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31 巨刺論 및 經刺論

Aktualisiert: 2. Sept. 2020



巨刺論(거자론) 및 經刺論(경자론)


巨刺論(거자론)

巨刺(거자)는 經脈(경맥)을 찌르는 것이고, 繆刺(무자)는 絡脈(락맥)을 찌르는 것이다. 때문에 시술에 앞서 巨刺(거자)와 繆刺(무자)를 잘 분별하여 應用(응용)해야 하는 것이다.


岐伯(기백)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病症(병증)이 左側(좌측)에 있으면, 病(병)은 右側(우측)의 脈(맥)에 있으니 治療(치료)에는 右側(우측)의 經脈(경맥)을 찌르는 것이 巨刺法(거자법)이다.」라고 하였다.


邪氣(사기)가 經脈(경맥)에 들어와 左側(좌측)의 脈(맥)이 盛(성)하면, 右側(우측)에서 病(병)이 나타나고, 右側(우측)의 脈(맥)이 盛(성)하면 左側(좌측)에서 病(병)이 나타난다. 역시 病(병)은 쉽게 움직이는 것이다. 左側(좌측)의 痛症(통증)이 낫지 않으면 右側(우측)이 먼저 病(병)이 된 것이다. 이럴 때 반드시 巨刺法(거자법)을 쓰는 것이니 그 해당 經脈(경맥)을 찔러야 함으로 絡脈(락맥)을 찔러서는 안 된다. 巨刺(거자)도 左病(좌병)이면 右側(우측)을 치료하고, 右側(우측)의 病(병)이면 左側(좌측)을 치료한다.



經刺論(경자론)

본편은 經脈(경맥)에 찌르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內經(내경)』의 官鍼篇(관침편)에 있는 내용으로서 大經(대경)을 치료하는 것이며, 臨床時(임상시)에 脈氣(맥기)가 實(실)하지도 않고 虛(허)하지도 않을 때에 經脈(경맥)을 찌르는 것이다.

岐伯(기백)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邪氣(사기)가 人体(인체)에 들어올 때에 여러 형태가 있다. 대체로 邪氣(사기)는 반드시 皮毛(피모)에 들어와 있을 때 치료하지 않으면 오래 머물러 있다가 孫絡(손락)으로 들어 간다. 孫絡(손락)에 있는 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오래 머물러 있다가 經脈(경맥)에 들어가고, 이어서 안으로 五臟(오장)으로 들어가고, 腸胃(장위)에 들어가며, 陰陽(음양)이 모두 盛(성)하게 되어 마침내 五臟(오장)이 傷(상)하게 된다.

이 邪氣(사기)는 皮毛(피모)를 따라 들어 왔다가 극심하여지면 차츰 五臟(오장)에까지 들어 간다. 이와 같은 때는 해당 經(경)을 치료하는 것이다.

모든 針治療(침치료) 밥법에 있어서 먼저 그 經脈(경맥)의 虛實(허실)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서 치료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虛實(허실)을 조절시켜야 한다. 만약 虛(허)와 實(실)이 조절되지 않으면 經(경)을 찔러야한다.

病(병)이 虛(허)하지도 않고 實(실)하지도 않을 경우 해당 經脈(경맥)을 찔러만 놓아도 자연히 調和(조화)되어 진다.」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