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증후102 2. 臟腑證候 7) 腸 ⑩ 大腸結熱證

Aktualisiert: 22. Juni 2019



2. 臟腑證候(장부증후)

7) 腸(장)

⑩ 大腸結熱證(대장결열증) 101-193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은 대장(大腸)에 조열실화(燥熱實火)가 뭉쳐져 대장(大腸)의

전도기능(傳導機能)을 폐색(閉塞)시킴으로 일어나는 일연의 증상(症狀)들을 가리키는

말로써 통상적으로 대장실열증(大腸實熱證)이라 한다. 본증은 대부분 평소 몸에 양성

화왕(陽盛火旺)하거나 혹은 몹시 맵고 기름지며 맛있는 음식을 과식함으로써(因過食

辛辣厚味), 혹은 폐열이 대장에 전이됨으로써(肺熱移于大腸) 일어나는 것이다.

임상표현 : 대변이 건조하여 배설이 잘 안 되고(大便干燥秘結), 항문이 불을 사르듯 뜨

거우며(肛門灼熱), 입이 건조하고 목이 갈증으로 몹시 마르며(口干煩渴), 소

변색이 붉고 량이 적으며(小便短赤), 배가 붓고 그득한 것이 단단하고(腹脹硬滿), 심하

면 배가 아파서 손으로 누르지 못하게 하며(腹痛拒按), 얼굴이 붉고 몸에 열이 나고(身

熱面赤), 설태가 누렇고 건조하며(舌苔黃燥) 심하면 흑갈색에 혓바늘이 돋고(黑褐起芒

刺), 맥상은 파도와 같이 오는 맥이 크고 가는 맥이 적으며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는 빠른맥으로 유력하다(脈象洪數有力).

본증상견 : 변비(便秘), 복통(腹痛),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온병(溫病) 등

류증감별 :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기체증(氣滯證), 양명진상장조증(陽明津傷腸燥

證) 등

변석시치(辨析施治)

㈀ 변비(便秘) costive, constipation, obstipation, coprostasis

臨床 : 변비병(便秘病) 중에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을 당하면 입이 건조하고 몹시

한 갈증으로 물을 잘 마시고(口干煩渴喜飮), 항문이 불로 지지는 듯 뜨거우며

(肛門灼熱), 소변이 황적색으로 진하고(小便黃赤), 설홍(舌紅), 태황조(太黃

燥)하며 맥은 파도와 같이 오는 맥이 크고 가는 맥이 적으며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5번 이상 뛰는 빠른맥으로 유력하다(脈洪數有力). 이는 조사와 열사

가 상호 결탁하여(燥熱互結), 장도를 막아(癰于腸道), 장부의 기를 폐색시켰

기 때문이다(氣機閉塞而致).

治宜 : 청사결열(淸瀉結熱).

方用 : 양격산(凉膈散)《화제국방(和劑局方)》가감(加减)

≒ 調胃承氣湯(대황(大黃), 망초(芒硝), 감초(甘草)) 加 치자(梔子), 황금

(黃芩), 연교(連翹), 박하엽(薄荷葉).

㈁ 복통(腹痛) aneilema, celialgia

臨床 : 복통병(腹痛病) 중에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은 필히 배가 붓고 아프며(腹脹

滿而痛), 심하면 단단하고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한다(硬痛拒按)., 신열과

복열이(身熱腹熱) 나고, 대변이 불통(大便不通)하며, 구갈이 나고 메스꺼우며

(口渴嘔惡), 소변색이 붉고 소변을 볼때 따끔거리는데(小便赤澁) 이는 조열이

장도를 막음으로(燥熱壅塞腸道), 장부의 기가 운행을 단절하고 불통함으로

(氣機閉而不通), “불통칙통(不通則痛)”하는 것니다.

治宜 : 사열통부(瀉熱通腑).

方用 : 대시호탕(大柴胡湯)《상한론(傷寒論)》加减

≒ 시호(柴胡), 황금(黃芩), 작약(芍葯), 반하(半夏), 생강(生姜), 대조(大

棗), 대황(大黃), 지실(枳實).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臨床 :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에서 보는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인 사람은 대부분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의 치료가 부당(不當)하게 해서 한사가 체내로 들어

가 열로 화하고(寒邪入里化熱), 진액을 손상시켜서 마르고(傷津化燥), 열사가

위와 장에 뭉쳐져(邪熱結于胃腸), 대변이 말라 장도를 통하지 못하게 되다(致

令大便干結不通)., 《傷寒論 181條》云 “太陽病, 若發汗, 若下, 若利小便, 此亡

津液, 胃中干燥, 因轉屬陽明, 不更衣內實, 大便難者, 此名陽明” 태양병을 만

약 발한, 사하, 이뇨를 시키면 진액을 잃게 되고 위가 건조해 져서 양명으로

전속(轉屬)함으로 인해서 장도가 실해져 변소에 가질 않고 대변보기가 어려

운 사람을 양명이라 부른다. 하였다.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의 대장결열증

(大腸結熱證)은 다만 오열만있고 오한은 없으며(惡熱不惡寒), 배가 아프고 몸

에 열이 있어(身熱腹痛), 대변이 뭉쳐져 배설이 잘 안 된다(大便秘結).

治宜 : 고한공하(苦寒攻下), 사화통변(瀉火通便).

方用 : 소승기탕(小承氣湯)《상한론(傷寒論)》

≒ 대황(大黃), 자지실(炙枳實), 후박(厚朴).

若 : 열세가 중하여(熱結勢重), 뱃속이 결리며 단단하고 그득하고(則腹滿痞硬), 아

파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하며(疼痛拒按), 답답하고 조급하며 열이 나고(發熱煩

躁), 헛소리를 치며(譫語), 구토(嘔吐)하거나 혹은 마른 똥이 장중에 맺히고

(燥屎結于腸中), 묽은 물만 순통하는데(純利稀水), 열결방류(熱結旁流)로 이

상한 악취가 나고(惡臭異常), 설태가 누렇게 건조한 데다 혓바늘이 돋았으며

(舌苔黃燥起芒刺), 맥은 힘주어 눌러야 짚이는 것이 삼부맥이 모두 유력하다

(脈沉實有力).

註▷ 섬어(譫語) : 환자의 정신이 똑똑하지 못한 정황에서 헛소리를 치는 증상이다.

대부분 실증(實證)에 속하는데 고열(高熱) 혹은 온사(溫邪)가 영혈

(營血)에 침입하였거나 혹은 사기(邪氣)가 심포(心包)에 침입한 경우에 나타난

다.

治 : 준하약으로 실열을 씻어내다(峻下葯滌實熱).

方 : 대승기탕(大承氣湯)《상한론(傷寒論)》

≒ 대황(酒洗大黃), 후박(炙厚朴), 지실(枳實), 망초(芒硝).

“溫邪上受(온사상수), 首先犯肺(수선범폐)”라 했다. 폐(肺)와 대장(大腸)은 상호

표리(表里)관계이므로 온병(溫病)으로 폐위의 열사(肺衛熱邪)가, 맑끔히 해제

되지 않으면(未得淸解), 폐열(肺熱)이 대장(大腸)으로 전이(傳移)되고 조열(燥

熱)이 장도(腸道)에 뭉쳐지면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으로 나타난다. 이 증

(證)은 왕왕 폐위열증(肺衛熱證)의 후기에 보는 것으로 우선 발열이 중(發熱

重)하고, 오한이 경하며(惡寒輕), 목구멍이 아프고(喉痛), 기침(咳嗽)하며, 심하

면 혹 기침하며 숨을 헐떡거리고 몰아 쉬며(咳喘氣促), 계속 진행하게 되면 대

변비결(大便秘結)이 생기고, 열만 날뿐 오한이 나지 않으며(發熱不惡寒), 복부

(腹部)를 만지면 아프고, 심하면 열이 맑은 정신을 어지럽혀(熱擾神明) 헛소리

를 친다(神昏譫語).

治 : 청사대장실열(淸瀉大腸實熱), 겸청폐화(兼淸肺火).

方 : 간갈탕(干葛湯)《증인맥치(證因脈治)》

≒ 갈근(葛根), 지모(知母), 석고(石膏), 대황(大黃), 지각(枳殼).

加 황금(黃芩), 상백피(桑白皮), 과루(瓜蔞).


若 : 늙고 약하거나(年老体弱), 산후의 부녀(婦女産后) 및 출혈이후에 병환(失血后

患)으로 대장결열증인 사람(大腸結熱證者)은 역시 열결(熱結)에 속하며, 다만

심하지 않은 실증으로 복통이 중하지 않으며(腹痛不重), 배를 눌러 보아도 단

단하지 안으며(按之腹不硬), 복창 역시 완만하고(腹脹亦緩), 엄하게 씻어 내리

지 말아야 한다(不可峻下蕩滌).

治 : 청열윤장(淸熱潤腸)

方 : 마자인환(麻子仁丸)《傷寒論》

≒ 마자인(麻子仁), 작약(芍葯), 지실(炙枳實), 대황(大黃), 후박(炙

厚朴), 행인(杏仁).

若 : 음식으로 상하여 열이 쌓이고(傷食積熱), 조열이 대장에 뭉쳐지면(燥熱結于大

腸), 대변이 건조하여 배설이 잘 안되고(大便干燥秘結), 쉬어서 시큼한 것을 토

하며(嘔吐酸餿), 배가 붓고 아파서 손을 못대게 한다(腹部脹痛拒按).

治 : 청열도체(淸熱道滯)

方 :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내외상변혹론(內外傷辨惑論)》

≒ 대황(大黃), 지실(枳實), 신곡(神曲), 복령(茯苓), 황금(黃芩), 황

련(黃連), 백출(白朮), 택사(澤瀉).


《素問 ․ 五臟別論》云 “水谷入, 則胃實而腸虛; 食下, 則腸實而胃虛”

물과 곡식이 입으로 들어가면 위(胃)는 실(實)한데 장(腸)은 허(虛)하다. 음식이 내려가면

장(腸)은 실(實)해지는데 위(胃)는 허(虛)해 진다. 라고 했다. 임상에서 위(胃)와 대장(大

腸)은 흔히 상호 영향을 줌으로 대장결열증(大腸結熱證)은 위열증(胃熱證)을 겸하는 것

을 볼 수 있고, 대변비결(大便秘結), 복창(腹脹), 항문열(肛熱)을 제외(除外)하고, 위완이

불로 사르듯 뜨겁게 열이 나고(胃脘灼熱), 심한 갈증으로 물마시기를 좋아하며(煩渴喜

飮), 쉬 배가 고프고(易飢), 이와 잇몸이 붓고 아픈(齒齦腫痛) 등 증상(症狀)을 겸할 수 있

다.

39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