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2 진단요결 (診斷要訣)

Aktualisiert: 7. Sept. 2019




진단요결 (診斷要訣)

《內經․診要經終》이 원문으로 黃帝(황제)와 岐伯(기백)의 문답 형식을 그대로 옮겨 서 診斷要訣(진단요결)이라 하였다.

黃帝 - 診斷(진단)의 要訣(요결)은 무엇인가?

岐伯 - ① 陰曆(음력)으로 1 月과 2 月은 月建(월건)이 東(동)쪽에 해당하여 天(천)의 氣運(기운)

은 모든 만물이 꽁꽁 얼었던 것이 풀리고, 萬物(만물)이 生動 (생동)하는 때입니다. 人

体(인체)에서는 木旺(목왕)의 절기이므로 모든 氣 (기)가 肝(간)에 모여 있게 됩니다.

② 음력 3 月과 4 月은 月建(월건)이 辰巳(진사)에 해당되므로 三月辰土運(三 月辰土運

(삼월진토운)에서 四月火運(사월화운)으로 바뀌어 가는 때이므로 天氣(천기)는 정상

적인 활동을 하여 모든 만물이 활발하게 生長(생장)하게 됩니다. 이때에 天氣(천기)

는 인체의 土脾臟(토비장)에 있게 됩니다.

③ 음력 5 月과 6 月은 月健이 午火(오화)에 해당되므로 5 月의 午火에서 6月의 未土(미

토)로 옮겨가나 火가 정상적 運이 됩니다. 이때는 天氣가 최고로 旺盛하여 모든 만물

이 무성하게 성장된 상태이며, 地氣도 높이 올라가므로 人体의 氣運도 마땅히 머리에

있게 됩니다.

④ 음력으로 7 月과 8 月은 月健이 申金(신금)인데 7 月은 申金이고, 8 月은 酉金(유금)입

니다. 金氣는 西方을 주장하여 陽氣가 下降하기 시작하고 陰氣가 上昇하므로 모든 만

물을 죽이는 직권을 행사하여 가을에 모든 것을 거두어들이고 겨울맞이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때에 인체의 氣運은 肺(폐)에 있게 됩니다.

⑤ 음력으로 9 月과 10 月은 月健이 戌亥(술해)이므로 9 月은 戌土(술토)이고10 月은 亥

水(해수)이어서 陰氣(음기)가 발동하여 모든 만물을 얼음으로 얼려 凍結(동결)시키고

地氣(지기)는 꽁꽁 얼기 시작하므로 이때에 人体의 氣運은 心臟(심장)에 있게 됩니

다.

⑥ 음력으로 11 月과 12 月은 月健이 子丑(자축)이므로 11 月은 子水(자수)이고 12 月

(월)은 丑土(축토)가 되어 11 月에는 冬至(동지)가 있듯이 陰의 끝을 말하며 12 月에는

비로서 陽(양)이 처음으로 회복되고 있는 단계입니다. 모든 만물을 얼려 凍結(동결)시

키고 地氣(지기)를 완전히 막히게 얼렸으므로 天地(천지)는 눈과 얼음의 계절이며, 水

(수)는 北方(북방)을 말하고 人体(인체)의 氣運(기운)은 깊이 들어가 腎(신)에 머물게

됩니다. 그러므로

㉠ 봄에는 邪氣(사기, 病氣)가 体表(체표)에 있으므로 적당한 五輸穴(오수혈)을 선택

하되 病(병)과 관계있는 肌肉(기육)이나 腠理(주리)를 찌릅니다. 봅은 肝(간), 膽(담)

에 속하므로 肝經(간경)의 中封穴(중봉혈)이나 膽經(담경)의 陽輔穴(양보혈)을 선

택하여 얕게 찔러서 防血(방혈)시키면 病(병)이 낫습니다. 만약에 찌르는 깊이를

측정하지 못하여 깊이 찌르면 病(병)이 속으로 깊이 옮겨 갑니다. 깊게만 찌르지

않으면 그 病氣(병기)는 이미 經脈(경맥)에서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 여름의 病氣(병기)는 体表(체표)의 얕은 곳이 있으므로 五輸穴(오수혈)의 上部(상

부)에 있는 孫絡(손락)에서 防血(방혈)시키면 病(병)이 낫습니다. 예를 들면 心包經

(심포경)의 間使穴(간사혈)이나 小腸經(소장경)의 支正穴(지정혈)에서 얕게 찔러

防血(방혈)시키면 病(병)이 낫는데 만약 깊게 찔러서 그 氣를 흩트리면 아픈 病(병)

은 더욱 깊게 들어갑니다.

㉢ 가을에는 病氣(병기)가 皮膚(피부)와 紋理(문리)에 있으므로 五輸穴(오수혈)을 치

료하는데 예를 들어 肺經(폐경)의 太淵穴(태연혈)과 大腸經(대장경)의 合谷穴(합곡

혈)을 찌릅니다. 邪氣(사기)가 上部(상부)와 下部(하부)에 있어도 동일한 깊이로 찌

릅니다. 그래서 사기가 없어지고 정신적 기능이 호전되면 치료를 중단 합니다.

㉣ 겨울에는 춥기 때문에 陽氣(양기)가 속 깊이 잠복하여 있으므로 刺針(자침)도 마땅

히 뼈 옆에 있는 五輸穴(오수혈)을 골라 깊이 찔러야 합니다. 겨울의 病(병)은 차츰

肝經(간경)으로 전병되는 때이므로 散針(산침)으로 얕게 찔러야 합니다. 그러므로

㉮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서 邪氣(사기)의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針(침)은 얕

게 또는 깊게 찔러야 합니다.

ⓐ 봄철에 肝(간) 분야를 찔러야 하는데 잘못 찔러서 夏分野(하분야)인 孫絡穴

(손락혈)을 찌르면 그 사람은 밥을 먹지 못하며 氣(기)가 적어지게 됩니다.

ⓑ 봄철에 잘못 찔러 秋節(추절)의 刺法(자법)으로 찔러 金克木(금극목)하게 되

면 肝(간)이 傷(상)해서 魂氣(혼기)가 평안하지 않고, 놀라고 두려워하며 슬

피 우는 不良(불량)한 반응이 나옵니다.

ⓒ 봄철에 잘못 찔러 冬節(동절)의 刺法(자법)을 쓰면 陽氣(양기)가 臟(장)으로

들어갈 수가 없으며, 邪氣(사기)를 腎臟(신장)으로 들어가 腎氣(신기)가 行

(행)하지 못하고, 腫脹(종창)이 생기고 쉽게 낫지 않으며, 말을 많이 하려고

합니다.

㉯ 여름에 잘못하여

ⓐ 秋節刺法(추절자법)을 쓰면 心中(심중)이 虛弱(허약)하여 놀라고 두려움에

사로잡혀 말이 없게 됩니다.

ⓑ 冬節刺法(동절자법)을 쓰면 腎氣(신기)가 消失(소실)되고 不足(부족)하여 少

氣(소기)가 되며 때때로 怒(노)하기를 잘 합니다.

㉰ 가을철에 잘못하여

ⓐ 春節刺法(춘절자법)을 쓰면 사람의 마음이 방탕하고 욕심이 많아지고 건망

증이 심하여 한 일을 바로 잊어버립니다.

ⓑ 夏節刺法(하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눕기를 좋아하고 꿈이 많아 집니다.

ⓒ 冬節刺法(동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때때로 추워서 덜덜 덜게 됩니다.

㉱ 겨울철에 잘못하여

ⓐ 春節刺法(춘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肝氣(간기)를 損傷(손상) 받아 누어도

잠이 오질 않습니다.

ⓑ 夏節刺法(하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氣(기)가 위로 上冲(상충) 하고, 神經

痛(신경통)이나 麻痹症(마비증)이 생깁니다.

ⓒ 秋節刺法(추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자주 渴症(갈증)을 느낍니다.

4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