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5 사시취혈 (四時取穴)

Aktualisiert: 7. Sept. 2019




사시취혈 (四時取穴)

1. 針灸大成解釋

봄(春) :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의 사이를 취(取)한다. 여름(夏) : 주리(腠理)를 取한다.

가을(秋) : 수혈(兪穴) - 사음사(瀉陰邪), 사양허사(瀉陽虛邪) - 합혈(合穴)을 취하고,

겨울(冬) : 정혈(井穴), 형혈(滎穴) - 정혈(井穴) : 음기(陰氣)를 역행(逆行),

형혈(滎穴) : 양기(陽氣)를 실(實)하게

2. 황제(黃帝)와 기백(岐伯)의 문답(問答) -《素問․水熱穴論》

1) 黃帝 - 봄철에 침치료(針治療) 할 때는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을 어떻게 취하는가?

岐伯 - 봄철에는 모든 만물이 시작함을 다스리고, 간기(肝氣)는 처음으로 생기게 하고,

간기(肝氣)는 급하며, 그 바람은 빠르고, 경맥(經脈)은 항상 깊이 있으며, 그 기운

은 적어서 깊이 들어갈 수가 없는 고로 락맥(絡脈)과 분육(分肉)의 사이를 취 (取)하

는 것입니다.

2) 黃帝 - 여름에는 락맥(絡脈)이 성(盛)한데, 어찌하여 주리(腠理)를 취(取)하는가?

岐伯 - ① 여름은 화기(火氣)가 시작되므로 심기(心氣)가 번성하기 시작하며, 맥(脈)은 마

르고 기운(氣運)이 약한데, 양기(陽氣)는 머물러 넘치고, 열(熱)은 주리(腠理) 부

분(部分)에서 찌고, 안으로는 경(經)에 들어가 닿는 고로, 양맥(陽脈)이 성(性)하

므로 주리(腠理)를 취(取)합니다.

② 침(針)을 찌르면 병(病)이 물러가는 것은 사기(邪氣)가 얕게 있기 때문입니다.

3) 黃帝 - 가을에는 어느 경(經)의 수혈(兪穴)을 취(取)하는가?

岐伯 - ① 가을은 금(金)으로서 다스림을 시작하므로 폐경(肺經)을 취하는데, 폐기(肺氣)

는 거두어들이고(收斂), 살(殺)하고자 하는 것이니 금(金)은 장차 화(火)를 이 기

려(견제(牽制)-극(克)) 하는 것 입니다.

② 양기(陽氣)가 합혈(合穴)에 있을 때 음기(陰氣)가 처음으로, 이기는 것이고, 습

기(濕氣)가 몸에 있어(土克水) 음기(陰氣)가 성(盛)하지 못하면 깊이 들어갈 수

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수혈(兪穴, 肺兪)을 취(取)하여 음사(陰邪)를 사 (瀉)하고, 허약(虛弱)한

양사(陽邪)는 합혈(合穴, 尺澤穴)을 取하면 양기(陽氣) 가 쇠약(衰弱)하기 시작

하는 고로 합혈(合穴)을 取하는 것입니다. (오수혈(五輸穴)의 합혈(合穴))

4) 黃帝 - 겨울에는 어째서 정혈(井穴)과 형혈(滎穴)을 취(取)하는가?

岐伯 - 겨울에는 물로써 다스림을 시작하므로, 신방(腎方)의 북방(北方)은 얼음이 얼어

만물을 꼭 닫기 때문에 양기(陽氣)는 미약(微弱)해지고 적어지며, 음기(陰氣)는 튼

튼하게 성(盛)하여져서 태양(太陽)의 기운(氣運)은 숨어들어 맥(脈)은 침체되므로

양맥(陽脈)은 마침내 없어지는 고로 정혈(井穴)을 취(取)하여 아래에 있는 음기(陰

氣)를 역행(逆行)시키고, 형혈(滎穴)을 취(取)하여 양기(陽氣)를 실(實)하게 합니다.

그러므로 겨울에는 정혈(井穴)과 형혈(滎穴)을 취(取)하면 봄에 가서 코 피(衄血)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2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