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19 西江月法 - 7. 任脈(임맥)

Aktualisiert: 16. Juli 2021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說破(설파)한 것이다.

원서의 순서1. 冲脈(충맥) - 公孫穴(공손혈), 2. 陰維脈(음유맥) - 內關穴(내관혈),3. 督脈(독맥) - 后谿穴(후계혈), 4. 陽蹻脈(양교맥) - 申脈穴(신맥혈), 5. 帶脈(대맥) - 臨泣穴(임읍혈), 6. 陽維脈(양유맥) - 外關穴(외관혈),7. 任脈(임맥) - 列缺穴(열결혈), 8. 陰蹻脈(음교맥) - 照海穴(조해혈). 陰陽(음양) 對稱(대칭)을 기준으로 한 순서


7. 任脈(임맥) - 列缺穴(열결혈)

考穴(고혈)

列缺穴(열결혈)은 肺經(폐경)이며, 腕關節(완관절)의 太淵穴(태연혈) 상방 1,5촌에 있으

며, 양손 (魚際(어제))를 交叉(교차)하여 次指(차지)가 닫는 骨間(골간, 橈骨莖突)을 말한다.

針(침)은 八分(팔분)을 찌르는데 주로 心(심), 腹(복), 脇(협), 肋骨(늑골), 五臟病(오장병)을 다

스리고, 照海穴(조해혈)과 主客(주객) 相應(상응)한다.

治病(치병)

〔西江月〕

痔疾(치질), 瘧疾(학질), 가랫톳, 泄瀉(설사), 痢疾(이질), 咯血(각혈), 血尿(혈뇨), 咳嗽(해수),

齒痛(치통), 咽喉炎(인후염), 小便難(소변난)과 心, 胸, 腹疼(심,흉,복동) 및 목구멍이 막힌 것,

産后(산후)에 혀가 굳어서 말 못하는 것, 腰痛(요통), 血液循環障碍(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배

꼽주위냉증, 死胎不下(사태불하), 橫膈膜(횡격막)과 中焦(중초)가 차가운 것, 乳房(유방)에

腫氣(종기)는 列缺穴(열결혈)이 흩어준다.


다음에 모든 증상은 반드시 먼저 列缺穴(열결혈)을 위주로 다스리고 난 뒤에 각혈을 응용한

다.(徐氏)

① 콧물이 흐르면서 냄새나는 鼻淵(비연)

處方 : 加 曲差(곡차), 上星(상성), 百會(백회), 風門(풍문), 迎香(영향).

② 콧속에 대추씨만한 살이 자라나며 코가 막혀 통하지 않을 때

處方 : 加 印堂(인당), 迎香(영향), 上星(상성), 風門(풍문).

③ 바람을 쏘이면 얼굴이 빨간 것과 열이 나며 頭痛(두통)이 나는 증상

處方 : 加 通里(통리) 曲池(곡지), 絶骨(절골, 懸鍾), 合谷(합곡).

④ 감기로 인한 咳嗽(해수, 기침), 가슴이 그득하게 부은 症狀(증상)

處方 : 加 膻中(전중), 風門(풍문), 合谷(합곡), 風府(풍부).

⑤ 바람을 쏘여서 四肢(사지)가 답답하게 열이 나는 것과 頭痛(두통)이 있을 때

處方 : 加 經渠(경거), 曲池(곡지), 合谷(합곡), 委中(위중).

⑥ 뱃속의 창자가 아프고, 泄瀉(설사)가 그치지 않는(腹痛泄瀉) 症狀(증상)

處方 : 加 內庭(내정), 天樞(천추), 三陰交(삼음교).

⑦ 赤白色(적백색)의 痢疾(이질)과 뱃속이 차가우면서 아플 때

處方 : 加 水道(수도), 氣海(기해), 外陵(외능), 天樞(천추), 三陰交(삼음교) 三里(삼리).

⑧ 양쪽 乳房(유방)이 빨갛게 붓고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加 少澤(소택), 大陵(대능), 膻中(전중).

⑨ 젖꼭지가 붓고 아픈 것과 어린아이의 젖병

處方 : 加 中府(중부), 膻中(전중), 少澤(소택), 大戟(대극).

⑩ 뱃속이 차가우면서 아프고, 설사가 그치지 않는 증상

處方 : 加 天樞(천추), 中脘(중완),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⑪ 부인의 積痛(적통), 子宮出血(자궁출혈).

處方 : 加 肝兪(간수), 腎兪(신수), 膈兪(격수), 三陰交(삼음교).

⑫ 咳嗽(해수), 寒痰(한담)을 뱉는 것과 가슴과 횡격막이 막혀서 아픈 때

處方 : 加 肺兪(폐수), 膻中(전중), 三里(삼리).

⑬ 오랜기침이 낫지 않고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處方 : 加 風門(풍문), 太淵(태연), 膻中(전중).

⑭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으로 숨이 차거나 가래가 盛(성)해서 막힐 때

處方 : 加 豊隆(풍륭), 兪府(수부), 膻中(전중), 三里(삼리).

⑮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으로 가슴과 횡격막이 갑자기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加 彧中(욱중), 天突(천돌), 肺兪(폐수), 三里(삼리).

⑯ 喘息(천식)으로 가슴에 氣(기)가 그득하고 肺(폐)가 팽팽하여 누울 수 없을 때

處方 : 加 兪府(수부), 風門(풍문), 太淵(태연), 中府(중부), 三里(삼리), 膻中(전중).

⑰ 코가 막혀서 냄새를 알 수 없을 때

處方 : 加 迎香(영향), 上星(상성), 風門(풍문).

⑱ 맑은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噴嚔)가 그치지 않는 것

處方 : 加 神庭(신정), 肺兪(폐수), 太淵(태연), 三里(삼리).

⑲ 부인의 子宮出血(자궁출혈)과 젖이 나오질 않을 때

處方 : 加 少澤(소택), 大陵(대능), 膻中(전중), 關冲(관충).

⑳ 가슴이 꽉 막히고 아플 때

處方 : 加 大陵(대능), 內關(내관), 膻中(전중), 三里(삼리).

㉑ 젖꼭지에 상처가 난 것(妬乳, 투유라 한다.)

處方 : 加 少澤(소택), 肩井(견정), 膻中(전중),

㉒ 다섯 가지 종류의 혹(목에 난 혹이 5종이 있는데)

1. 돌같이 딱딱한 石癭(석영),

2. 솜처럼 부드러운 氣癭(기영),

3. 적색의 가는 혈관이 있는 것을 血癭(혈영),

4. 骨(골)이 없이 뜬뜬한 것을 筋癭(근영)이라 하고

5. 주머니에 쌓인 것 같은 증상을 肉癭(육영)이라 한다.)

處方 : 加 扶突(부돌), 天突(천돌), 天窗(천창), 缺盆(결분), 兪府(수부), 膺兪(응수)?, 膻中

(전중), 合谷(합곡), 十宣(십선), 出血(출혈).

㉓ 입안에 상처가 있고 더러운 냄새를 가까이 할 수 없을 때

處方 : 加 十宣(십선), 咽中(인중), 金津(금진), 玉液(옥액), 承漿(승장), 合谷(합곡).

㉔ 三焦(삼초)에 熱(열)이 많고, 혀위에 상처가 있을 때

處方 : 加 關冲(관충), 外關(외관), 人中(인중), 迎香(영향), 金津(금진), 玉液(옥액), 地倉(지

창).

㉕ 입안에서 냄새가 나 사람이 가까이 접근을 꺼리는 때

處方 : 加 少府(소부), 通里(통리), 人中(인중), 十宣(십선), 金津(금진), 玉液(옥액).

㉖ 여름에 더위를 먹어 스스로 熱(열)이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할 때

處方 : 加 陰谷(음곡), 百勞(백노), 中脘(중완), 委中(위중), 氣海(기해) 陰陵泉(음능천).

㉗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있고, 癨亂(곽란)으로 인해 토하고 설사할 때.

處方 : 加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삼성)?, 合谷(합

곡).

㉘ 小兒(소아)가 急驚氣(급경기)로 손발이 뒤틀릴 때

處方 : 加 印堂(인당), 百會(백회), 人中(인중), 中冲(중충), 太谿(태계), 合谷(합곡), 大敦(대

돈).

㉙ 小兒(소아)가 慢性驚氣(만성경기)로 눈을 똑바로 뜨고 동자를 움직이질 않고, 손발을

뒤틀고, 입으로는 거품을 토할 때는

處方 : 加 大敦(대돈), 脾兪(비수), 百會(백회),上星(상성), 人中(인중).

㉚ 消渴證(소갈증, 燥渴(조갈)즉 糖尿病(당뇨병)으로써 3가지 증상이 不同(부동)하니 消脾

(소비), 消中(소중), 消腎(소신)이다.) 《素問》에 “胃(위)가 虛(허)하면 음식을 아무리 먹어

도 배고픈 것을 채울 수가 없고, 腎渴(신갈)이면 미음(飮水)을 아무리 마셔도 갈증이 그치

지 않으며, 房勞(방노)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이것을 三消(삼소) 즉 上中下消(상중하소)

라고 한다. 土(토)가 건조하면 渴症(갈증)을 느끼게 되는 것인데 이것은 변화할 수 없는

때문이다.

處方 : 加 人中(인중), 公孫(공손), 脾兪(비수), 中脘(중완), 關冲(관충), 照海(조해), 太谿(태

계), 三里(삼리).

㉠ 照海(조해) : 渴症(갈증)이 심할 때

㉡ 太谿(태계) : 房勞(방노)할 마음이 없을 때

㉢ 三里(삼리) : 多食(다식)할 때 각각 응용한다.

㉛ 癨亂(곽란)으로 전신이 黑色(흑색)으로 되고, 腹痛(복통)과 手足(수족)을 뒤틀 때와 頭痛

(두통), 發熱(발열), 惡寒(오한), 不眠(불면)일 때

處方 : 加 百勞(백노), 天府(천부), 委中(위중), 十宣(십선).

㉜ 癨亂(곽란)으로 전신이 白色(백색)으로 되고, 腹痛(복통), 吐瀉(토사), 팔다리가 밑으로 부

터 어름처럼 차갑고(四肢厥冷), 손톱(指甲)은 黑色(흑색)이며, 不眠(불면)일 때

處方 : 加 百勞(백노), 大敦(대돈), 十宣(십선).

㉝ 癨亂(곽란)으로 黑色(흑색), 白色(백색)이 동시에 겹치고, 頭痛(두통), 汗出(한출), 渴症(갈

증), 泄瀉(설사), 惡寒(오한), 四肢冷(사지냉), 不眠(불면)일 때를 일명 絞腸痛(교장통)이라

하니 혹 腸鳴(장명) 즉 창자가 울고 뱃속에서 소리가 날 때

處方 : 加 委中(위중), 膻中(전중), 百會(백회), 丹田(단전), 大敦(대돈), 竅陰(규음), 十宣出

血(십선출혈).〔楊氏治症(양씨치증)〕

㉞ 貧血症(빈혈증) 處方 : 加 人中(인중).

㉟ 가슴과 횡격막이 더부룩하고 결릴 때 즉 胸膈痞悶(흉격비민)

處方 : 加 湧泉(용천), 少商(소상), 膻中(전중), 內關(내관).

㊱ 배꼽과 복부가 아플 때

處方 : 加 膻中(전중), 大敦(대돈), 中府(중부), 少澤(소택), 太淵(태연) 三陰交(삼음교).

㊲ 가슴속이 답답한 것 즉 胸悶(흉민)

處方 : 加 陰陵泉(음능천), 內關(내관).

㊳ 귀 울림(耳鳴)

處方 : 加 少冲(소충), 聽會(청회), 中冲(중충), 商陽(상양).

㊴ 콧물이 흘러 오염된 것

處方 : 加 上星(상성), 內關(내관), 曲池(곡지), 合谷(합곡).

㊵ 傷寒(상한)에 의한 發熱(발열)

處方 : 加 曲差(곡차), 內關(내관), 經渠(경거), 合谷(합곡).

2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