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침전54 / 전중 (膻中) - 제중사변 (臍中四邊)

Aktualisiert: 16. Aug. 2019


전중 (膻中) : 임맥(任脈)

CV-17 격(膈)의 모혈(募穴)(수혈(兪穴)은 궐음수(厥陰兪)), 팔회혈(八會穴)의

기회(氣會). 족태음경(足太陰經), 족소음경(足少陰經), 수태양경(手太

陽經), 수소 양경(手少陽經), 임맥(任脈)의 교회혈(交會穴).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양쪽 유두(乳頭)의 중간, 제 4 늑간극(肋間隙)과 平行.

양유두(兩乳頭) 중간에 전중혈(顫中穴)을 취하는데 양 유두 중선(中線)이

정확치 못하므로 쇄골중선(鎖骨中線)을 표준으로 삼아 야 한다.

效能 : 조기강역(調氣降逆), 관흉리기(寬胸理氣), 영심안신(寧心安神). - 조 기강역

(調氣降逆), 청폐화담(淸肺化痰), 관흉이격(寬胸利膈).

主治 : 유방질병(乳房疾病), 유소(乳少), 흉비(胸痹), 심통(心痛), 흉민(胸悶), 번심

(煩心,煩悶), 심계(心悸), 해수(咳嗽), 기천(氣喘), 구토(嘔吐), 토농혈(吐膿

血, 排膿).

現代 :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 기관지염(氣管支炎), 륵막염(肋膜 炎), 흉

막염(胸膜炎), 흉통(胸痛), 협심증(狹心症, 心絞痛), 관 심병(冠心病),

심장병(心臟病), 심률문란(心律紊亂), 유선염(乳腺炎), 유선증식증(乳腺增

殖症), 유즙분비부전(乳汁分泌不全), 애기(噯氣), 식도염(食道炎), 식도경련

(食道痙攣), 히스테리성(의병성), 인후이물감(咽喉異物感, 梗阻感), 폐결핵

(肺結核), 늑간신경통(肋間神經痛). 유방암(乳房癌), 종격(縱隔)동종양(腫

瘍)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 ① 嘔吐 - 中脘 氣海.

② 乳少 - 少澤 液門.

③ 胸痺 心痛 - 心兪 內關,

④ 咳嗽 氣喘 - 肺兪 天突 尺澤 列缺.

⑤ 乳腺炎 - 合谷 曲池,

⑥ 유즙분비부전(乳汁分泌不全)

加 ㉠ 유근(乳根), 족삼리(足三里), 소택(少澤).

㉡ 소택(少澤), 유근(乳根).

⑦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 -

加 정천(定喘, 或外定喘), 천돌(天突), 내관(內關).

⑧ 흉비(胸痹), 심통(心痛) - 加 천정(天井).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절골 (折骨)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옛 담경(膽經))의 현종혈(懸鍾穴)

절적하 (切迹下) : 이혈(耳穴)

定位 : 병간절적(屛間切迹)의 하방에 있다. 또 승압점(升壓点)이라 한다

主治 : 저혈압(低血壓).

절침 (折針) 原因 : 침(針)의 품질이 불량하거나, 침체(針体)와 침근(針根)이 부식(腐植), 손상(損

傷)된 것을 침자전(針刺前)에 검사에 부주의했거나, 또는 침술 (針術) 중에 침

체(針体) 전부가 자입(刺入)되였거나, 또는 행침시(行針 時) 강력한 염전(捻

轉), 제삽(提揷)으로 근육이 강력히 수축(收縮)되거나, 환자가 체위(體位)를

개변(改變)시킴으로 침(針)이 굽히고 체침(滯針)된 것을 제때에 처리하지 않

고 강력히 침(針)을 빼거나, 기타 물체 에 부딪쳤거나, 압력으로 인하여 절단

(切斷) 되었기 때문이다.

處理 : 의사(醫師)의 태도는 반드시 침착(沈着)해야 하고 환자(患者)가 당황 (唐惶)하

지 않도록 安定시켜 원래의 체위(體位)를 보지(保持)하여 끊어진 침(針)이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防止)해야 한다. 만약 끊 어진 침체가 피부(皮膚)밖

에 남아 있으면 집게로 집어 빼고 끊어진 침이 피부와 평행(平行)이거나 좀

낮을 때는 왼손 모, 식지(母, 食指) 로 피부(皮膚)를 눌러서 침(針)을 피부 밖으

로 나오게 하여 역시 집게 로 집어 뺀다. 그러나 만약 끊어진 부분이 피하(皮

下)에 깊이 박혀있을 때는 수술(手術)로 처리한다.

점자법 (點刺法) : 삼능침(三陵針) 조작법(操作法)으로써 왼손 모, 식지로 침자부위의 상하를 밀

고 눌러 혈액이 몰리게 한 후 소독한다. 왼손 모, 식, 중지로 침놓을 부위를 꼭

쥐고 오른손 모, 식지로 침 자루를 쥐며 중지는 침체를 부축하여 침 끝을 약

간 내놓고 소독한 부위에 신속히 0.1~1분 찌른 후 침을 빼고 침구멍 주위를

경하게 눌러 출혈시킨다. 주로 수족말단 정혈(井穴)에 많이 사용한다. 십선

(十宣), 십이정혈(十二井穴) 등등이다.

使用範圍 : 고열(高熱) 경풍(驚風) 중풍혼미(中風昏迷) 중서(中暑) 급성요뉴상(急性腰扭

傷) 등

접력자 (接力刺) : 한 方向으로 여러대의 針을 刺入시킨것.

정각 (艇角) : 이혈(耳穴)

定位 : 이갑정(耳甲艇) - 耳甲艇 前上角 主治 : 전립선질환(前立腺疾患), 전립선염(前立腺炎), 요도염(尿道炎).

정경점 (定驚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수심(手心) 대, 소 어제(魚際) 교차점의 중점

主治 : 고열(高熱)로 인한 경풍(驚風).

정궁 (精宮) : 기혈(寄穴)

定位 : 제 2 요추(腰椎) 극돌(棘突) 아래 좌우 각 3.5寸

主治 : 몽정(夢精)(nocturnal emission) - 뜸(灸) 7 壯, 신효(神效)

정명 (睛明)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1 【甲乙】에 수족태양(手足太陽), 족양명(足陽明), 양

교(陽交), 음교(陰交)의 會이다. 定位 : 내자(內眦)위 0.1촌 함요부(陷凹部)

效能 : 소풍청열(疏風淸熱), 통락명목(通絡明目).

主治 : 목적종통(目赤腫痛), 영풍유누(迎風流淚), 내자양(內眦痒), 목예(目 翳), 노육

반정(胬肉攀睛), 혹 익상노육(翼狀胬肉), 근시(近視), 원시 (遠視), 란시(亂視),

색맹(色盲), 목현(目眩), 안화(眼花), 야맹증(夜盲 症), 오한(惡寒), 두통(頭痛),

비색(鼻塞).

現代 : 각막염(角膜炎), 시망막염(視網膜炎), 급만성안구결막염(急慢 性眼球

結膜炎), 시신경염(視神經炎), 시신경위축(視神經萎縮), 록내장(綠內

障), 청광염(靑光炎), 초기백내장(初期白內障), 익 상노육(翼狀胬肉), 누선염

(淚腺炎), 누낭염(淚囊炎), 전광성안염(電光性眼炎), 목적(目赤)(트라토마 등

各種原因), 심장박 동과속(心臟搏動過速, 怔忡),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안

구종양(眼球腫瘍)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 ① 시신경위축(視神經萎縮) -

加 간수(肝兪), 신수(腎兪), 풍지(風池), 태양(太陽), 각손(角孫),합곡(合谷).

② 목적종통(目赤腫痛) -

加 풍지(風池), 태양(太陽), 찬죽(攢竹), 사죽공(絲竹空), 양백(陽白), 광명

(光明).

操作 : 환자는 눈을 감고 의사는 왼손가락으로 눈알을 고정(固定)시킨 후 오른손

에 침(針)을 쥐고 광연측(眶緣側)을 따라 0.5寸 자입(刺入)시 키며 침첨(針

尖)에 조력감(阻力感) 혹은 환자가 통감(痛感)을 느끼 면 침첨방향(針尖方

向)을 약간 개변하여 자입(刺入)한다. 혈관(血管) 의 손상(損傷)을 피하기 위

하여 대폭도의 염전(捻轉), 제삽(提揷)을 삼가 한다.

금구(禁灸)

정방이선 (頂旁二線) : 두침(頭針)

定位 : 정영혈(正營穴)에서 후측으로 1.5寸.

동공(瞳孔)에서 후측으로 5,5寸

效能 : 소통경락(疏痛經絡), 조화기혈(調和氣血).

主治 : 견비마목(肩臂麻木), 동통(疼痛).

정방일선 (頂旁一線) : 두침(頭針)

定位 : 正中線左右 1.5寸 承光穴 后側 正中線과 平行 1.5寸

效能 : 疏通經絡, 調和氣血.

主治 : 腰腿麻木, 疼痛.

정섭전사선 (頂顳前斜線) : 側頭部 百會穴 前一寸에서 懸厘穴까지를 5等分

效能 : 壯筋骨(强筋健骨), 健脾益氣.

主治 : 上 1/5 下肢麻痹, 中 2/5 上肢麻痹(上肢部), 下1/5 頭面部 疾

病을 治療한다, 腦動脈硬化(中風原因).

정섭후사선 (頂顳后斜線) : 백회혈(百會穴)에서 곡빈혈(曲鬢穴)까지 5 등분

效能 : 조화영위(調和營衛), 통경지통(痛經止痛).

主治 : 上 1/5 하지감각장애(下肢感覺障碍), 中 2/5 상지부감각 장애

(上肢部感覺障碍), 下 1/5 두면부감각장애(頭面部 感覺障碍).

정수리점 (정수리점)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중지요측(中指橈側) 제 1지관절(指關節) 적백육제(赤白肉際)

정신 (定神) : 신혈(新穴)

定位 : 인중구(人中溝) 아래 1/3

主治 :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전간(癲癎), 월경통(月經痛).

操作 : 침첨(針尖)을 상향으로 1~1.5寸 사자(斜刺)

정영 (正營)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17 【甲乙】에 족소양(足少陽) 양유(陽維)의 會

定位 : 목창혈(目窗穴) 뒤 1寸, 두림읍(頭臨泣)과 풍지혈(風池穴) 연선.

主治 : 편두통(偏頭痛), 목현(目眩), 두항강통(頭項强痛), 치통(齒痛), 구토(嘔吐).

臨床 : ① 현훈(眩暈) - 加 풍지(風池), 태양(太陽), 인당(印堂).

② 편두통(偏頭痛) - 加 외관(外關), 풍지(風池), 두유(頭維).

操作 :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정중 (艇中) : 이혈(耳穴)

定位 : 이갑정(耳甲艇) - 耳甲艇 中央

主治 : 배꼽주위의 통증(臍周圍痛症), 복통(腹痛), 복창(腹脹), 담도회충증(膽道蛔

蟲症), 이하선염(耳下腺炎).

정중선 (頂中線) : 두침(頭針)

定位 : 백회혈(百會穴)로부터 앞으로 1.5寸 사이.

效能 : 평간잠양(平肝潛陽), 익기승양(益氣升陽), 소경통락(疏經通絡).

主治 : 요퇴통(腰腿痛), 족통(足痛), 하지마목(下肢麻木), 피질성다뇨증(皮質

性多尿症) 피질성뇨붕증(尿崩症), 탈항(脫肛), 소아야뇨증(小兒夜尿

症), 고혈압(高血壓), 두정부동통(頭頂部疼痛, 顚頂頭).

정천 (定喘) : 기혈(寄穴)EX - 배부(背部)B

SX-B1 別名 : 천식(喘息), 지천(止喘)

定位 : 대추혈(大椎穴) 좌우 0.5寸.

效能 : 선폐리기(宣肺理氣), 정천지해(停喘止咳).

主治 : 해수(咳嗽), 천식(喘息), 기관지염(氣管支炎), 락침(落枕), 상지마비(上 肢麻

痹), 동통(疼痛), 배통(背痛), 담마진(蕁麻疹), 비통불거(臂痛不擧).

臨床 : ① 백일해(百日咳) - 加 천돌(天突), 대추(大椎), 풍륭(豊隆).

② 기관지염(氣管支炎) - 加 풍문(風門), 폐수(肺兪), 합곡(合谷).

③ 기관지천식(氣管支喘息) -

加 천돌(天突), 선기(璇璣), 전중(膻中), 내관(內關), 풍륭(豊隆).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정혈 (井穴) : 소상(少商)-(手太陰肺經), 상양(商陽)-(手陽明大腸經),

려태(慮兌)-(足陽明胃經), 은백(隱白)-(足太陰脾經),

소충(少冲)-(手少陰心經), 소택(少澤)-(手太陽小腸經),

지음(至陰)-(足太陽膀胱經), 용천(湧泉)-(足少陰腎經),

중충(中冲)-(手厥陰心包經), 관충(關冲)-(手少陽三焦經),

지음(至陰)-(足少陽膽經), 대돈(大敦)-(足厥陰肝經)

제주 (臍周) : 기혈(寄穴) - 복부(腹部)

定位 : 배꼽 상방과 하방 5푼

效能 : 소통임맥독맥(疏通任脈督脈), 이기소양(利氣消瘍).

主治 : 위암(胃癌), 장암(腸癌), 복강(腹腔)의 종괴(腫塊)

操作 : 5~8푼 침자(針刺).

제중사변 (臍中四邊). : 기혈(寄穴) - 제중사혈(臍中四穴) - 흉복부(胸腹部)

定位 : 배꼽 주위(臍周圍) 상하좌우(上下左右) 各 1寸.

效能 : 건비화위(健脾和胃), 리기지통(理氣止痛).

主治 : 설사(泄瀉), 이질(痢疾), 복통(腹痛), 장명(腸鳴), 위완부(胃 脘部)와

복부동통(腹部疼痛), 소아간질(小兒癎疾), 소화불 량(消化不良).

現代 : 만성장염(慢性腸炎), 위경련(胃痙攣), 위확장증(胃擴 張症).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