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개제 (溫開劑)
1) 中風(중풍), 中寒(중한), 痰厥(담궐) 등 寒閉證(한폐증)에 適用(적용)된다.
2) 證狀(증상)은 突然昏倒(돌연혼도), 牙關緊閉(아관긴폐), 神昏不語(신혼불어),苔白脈遲
(태백맥지)
3) 常用方葯(상용방약)은 芳香開竅葯(방향개규약)으로 蘇合香(소합향), 麝香(사향), 冰片
(빙편) 等 辛溫行氣葯物(신온행기약물)을 위주로 配合(배합)해서 構成(구성)되는 方劑
(방제)이다.
代表方(대표방)은 蔬合香丸(소합향환), 紫金錠(자금정) 등이다.
蔬合香丸(소합향환)
≒ 白朮(백출), 靑木香(청목향), 烏犀屑(오서설), 香附子(향부자), 朱砂(주사), 訶
黎勒(가려륵), 白檀香(백단향), 安息香(안식향), 沈香(침향), 麝香(사향), 丁香
(정향), 蓽茇(필발) 各量60, 龍腦(용뇌), 蘇合(소합), 香油(향유), 薰陸香(훈륙
향) 各量30.
- 芳香開竅(방향개규), 行氣止痛(행기지통)
紫金錠(자금정)
≒ 山慈菇(산자고)90, 紅大戟(홍대극)45, 千金子霜(천금자상)30, 五倍子(오배
자)90, 麝香(사향)9, 雄黃(웅황)30, 朱砂(주사)30.
- 化痰開竅(화담개규), 闢穢解毒(벽예해독).
온경산한제 (溫經散寒劑)
1) 陽氣不足(양기부족)에 陰血(음혈)역시 弱(약)하며, 또한 外寒(외한)으로 經絡(경락)
이 損傷(손상)받아 血脈不利(혈맥불이)로 생기는 諸證(제증)에 適用(적용)된다.
2) 그러므로 오직 辛熱(신열)한 葯(약)으로 溫陽祛寒劑(온양거한제)만 쓰는 것은 合
當(합당)하지 않고, 溫經散寒(온경산한)과 養血通脈劑(양혈통맥제)를 配合(배합)
해서 構成(구성)해야 한다.
代表方劑(대표방제)로는 當歸四逆湯(당귀사역탕)이 있다.
當歸四逆湯(당귀사역탕)
≒ 當歸(당귀)12, 桂枝(계지)9, 芍葯(작약)9, 細辛(세신)1.5, 炙甘草(자감
초)5, 通草(통초)6, 大棗(대조)25枚(擘 8枚).
- 溫經散寒(온경산한), 養血通脈(양혈통맥)
온경지혈약 (溫經止血葯)
炮姜(포강)(溫), 艾葉(애엽)(溫), 灶心土(조심토)(溫).
歸經 肝 : 炮姜(포강), 艾葉(애엽).
脾 : 炮姜(포강), 艾葉(애엽), 灶心土(조심토).
腎 : 艾葉(애엽).
胃 : 灶心土(조심토).
온리약 (溫里葯)
附子(부자), 乾姜(건강), 肉桂(육계), 吳茱萸(오수유), 花椒(화초), 篳撥(필발), 畢澄茄(필
징가), 丁香(정향), 高良姜(고량강), 小茴香(소회향), 胡椒(호초).
歸經 肝 : 肉桂(육계), 吳茱萸(오수유), 小茴香(소회향).
心 : 附子(부자), 乾姜(건강), 肉桂(육계).
脾 : 附子(부자), 乾姜(건강), 肉桂(육계), 吳茱萸(오수유), 小茴香(소회향), 高良姜
(고량강), 花椒(화초), 丁香(정향), 蓽登茄(필등가), 胡椒(호초).
胃 : 乾姜(건강), 吳茱萸(오수유), 小茴香(소회향), 高良姜(고량강), 花椒(화초), 丁
香(정향), 篳撥(필발), 蓽登茄(필등가).
肺 : 乾姜(건강).
大腸 : 篳茇(필발), 胡椒(호초).
腎 : 附子(부자), 肉桂(육계), 吳茱萸(오수유), 小茴香(소회향), 花椒(화초), 丁香(정
향).
膀胱 : 蓽登茄(필등가).
온리제 (溫裏劑)
1) 溫熱葯(온열약)을 위주로 構成(구성)되어 溫里助陽(온리조양)과 散寒通脈(산한통맥)의
작용이으로 臟腑(장부)와 經絡間(경락간)의 寒邪(한사)를 除去(제거)할 수 있고, 裏(리)
에 있는 陰寒(음한)을 治療(치료)하는데 쓰는 方劑(방제)를 總稱(총칭)해서 溫里劑(온리
제)라 하며 八法(팔법)중에 溫法(온법)의 範疇(범주)에 속한다.
2) 寒邪(한사)의 疾病(질병)은 表證(표증)과 裏證(리증)으로 나누며 表寒證(표한증)은 辛溫
解表劑(신온해표제)를 써서 치료하는데 이는 解表劑(해표제)에서 論述(논술)되므로 여
기서는 里寒證(리한증)에 관해서만 論述(논술)하게 된다.
3) 里寒證(리한증)에는 輕重(경중)의 區別(구별)이 있고 邪氣(사기)가 侵犯(침범)된 곳이
또한 각각 다르므로 本劑(본제)는 다시
⑴ 溫中祛寒劑(온중거한제)
⑵ 回陽救逆劑(회양굤역제)
⑶ 溫經散寒劑(온경산한제)
等 三種類(삼종류)로 大別(대별)한다. 그 내용은 각과를 참조하시라!
온중거한제 (溫中祛寒劑)
1) 中焦(중초)의 虛寒證(허한증)을 治療(치료)한다.
2) 만약 脾胃(비위)의 陽氣(양기)가 虛弱(허약)하고 또한 外寒(외한)을 받는다면 運化
(운화) 가 无力(무력)해져서 升降功能(승강공능)이 失常(실상)되고 脘腹脹滿(완복
창만), 肢体倦怠(지체권태), 手足不溫(수족불온) 또는 呑酸吐涎(탄산토연), 惡心嘔
吐(오심구토) 혹은 腹痛不利(복통불이), 不思飮食(불사음식), 口淡不渴(구담불갈),
舌苔白滑(설태백활), 脈沉細(맥침세) 혹 沉遲(침지) 등 證狀(증상)이 나타난다.
3) 常用葯(상용약)으로는 乾姜(건강), 生姜(생강), 吳茱萸(오수유), 蜀椒(촉초) 등을
配用(배용)하여 補氣健脾劑(보기건비제)을 構成(구성)한다.
代表方劑(대표방제)는
理中丸(리중환), 吳茱萸湯(오수유탕), 小建中湯(소건중탕), 大建中湯(대건중탕) 等이
있다.
理中丸(리중환)
≒ 人參(인삼)6, 乾姜(건강)5, 甘草(감초)6, 白朮(백출)9, 鷄黃(계황).
- 溫中祛寒(온중거한), 補氣健脾(보기건비)
吳茱萸湯(오수유탕)
≒ 吳茱萸(오수유)3, 人參(인삼)6, 大棗(대조)12枚, 生姜(생강)18.
- 溫中補虛(온중보허), 降逆止嘔(강역지구).
小建中湯(소건중탕)
≒ 芍葯(작약)18, 桂枝(계지)9, 炙甘草(자감초)6, 生姜(생강)6, 大棗(대조)12枚,
飴糖(이당)30. - 溫中補虛(온중보허), 和裏緩急(화리완급)
大建中湯(대건중탕)
≒ 蜀椒(촉초)3, 乾姜(건강)4.5, 人參(인삼)6.
- 溫中補虛(온중보허), 降逆止痛(강역지통)
온하제 (溫下劑)
1) 寒(한)으로 引(인)하여 結成(결성)되는 里實證(리실증)에 適用(적용)되는 것으로 大便秘
結(대변비결), 脘腹脹滿(완복창만), 腹痛喜溫(복통희온), 手足不溫(수족불온) 심지어 厥
冷(궐냉) 舌苔白膩(설태백니) 脈沉緊(맥침긴) 등 증이다.
2) 寒凝者(한응자)는 非溫不散(비온불산)하고, 積滯者(적체자)는 非下不除(비하불제)하므
로 溫下劑(온하제) 를 사용하여 溫散寒結(온산한결)토록 하고, 里實積滯(리실적체)를
瀉下(사하)시키는 것이다.
3) 代表的(대표적)인 方(방)으로는 大黃附子湯(대황부자탕), 溫脾湯(온비탕) 등이다.
大黃附子湯(대황부자탕)
≒ 大黃(대황)3, 附子(부자)9, 細辛(세신)3.
- 溫陽散寒(온양산한), 瀉結行滯(사결행체)
溫脾湯(온비탕)
≒ 大黃(대황)12, 附子(부자)9, 乾姜(건강)6, 人參(인삼)9, 甘草(감초)3.
- 溫補脾陽(온보비양) 攻下冷積(공하냉적)
온화수습제 (溫化水濕劑)
1) 寒化和陽(한화화양)의 水不化溫(수불화온)으로 因(인)한 痰飮(담음), 水腫(수종),
痹證(비증)과 寒濕脚氣(한습각기) 等의 濕證(습증)에 適用(적용)된다.
2) 常用葯方(상용약방)은 桂枝(계지), 附子(부자), 茯苓(복령), 白朮(백출) 等 溫陽葯
(온양약)과 利濕葯(이습약)을 爲主(위주)로 方劑(방제)를 構成(구성)하였다. 代表
方(대표방)은 苓桂朮甘湯(령계출감탕), 眞武湯(진무탕) 等이 있다.
苓桂朮甘湯(령계출감탕)
≒ 茯苓(복령)12, 桂枝(계지)9, 白朮(백출)6, 炙甘草(자감초)6.
- 溫化痰飮(온화담음), 健脾利濕(건비이습)
眞武湯(진무탕)
≒ 茯苓(복령)9, 芍葯(작약)9, 白朮(백출)6, 生姜(생강)9, 炮附子(포부자)9.
- 溫陽利水(온양이수)
온화한담제 (溫化寒痰劑)
1) 寒痰證(한담증)에 적용된다.
2) 咳痰淸稀(해담청희) 色白(색백), 舌苔白滑(설태백활) 등으로 나타난다.
3) 常用葯(상용약)은 乾姜(건강), 細辛(세신) 等 溫肺化痰葯(온폐화담약)을 위주로 方
劑(방제)를 구성한다.
代表方(대표방)은 苓甘五味姜辛湯(령감오미강신탕), 三子養親湯(삼자양친탕) 等이
있다.
苓甘五味姜辛湯(령감오미강신탕)
≒ 茯苓(복령)12, 甘草(감초)6, 乾姜(건강)9, 細辛(세신)6, 五味子(오미
자)6. - 溫肺化飮(온폐화음)
三子養親湯(삼자양친탕)
≒ 白芥子(백개자)6, 蘇子(소자)9, 菜菔子(채복자)9.
- 降氣快膈(강기쾌격), 化痰消食(화담소식).
옹양제 (癰瘍劑)
1) 癰疽瘡瘍(옹저창양)에 쓰이는 方劑(방제)를 癰瘍劑(옹양제)라 称(칭)한다.
2) 이런 종류의 方劑(방제)는 주로 解毒消腫(해독소종), 託裏排膿(탁리배농),生肌斂瘡(생
기렴창) 작용이 있다.
3) 常用(상용)되는 것은 体表(체표)의 癰(옹), 疽(저), 疔(정), 瘡(창), 丹毒(단독), 流注(유
주), 癭(영), 瘤(류), 瘰癧(라력) 등과 臟腑(장부)에 있는 癰疽(옹저) 등의 病證(병증)이다.
4) 體表癰瘍(체표옹양)의 辨證(변증)과 一般辨證(일반변증)의 주요 구별은 陰陽虛實(음양
허실)과 善惡順逆(선악순역)으로 나눈다. 예컨대 腫形高起(종형고기), 範圍局限(범위국
한), 根脚收縮(근각수축), 皮膚紅赤(피부홍적), 灼熱(작열) 등은 陽證(양증)에 屬(속)하
고, 外形平塌(외형평탑), 堅硬(견경)하거나 혹은 綿軟(면연)하며 范圍(범위)가 鬆散(송
산)하고 皮膚色(피부색)이 변하지 않는 것 등은 陰證(음증)에 屬(속)한다.
5) 癰瘍(옹양)의 辨證(변증)은 항상 內外(내외)의 轉變(전변)과 結合(결합)해서 分析(분석)
하지 않 으면 안 된다. 예컨대 顔面疔瘡(안면정창)은 熱毒熾盛(열독치성)으로 인한 走
黃(주황)이나 內陷(내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內臟(내장)에 病(병)이 있으면 体
表(체표)의 局部(국부)에 나타나는데 예로 腸癰(장옹)은 少腹腫痞(소복종비)가 되어 이
를 누르면 즉각 痛(통)하며 淋瀝(임력), 小便自調(소변자조) 등으로 나타난다.
6) 癰瘍(옹양)은 안으로 臟腑(장부)에 發生(발생)한다. 예컨대 肺癰(폐옹), 腸癰(장옹) 등이
그러 하며 辨證上(변증상)으로는 주로 寒熱虛實(한열허실)로 分明(분명)히 나누어지고,
이미 膿(농)으로 變(변)했거나 變(변)하지 않은 것 등이다. 그 나머지는 모두 일반적인
辨證(변증)과 類似(유사)하다.
7) 治法(치법)은 消法(소법), 托法(탁법), 補法(보법)의 3 가지가 있다.
消法(소법) : 解表(해표), 通里(통리), 淸熱(청열), 溫通(온통), 祛痰(거담), 行氣(행기), 活
血行瘀(활혈행어) 等 方面(방면)으로 治療(치료)한다.
托法(탁법) : 癰瘍中期(옹양중기)에 사용하며 邪盛毒深(사성독심)이 나타나거나 혹은
正虛邪陷(정허사함), 膿成難潰(농성난궤) 등 證(증)이 나타난다.
補法(보법) : 癰瘍后期(옹양후기)에 氣血俱虛(기혈구허) 혹은 脾(비), 胃(위), 肝(간), 腎
(신)이 부족하여 膿液淸稀(농액청희)하고, 瘡口(창구)가 久潰不斂(구궤불
렴)하는 등 症狀(증상)이 보이게 되는데, 이곳에다 補益方葯(보익방약)을 通(통)해서 氣
充(기충)하고 血實(혈실)하게 해서 潰處(궤처)에 生肌收斂(생기수렴)토록 促進(촉진)한
다.
※ 臟腑癰瘍(장부옹양)
治法(치법)은 淸熱解毒(청열해독)으로써 逐瘀排膿(축어배농), 消腫散結(소종산결)을
위주로 한다.
8) 代表方(대표방)
⑴ 體表實熱陽證(체표실열양증) 初期(초기)에 淸熱消散(청열소산)케 하는 합당한 方
(방)으로는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이 있다.
⑵ 虛寒陰證(허한음증) 初期(초기)에 溫補散寒(온보산한)으로 陽和結散(양화결산)케 하
는 합당한 方(방)은 陽和湯(양화탕)과 成葯小金丹(성약소금단) 等이 있다.
仙方活命飮(선방활명음)
≒ 白芷(백지), 貝母(패모), 防風(방풍), 赤芍(적작), 生歸尾(생귀미), 節甘草
(절감초), 皂角刺(조각자), 穿山甲(천산갑), 天花粉(천화분), 乳香(유향),
沒葯(몰약) 各量3, 金銀花(금은화)9, 陳皮(진피)9, 酒一大碗(주일대완).
- 淸熱解毒(청열해독), 消腫潰堅(소종궤견), 活血止痛(활혈지통)
陽和湯(양화탕)
≒ 熟地(숙지)30, 肉桂(육계)3, 麻黃(마황)2, 廘角膠(녹각교)9, 白芥子(백개자)6,
姜炭(강탄)2, 生甘草(생감초)3. - 溫陽補血(온양보혈), 散寒通滯(산한통체)
小金丹(소금단)
≒ 白膠香(백교향), 草烏(초오), 五靈脂(오령지), 地龍(지용), 木鼈(목별) 各量
150, 乳香(유향), 沒葯(몰약), 歸身(귀신) 各量75, 麝香(사향)30, 墨炭(묵탄)12.
- 化痰祛濕(화담거습), 祛瘀通絡(거어통락)
牛蒡解肌湯(우방해기탕)
≒ 牛蒡子(우방자)10, 薄荷(박하)6, 荊芥(형개)6, 連翹(연교)10, 山梔子(산
치자)10, 丹皮(단피)10, 石斛(석곡)12, 玄參(현삼)10, 夏枯草(하고초)12.
- 疏風淸熱(소풍청열), 凉血消腫(량혈소종)
四妙勇安湯(사묘용안탕)
≒ 金銀花(금은화)90, 玄參(현삼)90, 當歸(당귀)30, 甘草(감초)15.
- 淸熱解毒(청열해독), 活血止痛(활혈지통)
透膿散(투농산)
≒ 生黃芪(생황기)12, 當歸(당귀)6, 穿山甲(천산갑)3, 皂角刺(조각자)5, 川芎(천
궁)9.- 托毒潰膿(탁독궤농)
黃芪內補湯(황기내보탕)
≒ 黃芪(황기), 麥門冬(맥문동), 熟地(숙지), 人參(인삼), 茯苓(복령) 各量10,
炙甘草(자감초), 白芍(백작), 遠志(원지), 川芎(천궁), 官桂(관계), 當歸(당
귀) 各量5.
- 補益氣血(보익기혈), 養陰生肌(양음생기).
葦莖湯(위경탕)
≒ 葦莖(위경)30, 薏苡仁(의이인)30, 冬瓜子(동과자)24, 桃仁(도인)9.
- 淸肺化痰(청폐화담), 逐瘀排膿(축어배농)
大黃牡丹湯(대황모단탕)
≒ 大黃(대황)18, 牡丹(모단)9, 桃仁(도인)12, 冬瓜子(동과자)30, 芒硝(망
초)9.
옻나무 : 滲出物 - 생칠 (生漆)
와릉자 (瓦楞子-化痰止咳 淸化熱痰) Arca subcrenata Lischike. 動物類(동물류) 貝殼(패각)
性味 : 味鹹, 性平. 歸經 : 肺 胃 肝. 用量 : 9 ~ 15g, 久煎后細末 1-3g
功能 : 消痰化瘀(소담화어), 軟堅散結(연견산결)
主治 : 頑痰積結(완담적결), 粘稠難咯(점조난각), 癭瘤(영류), 瘰癧(라력), 癥痂痞塊(징
가비괴), 胃痛泛酸(위통범산).
臨床 : 1) 軟堅散結(연견산결), 消痰化瘀(소담화어) ; 瘰癧(라력), 癭瘤(영류)을 消痰軟緊
(소담연긴)시키고 癥痂痞塊(징가비괴)를 化瘀散結(화어산결)한다. 胃酸過多
(위산과다)
⑴ 消痰散結(소담산결) - 瘰癧(라력), 癭瘤(영류)
① 配 海藻(해조), 昆布(곤포). . . ≒ 含化丸(함화환)
⑵ 化瘀散結(화어산결)
① 癥痂痞塊(징가비괴) :
單獨(단독) 火煅(화단)하여 醋淬(초쉬) 爲丸(위환) 服用(복용)
≒ 瓦楞丸(와릉환)
② 消癥軟堅(소징연견) :
常與 三稜(삼릉), 莪朮(아출), 鱉甲(별갑). - 行氣活血(행기활혈)
其他 1) 肝胃不和(간위불화)
⑴ 胃痛吐酸(위통토산)
① 煅用(단용) 配 烏賊骨(오적골), 陳皮(진피). - 細末服用
2) 胃(위) 및 十二指腸潰瘍(십이지장궤양)
① 配與 甘草(감초) 同用(동용) 爲散(위산) 有一定療效(유일정료효)
用法 : 內服(내복) - 水煎服(수전복), 宜先煎(의선전)
外用(외용) - 硏末調敷(연말조부)
☞ 消痰散結(소담산결) : 生用(생용), 制酸止痛(제산지통) : 煅用(단용)
와송 (瓦松) ⇒ 바위솔
오래된 지붕 기왓장이나 깊은 산 바위 위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잎은 살이 찌고 버들잎 모양으로 줄기를 둘러싸고 무더기로 난다.
와우 (蝸牛) : 달팽이
臨床 : 二便不通(이변불통) 大小便(대소변)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달팽이(蝸牛) 3 마리를 껍질째 짓찧은 다음 麝香(사향)을 조금 섞어 배꼽 위에 올려
놓고 손으로 문지르면 大小便(대소변)이 나온다.
≒ 蝸牛膏(와우고) 와위 (瓦韋) : 一葉草(일엽초), 劍丹(검단)
成分 : flavone 系(계) 物質(물질)
葯效 : 淋疾(임질)완원추리 : 방추근(紡錘根)을 훤초(萱草), 花를 금침채(金針菜)
成分 : 有效成分未詳(유효성분미상)이나 아미노산, sterol 등을 含有(함유)하였다.
葯效 : 利尿(이뇨), 止血(지혈), 黃疸(황달), 衄血(뉵혈), 乳汁不通(유즙불통), 花(화)는 消化
劑(소화제), 利尿劑(이뇨제)로 사용
왕과근 (王瓜根)
性味 : 味苦, 性寒. 歸經 : 胃 大腸. 用量 : 6 ~ 15g
葯理 : 王瓜(왕과)의 쿠쿠르비타신 이라는 성분이 癌細胞(암세포)의 呼吸(호흡)을 抑制
(억제) 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鼻咽癌(비인암), 胃癌(위암), 長巖(장
암) 等에王瓜(왕과)의 種子(종자)나 根(근)을 쓰는데 특히 王瓜根(왕과근)은 末期
癌患者(말기암환자)의 痛症(통증)을 除祛(제거)하거나 减少效果(감소효과)가
매우 크다.
主治 : 解熱(해열), 生津(생진), 祛瘀(거어), 癰腫(옹종), 通便(통변), 利尿(이뇨), 通乳(통
유), 除骨停水(제골정수). ☆☆☆ 癌病鎭痛要葯(암병진통요약)
臨床 : 1) 鎭痛(진통)
⑴ 癌末期患者(암말기환자)의 痛症除祛(통증제거) 혹은 痛症减少(통증감소)
에 效力(효력)이 認定(인정)됐다. 乾王瓜根(건왕과근) 0.5~2g씩 씹어서 服
用(복용)하였더니 5~30分 후부터 30分에서 72 時間(시간) 鎭痛效果(진통
효과)가 繼續(계속) 되였다는 보고가 있다고(뉴스메이커 357호 2000.01.
20.) 보도 되였다.
2) 淸熱解毒(청열해독) : 술로 인하여 肝(간)을 傷(상)했거나 黃疸(황달)로 熱(열)
이 甚(심)하게 나는 症勢(증세)
3) 美容(미용) : 鮮品(선품)의 줄기를 根莖(근경)에서 자르면 물이 많이 나오는데
이를 美容水(미용수)로 쓰면 살결이 옥같이 고와지고 하얗게 된
다.
왕과실 (王瓜實)
性味 : 味苦, 性寒. 歸經 : 心 腎. 用量 : 3 ~ 15g
主治 : 糖尿病(당뇨병), 黃疸(황달), 慢性咽喉炎(만성인후염). 鼻咽癌(비인암), 胃癌(위
암),腸癌(장암) 等. ☆☆☆☆ 癌治療要葯(암치료요약)
臨床 : 1) 凍傷(동상), 火傷(화상), 身一部麻痹(신일부마비)
① 鮮品(선품)으로 摩擦(마찰)하면 神效(신효)하다.
왕과자 (王瓜子) 性味 : 味酸 苦,
性平. 歸經 : 肺 大腸. 用量 : 3 ~ 15g
功能 : 止咳(지해), 健肺(건폐).
用法 : 吐血(토혈), 嘔吐(구토), 腸風(장풍), 白帶(백대), 黃疸(황달).
用法 : 炒用(초용).
왕대 : 竹茹(죽여)왕매발톱나무 : 광엽소벽 (廣葉小蘗)
왕불유행 (王不留行-活血祛瘀) Vaccaria segetalis (Neck) Garcke. 成熟種子(성숙종자)
性味 : 味苦, 性平. 歸經 : 肝 胃. 用量 : 6 ~ 10g
葯理 : 王不留行(왕불유행) 煎劑(전제)와 乙醇浸劑(을순침제)를 쥐(大鼠)의 离体子宮
(리체자 궁)에서 收縮作用(수축작용)을 하는데 그중에 乙醇浸劑(을순침제)의
작용이 비교적 强(강)하다.
功能 : 活血通經(활혈통경), 下乳(하유), 消癰(소옹), 利尿通淋(이뇨통림), 유옹종통
(乳癰腫痛)
臨床 : 1) 活血通經(활혈통경)
⑴ 痛經(통경), 經閉(경폐)
① 常配 當歸(당귀), 川芎(천궁), 紅花(홍화)
2) 下乳(하유) : 産后(산후) 乳汁不下(유즙불하), 乳癰(유옹)
⑴ 産后乳汁不通(산후유즙불통) : ① 配 穿山甲(천산갑)
⑵ 産后氣血虧虛(산후기혈휴허) 乳汁稀少(유즙희소)
① 配 黃芪(황기), 當歸(당귀).
② 或配 瓜蔞(과루), 蒲公英(포공영)
3) 利尿(이뇨) : 泌尿道結石下排(비뇨도 결석 하배)
⑴ 利尿通淋(이뇨통림) :
① 配 石葦(석위), 瞿麥(구맥)
4) 近年(근년) 前列腺炎(전열선염) :
① 配 紅花(홍화), 敗醬草(패장초) 同用(동용)
注意 : 孕婦愼用(잉부신용)
왕자귀나무 : 조선합환목 (朝鮮合歡木)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