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증후104 2. 臟腑證候 7) 腸 ⑫ 大腸虛寒證

Aktualisiert: 21. Juni 2021



2. 臟腑證候(장부증후)

7) 腸(장)

⑫ 大腸虛寒證(대장허한증) 103 - 196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은 양기가 쇠약(陽氣衰弱)해져서 탁한 한사가 대장 안에 모이

게(寒濁內聚大腸)되어 대장이 전도를 상실(傳導失常)함으로써 생기는 모든 증상(症

狀) 가리키는 말이다. 속칭 대장허냉(大腸虛冷)이라고도 한다. 본증은 대체로 평소에

양기가 허하거나(素体陽虛) 혹은 신선하고 차가운 음식을 과식(過食生冷) 하거나 또

는 오랜 병으로 양기를 상하여(久病傷陽), 대장의 기가 허하게 됨으로(致使大腸氣虛),

한사가 체내에 머무르게 되어 일어난(寒邪內留而起) 것이다.

임상표현 : 복통이 은은하고(隱隱腹痛), 따뜻한 것과 손으로 누르거나 않아 주면 편해

지고(喜暖喜按),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고(四肢不溫), 묽은 변을 사하며 장에

서 소리가 나고(腸鳴溏瀉), 대변 색이 담담하며(便物色淡), 혹은 반대로 변비가 되어

배설되지 않고(或反秘而不下), 혀는 담담하며(舌淡), 태는 희고 반들반들(苔白滑)하며,

맥상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는 맥이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4번 이하로 뛰는 느린 맥이

다(脈象沉遲).

본증상견 : 설사(泄瀉), 구리(久痢), 복통(腹痛) 혹 변비(便秘) 등

류증감별 : 대장진휴증(大腸津虧證),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 등

변석시치(辨析施治)

㈀ 설사(泄瀉) purgative

臨床 :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의 설사(泄瀉)는 변(便)이 묽고 가벼운 것이 마치 오

리 똥과 같으며(便物溏薄如鴨糞), 색이 연하고 냄새가 나지않는다(色淺不

臭). 마치 《難經 ․ 五十七難》所說 “大腸泄者(대장설자), 食已窘迫(식이군박),

大便色白(대변색백)” 이라고 한 바와 같으며 심하면 곡식이 전혀 소화되지

않고(甚則完谷不化), 거침없이 마구 묽은 설사를 하며(溏瀉无度), 수족이 따

뜻하지 않다(手足不溫).

治宜 : 산한지사(散寒止瀉).

方用 : 부자리중환(附子理中丸)《화제국방(和劑局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건강(乾姜), 백출(白朮), 부자(附子), 감초(炙甘草).

㈁ 이질(痢疾) - 구리(久痢) dysentery

臨床 : 오래토록 이질이 낫지 않거나(久痢不愈) 혹은 차고 서늘한 약을과용하여(過

用寒凉), 위장(胃腸)의 양기(陽氣)가 손상(損傷)을 받은 대장허한증(大腸虛寒

證)의 증상(症狀)은 거침없이 쏟아 붓는 뜻한 설사가 끝이질 않거나(滑瀉不

止), 혹은 대변을 실금(大便失禁)하고, 변에 희고 번들번들한 점액이 많이 섞

여 나오며(便多粘液白滑), 항문이 밑으로 쳐져서(肛門下墜), 변을 본 후에 탈

항(便后脫肛)이 되고, 배가 은은히 아프며(腹隱痛), 몸에 힘이 없다(身无力).

治宜 : 후장지리(厚腸止痢).

方用 : 양장탕(養臟湯)《화제국방(和劑局方)》

≒ 가자육(訶子肉), 육두구(肉豆寇), 인삼(人蔘), 백출(白朮), 작약(芍葯),

당귀(當歸), 목향(木香), 육계(肉桂), 앵속각(罌粟殼), 감초(甘草).

㈂ 복통(腹痛) aneilema, celialgia

臨床 :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의 복통(腹痛)은 은은하게 배가 아프고(腹痛隱隱),

따뜻한 것과 손으로 눌러 주는 것을 좋아하며(喜暖喜按), 추위를 두려워하고

팔다리가 차며(肢冷畏寒), 설사를 하고 배에서 소리가 난다(腸鳴泄瀉).

治宜 : 온중지통(溫中止痛).

方用 :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금궤요략(金匱要略)》

≒ 소건중탕(小建中湯) 가(加) 황기(黃芪) : 황기(黃芪), 계지(桂枝),

감초(甘草), 대조(大棗), 생강(生姜), 이당(飴糖), 작약(芍葯).

加 백출(白朮), 복령(茯苓), 포강(炮姜).

㈃ 변비(便秘) - 老人便秘 costive, constipation, obstipation, coprostasis

臨床 :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의 변비(便秘)는 대부분 노인에게서 볼 수 있는 것으

로 이는 중초(中焦)와 하초(下焦)에 양기가 허약(陽氣虛弱)하여, 따뜻하지 못

해서(不能溫煦), 한사가 엉키고 막혀(寒邪凝滯), 혼탁한 음이 안에 모이고(濁

陰內聚), 장부지기의 운행을 막아 요해하며(阻遏氣機), 대장의 전도(傳導)를

어렵게 함으로 대변이 내려 가기가 껄끄럽게 막히고 어려워(滯澁難下), 복통

이 비교적 중하고(腹痛較重), 따뜻한 것을 좋아하나 손을 대는 것을 좋아하

지 않는다(喜暖而不喜按).

治宜 : 온양조기산한(溫陽助氣散寒). 소간리기(疏肝理氣), 온산결합(溫散結合), 산

한지통(散寒止痛)

方用 : 천태오약산(天台烏葯散)《의학발명(醫學發明)》

≒ 오약(烏葯), 목향(木香), 소회향(小茴香), 량강(良姜), 빈낭(檳榔),

청피(靑皮), 천련자(川楝子), 파두(巴豆).

去 청피(靑皮), 천련자(川楝子),

加 화마인(火麻仁), 당귀(當歸), 육계(肉桂), 육종용(肉蓗蓉).

或加服 : 반유환(半硫丸)《和劑局方》

≒ 반하(半夏), 유황(硫黃), 생강즙(生姜汁).


중기하함증(中氣下陷證)은 왕왕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을 겸하는 것을 보게 된다.

숨이 차고 가빠서 헐떡거리며(氣短不足以息), 지치고 고달파서 견딜 수가 없고 (疲憊

不堪), 설사가 끝나지 않으며(泄瀉不止), 탈항이 환수가 어렵다(脫肛難收).

신양허증(腎陽虛證) 역시 대장허한증(大腸虛寒證)을 겸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명문

화쇠(命門火衰)하고, 불능온후 대장(不能溫煦大腸)하면 오경설사(五更泄瀉)를 한다.

4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