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32 雜病十一穴歌 및 四總穴歌

Aktualisiert: 7. Sept. 2019



雜病十一穴歌(잡병십일혈가) 및 四總穴歌(사총혈가)



雜病十一穴歌(잡병십일혈가) 및 四總穴歌(사총혈가)

본문은 針灸聚英(침구취영)에서 나온 것이다. 針灸聚英(침구취영)은 明(명)나라 때에 高武(고무)가 쓴 책이다. 내용은 雜病(잡병)에 쓰이는 11首(수)의 노래를 지은 것인데 이것을 雜病十一穴歌(잡병십일혈가)라고 부르고 있다.


- 攢竹穴(찬죽혈)과 絲竹空穴(사죽공혈)은 頭痛(두통)을 주로 치료하니 偏(편), 正頭痛(정두통)

에도 모두 針刺(침자)할 수 있다.

- 大都穴(대도혈)을 찌르고, 風池(풍지)에 깊게 三分(삼분)을 찌르며, 曲池(곡지), 合谷(합곡)을

瀉(사)한다면 頭痛(두통)은 영원히 없어진다.

- 頭痛(두통), 頭風(두풍)과 齒痛(치통)에는 合谷(합곡), 三間穴(삼간혈)을 찔러주고,

- 眼痛(안통)에는 大都穴(대도혈)에 鍼(침)하며, 太淵穴(태연혈)도 좋다.

- 齒痛(치통)에는 太溪穴(태계혈)에 三分(삼분)을 찔러주고 또 大都穴(대도혈)을 찔러주는데

左病(좌병)이면 右(우)를 取(취)하고, 右病(우병)이면 左(좌)를 取(취)한다.

- 귀머거리에는 聽會穴(청회혈), 聽宮(청궁)에 七分(칠분)을 찔러 瀉(사)하고, 耳門(이문)에도

三分(삼분)을 찔러 瀉(사)하며 다시 聽宮(청궁)에 灸七壯(구칠장)한다. 또는 曲池穴(곡지혈)과

合谷穴(합곡혈)에 七分(칠분)을 찔러 瀉(사)한다.

- 肩背(견배)와 肩膊痛(견박통)에는 曲池(곡지), 合谷(합곡)을 七分(칠분) 찔러주고, 완전히 낫지

않으면 尺澤穴(척택혈) 一寸(일촌)을 찌르고 다시 三間穴(삼간혈)을 찔러준다.

- 어떠한 病(병)이 든지 痛症(통증)이 심할 때에는 少府(소부), 風府(풍부) 二府穴(이부혈)에 淺

深(천심)을 얻으면 모든 병을 낫게 한다.

- 咽喉(인후)에서 배꼽(臍)까지 胃脘(위완)에서 생긴 百病(백병)과 心痛(심통), 結胸(결흉), 傷寒

(상한), 嘔吐(구토), 胸悶(흉민), 流涎(류연)에는 列缺穴(열결혈), 風池穴(풍지혈), 三間穴(삼간

혈), 足三里穴(족삼리혈), 中冲穴(중충혈)에 三分(삼분)을 찌른다.

- 땀이 나오지 않을 때에는 腕骨穴(완골혈)에 五分(오분)을 찔러주고 瀉(사)한다. 그 외에 魚際

(어제), 經渠(경거), 通里(통리)에 各一分(각일분)을 찌르면 땀이 충분하게 흐른다. 그리고 三間

(삼간), 足三里(족삼리), 手三里(수삼리), 合谷(합곡)에 각 五分(오분) 정도로 깊게 찌르면 땀이

나오는 좋은 穴(혈)이다.

- 四肢无力(사지무력)과 中風(중풍), 눈이 건조하고 뜨기 곤란하고, 百病(백병)이 침범할 때 와

精神(정신)이 권태스럽고, 말을 할 수가 없으면 風池穴(풍지혈)과 合谷穴(합곡혈)에 針(침)하

고, 三間穴(삼간혈)을 瀉(사)하며, 三里(삼리), 太冲(태충)에 五分(오분)을 찔러서 迎隨補瀉(영

수보사)를 하면 대단히 특효하다.

- 左右(좌우) 半身不隨(반신불수)에는 風池穴(풍지혈)과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에 各者(각자) 五

分(오분)씩 찔러 補(보)한 후에 瀉(사)하고, 다시 灸七壯(구칠장)을 하면 몸이 편안하여 진다.

다시 三里(삼리), 三陰交(삼음교)에 針(침)을 一寸三分(일촌삼분)을 찔러주고, 다시 灸(구)하되,

三七壯(삼칠장)하면 左右(좌우) 半身不隨(반신불수)가 平安(평안)하여 진다.

- 팔꿈치가 아프면 曲池(곡지), 經渠(경거), 合谷(합곡)에 五分(오분)정도 깊이로 찔러 주고- 瘧疾

(학질)이 있으면 三間(삼간)에 五分(오분) 깊이로 찔러주며

- 氣痛(기통), 점점 추워지고 發熱(발열)하는데는 間使穴(간사혈)을 찔러준다.

- 腿(퇴, 허벅지), 胯(과, 사타구니), 腰(요, 허리)가 아프고 더부룩한 기운이 있으면 髖骨穴(관골

혈)을 七分(칠분) 찔러주고 다시 風市穴(풍시혈), 足三里(족삼리)에 一寸三分(일촌삼분)을 찔

러 補瀉(보사)하고 또 三陰交穴(삼음교혈)을 一寸(일촌)을 찔러 瀉(사)하고, 行間(행간)에 五分

(오분)을 찌르며 進退補瀉(진퇴보사)와 呼吸補瀉(호흡보사)를 하면 疾病(질병)의 뿌리가 없어

진다.- 肘(주, 팔꿈치)와 膝(슬, 무릎)이 아플 때는 曲池(곡지)를 一寸(일촌) 찌르되 左病(좌병)

이면 右側(우측), 右病(우병)이면 左側(좌측)을 치료하며, 三分(삼분)을 찔러 瀉(사)하면 대단히

신기하다.

- 膝痛(슬통)에는 犢鼻穴(독비혈)에 一寸(일촌)을 찌르고 三里(삼리), 三陰交(삼음교)를 찌르고

3번 呼吸(호흡)한다.

- 단 자세히 그 이치를 찾고 病(병)을 치료한다면 그 효과의 공이 있는 것이다. 四總穴歌(사총혈

가) 肚腹三里留(두복삼리유), 腰背委中求(요배위중구), 頭項尋列缺(두항심열결), 面口合谷收

(면구합곡수).복부의 질병에는 족삼리를 취하고, 허리와 등줄기의 질병에는 위중혈이 주혈이

며, 머리와 뒷목의 질병에는 열결혈이 주혈이고 얼굴과 입의 질병은 합곡혈이 좋다. 痠痛尋阿

是(산통심아시), 胸脇內關謀(흉협내관모).(後人(후인)이 추가한 것으로 六總穴(육총혈)이 된

것이다.)저리고 아플 때는 阿是穴(아시혈, 天應穴(천응혈), 反應穴(반응혈))이 제일 좋고, 흉협

복부질병에는 내관혈이 좋다. 針灸辭典(침구사전)에 收錄(수록)된 “주치규율(主治規律)”을 참

고하시라!

5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