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승 11 雜病穴法歌(잡병혈법가)

Aktualisiert: 16. Juli 2021



雜病穴法歌(잡병혈법가)

雜病穴法歌(잡병혈법가)는 明(명)나라 때 李梃(이정)이 지은 책 醫學入門(의학입문)에서 選集(선집)한 것이다.

1) 雜病(잡병)은 증상에 따라 雜穴(잡혈)에서 선별하여 치료한다. 하지만 要穴(요혈)인 原穴

(원혈), 合穴(합혈), 奇經八穴(기경팔혈) 들을 겸용해야 한다. 經脈(경맥), 絡脈(락맥), 交會

(교회), 別絡(별락), 五臟(오장), 六腑(육부), 兪穴(수혈), 募穴(모혈) 등을 마땅히 상세하게 분

별하여야 하고, 또 四關穴(사관혈) 三部(삼부)의 脈處(맥처)도 알아야 한다.

⑴ 傷寒(상한) 1일에는 風府穴(풍부혈)을 찌르고, 陰陽經(음양경)을 나누어 症(증)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

⑵ 傷寒(상한) 2일에는 陽明證(양명증)이기 때문에 滎穴(형혈)

⑶ 傷寒(상한) 3일에는 少陽證(소양증)이기 때문에 兪穴(수혈)

⑷ 傷寒(상한) 4일에는 太陰證(태음증)이기 때문에 井穴(정혈)

⑸ 傷寒(상한) 5일에는 少陰證(소음증)이기 때문에 兪穴(수혈)

⑹ 傷寒(상한) 6일에는 厥陰證(궐음증)이기 때문에 經穴(경혈)을 치료한다.

육일이 경과되어도 땀이 나지 않으면 期門穴(기문혈)을 찔러주고, 陰症(음증)이 되었을 때

는 關元穴(관

원혈)에 뜸을 뜨는 것이 가장 묘하다고 한다.

2) 針(침)에 있어서 땀내는 것, 토하게 하는 것, 설사를 시키는 것 즉 汗吐下(한토하)의 攻下法

(공하법)은 별로 신통하지 못하다. 그러나 發汗(발한)에는 合谷穴(합곡혈), 湧吐(용토)에는

內關穴(내관혈), 瀉便(사변)에는 三陰交穴(삼음교혈)을 찌른다.

3) 일체의 風, 寒, 暑, 濕(풍,한,서,습)의 邪氣(사기)와 頭痛(두통), 發熱(발열)에는 外關穴(외관

혈)을 취하고

4) 頭面病(두면병)과 耳目口鼻病(이목구비병)은 曲池穴(곡지혈)과 合谷穴(합곡혈)이 위주가

된다.

5) 偏頭痛(편두통)과 正頭痛(정두통)에는 左病右取(좌병우취), 右病左取(우병좌취)를 하되 列

缺穴(열결혈)과 太淵穴(태연혈)을 補(보)하라.

6) 頭痛(두통)과 눈이 어지러운(目眩) 것과 뒷목이 뻣뻣한 項强症(항강증)에는 申脈穴(신맥

혈), 金門穴(금문혈), 手三里穴(수삼리혈)로 치료한다.

7) 눈이 빨간(目赤) 데에는 內迎香穴(내영향혈)에서 防血(방혈)이 신기하고, 臨泣穴(임읍혈),

太冲穴(태충혈), 陷谷穴(함곡혈)을 찔러주면 좋다.

8) 귀가 들리지 않는 귀머거리(耳聾)는 臨泣穴(임읍혈), 金門穴(금문혈), 合谷穴(합곡혈)에 침

자한 후에는 말소리가 들린다.

9) 코막힘(鼻塞), 蓄膿症(축농증), 肥厚性鼻炎(비후성비염)에는 合谷穴(합곡혈)과 太冲穴(태충

혈)을 찔러주면 가히 그 병을 없앨 수 있으며

10) 입을 악물고(口噤), 입이 삐뚤어지고(口喎), 콧물이 많이 흐르는 데는 地倉穴(지창혈)과 頰

車穴(협거혈)을 치료하면 가히 그 효과가 나타난다.

11) 口瘡(구창)에는 혀 아래에 있는 金津穴(금진혈)과 玉液穴(옥액혈)에서 三陵針(삼능침)으로

防血(방혈)시키면 불시에 낫게 된다.

12) 혓바닥이 갈라지고 출혈이 있으면 內關穴(내관혈)을 치료하고, 다시 太冲穴(태충혈)과 三

陰交穴(삼음교혈)을 찌르면 三經(삼경)의 기가 상부로 올라가 낫게 된다.

13) 舌上(설상)에 胞(포, 종기)가 생기면 陷谷穴(함곡혈)을 치료함이 마땅하고

14) 舌風舞(설풍무) 혀를 날름거리는 것에는 手三里穴(수삼리혈)을 치료한다.

15) 風齒(풍치)와 面腫(면종)에는 頰車穴(협거혈)이 신기하고, 合谷穴(합곡혈)과 臨泣穴(임읍

혈)을 瀉(사)한다.

16) 陰陵泉(음능천), 陽陵泉(양능천), 申脈(신맥), 照海(조해), 三陰交(삼음교), 陰交穴(음교혈)은

頭, 項, 手病(두,항,수병)을 서로 연결하여 치료하고

17) 手(수)의 모든 風症(풍증)에는 肩井(견정), 天井(천정), 少商(소상), 商陽(상양), 二間(이간),

三間穴(삼간혈)이 치료한다.

18) 手指(수지)에서 어깨까지 땅기고 아플 때에는 合谷穴(합곡혈)과 太冲穴(태충혈)이 능히 구

해주고

19) 어깨와 등줄기의 질병은 手三里穴(수삼리혈)이 치료하여 주며

20) 脊椎(척추) 사이의 질병은 中渚穴(중저혈)이 要穴(요혈)이다.

21) 차가운 가래(寒痰)가 나올 때에는 合谷穴(합곡혈)을 補(보)해주고, 三陰交穴(삼음교혈)을

瀉(사)해 주면 가래가 그친다.

22) 癨亂(곽란)에는 中脘穴(중완혈)을 깊이 찌를 수 있고, 足三里(족삼리)와 內庭穴(내정혈)을

瀉(사)할 수가 있다.

23) 心痛(심통)과 翻胃(번위, 위가 뒤집히는 듯한 악성구토증)에는 勞宮穴(노궁혈)을 찌르고,

찬 기운이 돌면 少澤穴(소택혈)을 치료한다.

24) 心痛(심통)과 手顫症(수전증, 손을 흔드는 증상)에는 少海穴(소해혈)을 치료하고, 만약 완

전히 치료되지 않으면, 陰市穴(음시혈)을 치료한다.

25) 양쪽 유방을 속에서 찌르는 뜻한 刺痛(자통) 증상에는 太淵穴(태연혈)과 列缺穴(열결혈)을

치료하고

26) 옆구리까지 아프면 陽陵泉穴(양능천혈)을 追加(추가)하고

27) 腹痛(복통)이 있으면 公孫穴(공손혈)과 內關穴(내관혈)을 치료한다.

28) 瘧疾(학질)에 관해서는 《素問》에서 각 경락을 나눠서 치료한다고 했는데 危(위)씨라는 의

사는 손끝과 혀끝에 紅色(홍색)이 나타나는 곳에서 방혈하라고 했다.

29) 이질에는 合谷(합곡)과 三里(삼리)가 좋으나 극심해서 낫지 않으면 中膂兪穴(중려수혈)을

찔러주고

30) 心胸(심흉)이 더부룩하고 그득하면(滿悶) 承山穴(승산혈)을 찔러주면 음식이 아름답게 보

이고

31) 泄瀉(설사)와 뱃속의 모든 질환에는 三里穴(삼리혈)와 內庭穴(내정혈)의 공효를 비교할 수

가 없다.

32) 水腫(수종)에는 水分(수분혈), 復溜穴(복류혈)이 좋으며33) 腹滿症(복만증)에는 中脘穴(중

완혈), 足三里穴(족삼리혈)이 좋고

34) 腰痛(요통)에는 環跳(환도), 委中穴(위중혈)이 신기하며, 등줄기까지 아프면 崑崙穴(곤륜

혈)을 추가한다.

35) 腰(요)에서 脚(각)까지 아프면(허리에서 정강이까지 아프다면(坐骨神經痛),腕骨穴(완골혈)

을 찔러서 먼저 氣(기)가 상승할 때 다시 足三里穴(족삼리혈)을 瀉(사)하면 능히 나을 수 가

있다.

36) 다리가 아프며, 膝關節痛(슬관절통)이 있을 때 行間(행간), 足三里(족삼리), 申脈(신맥), 金

門穴(금문혈)을 치료하면 그 공효가 특효하며

37) 다리에 쥐가 나면서 근육이 뒤틀는 痙攣(경련)이 있으며, 눈꽃이 일어나는 貧血症(빈혈증)

에는 然谷(연곡), 承山穴(승산혈)을 치료하면 자연히 안정을 되찾는다.

38) 양발이 보행이 어려울 때 懸鍾(현종), 條口穴(조구혈)에 침자하면 능히 걸을 수 있다.

39) 양발이 마비되고 저리며 아플 때는 太溪穴(태계혈)을 補(보)하고, 다리가 아프면 內庭穴(내

정혈)을 瀉(사)하며, 뒤꿈치가 아프면 僕參穴(복삼혈)을 瀉(사)한다.

40) 다리에서 옆구리, 겨드랑이 아래까지 아프면 環跳(환도), 陽陵泉穴(양능천혈)에 침을 놓고

41) 찬바람을 쐬어서 신경통이 되었으면 環跳(환도), 陽陵泉(양능천), 三里穴(삼리혈)에 溫針

(온침)을 사용한다.

42) 七疝(칠산) 에는 大敦(대돈)과 太冲穴(태충혈)에 針刺(침자)하고 七疝(칠산) : “疝”이란 체강

의 내용물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병증을 가리킨다.

《諸病源候論》에서는 厥疝, 癥疝, 寒疝, 氣疝, 盤疝, 胕疝, 狼疝 이라고 하고

《儒門事親》에서는 寒疝, 水疝, 筋疝, 血疝, 氣疝, 狐疝, 㿗疝 이라 하였으며,

《醫宗必讀》에서는 冲疝, 狐疝, 㿗疝, 厥疝, 痂疝, 潰疝, 潰癃疝 이라고 하였다.

43) 五淋(오림)에는 血海穴(혈해혈)이 통하는데 남녀에게 모두 좋다.

五淋(오림) : 石淋(석림), 氣淋(기림), 膏淋(고림), 勞淋(노림), 血淋(혈림)의 총칭으로서 小便

不利(소변불리)를 主症(주증)으로 하는 질환이다.

44) 便秘(변비)

⑴ 허증에서 생긴 악성변비에는 支溝穴(지구혈)을 補(보)하며, 足三里穴(족삼리혈)을 瀉

(사)하면 그 효과를 의심할 바 없다.

⑵ 熱(열)로 생긴 熱秘(열비), 氣(기)가 통하지 않아서 생긴 氣秘(기비)가 있는데 이때는 먼

저 長强穴(장강혈)을 치료하고, 大敦(대돈), 陽陵泉穴(양능천혈)을 치료하며,

45) 小便不通(소변불통)에는 陰陵泉(음능천), 足三里穴(족삼리혈)을 瀉(사)하면 소변이 잘 나

온다.

46) 內傷(내상)으로 인한 食積(식적)에는 足三里穴(족삼리혈)을 치료하고, 璇璣穴(선기혈)을

치료하면 더욱 좋다.

47) 脾虛(비허)로 인하여 氣血(기혈)이 모두 虛弱(허약)하면 먼저 合谷穴(합곡혈)을 찌르고,

다시 三陰交穴(삼음교혈)에 溫針法(온침법)을 쓰면 회복된다.

48) 일체의 內傷(내상)에는 內關穴(내관혈)이 좋으며, 또 痰火(담화), 積塊(적괴), 煩潮(번조)에

도 좋다.

49) 吐血(토혈)에는 尺澤穴(척택혈)의 효과에 비교할 수가 없다.

50) 코피(衄血)에는 上星(상성)과 天髎穴(천료혈)이 좋다.

51) 喘息(천식)으로 굼이 급한 데에는 列缺(열결), 足三里(족삼리)를 치료하고,

52) 飮食(음식)을 토하고, 음식이 내려가지 않는 데에는 陰交穴(음교혈)에 침자하며

53) 다섯 종류의 간질병(癲癎)에는 勞宮穴(노궁혈)이 능히 치료하고, 다시 湧泉穴(용천혈)을 치

료하면 병이 도망간다.

癲癎(전간) 五種(오종) : 陰陽癎(음양간), 風癎(풍간), 驚癎(경간), 肺癎(폐간), 食癎(식간) 등

이다.

54) 바보, 천치에는 神門穴(신문혈)이 모두 치료하고,

55) 요사스런 간질에는 人中穴(인중혈)과 間使穴(간사혈)을 치료하면 없어지고,

56) 尺厥(척궐, 假死狀態 人事不省)에는 百會(백회) 한 혈이 매우 아름답고, 다시 隱白穴(은백

혈)을 침자하면 그 효과가 매우 좋다.

57) 부인의 월경을 通(통)하게 하는 데는 合谷穴(합곡혈)을 瀉(사)하고, 다시 足三里(족삼리), 至

陰穴(지음혈)에 침자하면 가히 잘 통하게 된다.

58) 복중에서 死胎(사태)가 되었으면 급히 三陰交穴(삼음교혈)을 瀉(사)한다.

59) 아기를 난 후 胎(태)가 나오지 않으면(惡露不下) 照海(조해), 內關穴(내관혈)을 함께 瀉(사)

한다.

60) 소아의 驚氣(경기)에는 少商穴(소상혈)에서 防血(방혈)시키고, 다시 人中穴(인중혈) 과 湧

泉穴(용천혈)을 얕게 침자하면 치료된다.

61) 종기(癰疽(옹저)에는 陽經穴(양경혈)을 찌르되, 陰經穴(음경혈)은 찌르지 않는다.

62) 傷寒(상한)의 질병은 足經絡(족경락)에는 들어와도, 手經絡(수경락)에는 들어오지 않으니

太冲(태충), 內庭穴(내정혈)에 침자하며 깊고, 얕게 찌르면 그 효과를 알게 된다.


본편은 한마디 한마디에 참된 秘訣(비결)이 있으니 열심히 잘 읽고 완전히 이해한 다음에 침치료를 하도록 하라上身用補(상신용보)하고, 下身用瀉(하신용사)라 하였으니 가히 천금과 같은 말이다. 그러나 이 천금의 秘方(비방)은 전하지 못하는 것이니 이는 의사의 몫이니라 깊고 넓음을 가름하라

64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전승 75 七惡證(칠악증)

七惡證(칠악증) 칠악증(七惡證) 이란? 창양(瘡瘍)의 7가지 위험한 증후(證候)를 가리킨다. 이에 대하여 2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제덕(齊德)의 설(說)이요 다른 하나는 진실공(陳實功)의 설(說)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창양(瘡瘍)에 속하는 질환으로써 역시 칠악(七惡)을 호소하는 두창(痘瘡) 즉 천연두(天然痘)가 그와 같아 아래에 소개 한다. 제덕(齊德

전승 72 治心(치심)

治心(치심) 【東醫寶鑑(동의보감)】 臞仙(구선)이 가로되「옛날에 神聖(신성)한 醫員(의원)은 능히 사람의 마음을 다스려서 미리 병이 나지 않도록 하였는데, 지금 醫員(의원)은 오직 사람의 병만 다스리고 마음을 다스릴 줄 모르니 이것은 根本(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는 法(법)이다. 그 근원을 연구하지 않고 末流(말류)만 議論(의논)하는 법은 어리석은 일이니,

전승 71 痹證(비증)

痹證(비증) 痹(비)란 막혀서 通(통)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四肢(사지)가 몸 또는 內臟(내장)의 經絡(경락)에 막혀서 일어나는 病症(병증)을 말한다. 그러나 대체로 風, 寒, 濕(풍,한,습) 3가지 邪氣(사기)가 肌表(기표)의 經絡(경락)과 骨節(골절)에 침입하여 關節(관절) 혹은 筋肉(근육)이 아프거나 붓거나 무거운 등등의 病(병)이 발생하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