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16 西江月法 - 4. 陽蹻脈(양교맥)

Aktualisiert: 16. Juli 2021


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說破(설파)한 것이다.

원서의 순서1. 冲脈(충맥) - 公孫穴(공손혈), 2. 陰維脈(음유맥) - 內關穴(내관혈),3. 督脈(독맥) - 后谿穴(후계혈), 4. 陽蹻脈(양교맥) - 申脈穴(신맥혈), 5. 帶脈(대맥) - 臨泣穴(임읍혈), 6. 陽維脈(양유맥) - 外關穴(외관혈),7. 任脈(임맥) - 列缺穴(열결혈), 8. 陰蹻脈(음교맥) - 照海穴(조해혈). 陰陽(음양) 對稱(대칭)을 기준으로 한 순서


4. 陽蹻脈(양교맥) - 申脈穴(신맥혈)

考穴(고혈)

申脈穴(신맥혈)은 膀胱經(방광경)으로서 足外踝下(족외과하)의 움푹 들어간 곳 赤白肉際(적

백육제)이다. 똑바로 서서 穴(혈)을 取(취)하고, 針(침)을 1촌까지 찌를 수 있다.

주로 四肢(사지)의 風邪(풍사)와 腫氣病(종기병)을 치료하며, 后谿穴(후계혈)과 主客相應(주

객상응)한다.

治病(치병)

〔西江月〕

허리와 등을 굽히려면 등줄기가 뻣뻣하고, 下肢浮腫(하지부종), 惡風(오풍), 自汗(자한)과 頭

痛頭暈(두통두운), 目赤(목적), 눈썹뼈가 아픈 것, 팔뚝이 차가운 것, 하품(太息), 유방의 병,

귀머거리(耳聾), 코피(鼻血, 衄血), 癎疾(간질), 뼈마디가 답답하 것과 全身浮腫(전신부종), 머

리에서 땀이 비 오듯이 흐르는 것은 먼저 申脈穴(신맥혈)을 찌르면 효과가 나타난다.


다음의 모든 증상은 반드시 먼저 申脈穴(신맥혈)을 치료한 다음 다른 各穴(각혈)을 치료한다.

(徐氏)

① 허리와 등줄기가 뻣뻣하게 땅기고, 고개를 앞뒤로 돌리고 굽힐 수 없을 때

處方 : 加 腰兪(요수), 膏肓(고황), 委中(위중, 紫脈(자맥)에서 출혈시킨다.)

② 모든 關節(관절)이 은은하게 아프고(隱痛), 땅길 때와 허리와 다리가 아프면

處方 : 加 肩髃(견우), 曲池(곡지), 崑崙(곤륜), 陽陵泉(양능천).

③ 中風(중풍)으로 人事不省(인사불성)

處方 : 加 中冲(중충), 百會(백회), 大敦(대돈), 印堂(인당), 合谷(합곡).

④ 中風(중풍)으로 말을 못할 때(中風不語)

處方 : 加 少商(소상), 前頂(전정), 人中(인중), 膻中(전중), 合谷(합곡), 啞門(아문).

⑤ 中風(중풍)으로 半身不遂(반신불수)

處方 : 加 足三里(족삼리), 腕骨(완골), 合谷(합곡), 絶骨(절골), 行間(행간), 風市(풍시), 三陰

交(삼음교).

⑥ 中風(중풍)으로 한쪽이 마르면서(消瘦), 계속 아플 때(疼痛不止)

處方 : 加 絶骨(절골), 太淵(태연), 曲池(곡지), 肩髃(견우), 三里(삼리), 崑崙(곤륜).

⑦ 中風(중풍)으로 四肢麻痹(사지마비), 无感覺(무감각)일 때

處方 : 加 肘髎(주료), 上廉(상렴), 魚際(어제), 風市(풍시), 膝關(슬관) 三陰交(삼음교).

⑧ 中風(중풍)으로 손발이 가렵고, 주먹을 쥘 수 없능 때

處方 : 加 臑會(노회), 腕骨(완골), 合谷(합곡), 行間(행간), 風市(풍시) 陽陵泉(양능천).

⑨ 中風(중풍)으로 눈과 입이 삐뚤어지고 낫지 않을 때

處方 : 加 人中(인중), 合谷(합곡), 太淵(태연), 十宣(십선), 瞳子髎(동자료), 頰車(협거,1분을

찌른 후 地倉穴(지창혈)까지 透刺(투자)한다. 우측으로 삐뚤어졌으면 좌측을 瀉

(사)하고, 좌측으로 삐뚤어졌으면 우측에 27장 뜸을 뜬다.)

⑩ 中風(중풍)으로 전신이 뒤틀리고 눈이 보이지 않을 때

處方 : 加 百會(백회), 百勞(백노), 合谷(합곡), 曲池(곡지), 行間(행간), 十宣(십선), 陽陵泉

(양능천).

⑪ 中風(중풍)으로 입을 악물고 열지 못하며 언어가 자유롭지 못할 때

處方 : 加 地倉透頰車(지창투협거), 人中(인중), 合谷(합곡).

⑫ 허리, 척추와 목 및 등줄기가 아플 때

處方 : 加 腎兪(신수), 人中(인중), 肩井(견정), 委中(위중).

⑬ 腰痛(요통)으로 일어서기가 어려울 때

處方 : 加 然谷(연곡), 膏肓(고황), 委中(위중), 腎兪(신수).

⑭ 발등에 邪毒(사독)이 있는 것을 發背(발배)라 한다.

處方 : 加 內庭(내정), 俠谿(협계), 行間(행간), 委中(위중).

⑮ 손등에 邪毒(사독)이 생긴 것을 附筋發背(부근발배)라고 한다.

處方 : 加 腋門(액문), 中渚(중저), 合谷(합곡), 外關(외관).

⑯ 팔뚝에 생긴 邪毒(사독)을 附骨疽(부골저)라고 한다.

處方 : 加 天府(천부), 曲池(곡지), 委中(위중). 〔楊氏治症〕

⑰ 등창(잔등의 종기)

處方 : 加 委中(위중), 俠谿(협계), 十宣(십선), 曲池(곡지), 液門(액문), 內關(내관), 外關(외

관).

⑱ 전신이 아플 때

處方 : 加 太淵(태연), 三里(삼리), 曲池(곡지).

⑲ 턱수염 또는 코밑 수염에 난 腫氣(종기)나 부스럼

處方 : 加 太陽(태양), 申脈(신맥), 太谿(태계), 合谷(합곡), 外關(외관).

⑳ 목과 머릿속까지 아픈 부스럼, 종기

處方 : 加 百勞(백노), 合谷(합곡), 申脈(신맥), 强間(강간), 委中(위중).

㉑ 머리가 아파서 숙일 수 없을 때

處方 : 加 申脈(신맥), 金門(금문), 承漿(승장).

㉒ 목을 움직이기 곤란할 때

處方 : 加 后谿(후계), 合谷(합곡), 承漿(승장).

2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