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전승 2 진단요결 (診斷要訣)

Aktualisiert: 7. Sept. 2019




진단요결 (診斷要訣)

《內經․診要經終》이 원문으로 黃帝(황제)와 岐伯(기백)의 문답 형식을 그대로 옮겨 서 診斷要訣(진단요결)이라 하였다.

黃帝 - 診斷(진단)의 要訣(요결)은 무엇인가?

岐伯 - ① 陰曆(음력)으로 1 月과 2 月은 月建(월건)이 東(동)쪽에 해당하여 天(천)의 氣運(기운)

은 모든 만물이 꽁꽁 얼었던 것이 풀리고, 萬物(만물)이 生動 (생동)하는 때입니다. 人

体(인체)에서는 木旺(목왕)의 절기이므로 모든 氣 (기)가 肝(간)에 모여 있게 됩니다.

② 음력 3 月과 4 月은 月建(월건)이 辰巳(진사)에 해당되므로 三月辰土運(三 月辰土運

(삼월진토운)에서 四月火運(사월화운)으로 바뀌어 가는 때이므로 天氣(천기)는 정상

적인 활동을 하여 모든 만물이 활발하게 生長(생장)하게 됩니다. 이때에 天氣(천기)

는 인체의 土脾臟(토비장)에 있게 됩니다.

③ 음력 5 月과 6 月은 月健이 午火(오화)에 해당되므로 5 月의 午火에서 6月의 未土(미

토)로 옮겨가나 火가 정상적 運이 됩니다. 이때는 天氣가 최고로 旺盛하여 모든 만물

이 무성하게 성장된 상태이며, 地氣도 높이 올라가므로 人体의 氣運도 마땅히 머리에

있게 됩니다.

④ 음력으로 7 月과 8 月은 月健이 申金(신금)인데 7 月은 申金이고, 8 月은 酉金(유금)입

니다. 金氣는 西方을 주장하여 陽氣가 下降하기 시작하고 陰氣가 上昇하므로 모든 만

물을 죽이는 직권을 행사하여 가을에 모든 것을 거두어들이고 겨울맞이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때에 인체의 氣運은 肺(폐)에 있게 됩니다.

⑤ 음력으로 9 月과 10 月은 月健이 戌亥(술해)이므로 9 月은 戌土(술토)이고10 月은 亥

水(해수)이어서 陰氣(음기)가 발동하여 모든 만물을 얼음으로 얼려 凍結(동결)시키고

地氣(지기)는 꽁꽁 얼기 시작하므로 이때에 人体의 氣運은 心臟(심장)에 있게 됩니

다.

⑥ 음력으로 11 月과 12 月은 月健이 子丑(자축)이므로 11 月은 子水(자수)이고 12 月

(월)은 丑土(축토)가 되어 11 月에는 冬至(동지)가 있듯이 陰의 끝을 말하며 12 月에는

비로서 陽(양)이 처음으로 회복되고 있는 단계입니다. 모든 만물을 얼려 凍結(동결)시

키고 地氣(지기)를 완전히 막히게 얼렸으므로 天地(천지)는 눈과 얼음의 계절이며, 水

(수)는 北方(북방)을 말하고 人体(인체)의 氣運(기운)은 깊이 들어가 腎(신)에 머물게

됩니다. 그러므로

㉠ 봄에는 邪氣(사기, 病氣)가 体表(체표)에 있으므로 적당한 五輸穴(오수혈)을 선택

하되 病(병)과 관계있는 肌肉(기육)이나 腠理(주리)를 찌릅니다. 봅은 肝(간), 膽(담)

에 속하므로 肝經(간경)의 中封穴(중봉혈)이나 膽經(담경)의 陽輔穴(양보혈)을 선

택하여 얕게 찔러서 防血(방혈)시키면 病(병)이 낫습니다. 만약에 찌르는 깊이를

측정하지 못하여 깊이 찌르면 病(병)이 속으로 깊이 옮겨 갑니다. 깊게만 찌르지

않으면 그 病氣(병기)는 이미 經脈(경맥)에서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 여름의 病氣(병기)는 体表(체표)의 얕은 곳이 있으므로 五輸穴(오수혈)의 上部(상

부)에 있는 孫絡(손락)에서 防血(방혈)시키면 病(병)이 낫습니다. 예를 들면 心包經

(심포경)의 間使穴(간사혈)이나 小腸經(소장경)의 支正穴(지정혈)에서 얕게 찔러

防血(방혈)시키면 病(병)이 낫는데 만약 깊게 찔러서 그 氣를 흩트리면 아픈 病(병)

은 더욱 깊게 들어갑니다.

㉢ 가을에는 病氣(병기)가 皮膚(피부)와 紋理(문리)에 있으므로 五輸穴(오수혈)을 치

료하는데 예를 들어 肺經(폐경)의 太淵穴(태연혈)과 大腸經(대장경)의 合谷穴(합곡

혈)을 찌릅니다. 邪氣(사기)가 上部(상부)와 下部(하부)에 있어도 동일한 깊이로 찌

릅니다. 그래서 사기가 없어지고 정신적 기능이 호전되면 치료를 중단 합니다.

㉣ 겨울에는 춥기 때문에 陽氣(양기)가 속 깊이 잠복하여 있으므로 刺針(자침)도 마땅

히 뼈 옆에 있는 五輸穴(오수혈)을 골라 깊이 찔러야 합니다. 겨울의 病(병)은 차츰

肝經(간경)으로 전병되는 때이므로 散針(산침)으로 얕게 찔러야 합니다. 그러므로

㉮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서 邪氣(사기)의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針(침)은 얕

게 또는 깊게 찔러야 합니다.

ⓐ 봄철에 肝(간) 분야를 찔러야 하는데 잘못 찔러서 夏分野(하분야)인 孫絡穴

(손락혈)을 찌르면 그 사람은 밥을 먹지 못하며 氣(기)가 적어지게 됩니다.

ⓑ 봄철에 잘못 찔러 秋節(추절)의 刺法(자법)으로 찔러 金克木(금극목)하게 되

면 肝(간)이 傷(상)해서 魂氣(혼기)가 평안하지 않고, 놀라고 두려워하며 슬

피 우는 不良(불량)한 반응이 나옵니다.

ⓒ 봄철에 잘못 찔러 冬節(동절)의 刺法(자법)을 쓰면 陽氣(양기)가 臟(장)으로

들어갈 수가 없으며, 邪氣(사기)를 腎臟(신장)으로 들어가 腎氣(신기)가 行

(행)하지 못하고, 腫脹(종창)이 생기고 쉽게 낫지 않으며, 말을 많이 하려고

합니다.

㉯ 여름에 잘못하여

ⓐ 秋節刺法(추절자법)을 쓰면 心中(심중)이 虛弱(허약)하여 놀라고 두려움에

사로잡혀 말이 없게 됩니다.

ⓑ 冬節刺法(동절자법)을 쓰면 腎氣(신기)가 消失(소실)되고 不足(부족)하여 少

氣(소기)가 되며 때때로 怒(노)하기를 잘 합니다.

㉰ 가을철에 잘못하여

ⓐ 春節刺法(춘절자법)을 쓰면 사람의 마음이 방탕하고 욕심이 많아지고 건망

증이 심하여 한 일을 바로 잊어버립니다.

ⓑ 夏節刺法(하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눕기를 좋아하고 꿈이 많아 집니다.

ⓒ 冬節刺法(동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때때로 추워서 덜덜 덜게 됩니다.

㉱ 겨울철에 잘못하여

ⓐ 春節刺法(춘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肝氣(간기)를 損傷(손상) 받아 누어도

잠이 오질 않습니다.

ⓑ 夏節刺法(하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氣(기)가 위로 上冲(상충) 하고, 神經

痛(신경통)이나 麻痹症(마비증)이 생깁니다.

ⓒ 秋節刺法(추절자법)을 쓰면 그 사람은 자주 渴症(갈증)을 느낍니다.

4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