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一章(제일장)
第一節 解表葯(해표약)
1) 風寒表實證(풍한표실증)의 요약은 麻黃(마황)이다.
⑴ 麻黃(마황) Ephedrae Herba
① 發汗(발한), 平喘(평천), 利水(이수) 등 3 가지 공효를 가진 약이다.
② 外感風寒(외감풍한) 表實證(표실증)으로 오한이 중하고, 발열이 경하며, 땀이
없고, 咳嗽(해수)와 氣喘(기천)에 사용한다.
③ 水腫病(수종병)에 表證(표증)을 겸한 경우 사용한다.
④ 惡寒重(오한중), 發熱輕(발열경)과 같은 表證(표증)에 咳喘(해천)이 있을 때 사
용한다.
⑤ 肺(폐)의 鬱熱(울열)로 인한 기침과 천식(咳喘)에 麻黃(마황)과 石膏(석고, Gyp-
sum Fibrosum)를 배합한다.
2) 땀을 많이 흘릴 때 收澁止汗(수삽지한) 약으로 麻黃根(마황근)을 사용한다.
3) 四肢(사지)가 차고 저리고 아프며, 氣血循環(기혈순환)이 잘 안될 때 桂枝(계지)를 사
용한다.
⑵ 桂枝(계지) Cinnamomi Ramulus
① 惡寒發熱(오한발열), 表虛有汗(표허유한)에 사용하고
② 惡風發熱(오풍발열), 表虛有汗(표허유한)에 사용하며
③ 胸痺疼痛(흉비동통)에 溫通陽氣(온통양기)를 위하여 사용하고,
④ 痛經(통경)과 閉經(폐경)의 원인이 寒滯血脈(한체혈맥)과 經寒瘀滯(경한어체)
로 인한 것을 치료하며
⑤ 胸痺疼痛(흉비동통)에 사용하고
⑥ 寒滯血脈(한체혈맥) 經寒瘀滯(경한어체)로 痛經(통경)에 최적이며
⑦ 通陽功效(통양공효), 又有溫經(우유온경), 發汗解表(발한해표)에 사용
⑧ 水濕(수습)의 邪氣(사기)로 막혀 陽氣(양기)가 불통할 때 사용한다.
⑨ 調和營衛(조화영위) 表虛有汗(표허유한)에는 桂枝(계지)와 白灼(백작,Paeoni-
ae Alba Radix)을 배함한다.
4) 行氣寬中(행기관중)에 능하고, 發汗解表(발한해표)에 능한 약 紫蘇(자소)
⑶ 紫蘇(자소) Perillae Folium / - Fructus
① 紫蘇(자소)의 功效(공효)는 發汗解表(발한해표)와 安胎(안태)이다.
② 外感風寒(외감풍한)에 感受(감수)되어 가슴에 氣滯(기체)가 생긴 자는 우선적
으로 紫蘇(자소)를 써야 한다.
③ 外感風寒(외감풍한)으로 脾胃氣滯(비위기체)자에게는 우선적으로 사용 하여
야 한다.
④ 安胎(안태)를 겸하여 解表(해표)시킬 수 있는 약이다.
5) 暑濕(서습)에 感受(감수)되어 發熱(발열), 惡寒(오한), 吐瀉(토사)에 가장 맞당한 약은
⑷ 香薷(향유, Moslae Herba)이다.
6) 風寒濕邪(풍한습사)의 침습을 받으므로서 肢節疼痛(지절동통), 肩背酸痛(견배산통)
의 上半身疼痛(상반신동통)을 위주로 하는데 가장 좋은 약은 羌活(강활)이다.
⑸ 羌活(강활) - Notopterygii Rhizoma et Radix
① 風寒頭痛(풍한두통)을 치료한다.
7) 祛風解表(거풍해표) 가장 맞당한 약은 防風(방풍)이다.
⑹ 防風(방풍) - Sacoshnikoviae Radix
① 祛風解表(거풍해표)하는 공효가 荊芥(형개, Schizonetae Flos)도 같다
② “風家潤葯(풍가윤약)”이라 하며 또 祛風止痙(거풍지경)에 좋은 약이다
8) 祛風止痛(거풍지통)하는 약으로 陽明頭痛(양명두통)에 좋은 약은 白芷(백지)이다.
⑺ 白芷(백지) - Angelicae Dahurivae Radix
① 消腫排膿(소종배농)에 능하고 또 宣通鼻竅(선통비규)에도 능하다.
② 風寒(풍한)을 感受(감수)받은 前額疼痛(전액동통, 전두통)에 유효하다
③ 陽明頭痛(양명두통)에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약이다.
9) 風寒(풍한)의 사기에 감수된 感冒(감기)에 겸하여 胃寒嘔吐(위한구토)를 하는 환자에
게는 ⑻ 生薑(생강, Zingiberis Rhizoma)을 쓴다.
10) 무더운 여름에 麻黃證(마황증) 환자에게 적합한 약은 香薷(향유)이다.
麻黃證(마황증)이란 風寒感冒(풍한감모) 表實證(표실증)으로 그 증상이 惡寒輕(오한
경), 發熱重(발열중), 땀이 없고, 맥이 浮緊(부긴)한 증상을 해제 시키는 효능이 있어
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므로 마황의 성미는 맵고, 더운약이며, 發汗(발한)과 解表
(해표)하는 그 성능이 매우 강하므로 무더운 여름철이나 남방의 더운 지방에서는 예
로부터 사용에 신중하였다. 그래서 증상은 같은데 기후가 합당하지 못한 여름감기
(暑濕感冒(서습감모)에는 香薷(향유)를써 왔다.
이 약은 오한발열에 땀이 없고, 복통과 구토 및 설사를 하는 증상을 다스리며 임상에
서 발한, 해열, 이뇨, 소염하는 효능을 활용하여 水腫(수종) 및 肝(간)의 熱火(열화)를
식히는데 쓴다. 민간에서는 약초 전체(全草)를 浴湯料(욕탕료)로 사용한다.
⑼ 香薷(향유) - Moslae Herba
"夏日麻黃(하일마황)“ - 發汗(발한)시켜서 表邪(표사)를 해제하고 또한 中焦(脾
胃)를 조화롭게 하여 濕(습)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11) 体表(체표)에 갇혀있는 風熱(풍열)을 疏散(소산)시키고 또한 咽喉(인후)를 통하게 하
며, 皮下(피하)에 疹(진)이 發疹(발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透疹(투진)시키는 공효
가 있는 약은 薄荷(박하)이다.
⑽ 薄荷(박하) - Menthae Herba
① 風熱(풍열)을 疏散(소산)하고 또 한편 肝氣(간기)가 鬱滯(울체)된 것을 解疏(해
소)시켜 준다.
② 風熱(풍열)의 침습으로 頭痛(두통), 눈이 붉고(目赤), 咽喉(인후)가 不利(불리)
한데 가장 적합한 약이다.
③ 風熱(풍열)을 疏散(소산)하여, 머리와 눈을 맑게(淸利頭目)하고, 咽喉(인후)를
통하게 하는 약이다.
12) 疏風(소풍)하고 熱(열)을 내리게(淸熱)해서, 肝(간)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약은
⑾ 桑葉(상엽, Mori Folium)이다.
13) 風熱(풍열)을 疏散(소산)하고, 肝(간)의 陽氣(양기)를 내려 陰(음)과 수평이 되게하는
약은 ⑿ 菊花(국화, Chrysanthemi Flos)이다.
14) 風邪(풍사)를 제거하여 痙攣(경련)를 멈추게 하고, 또한 翳障(예장, 內障)을 물리쳐서
눈을 맑게 하는 약으로는
⒀ 蟬衣(선의, 蟬退)이다.
15) 表邪(표사)를 해제하여 熱(열)을 흘러 나가게 하고, 또한 肝氣(간기)가 鬱滯(울체)된
것을 통하게 하는 데는 柴胡(시호)를 사용한다.
⒁ 柴胡(시호) - Bupleuri Radix
外邪(외사)를 感受(감수)하여 寒邪(한사)와 熱邪(열사)가 왕래함에 따라서 옆구
리 갈비뼈 부위인 脇肋(협늑)이 부어올라 아픈 脹痛(창통)을 다스린 다.
16) 外感病(외감병)으로 몸에 열이 있으나, 땀은 없고, 두통이 있고 목이 뻣뻣한 項强(항
강) 증에는 우선적으로 葛根(갈근)을 쓴다.
⒂ 葛根(갈근) - Puerariae Radix
- 陽氣(양기)를 끌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 表證(표증)과 겸하여 口渴(구갈)과 목
이 뻣뻣한 項强(항강)을 다스린다.
17) 外感風寒(외감풍한)의 邪氣(사기)로 頭痛(두통)과 몸이 몹시 아플 때는 辛夷(신이)를
사용한다. - ⒃ Magnoliae Flos
18) 表邪(표사)를 해제하며, 또한 止血(지혈)하는 약은 荊芥(형개)이다.
⒄ 荊芥(형개) - Schizonetae Herba
19) 淸熱(청열)하고 解毒(해독)하며, 痲疹(마진)을 透疹(투진)시키는 약은 升麻
⒅ (승마)이다. - Cimicifugae Rhizoma
Komment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