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25 天地運氣 - 第五章

Aktualisiert: 7. Sep. 2019


天地運氣(천지운기)

東醫寶鑑(동의보감)

目次(목차)

第五章(제오장)

1. 六甲年(육갑년) 敦阜(돈부)의 紀(기) -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2. 六丙年(육병년) 漫衍(만연)의 紀(기) - 黃連茯苓湯(황연복령탕)

3. 六戊年(육무년) 赫曦(혁희)의 紀(기) - 麥門冬湯(맥문동탕)

4. 六庚年(육경년) 堅成(견성)의 紀(기) - 牛膝木瓜湯(우슬목과탕)

5. 六壬年(육임년) 發生(발생)의 紀(기) - 苓朮湯(령출탕)

6. 六乙年(육을년) 從革(종혁)의 紀(기) - 紫菀湯(자원탕)

7. 六丁年(육정년) 委和(위화)의 紀(기) - 蓗蓉牛膝湯(종용우슬탕)

8. 六己年(육기년) 卑監(비감)의 紀(기) -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9. 六辛年(육신년) 涸流(학류)의 紀(기) - 五味子湯(오미자탕)

10. 六癸年(육계년) 伏明(복명)의 紀(기) - 黃芪伏神湯(황기복신탕)


第五章(제오장)

1. 六甲年(육갑년) 敦阜(돈부)의 紀(기) 歲土(세토)가 太過(태과)하여 雨濕(우습)이 流行(류행)하

니 腎氣(신기)가 邪(사)를 받아 사람들이 腹痛(복통)하고 淸厥(청궐)하여 뜻이 즐겁지 못하며 肌肉(기육)과 발이 萎靡(위미)하고 脚下(각하)가 疼痛(동통)하며 속이 脹滿(창만)하여 飮食(음식)을 减(감)하고, 四肢(사지)를 들지 못하는데에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이 좋다.

附子山茱萸湯(부자산수유탕) (三因)

≒ 炮附子(포부자), 山茱萸(산수유) 各一錢半(각일전반), 半夏(반하), 肉荳蔲 (육두

구)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木瓜(목과), 烏梅(오매) 各一錢(각일전), 丁香

(정향), 藿香(곽향) 各七分半(각칠분반)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七

片(칠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2. 六丙年(육병년) 漫衍(만연)의 紀(기) 歲水(세수)가 太過(태과)하고 寒氣(한기)가 流行(류행)하

여 心火(심화)가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이 身熱(신열)하고, 心燥(심조)하고, 陰(음)이 厥逆(궐역)하며, 上下(상하)가 寒(한)에 맞아(中) 譫語(섬어)하고, 妄心(망심)하며, 疼痛(동통)하고 咳嗽(해수)하며, 寢汗(침한, 盜汗(도한))이 나니 黃連茯苓湯(황연복령탕)이 마땅하다.

黃連茯苓湯(황련복령탕) (三因)

≒ 黃連(황연), 赤茯苓(적복령)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麥門冬(맥문동), 通草(통

초), 車前子(차전자), 遠志(원지) 各七分半(각칠분반), 半夏(반하), 黃芩(황금), 甘草

(감초) 五分半(오분반)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七片(칠편), 大棗(대

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전복)한다.

3. 六戊年(육무년) 赫曦(혁희)의 紀(기) 歲火(세화)가 太過(태과)하고 火暑(화서)가 流行(류행)하

여 肺金(폐금)이 邪(사)를 받아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瘧疾(학질), 少氣(소기), 咳喘(해천), 血溢(혈일), 血泄(혈설), 身熱(신열), 骨痛(골통) 등증이 漫淫(만음)하니 麥門冬湯(맥문동탕)이 마땅하다.

麥門冬湯(맥문동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 麥門冬(맥문동), 白芷(백지), 半夏(반하), 竹葉(죽엽), 鍾乳粉(종유분), 桑白皮(상백피),

紫菀茸(자원용), 人蔘(인삼) 各一錢(각일전), 甘草(감초) 五分(오분)을 剉作一貼(좌작

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4. 六庚年(육경년) 堅成(견성)의 紀(기) 歲金(세금)이 太過(태과)하고 燥氣(조기)가 流行(류행)하

고, 肝木(간목)이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脇(협)과 小腹(소복)이 疼痛(동통)하고, 귀가 먹고, 눈이 붉으며, 胸脇(흉협)이 疼痛(동통)하여 小腹(소복)과 尻陰(고음, 꽁무니)을 당기어 股(고), 膝(슬), 髀(비, 넓적다리 대퇴골), 腨(천, 장딴지), 胻(행, 정강이), 足(족)이 다 疼痛(동통)하니 牛膝木瓜湯(우슬목과탕)이 마땅하다. 牛

膝木瓜湯(우슬목과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 牛膝(우슬), 木瓜(목과) 各一錢(각일전), 白芍葯(백작약), 杜仲(두중), 枸杞子(구기자),

黃松節(황송절), 菟絲子(토사자), 天麻(천마) 各七分半(각칠분반), 甘草(감초) 五分(오

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5. 六壬年(육임년) 發生(발생)의 紀(기) 歲木(세목)이 太過(태과)하고 風氣(풍기)가 流行(류행)하

고, 脾土(비토)가 邪(사)를 받아서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飱泄(손설, 저녁에 먹은 밥을 사하고), 食减(식감), 體重(체중), 煩寃(번원, 원통하고 괴로워 함), 腸鳴(장명), 脇痛(협통), 支滿(지만) 등증이 流行(류행)하니 苓朮湯(령출탕)이 마땅하다.

苓朮湯(령출탕) (三因)

≒ 白茯苓(백복령), 白朮(백출), 厚朴(후박), 靑皮(청피), 炮姜(포강), 草果(초과), 半夏(반하),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

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6. 六乙年(육을년) 從革(종혁)의 紀(기) 歲金(세금)이 不及(불급)하고 炎火(염화)가 盛行(성행)하

여 사암들의 疾病(질병)은 肩, 背(견,배)가 무겁고, 재채기를 하며, 咳喘(해천)하고, 血便(혈변)이 注下(주하)하니 紫菀 湯(자원탕)이 마땅하다.

紫菀湯(자원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 紫菀茸(자원용), 白芷(백지), 人蔘(인삼), 黃芪(황기), 地骨皮(지골피), 杏仁(행인), 桑白皮

(상백피),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7. 六丁年(육정년) 委和(위화)의 紀(기) 歲木(세목)이 不及(불급)하고 燥氣(조기)가 盛行(성행)하

여 사암들의 疾病(질병)은 독이 맑고 胠脇(거협, 겨드랑이로부터 옆구리)과 小腹(소복)이 疼痛(동통)하며 腸(장)이 울고, 溏泄(당설, 진흙 같은 설사)하니 蓗蓉牛膝湯(종용우슬탕)이 마땅하다.

蓗蓉牛膝湯(종용우슬탕) (三因)

≒ 肉蓗蓉(육종용), 木瓜(목과), 牛膝(우슬), 白芍葯(백작약), 熟地黃(숙지황), 當歸(당

귀),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烏梅(오매) 一枚(일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8. 六己年(육기년) 卑監(비감)의 紀(기) 歲土(세토)가 不及(불급)하고 風氣(풍기)가 流行(류행)하

여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飱泄(손설, 저녁에 먹은 것을 설사하다), 體重(체중), 癨亂(곽란), 腹痛(복통), 筋骨(근골)이 繇竝(요병, 함께 따라서)하고, 肌肉(기육)이 실룩거리고 아프며 성을 잘 내니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이 마땅하다.

白朮厚朴湯(백출후박탕) (三因)

≒ 白朮(백출), 厚朴(후박), 半夏(반하), 桂心(계심), 藿香(곽향), 靑皮(청피) 各一 錢(각

일전), 炮姜(포강), 炙甘草(자감초) 各五分(각오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

(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 넣고 水煎服(수전복) 한다.


9. 六辛年(육신년) 涸流(학류)의 紀(기) 歲水(세수)가 不及(불급)하고 濕(습)이 盛行(성행)하여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浮腫(부종), 脹滿(창만), 身重(신중), 濡泄(유설)하고, 발이 萎靡(위미)하며, 淸冷(청냉)이 逆上(역상)하고 脚下(각하)가 疼痛(동통)하니 五味子湯(오미자탕)이 마땅하다.

五味子湯(오미자탕) (三因)

≒ 五味子(오미자), 炮附子(포부자), 巴戟(파극), 鹿茸(녹용), 山茱萸(산수유), 熟地黃(숙

지황), 炒杜仲(초두중)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七片(칠

편), 鹽(염) 조금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10. 六癸年(육계년) 伏明(복명)의 紀(기) 歲火(세화)가 不及(불급)하고 寒(한)이 盛行(성행)하니

사람들의 疾病(질병)은 胸痛(흉통), 脇痛(협통), 가슴, 등, 어깨, 양팔 등이 內痛(내통)하고, 鬱痛(울통)하며, 心痛(심통)하고, 暴瘖(폭음, 갑자기 벙어리가 되고) 하는 등 증세가 流行(류행)하는데 黃芪伏神湯(황기복신탕)이 마땅하다.

黃芪伏神湯(황기복신탕) (三因)

≒ 黃芪(황기), 茯神(복신), 遠志(원지), 紫河車(자하차), 炒棗仁(초조인) 各一錢(각일

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

고 水煎服(수전복)한다.



1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