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29 調經論(조경론)

Aktualisiert: 7. Sept. 2019



調經論(조경론)

한가지의 病(병)이 있을 때 虛實(허실)을 分別(분별)하고 針灸(침구)로 치료해서 허실의 차이를 조절하여 調和(조화)와 平衡(평형)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 침구학의 본론이다. 본편에서는 虛實(허실)을 명확히 설명하고 그 원인과 病理(병리)와 調和(조화)시키는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래서 調經論(조경론)이라고 한 것이다.


黃帝(황제)가 묻기를

「有餘(유여)와 不足(부족)은 虛實(허실)의 형태라고 들어서 알고 있는데 어떻게 해

서 虛實(허실)이 생기는지 모르겠노라」

岐伯(기백)이 답하여 아뢰되

「氣血(기혈)이 이미 合(합)했을 때 陰陽(음양)이 서로 떨어지고, 氣(기)가 흩어져 血

(혈)로 들어가고, 血(혈)이 逆(역)하여 經(경)으로 들어가 血氣(혈기)가 떨어져 있으

면 하나는 實(실)하고 하나는 虛(허)하게 됩니다.

- 血(혈)이 陰(음)에 들어가면 陰氣(음기)가 旺盛(왕성)해 집니다. 心(심)은 陽(양)인

데, 陰氣(음기)가 왕성하면 水克火(수극화)하여 心(심)이 놀라게 되어 心驚(심경)이

됩니다.

- 그리고 氣(기)가 陽(양)에 들어가면 陽(양)이 旺盛(왕성)해집니다. 心(심)은 陽(양)인

데 陽(양)이 크게 왕성하면 心神(심신)이 主張(주장)이 없어 發光(발광, 미친병)이

됩니다.

- 血(혈)이 陽(양)에 들어가면 陰(음)이 虛(허)하여 內熱(내열)이 생기고, 陽(양)이 陰

(음)에 들어가면 陽氣(양기)가 크게 旺(왕)해서 역시 熱(열)이 생기게 됩니다.

- 血(혈)이 횡격막위로 올라가면 氣(기)는 횡격막 아래로 내려와서 心煩症(심번증)과

놀라면서 두려워하고 血(혈)이 황격막 아래로 내려오면 氣(기)가 횡격막위로 올라

가서 心神(심신)이 혼란스럽고 자주 잊어버리게 됩니다.」


黃帝(황제) - 「血(혈)이 陰(음)에 들어가고 氣(기)가 陽(양)에 들어가면 陰陽(음양)이 떨어져 있

게 될 때 어느 것이 實(실)이 되고, 어느것이 虛(허)가 되는 것인가?」

岐伯(기백) - 「氣血(기혈)은 따뜻한 것을 좋아하고 차가운 것을 실어합니다. 차가우면 흘러 나

오지 못하고 따뜻하면 陽氣(양기)가 旺盛(왕성)하여 血液(혈액)이 소실되어 없어

지니 氣(기)가 陽(양)에 들어간즉 血(혈)이 虛(허)하고, 血(혈)이 陰(음)에 들어가

陰(음)이 盛(성)하면 氣(기)가 虛(허)하여 집니다.」


黃帝(황제) - 「사람에게 있어서 血氣(혈기)가 和氣(화기)하면 血虛(혈허), 氣虛(기허)가 되어 實

(실)이 없다고 하는가?」

岐伯(기백) - 「있으면 實(실)이고, 없으면 虛(허)인 고로, 氣(기)가 있은 즉 血(혈)이 없으며, 혈이

있은즉 氣(기)가 없습니다. 血氣(혈기)가 조화를 상실하면 虛(허)라고 합니다.

- 絡(락)과 孫絡(손락)이 經(경)에 들어가 모두 出入(출입)하고 血氣(혈기)가 함께 있

으면 實(실)이 됩니다

血氣(혈기)가 함께 횡격막 위로 올라가면 大厥(대궐)이 되어 氣血(기혈)의 움직임

이 정지합니다. 이렇게 되면 暴死(폭사)합니다. 氣(기)가 반대로 회복되면 살 수

있으나 회복되지 않으면 죽습니다.」


黃帝(황제) -「實(실)이란 어디로부터 오는가? 즉 實(실)의 원인은 어디에 있으며 虛(허)한 것은

그 氣(기)가 어디로 빠져 나가는 것인가? 虛實(허실)의 요점을 듣기 원하노라」

岐伯(기백) - 「陰陽(음양)은 經絡(경락)의 流注(류주)에서 모이며, 陽(양)이 陰(음)으로 들어가

陰(음)은 外側(외측)에서 가득하여 陰陽(음양)이 平均(평균)되어 그의 형체는 充實

(충실)합니다. 그러면 三部九候(삼부구후)의 脈(맥)이 일치되니 이것을 병이 없다

는 뜻으로 平人(평인)이라고 부릅니다.

- 邪氣(사기, 病氣(병기))가 생기는 데는 陽(양)에서 생기기도 하고, 陰(음)에서 생기

기도 합니다.

陽(양)에서 생기는 것은 風, 雨, 寒, 暑(풍,우,한,서)의 六淫(육음)을 받기 때문이며,

陰(음)에서 생긴다는 것은 음식에 傷(상)하거나 居處(거처)를 잘못 정해서 생기게

되고, 또 陰(음)과 陽病(양병)은 內傷(내상)의 七情(칠정, 喜, 怒, 憂, 思,悲 驚, 恐(희,

노,우,사,비,경,공))에서 생기기도 합니다.」

黃帝(황제) - 「風雨(풍우)로 인해 傷(상)한 것은 어떠한가?」

岐伯(기백) - 「비, 바람으로 인해 사람이 상한 것은 먼저 客氣(객기, 病氣)가 피부에 닿고 다시

孫絡(손락)에 해당되는 毛細血管(모세혈관)에 전달되며, 孫絡(손락)에 病(병)이 채

워지면 絡脈(락맥)으로 전하여지고 絡脈(락맥)에서 病氣(병기)가 꽉 차게 되면 大

經絡(대경락)으로 들어 갑니다.

血氣(혈기)와 邪氣(사기)가 살 속에 함께 들어가 病氣(병기)가 되면 그 脈(맥)은 堅

大(견대)하여지는 고로 이를 가리켜 實(실)이라고 합니다

- 實(실)이란 外部(외부)가 튼튼하게 긴장되고 邪氣(사기)가 충만 된 것이며 손을 댈

수가 없습니다. 손을 대어 누르면 아프기 때문입니다.」

黃帝(황제) - 「寒濕(한습)에 傷(상)한 사람은 어떠한가?」

岐伯(기백) - 「寒濕(한습)에 사람이 상하면 피부가 오므라들지 못하고 살이 딴딴하면 혈액이 흐

르지 못하고 衛氣(위기)가 없어지는데 이것을 虛(허)하고 합니다. 虛(허)는 氣(기)

가 부족한 것이므로 손으로 누른즉 氣(기)가 힘을 받아 좋아지고 따뜻해지니 시원

하면서 아프지 않습니다.」


黃帝(황제) - 「陰(음)에서 實(실)이 생기면 어떠한가?」

岐伯(기백) - 「喜怒(희노)에 절제가 없으면 陰氣(음기)가 위로 上逆(상역) 합니다. 위로 逆(역)하

면 아래로 虛(허)하게 됩니다. 아래가 虛(허)하면 陽氣(양기)가 달아나 없어지고 陰

氣(음기)가 實(실)하여 집니다.」

黃帝(황제) - 「陰(음)에서 虛(허)가 생기는 것은 어떠한가?」

岐伯(기백) - 「즐거운즉 기가 아래로 내려가고, 슬픈즉 氣(기)가 소실됩니다. 氣(기)가 소실되면

脈(맥)은 虛(허)하게 비어 있습니다. 차가운 음식을 먹음으로 인하여 찬 기운이 가

득하면 血液(혈액)이 흐르지 않고 氣(기)가 없어지므로 虛(허)라고 합니다.」


黃帝(황제) - 「經(경)에 말하기를 陽(양)이 虛(허)하면 体表(체표)가 차갑고, 陰(음)이 虛(허)한즉

內(내)가 뜨겁습니다. 陽(양)이 盛(성)하면 外部(외부) 즉 体表(체표)가 뜨겁고, 陰

(음)이 盛(성)한즉 內部(내부)가 차갑다는 말을 내가 일찍이 들은바가 있으나 왜

그런지 그 이유를 알 수가 없노라」

岐伯(기백) - 「陽(양)은 上焦(상초)에서 氣(기)를 받아 피부와 살 속이 따뜻한 상태입니다. 寒氣

(한기)가 外部(외부, 体表)로 들어오면 上焦(상초)가 通(통)하지 않습니다. 上焦(상

초)가 불통하면 寒氣(한기)는 탁해서 外部(외부, 体表)에 머무는 고로 추워서 떨게

됩니다.」

黃帝(황제) -「陰虛(음허)하면서도 안에서 熱(열)이 나는 것은 왜 그런가?」

岐伯(기백) -「피로가 지나치면 형체가 바싹 머르고 기운이 쇠약하여 집니다. 飮食(음식)의 谷氣

(곡기)가 소화되지 않아 上焦(상초)에서 行(행)하지 않고 下脘(하완, 下焦)에서 通

(통)하지 않으며(즉 대소변불통) 胃氣(위기)는 뜨겁고 熱氣(열기)는 가슴에서 찌기

때문에 안에서 熱(열)이 생깁니다.」


黃帝(황제) -「陽(양)이 盛(성)해 가지고 外部(외부)에서 熱(열)이 생기는 것은 왜인가?」

岐伯(기백) -「上焦(상초)의 피부가 수축하고 腠理(주리)가 치밀하지 못하면서 땀구멍이 통하지

않으면 외부를 防衛(방위)하는 기운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므로 外熱(외열)이 생기

게 됩니다.」


黃帝(황제) -「陰(음)이 盛(성)한데 內熱(내열)이 생기는 것은 어째서 그런가?」

岐伯(기백) -「下焦(하초)의 찬기운이 上焦(상초)로 올라가면 찬기운이 胸中(흉중)에 머물러 쌓

여 있어 흩어지지 않으면 따뜻한 기운이 없어져 혈액이 응고되어 흩어지지 않습니

다. 혈액이 막혀 흐르지 못하면 血脈(혈맥)이 不通(불통)하고 그 脈(맥)이 盛大(성

대)하면서 맥이 잘 뛰지 않으므로 中焦(중초)가 차가지는 것입니다.」


黃帝(황제) -「陰陽(음양)이 合(합)하고 血氣(혈기)가 合(합)해서 病(병)을 이루는데 치료는 어떻

게 하는가?」

岐伯(기백) -「이럴 때의 치료는 큰 絡脈(락맥)을 취합니다. 營血(영혈)을 찾아 針刺(침자)하고

衛氣(위기)를 찾아 調和(조화)되도록 치료하자면 病(병)의 四時氣候(사시기후)에

따라 針(침)을 많게 혹은 적게 또 깊게 혹은 얕게 찌르는 방법에 따라 병을 다스려

야 합니다.

- 모든 神, 志, 血, 氣, 肉(신,지,혈,기,육)의 五種(오종)에 虛實(허실)이 모두 十種(십

종)이 있는데 이는 五臟(오장)의 五脈(오맥)에서 생깁니다. 또 12 經脈(경맥)에 모

두 병이 생깁니다. 그리고 神, 志, 血, 氣, 肉(신,지,혈,기,육)은 五臟(오장)이 단독으

로 맡는다고도 합니다. 12 經脈(경맥)은 모두 絡(락)이 365개 骨節(골절)이며, 骨

節(골절)마다 病(병)이 있어서 반드시 經脈(경맥)에 피해가 있습니다.」

黃帝(황제) -「經脈(경맥)의 病(병)은 모두 虛實(허실)이 있는데 어떻게 合(합)해 지는가?」

岐伯(기백) -「病(병)이 脈(맥)에 있으면 血流(혈유)를 조절시키고, 病(병)이 血液(혈액)에 있으면

絡脈(락맥)을 찔러 조화시키며, 病(병)이 氣(기)에 있으면 衛氣(위기)를 조화시키

고, 病(병)이 肉(육)에 있으면 肌肉(기육)의 부분을 찔러 조절시키며, 病(병)이 筋

(근)에 있으면 筋(근)을 조절시키고, 病(병)이 骨(골)에 있으면 骨(골)을 조절시킵니

다.

(五臟(오장)과 五體(오체)를 비교한다. 肉病(육병)은 脾(비), 脈病(맥병)은 心(심),

筋病(근병)은 肝(간), 骨病(골병)은 腎經(신경)을 치료한다)燔針(번침, 溫灸針의 방

법)으로 찔러서 치료하고, 病(병)이 骨(골)에 있으면 火針(화침)을 쓰고, 다시 약물

을 뜨겁게 하여 그 위를 뜨겁고 훈훈하게 덥혀줍니다.」

- 病(병)이 있으나 아픈 데를 알지 못하겠으면 奇經(기경)의 陽蹻脈(양교맥) - 申脈

(신맥)과 陰蹻脈(음교맥)의 照海(조해)를 취합니다.

- 身體(신체)는 아픈 곳이 분명한데 九候(구후)의 脈法(맥법)에서 无病(무병)으로 나

타나면 繆刺法(무자법)을 써서 치료 합니다.

- 病處(병처)가 左(좌)에 있는데 右側(우측)에서 病脈(병맥)이 나타나면 巨刺法(거

자법)을 사용합니다.

- 必謹察其九候(필근찰기구후)하고, 鍼道畢矣(침도필의)합니다. 즉 病(병)을 針(침)

으로 治療(치료)할 때에는 반드시 九候脈(구후맥)을 신중하게 자세히 관찰하고 針

(침)의 원칙적인 방법을 완전하게 시행하여야 합니다.

16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