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전승 19 西江月法 - 7. 任脈(임맥)

Aktualisiert: 16. Juli 2021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說破(설파)한 것이다.

원서의 순서1. 冲脈(충맥) - 公孫穴(공손혈), 2. 陰維脈(음유맥) - 內關穴(내관혈),3. 督脈(독맥) - 后谿穴(후계혈), 4. 陽蹻脈(양교맥) - 申脈穴(신맥혈), 5. 帶脈(대맥) - 臨泣穴(임읍혈), 6. 陽維脈(양유맥) - 外關穴(외관혈),7. 任脈(임맥) - 列缺穴(열결혈), 8. 陰蹻脈(음교맥) - 照海穴(조해혈). 陰陽(음양) 對稱(대칭)을 기준으로 한 순서


7. 任脈(임맥) - 列缺穴(열결혈)

考穴(고혈)

列缺穴(열결혈)은 肺經(폐경)이며, 腕關節(완관절)의 太淵穴(태연혈) 상방 1,5촌에 있으

며, 양손 (魚際(어제))를 交叉(교차)하여 次指(차지)가 닫는 骨間(골간, 橈骨莖突)을 말한다.

針(침)은 八分(팔분)을 찌르는데 주로 心(심), 腹(복), 脇(협), 肋骨(늑골), 五臟病(오장병)을 다

스리고, 照海穴(조해혈)과 主客(주객) 相應(상응)한다.

治病(치병)

〔西江月〕

痔疾(치질), 瘧疾(학질), 가랫톳, 泄瀉(설사), 痢疾(이질), 咯血(각혈), 血尿(혈뇨), 咳嗽(해수),

齒痛(치통), 咽喉炎(인후염), 小便難(소변난)과 心, 胸, 腹疼(심,흉,복동) 및 목구멍이 막힌 것,

産后(산후)에 혀가 굳어서 말 못하는 것, 腰痛(요통), 血液循環障碍(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배

꼽주위냉증, 死胎不下(사태불하), 橫膈膜(횡격막)과 中焦(중초)가 차가운 것, 乳房(유방)에

腫氣(종기)는 列缺穴(열결혈)이 흩어준다.


다음에 모든 증상은 반드시 먼저 列缺穴(열결혈)을 위주로 다스리고 난 뒤에 각혈을 응용한

다.(徐氏)

① 콧물이 흐르면서 냄새나는 鼻淵(비연)

處方 : 加 曲差(곡차), 上星(상성), 百會(백회), 風門(풍문), 迎香(영향).

② 콧속에 대추씨만한 살이 자라나며 코가 막혀 통하지 않을 때

處方 : 加 印堂(인당), 迎香(영향), 上星(상성), 風門(풍문).

③ 바람을 쏘이면 얼굴이 빨간 것과 열이 나며 頭痛(두통)이 나는 증상

處方 : 加 通里(통리) 曲池(곡지), 絶骨(절골, 懸鍾), 合谷(합곡).

④ 감기로 인한 咳嗽(해수, 기침), 가슴이 그득하게 부은 症狀(증상)

處方 : 加 膻中(전중), 風門(풍문), 合谷(합곡), 風府(풍부).

⑤ 바람을 쏘여서 四肢(사지)가 답답하게 열이 나는 것과 頭痛(두통)이 있을 때

處方 : 加 經渠(경거), 曲池(곡지), 合谷(합곡), 委中(위중).

⑥ 뱃속의 창자가 아프고, 泄瀉(설사)가 그치지 않는(腹痛泄瀉) 症狀(증상)

處方 : 加 內庭(내정), 天樞(천추), 三陰交(삼음교).

⑦ 赤白色(적백색)의 痢疾(이질)과 뱃속이 차가우면서 아플 때

處方 : 加 水道(수도), 氣海(기해), 外陵(외능), 天樞(천추), 三陰交(삼음교) 三里(삼리).

⑧ 양쪽 乳房(유방)이 빨갛게 붓고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加 少澤(소택), 大陵(대능), 膻中(전중).

⑨ 젖꼭지가 붓고 아픈 것과 어린아이의 젖병

處方 : 加 中府(중부), 膻中(전중), 少澤(소택), 大戟(대극).

⑩ 뱃속이 차가우면서 아프고, 설사가 그치지 않는 증상

處方 : 加 天樞(천추), 中脘(중완), 關元(관원), 三陰交(삼음교).

⑪ 부인의 積痛(적통), 子宮出血(자궁출혈).

處方 : 加 肝兪(간수), 腎兪(신수), 膈兪(격수), 三陰交(삼음교).

⑫ 咳嗽(해수), 寒痰(한담)을 뱉는 것과 가슴과 횡격막이 막혀서 아픈 때

處方 : 加 肺兪(폐수), 膻中(전중), 三里(삼리).

⑬ 오랜기침이 낫지 않고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處方 : 加 風門(풍문), 太淵(태연), 膻中(전중).

⑭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으로 숨이 차거나 가래가 盛(성)해서 막힐 때

處方 : 加 豊隆(풍륭), 兪府(수부), 膻中(전중), 三里(삼리).

⑮ 氣管支喘息(기관지천식)으로 가슴과 횡격막이 갑자기 아픈 症狀(증상)

處方 : 加 彧中(욱중), 天突(천돌), 肺兪(폐수), 三里(삼리).

⑯ 喘息(천식)으로 가슴에 氣(기)가 그득하고 肺(폐)가 팽팽하여 누울 수 없을 때

處方 : 加 兪府(수부), 風門(풍문), 太淵(태연), 中府(중부), 三里(삼리), 膻中(전중).

⑰ 코가 막혀서 냄새를 알 수 없을 때

處方 : 加 迎香(영향), 上星(상성), 風門(풍문).

⑱ 맑은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噴嚔)가 그치지 않는 것

處方 : 加 神庭(신정), 肺兪(폐수), 太淵(태연), 三里(삼리).

⑲ 부인의 子宮出血(자궁출혈)과 젖이 나오질 않을 때

處方 : 加 少澤(소택), 大陵(대능), 膻中(전중), 關冲(관충).

⑳ 가슴이 꽉 막히고 아플 때

處方 : 加 大陵(대능), 內關(내관), 膻中(전중), 三里(삼리).

㉑ 젖꼭지에 상처가 난 것(妬乳, 투유라 한다.)

處方 : 加 少澤(소택), 肩井(견정), 膻中(전중),

㉒ 다섯 가지 종류의 혹(목에 난 혹이 5종이 있는데)

1. 돌같이 딱딱한 石癭(석영),

2. 솜처럼 부드러운 氣癭(기영),

3. 적색의 가는 혈관이 있는 것을 血癭(혈영),

4. 骨(골)이 없이 뜬뜬한 것을 筋癭(근영)이라 하고

5. 주머니에 쌓인 것 같은 증상을 肉癭(육영)이라 한다.)

處方 : 加 扶突(부돌), 天突(천돌), 天窗(천창), 缺盆(결분), 兪府(수부), 膺兪(응수)?, 膻中

(전중), 合谷(합곡), 十宣(십선), 出血(출혈).

㉓ 입안에 상처가 있고 더러운 냄새를 가까이 할 수 없을 때

處方 : 加 十宣(십선), 咽中(인중), 金津(금진), 玉液(옥액), 承漿(승장), 合谷(합곡).

㉔ 三焦(삼초)에 熱(열)이 많고, 혀위에 상처가 있을 때

處方 : 加 關冲(관충), 外關(외관), 人中(인중), 迎香(영향), 金津(금진), 玉液(옥액), 地倉(지

창).

㉕ 입안에서 냄새가 나 사람이 가까이 접근을 꺼리는 때

處方 : 加 少府(소부), 通里(통리), 人中(인중), 十宣(십선), 金津(금진), 玉液(옥액).

㉖ 여름에 더위를 먹어 스스로 熱(열)이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할 때

處方 : 加 陰谷(음곡), 百勞(백노), 中脘(중완), 委中(위중), 氣海(기해) 陰陵泉(음능천).

㉗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있고, 癨亂(곽란)으로 인해 토하고 설사할 때.

處方 : 加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삼성)?, 合谷(합

곡).

㉘ 小兒(소아)가 急驚氣(급경기)로 손발이 뒤틀릴 때

處方 : 加 印堂(인당), 百會(백회), 人中(인중), 中冲(중충), 太谿(태계), 合谷(합곡), 大敦(대

돈).

㉙ 小兒(소아)가 慢性驚氣(만성경기)로 눈을 똑바로 뜨고 동자를 움직이질 않고, 손발을

뒤틀고, 입으로는 거품을 토할 때는

處方 : 加 大敦(대돈), 脾兪(비수), 百會(백회),上星(상성), 人中(인중).

㉚ 消渴證(소갈증, 燥渴(조갈)즉 糖尿病(당뇨병)으로써 3가지 증상이 不同(부동)하니 消脾

(소비), 消中(소중), 消腎(소신)이다.) 《素問》에 “胃(위)가 虛(허)하면 음식을 아무리 먹어

도 배고픈 것을 채울 수가 없고, 腎渴(신갈)이면 미음(飮水)을 아무리 마셔도 갈증이 그치

지 않으며, 房勞(방노)할 생각이 없다고 한다. 이것을 三消(삼소) 즉 上中下消(상중하소)

라고 한다. 土(토)가 건조하면 渴症(갈증)을 느끼게 되는 것인데 이것은 변화할 수 없는

때문이다.

處方 : 加 人中(인중), 公孫(공손), 脾兪(비수), 中脘(중완), 關冲(관충), 照海(조해), 太谿(태

계), 三里(삼리).

㉠ 照海(조해) : 渴症(갈증)이 심할 때

㉡ 太谿(태계) : 房勞(방노)할 마음이 없을 때

㉢ 三里(삼리) : 多食(다식)할 때 각각 응용한다.

㉛ 癨亂(곽란)으로 전신이 黑色(흑색)으로 되고, 腹痛(복통)과 手足(수족)을 뒤틀 때와 頭痛

(두통), 發熱(발열), 惡寒(오한), 不眠(불면)일 때

處方 : 加 百勞(백노), 天府(천부), 委中(위중), 十宣(십선).

㉜ 癨亂(곽란)으로 전신이 白色(백색)으로 되고, 腹痛(복통), 吐瀉(토사), 팔다리가 밑으로 부

터 어름처럼 차갑고(四肢厥冷), 손톱(指甲)은 黑色(흑색)이며, 不眠(불면)일 때

處方 : 加 百勞(백노), 大敦(대돈), 十宣(십선).

㉝ 癨亂(곽란)으로 黑色(흑색), 白色(백색)이 동시에 겹치고, 頭痛(두통), 汗出(한출), 渴症(갈

증), 泄瀉(설사), 惡寒(오한), 四肢冷(사지냉), 不眠(불면)일 때를 일명 絞腸痛(교장통)이라

하니 혹 腸鳴(장명) 즉 창자가 울고 뱃속에서 소리가 날 때

處方 : 加 委中(위중), 膻中(전중), 百會(백회), 丹田(단전), 大敦(대돈), 竅陰(규음), 十宣出

血(십선출혈).〔楊氏治症(양씨치증)〕

㉞ 貧血症(빈혈증) 處方 : 加 人中(인중).

㉟ 가슴과 횡격막이 더부룩하고 결릴 때 즉 胸膈痞悶(흉격비민)

處方 : 加 湧泉(용천), 少商(소상), 膻中(전중), 內關(내관).

㊱ 배꼽과 복부가 아플 때

處方 : 加 膻中(전중), 大敦(대돈), 中府(중부), 少澤(소택), 太淵(태연) 三陰交(삼음교).

㊲ 가슴속이 답답한 것 즉 胸悶(흉민)

處方 : 加 陰陵泉(음능천), 內關(내관).

㊳ 귀 울림(耳鳴)

處方 : 加 少冲(소충), 聽會(청회), 中冲(중충), 商陽(상양).

㊴ 콧물이 흘러 오염된 것

處方 : 加 上星(상성), 內關(내관), 曲池(곡지), 合谷(합곡).

㊵ 傷寒(상한)에 의한 發熱(발열)

處方 : 加 曲差(곡차), 內關(내관), 經渠(경거), 合谷(합곡).

27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