일 폐열진휴음허한 사람(肺熱津虧陰虛者)에게서는 마른기침을 하고 열이

나며(症見發熱干咳), 목구멍이 욱신욱신 아프고(咽疼), 숨이차며(氣短), 각혈

(咯血)을 하고, 구갈(口渴)이 나며, 혀는 붉고 태는 적은(舌紅苔少) 등 증상을

본다.

⑤ 만일 폐열이 대장으로 전이되면(肺移熱于大腸), 겸하여 변비가 있거나 혹은

설사를 하는 것을볼 수 있다(則可兼見便秘或泄利). 본증은 위분(衛分)에서 기

분(氣分)으로 전입(轉入)될 수 있음으로 말미암아(本證可由衛分而轉入氣分),

증견(症見) 장열(壯熱), 기가 막혀서 헐떡거리며 기침을 하는 것을(氣粗而喘)

본다.

⑥ 또 사열이 영분으로 들어갈 수 있음으로 해서 혀가 새빨간 것을 본다(亦可因

熱入營分而見舌絳), 정신이 흐릿하게 어둡고(神昏), 반진이 은은하게 돋는다

(斑疹隱隱).

⑦ 혹 사열이 혈분에 들어가면(熱入血分), 음진이 다 줄어들어(陰津耗竭), 혀가

새빨갛고 설태가 없음을 본다(而見舌絳无苔), 반진이 밖으로 돋고(外發斑疹),

정신이 흐릿하게 어두우며(神昏), 수족에 계종이(手足瘈瘲)일어나는 등 증후

를 겸한다.

30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증후146 3.溫病 4) 溫熱病 ⑭ 毒壅上焦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⑭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120-219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은 대부분 기후의 변화로(氣候失常) 인하여 온독의 사기에 감 수된(感受溫毒之邪) 열독이 위로 북

증후145 3.溫病 4) 溫熱病 ⑬ 上焦燥熱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⑬ 上焦燥熱證(상초조열증) 121-221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은 폐장이 조열사기에 감수된(肺感燥熱之邪)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폐가 윤하작용을 상실하게 되고(

증후144 3.溫病4)溫熱病⑫痰濁內蒙心包證

3. 溫病證候(온병증후) 4) 溫熱病(온열병) ⑫ 痰濁內蒙心包證(담탁내몽심포증) 126-227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은 탁한 담이 이룬(釀成痰濁) 것으로 탁담이 심포를 덮어씌우고 단절시켜서(痰濁蒙閉心包) 정신의식을 혼몽하게(神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