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64 刺瘧論(자학론)

Aktualisiert: 7. Sept. 2019



刺瘧論(자학론)

이편에서는 瘧疾(학질)에 의한 苦痛(고통)과 兼症(겸증)을 밝히고 있으며 치료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瘧疾(학질)은 寒熱病(한열병)이며 현대의 이름으로는 間歇熱(간헐열)이다.


- 膀胱經(방광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腰痛(요통)과 頭痛(두통)이 있고, 등줄기에서 찬기

운이 일어나며, 처음앤 춥고 후에 熱(열)이 난다. 그 熱(열)은 뜨거운 불처럼 發熱(발열)하며,

熱(열)이 그치고도 땀이 나고 있으면 치료하기가 어려우니 이때는 委中穴(위중혈)에서 出血

(출혈)을 시킨다.


- 膽經(담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인체가 풀리거나 늘러지는 것 같으며, 추운 것과 더운

寒熱(한열)이 심하지 않으면서 사람을 멀리하고, 사람을 보면 그 마음이 사로잡힌 듯 소스라

쳐 놀라고 두려워하며, 熱(열)이 심해 땀이 나면 증세가 극심해지는데 이때는 膽經(담경)을 치

료한다.


- 胃經(위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먼저 추워서 덜덜 떨며 떤 다음에는 추운 기운이 많고,

한참 후에 熱(열)이 나며 熱(열)이 사라진 다음에 땀이 난다. 해와 달이나 불빛을 보기 좋아하

며 마침내 시원해진다.

이때는 발등 위에 있는 胃經(위경)을 치료한다.


- 脾經(비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즐겁지 않고 한숨(太息) 쉬기를 좋아하며, 음식을 먹으

려하지 않고, 높은 寒熱(한열, 惡寒發熱)이 있으면서 땀이 난다. 病(병)이 다 나아갈 때면 구역

질을 자주하고, 구역질을 많이 하면 마침내 쇠약하여지니 즉시 脾經(비경)을 치료해야 한다.


- 腎經(신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嘔吐(구토)가 심하고 寒熱(한열)이 믾으며 창문을 꼭

닫고 방에 홀로 있고 싶어 하면 그 병은 치료하기 어렵다.


- 肝經(간경)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腰痛(요통)이 있으며 小腹(소복)이 그득하고, 小便(소

변)이 순조롭지 못하여 不通(불통) 현상이 나다가 풀리기도 하곤 한다. 소변을 저주보고 깜짝

깜짝 잘 놀라며 두려워하고 기운이 없으며 뱃속이 답답할 때는 肝經(간경)을 치료해야 한다.


- 肺(폐)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心(심)이 차갑고, 차가운 것이 심해지면 熱(열)이 생긴다. 熱

(열)이 일어나는 사이에 깜짝깜짝 주주 놀라는 것을 보게 되면 肺經(폐경)과 大腸經(대장경)을

치료한다.


- 心(심)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心煩症(심번증)이 심하고 맑은 물을 마시고 싶어 하면서 반

대로 찬 기운이 많다. 熱(열)이 심하지 않을 때는 心經(심경)을 치료한다.


- 肝(간)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얼굴의 피부색이 파래지며 한숨을 쉬고, 그 증상은 죽은 사

람과 같다. 이때는 肝經(간경)에서 出血(출혈)시킨다. 中封穴(중봉혈)을 치료한다.


- 脾(비)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추워하고 腹中(복중)이 그득하며 熱(열)이 나면 腸中(장중)

에서 소리가 나고, 이 腸鳴(장명)이 그치면 땀이 난다. 이때는 脾經(비경)을 치료한다. 商丘穴

(상구혈)을 치료한다.


- 腎(신)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추워서 덜덜 떨며 腰脊痛(요척통)이 생기고 몸을 움직이기

어려우며 大便難(대변난)과 눈을 깜박거리고 시력이 약해지며 손발이 차가워진다. 이때는 腎

經(신경)과 膀胱經(방광경)을 치료한다. 委中(위중), 太谿穴(태계혈)이나 大鍾穴(대종혈)을 치

료한다.


- 胃(위)에서 일어나는 瘧疾(학질)은 차츰 病(병)으로 傳變(전변)되고, 배는 고프나 먹을 수 없으

며, 식사를 하면 명치부위가 그득하고, 배가 불러 腹大(복대)하다. 이때는 胃經(위경)과 脾經

(비경)의 橫脈(횡맥)에서 出血(출혈)을 시킨다. 厲兌(려태), 解谿(해계), 三里(삼리), 商丘穴(상

구혈)에서 출혈시킨다.


- 瘧疾(학질)이 발생하여 全身(전신)이 뜨거울 때는 발등에 있는 動脈(동맥)에서 出血(출혈)시키

면 곧 시원해진다.


- 瘧疾(학질)이 발생하여 全身(전신)이 춥고 惡寒(오한)이 날 때에는 大腸經(대장경)과 肺經(폐

경)에 針(침)을 찌르고 胃經(위경)과 脾經(비경)을 치료한다.


- 瘧疾(학질)로 인한 脈滿(맥만, 맥이 그득한, 大脈(대맥), 實脈(실맥), 洪脈(홍맥) 등)하고 맥이

크고 빠르게 뛰면 등의 背腧穴(배수혈)인 大杼穴(대저혈)을 치료하는데 거기에 쓰는 針(침)은

보통침(호침)으로 찌르며, 옆에 있는 五胠兪(오거수, 議譆穴(의희혈)을 말함))을 각기 치료하

는데 뚱뚱한 사람은 깊이 찌르고 바싹 마른 사람은 얕게 찔러서 出血(출혈)을 시킨다.


- 瘧疾(학질)로 인해 脈小(맥소)하고, 實(실)하며, 急(급)하면 復溜穴(복류혈)에 灸(구)하고, 腎經

(신경)의 井穴(정혈) 湧泉穴(용천혈)과 膀胱經(방광경)의 井穴(정혈)인 至陰穴(지음혈)을 치료

한다.


- 瘧疾(학질)로 인해 脈滿(맥만)하고, 大急(대급, 몹시 급하면)하면 大杼穴(대저혈)을 치료하고,

議譆穴(의희혈)을 사용하여 血液(혈액)을 적당량 행하게 한다.


- 瘧疾(학질)로 인해 脈緩(맥완)하고, 大虛(대허)하면 간편하게 藥(약)을 사용하고 鍼(침)은 적당

하지 않다.


- 瘧疾(학질)의 모든 치료법은 먼저 식사할 때 발생하는 것 같으면 마침내 치료가 가능할 수 있

으나 이미 시기를 놓쳐 지나간 즉 치료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 모든 瘧疾(학질)에 있어서 脈(맥)을 볼 수 없으면 열 손가락 사이(八邪穴)에서 出血(출혈)을 시

킨다.(어느 책에서는 十二井穴(십이정혈)을 말하기도 한다.) 出血(출혈)이 그치면 반드시 치료

된다. 먼저 잇몸에 작은 콩알만한 赤血(적혈)이 보이면 그 곳을 직접 찔러서 출혈 시킨다.


- 12종류의 학질은 일어나는 시기가 같지 않으니 病(병)의 형세를 관찰하고 맥을 보면 病(병)을

파악할 수가 있다.(어찌 학질뿐이랴!)


- 瘧疾(학질)이 발행할 때, 식사 때에 치료하면 한번 치료한즉 病(병)이 약해지고, 다음 식사 때

(1일 1회) 2회 치료한즉 병이 나아지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으며, 다음날 식사때 3회 치료하

면 완전히 낫게 된다. 만약 완전히 치료되지 않으면 턱밑에 있는 廉泉穴(렴천혈) 양쪽에서 出

血(출혈)시키면 낫는다. (舌下兩脈(설하양맥)의 金津, 玉液穴(금진, 옥액혈)은 원래 止血(지혈)

이 잘 안 되니 조심해야 한다.) 그래도 낫지 않을 경우 委中穴(위중혈)을 살펴보면 怒張(노장)

된 핏줄이 나타나는데 그 곳에서 출혈 시킨다.또 뒷목 아래 척추 옆에 있는 大杼(대저), 風門穴

(풍문혈)을 치료하면 반드시 낫는다. 舌下兩脈者(설하양맥자)는 廉泉穴(렴천혈)이다.

- 瘧疾(학질)을 치료하려면 반드시 어느 곳에서부터 일어난 것인지 예를 들면

① 등줄기인가, 頭部(두부)인가, 項部(항부)인가를 먼저 물어본 다음에 어느 經絡(경락)l 要穴

(요혈)을 치료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한다.

② 먼저 머리가 아프거나 무거운 사람은 먼저 머리 위에 있는 百會(백회)와 上星穴(상성혈) 그

리고 양쪽 이마에 있는 懸顱穴(현로혈)과 눈썹 내측에 있는 攢竹穴(찬죽혈)에서 출혈시킨

다.

③ 먼저 목과 등줄기가 아픈 사람은 風池(풍지), 風府(풍부), 大杼(대저), 神道穴(신도혈)을 치

료한다.

④ 먼저 허리와 척추뼈가 아픈 사람은 우선적으로 委中穴(위중혈)에서 出血(출혈)을 시킨다.

⑤ 먼저 발의 앞정강이 뼈(脛骨)가 저리고 아픈 사람은 먼저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을 치료

하고 열손가락 사이(八邪穴, 혹은 12井穴(정혈))에서 出血(출혈)을 시킨다.

⑥ 風(풍)으로 인한 瘧疾(학질)은 瘧疾(학질)이 일어난 즉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 할 때는 膽

兪穴(담수혈), 胃兪穴(위수혈), 膀胱兪穴(방광수혈)에서 出血(출혈)을 시킨다.

⑦ 정강이 뼈(脛骨)가 저리고 아픔이 심하면서 편안하게 걷지 못하면 이를 부수병이라고 한

다. 이때는 끝이 짧는 침으로 絶骨穴(절골혈)에서 출혈을 시키면 즉시 낫는다.

⑧ 몸 전체가(全身)이 약간 아플 때는 至陰穴(지음혈)을 치료한다.

⑨ 모든 陰經絡(음경락)의 井穴(정혈)에서는 出血(출혈)시키는 것이 아니다. 간혹 2일에 한번

씩 찔러준다.

⑩ 瘧疾(학질)로 인한 渴症(갈증)이 없고 2일에 1번씩 발작하면 膀胱經(방광경)을 치료한다.

⑪ 목이 마르면서 2일에 한번씩 학질이 일어나면 膽經(담경)을 치료한다.

⑫ 全身(전신)이 뜨거운 학질이 땀이 나지 않으면 59穴(혈)을 치료한다. 59穴(혈)은 이미 熱病

(열병)에서 설명하고 있다.

1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