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50 / 이침조작방법(耳針)- 이주(耳舟)

Aktualisiert: 16. Aug. 2019


이침조작방법 (耳針操作方法)

귀침(耳針)의 조작(操作)은 기본상 체침(體針)과 같으며, 임상(臨床)의 광범한 응

용에 따라 침자법(針刺法), 전기침(電氣針), 매침(埋針), 압환(壓丸) 등의 조작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서술한다.

1. 침자법(針刺法)

질병진단에 의하여 처방(處方)을 확정한 후 혈구내에 반응점을 찾아 치료의 자

극 점으로 정한다. 만약 반응점을 찾지 못하면 이혈(耳穴)에 침자(針刺)한다. 침

기구 혈부위 및 의사의 손 등은 엄격한 소독을 요구한다. 앉는 자세(坐位) 또는

누운 자세(臥位)의 적당한 체위(體位)를 선택한후 26~30호의 0.3~1촌 길이의

침(針)으로 침자(針刺) 한다. 그러나 보통 28호에 0.5촌 길이의 침을 많이 사용

한다.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진침(進針)

의사는 왼손 모, 식지로 이곽(耳廓)을 고정시키고 중지를 침놓을 부위의 귀

등을 받쳐서 침자 깊이가 일정한 곳에 이르도록 보정하며 따라서 통증도 감

소시 킬수 있다. 오른손의 모, 식, 중지는 침을 쥐어 민감점(敏感点)에 찌른다.

구체적 진침방법은 속자법(速刺法) 만자법(慢刺法) 두 가지가 있다.

속자법(速刺法) : 민감점(敏感点)에 침체를 수직으로 세운 뒤에 지력(指力)과

완력(腕力)으로 급속히 자입(刺入) 시키되 절대로 연골(軟

骨)을 꿰뚫이 말아야 한다. 통감(痛感)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자에게 입을

벌리고 큰 숨을 쉬게 한다.

만자법(慢刺法) : 귀혈(耳穴)에 천천히 침을 돌리며 자입(刺入)시키는데 그 힘

은 반드시 고르게 써야 한다. 침을 돌리는 동시에 증상의 개

선 정황을 물어보며 적당한 깊이에 도달하면 돌리지 말아야 한다.

2) 행침(行針)

귀혈(耳穴)에 자입(刺入)한 후 실행하는 침자수법인데 경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자법(單刺法) 념전법(捻轉法) 제삽법(提揷法)등 세 가지가 있다.

단자법(單刺法) : 민감점(敏感点)에 자입(刺入)한 후 여하한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다만 적당한 시간까지 침을 남겨 둔다(留針). 연로(年

老)하고 신체 허약자(身體虛弱者) 또는 오랜 병(久病) 및 아동 환자(兒童患者)

에게 많이 사용한다.

념전법(捻轉法) : 귀혈(耳穴)에 자입(刺入)한 후 중등(中等) 자극수법(刺戟手

法) 으로 침체를 1~2분간 작은 폭도로 계속 돌려서 자극

을 준다. 이 방법은 만성 환자에게 많이 사용한다.

제삽법(提揷法) : 귀혈(耳穴)에 침을 자입(刺入) 한 후에 힘 있게 침을 수직으

로 1~2분간 상하로 오르내리며 움직인다. 이 방법은 급성

병과 동통성병증(疼痛性病症) 환자에게 많이 사용한다.

3) 깊이

귀침(耳針)의 침자(針刺) 깊이는 환자의 귀곽(耳廓), 두계(頭系)에 따라 영활

(靈活)하게 장악(掌握)해야 하는데 보통 2~3푼(分) 자입(刺入)시켜 연골막

(軟骨膜)에 도달하되 절대로 열골을 꿰뚫지 말아야 한다.

4) 류침(留針)

보통 20~30분 남겨둔다. 만성병, 동통성(疼痛性) 질병 환자는 유침(留針)시

간을 적당히 연장한다. 아동(兒童)과 연노자(年老者)는 긴 시간을 유침(留針)

하지 말아야 한다. 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유침(留針) 하는 동안 10분에 한

번 씩 수법(手法)을 사용하여 자극(刺戟)을 준다.

5) 기침(起針)

침(針)을 뺄 때 왼손 모, 식지로 귀곽(耳廓)을 잡고, 중지로 귀 등에 받치고, 오

른손으로 침을 빼는데 그 조작법은 급속 기침법과 념전 기침법 두 가지가 있

다. 침(針)을 뺀 후에는 반드시 소독된 마른 솜으로 눌러준다. 급속기침법(急

速起針法) : 신속히 침을 수직으로 빼는데 이 법은 통감(痛感)이 적으므로 임

상에서 많이 사용한다. 념전기침법(捻轉起針法) : 침을 뺄 때 환자에게 한차

례 자극(刺戟)을 주어 침효과를 높이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침 효과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사용된다.

2. 전침법(電針法)

전침(電針)이란 호침(毫針)을 자입(刺入)시키고 맥충전류(脈冲電流)를 연결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즉 부동(不同)한 파형(波形)을 이용하여 귀혈(耳穴)의 조절

공능(調節功能)을 강화(强化) 시키어 치료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다. 이침(耳針)

치료에 적용되는 병증은 모두 채용되는데 그중 신경계통질병(神經系統疾病) 내

장경련(內臟痙攣) 천식(喘息)등 병증(病症)에 많이 사용된다. 이 방법은 진통(鎭

痛), 지통(止痛) 효과가 높으므로 침구마취(針灸痲醉)에도 광범하게 응용한다.

3. 매침법(埋針法)

피내침(침 머리가 넓적한 못형)을 귀혈(耳穴)에 매입(埋入)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다. 만성병(慢性病)과 동통성병(疼痛性病)에 적용된다. 자극을 지속하여 치료효

과를 공고히 하는 작용이 있다. 침(針)을 자입(刺入) 시킨후 반창고를 붙여 고정

시킨다. 병측(病側)에 매침(埋針) 시키는데 필요시에는 양쪽 귀에 매침(埋針)한

다. 매일 환자 스스로 3번씩 반창고 위를 눌러 압통(壓痛)을 준다.

4. 압환법(壓丸法)

귀혈(耳穴) 표면에 압환(壓丸)을 붙여 매침(埋針)을 대체하는 일종의 간역(簡易)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호침(毫針) 피내침과 같은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또 안전

무통(无痛)이 며 부작용이 적고 연골막염(軟骨膜炎)이 적게 발생하는 우점이 있

다. 노인(老人) 아동(兒童) 및 침을 두려워하는 환자에게 적합하다. 적용되는 병

증은아주 많은데 예를 들면 만성기관염(慢性氣管炎) 고혈압(高血壓) 담석증(膽

石症) 유뇨증(遺尿症) 신경쇠약(神經衰弱) 등이다.

材料 : 유채씨, 녹두, 래복자(萊菔子), 왕불유행(王不留行) 등등

方法 : 반창고의 중앙에 재료를 1알 놓고, 이미 진단(診斷)에 의한 혈처(穴處)에

붙인다. 붙인후 손으로 눌러 혈위(穴位)에 압통(壓痛)을 가하여 치료효과

를 높이는 방법이다. 그 방법은 매침법(埋針法)과 동일하다.

5. 이구법(耳灸法)

귀혈(耳穴)에 뜸을 떠서 온열(溫熱)의 자극(刺戟)으로 질병(疾病)을 치료하는 방

법 이다. 구법(灸法)의 온경산한(溫經散寒) 소통경락(疏通經絡) 등 작용이 있다.

허증(虛證) 한증(寒證) 비통(痺痛)에 많이 사용하는데 경상적으로 선향구(線香

灸)와 등초구(燈草灸)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선향구(線香灸) : 소독된 향(香)에 불을 붙여 耳穴에 대고 뜸질한다. 보통 2~3개

혈(穴)을 취하며 5~10분간 뜨는데 2일에 1번씩, 좌우 어느 한

쪽 혹은 좌우 양쪽에 뜨며 5~10차를 한 료정으로 한다.

등초구(燈草灸) : 등심초(燈心草)를 1cm 길이로 자른 후 참기름을 발라서 이첨

(耳尖)혹은 귀혈(耳穴)에 놓고 불을 붙여 다 탈 때에 약한 폭성

(暴聲)을 들을 수 있어서 “暴聲法” 이라 부르기도 한다. 각막염(角膜炎) 결막염

(結膜炎) 이하선염(耳下腺炎) 등에 많이 사용한다.

6. 자혈법(刺血法)

굵은 호침(毫針) 혹은 삼능침(三陵針)으로 귀혈(耳穴)을 찔러서 출혈(出血) 시키

는 방법이다. 사열(邪熱)이 심한 고열(高熱), 경련(痙攣) 어혈(瘀血)로 인한 통증

(痛症), 간양상항(肝陽上亢)으로 인한 두훈(頭暈), 목현(目眩), 안결막종통(眼結

膜腫痛) 등에 모두 사용하며 사열진정(瀉熱鎭靜) 거어생신(祛瘀生新) 사화지통

(瀉火止痛) 작용이 있다.

注意 1) 자혈(刺血) 전에 반드시 귀곽(耳廓)을 안마하여야 하며, 조작시 반드시

엄격히 소독해야 한다. 2일에 1번씩 급성병은 하루에 2번씩 치료할수

있다

2) 연노(年老)한자 체질이 약한 자 고혈압(高血壓) 동맥경화(動脈硬化)등

환자 는 침놓기 전후에 반드시 적당한 휴식을 해야 한다.

3) 귀침도 멀미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주의하여 예방하며 제때

에 처리해야 한다.

이침혈선택처방원칙(耳針穴選擇處方原則)

이침(耳針)이 임상(臨床)에서 효과(效果)를 얻는 관건(關健)은 합당한 혈(穴)을 선택

(選擇)하고 혈(穴)을 배합(配合)하는 합리적 처방에 있다.

1. 병리변화(病理變化)에 따르는 상응부위(相應部位)에 혈선택(穴選擇)

임상진단(臨床診斷)에 근거하여 규명된 질병(疾病)에 상응(相應)되는 귀혈(耳穴)을

선택한다. 예를들면 간병(肝病)은 간혈(肝穴), 위병(胃病)에는 위혈(胃穴), 설사(泄

瀉)는 대장혈(大腸穴), 안병(眼病)은 안혈(眼穴), 목1(目1), 목2(목2), 신병(腎病)은 신

혈(腎穴)을 취한다.

2. 중의(中醫) 장부(臟腑) 경락학설(經絡學說) 병증(病證)에 의한 혈선택(穴選擇)

중의(中醫) 장부(臟腑) 경락이론(經絡理論)에 근거하여 질병을 변증분석(辨證分析)

한 후 상관된 이혈(耳穴)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피부병(皮膚病)은 “폐(肺)는 피모를

주관한다. 肺主皮毛” 는 이론에 근거하여 폐혈(肺穴)을 취하고, “신(腎)은 뼈를 주관

한다. 腎主骨” 는 이론에 근거하여 신혈(腎穴)을 선택하고, 안질환자(眼疾患者)는

“간기(肝氣)는 눈에 통한다. 肝開竅於目” 는 이론에 근거하여 간혈(肝穴)을 취한다.

3. 현대의학(現代醫學)의 생리(生理) 및 병리(病理) 증상(症狀)에 의한 혈선택(穴選擇)

現代醫學의 생리(生理) 및 병리지식(病理知識)으로 상관된 귀혈(耳穴)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월경불조(月經不調)는 내분비혈(內分泌穴), 위장질환(胃腸疾患)은 교감

혈(交感穴), 수액반응(水液反應)에는 신상선혈(腎上腺穴), 신경쇠약(神經衰弱)에는

피질하혈(皮質下穴)을 취하는 등이 있다.

4. 임상경험(臨床經驗)에 의한 혈선택(穴選擇)

임상 실천경험에 의하여 유효한 혈(穴)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중혈(耳

中穴)은 격기경련(膈肌痙攣), 이첨혈(耳尖穴)은 목적종통(目赤腫痛), 승압점(升壓

点)은 저혈압(低血壓)에 사용된다.

이표면구조 (耳表面構造 ) 및 이혈분포 (耳穴分布)

이혈(耳穴)은 이곽(耳廓)의 분포(分布)에 일정한 규율이 있으며 신체(身體) 각부에

상응된다. 이곽(耳廓)의 분포는 마치 자궁내(子宮內)에 태아(胎兒)가 거꾸로 오그리

고 있는 형태와 같이 머리 부분은 아래로 둔부와 하각(下脚)은 위로 향하여 있고, 흉

복구간(胸腹軀干)은 중간에 있다.

두면부에 상응된 혈위(穴位)는 이수(耳垂)에 있으며, 상지(上肢)에 상응된 혈위는 이

주(耳舟)에 있고, 구간(軀干)과 하지(下肢)에 상응된 혈위는 대이륜(對耳輪)과 대이

륜 상하각(對耳輪上下脚)에 있으며, 내장(內臟)에 상응된 혈위는 이갑정(耳甲艇)과

이갑강(耳甲腔)에 집중 되였다.

대이륜(對耳輪) : 이륜과 상대되어 상하로 가라선 두드러진 부분이다.

分布穴 : 복부(腹部), 흉부(胸部), 경(頸).

대이륜상각(對耳輪上角) : 대이륜 윗부분 가라선 윗가지 이다.

分布穴 : 발가락(趾), 복사뼈(踝), 무릎(膝).

대이륜체(對耳輪體) : 대이륜의 수직된 부분이다.

분포혈(分布穴) : 내측(內側) - 복(腹), 흉(胸), 경(頸).

외측(外側) - 완(腕), 주(肘), 견(肩), 견관절(肩

關節).

대이륜하각(對耳輪下脚) : 대이륜 윗부분 가라선 아래가지 이다.

分布穴 : 하각단(下脚端) 좌골(坐骨) 둔부(臀部)

대이병(對耳屛) : 귓볼 윗부분에 이병(耳屛)과 맞다은 곳에 볼록하게 나온 곳이다.

分布穴 : 外側面 - 침(枕) 섭(顳) 액(額).

변두리에 볼록한 곳에 - 대병첨(對屛尖).

對屛尖穴과 輪屛切迹 사이에 - 연중혈(緣中穴)

內側面 - 뇌(腦) 피질하(皮質下).

륜병절적(輪屛切迹) : 대이병(對耳屛)과 대이륜(對耳輪)사이에 오옥한 곳이다.

분포혈(分布穴) : 침(枕), 섭(顳), 액(額).

병간절적(屛間切迹) : 이병(耳屛)과 대이병(對耳屛)사이에 오목한 곳이다.

分布穴 : 目1, 승압점(升壓点), 目2.

병상절적(屛上切迹) : 이병(耳屛)의 윗면과 이륜각(耳輪脚)사이의 오목한 곳이다.

삼각와(三角窩) : 대이륜상하각(對耳輪上下脚) 사이에 구성된 삼각형의 오목한 곳

이다.

分布穴 : 신문(神門) 분강(盆腔) 내생식기(內生殖器).

이갑강(耳甲腔) : 이륜각(耳輪脚) 아래에 이강(耳腔) 부분이다.

分布穴 : 내장기관의 분포구로써 이륜각(耳輪脚) 부위의 위주는

소화도구(消化道口)이며 귓구멍의 후방은 구혈(口穴) 식

도(食道) 분문(賁門) 위(胃) 십이지장(十二指腸) 소장(小

腸) 맹장(盲腸) 대장(大腸) 등 穴이다. 그중 위혈(胃穴)은

이륜각소 실처에 있고, 위(胃)와 십이지장혈(十二指腸穴)

뒤에는 간혈(肝穴), 소장(小腸)의 상방에는 신혈(腎穴), 간

혈(肝穴)과 신혈(腎穴)사이에 이담혈(胰膽穴), 대장혈(大

腸穴) 상방은 방광혈(膀胱穴) 맹장혈(盲腸穴) 상방은 수

뇨관혈(輸尿管穴)이 있다.

이갑정(耳甲艇) : 이륜각(耳輪脚)위에 이강(耳腔) 부분이다.

分布穴 : 비(脾) 폐(肺) 기관(氣管) 심(心) 삼초(三焦).

이강연(耳腔緣) : 分布穴 : 저요추(骶腰椎) 흉추(胸椎) 경추(頸椎).

이규(耳竅) : 이갑강(耳甲腔) 앞면의 귓구멍이다.

分布穴 : 심(心)

이륜(耳輪) : 귀곽 제일밖에 안으로 굽혀진 부분인데 즉 귓바퀴이다.

穴分布 : 이중혈(耳中穴) 직장(直腸) 뇨도(尿道) 외생식기(外生殖器) 이

첨혈(耳尖穴)

이륜각(耳輪脚) : 귓바퀴가 귀강내에 심입(深入)되어 가로 두드러진 부분이다.

分布穴 : 구(口) 식도(食道) 분문(賁門)

이륜결절(耳輪結節) : 귓바퀴 뒤쪽 상방에 좀 두드러진 부분이다.

이륜미(耳輪尾) : 귓바퀴 끝머리와 귓볼이 연접된 부분이다.

分布穴 : 쇄골(鎖骨)

이병(耳屛) : 귀곽 앞면에 볼록이 나온 곳이다.

分布穴 : 外側面 - 외이(外耳) 외비(外鼻), 변두리 - 상병첨(上屛尖) 하병

첨(下屛尖),

內側面 - 인후(咽喉) 내비(內鼻).

이수(耳垂) : 귀곽 아랫 부분 연골이 없는 부분 즉 귓볼이다.

分布穴 : 아흡개의 혈(穴)로 나눈다. 이수(耳垂)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상치(上齒), 설(舌), 합(上下頜), 하치(下齒) 안(眼) 내이(內耳),

편도체(扁桃體).

이주(耳舟) : 이륜(耳輪)과 대이륜(對耳輪)사이에 오목한 곳이다.

穴分布 : 지(指), 완(腕), 주(肘), 견(肩), 견관절(肩關節), 쇄골혈(鎖骨穴).

2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