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월법(西江月法)
西江月(서강월)은 明(명)나라 때 徐氏(서씨), 楊氏(양씨)의 방법을 총 망라한 하나의 對症奇經治療法(대증기경치료법)을 말하는 것으로 針灸大成(침구대성)에 소개된 것이다.즉 奇經八脈(기경팔맥)을 위주로 治法(치법)을 說破(설파)한 것이다.
원서의 순서 1. 冲脈(충맥) - 公孫穴(공손혈), 2. 陰維脈(음유맥) - 內關穴(내관혈), 3. 督脈(독맥) - 后谿穴(후계혈), 4. 陽蹻脈(양교맥) - 申脈穴(신맥혈), 5. 帶脈(대맥) - 臨泣穴(임읍혈), 6. 陽維脈(양유맥) - 外關穴(외관혈), 7. 任脈(임맥) - 列缺穴(열결혈), 8. 陰蹻脈(음교맥) - 照海穴(조해혈). 陰陽(음양) 對稱(대칭)을 기준으로 한 순서
2. 陰維脈(음유맥) 內關穴(내관혈)
考穴(고혈)
주먹을 쥐고 取(취)하고, 침을 1.2촌 찔러서 주로 心(심), 膽(담), 脾(비), 胃病(위병)을 치료
하고, 公孫穴(공손혈)과 主客相應(주객상응)한다.
治病(치병)
〔西江月〕
中焦(중초)가 그득하고, 心胸(심흉)이 답답하며 부은 脹悶(창민)함과 腸鳴泄瀉(장명설사)
와 脫肛(탈항)을 치료한다. 또 음식이 횡격막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는 것, 술 먹고 생긴 胃
(위), 肝病(간병)과 積塊(적괴)가 옆구리가 뜬뜬한 것, 부인의 脇痛(협통)과, 心痛(심통)이 나는
것, 가슴이 결리고, 속이 땅겨서 참기 어려운 때와 傷寒(상한)이 해제되지 않은것과 瘧疾(학
질)은 內關穴(내관혈)이 홀로 담당한다.
다음의 모든 증상은 반드시 먼저 內關穴(내관혈)을 위주로 치료한 다음 各穴(각혈)을 이용한
다. - (徐氏)
① 배가 그득하고 불쾌하며 胃腸(위장)에 傷寒(상한)이 닜을 때
處方 : 加 中脘(중완), 大陵(대능), 三里(삼리), 膻中(전중).
② 배가 그득하고 답답하며 양 옆구리가 찌르는 것 처럼 아플 때
處方 : 加 支溝(지구), 章門(장문), 臍中(제중).
③ 脾胃(비위)가 虛冷(허냉)하고 嘔吐(구토)가 그치지 않을 때
處方 : 加 內庭(내정), 中脘(중완), 氣海(기해), 公孫(공손).
④ 脾胃氣虛(비위기허)하고, 心腹脹滿(심복창만)한 것
處方 : 加 太谿(태계), 三里(삼리), 氣海(기해), 水分(수분).
⑤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心臟(심장)과 胃腸(위장)이 찌르는 것처럼 아플 때(刺痛)
處方 : 加 氣海(기해), 行間(행간), 陽陵泉(양능천).
⑥ 답답하고 더부룩한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며 아플 때(胸悶不舒, 胸痛)
處方 : 加 大陵(대능), 中脘(중완), 三陰交(삼음교).
⑦ 음식을 먹고 체해서 뭉친 것이 흩어지지 않고, 사람이 점점 말라갈 때
處方 : 加 腕骨(완골), 脾兪(비유), 公孫(공손).
⑧ 음식 먹고 체해서 생긴 積(적)과 血液(혈액)이 不順(불순)하여 뭉쳐진 痂(가)와 腹中隱
痛(복중은통) 處方 : 加 胃兪(위수), 行間(행간), 氣海(기해).
⑨ 五積(오적)이 뭉친 것과 血積(혈적)의 딱딱한 것
處方 : 加 膈兪(격수), 肝兪(간수), 大敦(대돈), 照海(조해).
⑩ 臟腑虛冷(장부허냉), 양옆구리의 늑골 아래가 아를 때
處方 : 加 支溝(지구), 通里(통리), 章門(장문), 陽陵泉(양능천).
⑪ 風濕氣滯(풍습기체)하고, 心腹刺痛(심복자통)은
處方 : 加 風門(풍문), 膻中(전중), 勞宮(노궁), 三里(삼리).
⑫ 大腸虛冷(대장허냉), 脫肛(탈항)한 것이 들어가지 않을 때
處方 : 加 百會(백회), 命門(명문), 長强(장강), 承山(승산).
⑬ 대변을 보기 어렵고(大便艱難), 힘을 주면 脫肛(탈항)되는 것
處方 : 加 照海(조해), 百會(백회), 支溝(지구).
⑭ 五臟腫毒(오장종독), 大便出血(대변출혈)이 그치지 않을 때
處方 : 加 承山(승산), 肝兪(간수), 長强(장강).
⑮ 五種(오종)의 痔疾(치질)로 몹시 아프고 낫지 않을 때
處方 : 加 合陽(합양), 增强(증강), 承山(승산).
⑯ 五種(오종)의 癎疾(간질)과 입으로 거품을 吐(토)하는 것
處方 : 加 后谿(후계), 神門(신문), 心兪(심수), 鬼眼(귀안).
⑰ 心性(심성)이 바보 천치(呆滯) 같으며, 슬퍼서 계속 눈물을 흘릴 때
處方 : 加 通里(통리), 后谿(후계), 神門(신문), 大鍾(대종).
⑱ 心驚(심경)으로 미치고, 人事不省(인사불성)일 때
處方 : 加 少冲(소충), 心兪(심수), 中脘(중완), 十宣(십선).
⑲ 健忘症(건망증), 말의 두서가 없을 때(言无論次)
處方 : 加 心兪(심수), 通里(통리), 少冲(소충).
⑳ 놀래서 가슴이 두근거리고(心虛驚悸), 말이 혼란스러울 때
處方 : 加 少海(소해),少府(소부), 心兪(심수), 后谿(후계).
㉑ 心虛(심허)로 놀라 두근 거리고(心虛驚悸), 정신과 생각이 안정되지 못할 때
處方 : 加 乳根(유근), 通里(통리), 膽兪(담수), 心兪(심수).
㉒ 心臟(심장)이 놀라서 생긴 中風(중풍)으로 人事不省(인사불성)인 것
處方 : 加 中冲(중충), 百會(백회), 大敦(대돈).
㉓ 心虛(심허)하여 가슴이 두근거리며 깜짝깜짝 놀랄 때
處方 : 加 陰郄(음극), 心兪(심수), 通里(통리).
㉔ 心虛(심허)하고, 膽寒(담한)하며, 四體(사체, 肢体)가 떨릴 때
處方 : 加 膽兪(담수), 通里(통리), 臨泣(임읍).
註解 五種(오종) 痔疾(치질) : 항문내외에 생기는 질환으로 內痔(내치), 外痔(외치), 內外庤(내외
치), 瘜肉庤(식육치), 翻花庤(번화치)로 나눈다. 그 외에 梅毒菌(매
독균)에 의한 沿肛庤(연항치)와 肛門癌(항문암)인 鎖肛庤(쇄항치)
가 모두 항문질환인 것이다.
五種(오종) 癎疾(간질) : 癎證(간증)이라고도 하는 小兒驚風(소아경풍)을 말하며 陰癎(음
간), 陽癎(양간), 風癎(풍간), 驚癎(경간), 肺癎(폐간)을 말하는데 또
食癎(식간)도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