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44 / 오호 (五虎) - 외노궁 (外勞宮)

Aktualisiert: 14. Aug. 2019


오호 (五虎) : 기혈(寄穴) - 수지부(手指部)

定位 : 집게 손가락 두 번째 마디 끈에 있으며 주먹을 쥐고 잡는다.

主治 : 오지구축(五指拘縮)(contracture) - 뜸(灸) 5 壯

오호 (五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뒤꿈치의 정중선 앞으로 5 촌에서 내측으로 1 촌

主治 : 이질(痢疾), 설사(泄瀉).

操作 : 1~1.5寸 직자(直刺) 혹은 투자(透刺)한다.

옥당 (玉堂) : 임맥(任脈)

CV-18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제 3 늑간극(肋間隙)과 평행.

主治 : 해수(咳嗽), 기천(氣喘), 천식(喘息), 기관지염(氣管支炎), 폐기종(肺氣 腫), 번

심(煩心), 흉통(胸痛), 늑간신경통(肋間神經痛), 인염(咽炎), 구토(嘔吐), 식욕

부진(食欲不振). 종격동(縱膈疼), 종양(腫瘍)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 ① 번심(煩心), 구토(嘔吐) - 加 유문(幽門).

② 흉통(胸痛) - 加 거궐(巨闕), 극문(郄門).

③ 인염(咽炎) - 加 천돌(天突), 염천(廉泉).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옥액 (玉液) ⇒ 금진(金津)․ 옥액(玉液)

옥예 (屋翳)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15 定位 : 제 2 늑간극(肋間隙),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4寸.

主治 : 해수(咳嗽), 기천(氣喘), 흉협통(胸脇痛), 기관지염(氣管支炎), 늑간신 경통

(肋間神經痛), 유선염(乳腺炎), 피부통증(皮膚痛症), 경련(痙攣).

臨床 : ① 해수(咳嗽), 천식(喘息) -

加 대추(大椎), 폐유(肺兪), 전중(顫中), 선기(璇璣), 척택(尺澤).

② 흉협(胸脇), 륵골동통(肋骨疼痛) -

加 삼양락(三陽絡)과 극문(郄 門)을 투자(透刺).

操作 : 0.3~0.5寸 외측(外側)으로 사자(斜刺) 혹은 평자(平刺)., 깊이 찌르지 말것.

옥침(玉枕)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9 定位 : 락각혈(絡却穴) 뒤 4寸, 두중선(頭中線) 뇌호혈(腦戶穴)옆 1.3寸, 침외조융

(枕外粗隆) 상연(上椽) 외측(外側).

主治 : 두통(頭痛), 현운(眩暈), 두항강통(頭項强痛), 안질병(眼疾病), 근시(近視),

비색(鼻塞).

臨床 : ① 두항강통(頭項强痛) - 加 풍지(風池), 백회(百會), 합곡(合谷).

② 안병(眼病) - 加 풍지(風池), 태양(太陽), 태충(太冲).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온류 (溫溜)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7 극혈(郄穴)

定位 : 양계(陽溪)와 곡지혈(曲池穴) 연선위에 양계혈(陽溪穴) 위로 5寸, 오목한 함

요부(陷凹部).

效能 : 청사열(淸邪熱), 리장위(理腸胃)

主治 : 두통(頭痛), 면부종(面浮腫), 인후종통(咽喉腫痛, 喉痹), 뉵혈(衄血), 구설종

통(口舌腫痛), 구내염(口內炎), 설염(舌炎), 치통(齒痛), 장명복 통(腸鳴腹痛),

견배통(肩背痛), 전완부동통(前脘部疼痛), 편도선염(扁 桃腺炎), 이하선염

(耳下腺炎), 하지경련(下肢痙攣), 정신병(精神病).,두경부암(頭頸部癌)의 발

열증(發熱症).

臨床 : ① 인후염(咽喉炎) - 加 곡지(曲池).

② 구창(口瘡) 중설(重舌) - 加 통리(通里).

③ 치통(齒痛) - 加 내정(內庭).

④ 복통(腹痛), 설사(泄瀉) - 加 족삼리(足三里), 상거허(上巨虛).

操作 : 0.5~0.8寸 직자(直刺)한다. 가구(可灸).

온침 (溫針) : 호침(毫針)을 혈(穴)에 자입(刺入)시킨후 유침(留針)하는 동안 침자루 끝에 쑥뭉치

혹은 애조(艾蓧)를 꼽아 불을 붙인후 침을 뜨겁게 하여 병을 치료 하는 방법이다.

근대에는 전열침(電熱針)으로 발전되였는데 역시 온침류에 속한다.

用法 : 호침(毫針)을 자입(刺入)시킨 후 질병(疾病)의 허실(虛實)에 따라 일정한 보 사수법

(補瀉手法)을 진행한 후 대추씨만한 쑥 혹은 길이 2cm 되는 애조(艾 蓧)를 침 자루

끝에 꼽아놓고 불을 달여 금속침(金屬針)의 전도특성(傳導特 性)에 의해 열(熱)을

서서히 피부(皮膚)와 근육(筋肉) 속으로 스며들게 한다

治療 : 온침(溫針)은 기혈(氣血)을 통(通)하게 하고 또 온통경락(溫通經絡) 하기에 한기

(寒氣)가 경락(經絡)에 체(滯)해 있어 기혈(氣血)이 막힌 병증에 사용된 다. 예를 들

면 요통(腰痛), 척주통증(脊柱痛症), 사지냉비(四肢冷痺), 위복냉 통(胃腹冷痛), 한

성설사(寒性泄瀉), 복창(腹脹) 등 증상 등이다.

注意 : 온침사용시 쑥(艾)을 든든히 꼽고 표면은 반반해야 한다. 쑥불이 떨어지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하여 두꺼운 종이를 구멍을 내어 침에 꽂아 내려서 피부를 덮어 놓으며

환자(患者)는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풍증(風證), 경련(痙攣), 열성병(熱性病), 고혈

압(高血壓) 등 에는 온침(溫針)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온화구 (溫和灸) : 약조(葯蓧)의 한쪽 끝에 불을 붙인 후 환부(患部)에서 약 0.5~1촌(2~3cm)쯤

떨어져 대고 화기(火氣)를 쪼이는 식으로 뜸을 뜬다. 국부에 따뜻한 감이 있되

뜨겁고 아프면 안 된다. 보통 한 곳에 3~5분가량 쪼여서 피부가 약간 붉어지

면 된다.

主治 : 풍습병(風濕病)

완 (腕) : 이혈(耳穴) : 수근(手根)

定位 : 주상와(舟狀窩) - 6 等分 중에서 第二等分点

主治 : 手根 - 손목동통, 팔목관절 활동장애.

완골 (腕骨) :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 원혈(原穴)(락혈(絡穴)은 지정(支正))

SI-4 定位 : 후계혈(后溪穴) 바로 위에 제 5 장골(掌骨)과 삼각골(三角骨)의 적백 육제

(赤白肉際).

效能 : 소풍청열(疏風淸熱), 소경활락(疏經活絡).

主治 : 두항강통(頭項强痛), 이명(耳鳴), 목예(目翳), 수지경련(手指痙攣), 완 통(腕

痛), 황달(黃疸), 열병무한(熱病无汗), 학질(瘧疾), 협통(脇痛), 비뉵(鼻衄), 계

종(瘈瘲), 경협부종(頸頰浮腫), 당뇨병(糖尿病), 경풍(驚 風), 경련(痙攣), 위통

증(胃痛症).

現代 : 담낭염(膽囊炎), 주관절통(肘關節痛), 완관절통(腕關節痛), 주, 수근,

지, 관절염(肘,手根,指,關節炎), 당뇨(糖尿), 위염(胃炎).

臨床 : ① 당뇨병(糖尿病). :

加 ㉠ 족삼리(足三里), 비수(脾兪).

㉡ 췌수(膵兪), 비수(脾兪), 족삼리(足三里).

② 이명(耳鳴), 이농(耳聾) - 加 통리(通里), 예풍(翳風), 청궁(聽宮).

③ 상한발황(傷寒發黃) - 加 신맥(申脈), 외관(外關), 용천(湧泉).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완골 (完骨)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12 【甲乙】에 족태양(足太陽) 소양(少陽)의 會

定位 : 엽골, 유돌(乳突) 후하방(后下方)의 오목한 함요부(陷凹部).

主治 : 두통(頭痛), 현운(眩暈), 불면증(不眠症), 경항견통(頸項堅痛), 구괘(口 喎),

이농(耳聾), 이명(耳鳴), 학질(瘧疾), 두면부부종(頭面部浮腫), 안 면신경마

비(顔面神經麻痹), 이하선염(耳下腺炎), 전간(癲癎), 뇌출혈 시(腦出血時) 사

혈혈(瀉血穴).

臨床 : ①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 加 열결(列缺).

② 인후염(咽喉炎) - 加 천유(天牖), 전곡(前谷).

③ 경항견통(頸項堅痛), 락침(落枕) - 加 천주(天柱), 후계(后溪), 절 골(折骨).

操作 : 아래로 0.5~0.8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외과첨 (外踝尖) : 기혈(寄穴)EX - 하지부(下肢部)LE : 일명 족외과첨혈(足外踝尖穴)

EX-LE9 定位 : 외과첨(外踝尖)(lateral malleolus)

主治 : 각기(脚氣 - beriberi), 치통(齒痛), 십지련급(十指攣急)으로 굴신불리

(屈伸不利).

操作 : 침자출혈(針刺出血)하고 뜸(灸) 7 壯.

외관 (外關)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5 락혈(絡穴)(원혈(原穴)은 양지(陽池)),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 양유맥(陽維脈)과 통한다.

定位 : 완횡문(腕橫紋)위 2寸, 요골(撓骨)과 척골(尺骨)사이.

效能 : 소산풍열(疏散風熱), 통경활락(通經活絡).- 거육음표사(祛六淫表邪), 소삼

초옹열(疏三焦壅熱), 통경락기체(通經絡氣滯). 보법(補法) - 온양산한(溫陽

散寒), 부정고표(扶正固表). 사법(瀉法) - 청강삼초화열(淸降三焦火熱), 화해

소양(和解少陽)

主治 : 주로 감기(感氣), 경락병(經絡病), 피부병(皮膚病)을 치료하며, 림읍혈(臨泣

穴)과 주객상응(主客相應)한다.

열병(熱病), 두통(頭痛), 편두통(偏頭痛), 이명(耳鳴), 이농(耳聾), 이 하선염

(耳下腺炎), 목적종통(目赤腫痛), 견배통(肩背痛), 락침(落枕), 협통(脇痛), 라

력(瘰癧, 連珠瘡), 주비굴신불리(肘臂屈伸不利), 마목 (痲木), 상지마비(上肢

麻痹), 반신불수(半身不遂), 전완신경통(前腕神 經痛), 수전증(手顫症), 이곽

습진(耳廓濕疹), 라력성피부결핵(瘰癧性皮膚結核), 절종(癤腫), 편평우(扁

平疣), 심상우(尋常疣), 급성담마진(急性蕁麻疹), 수한포진(手汗疱疹), 수다

한증(手多汗症), 수선감염(手癬感染), 소양증(瘙痒症).

사지(四肢)의 관절염(關節炎), 무릅이 차가운 것, 사지(四肢)를 쓰지 못하는

것, 머리가 어지러운 것, 사타구니 내외(內外)의 뼈와 근육 (筋肉)이 아플 때,

머리, 목, 눈썹 뼈가 아픈 것, 손발이 마비되고 식 은 땀이 나는 것, 파상풍

(破傷風), 목적(目赤), 상한(傷寒)으로 자한 (自汗)하여 피부(皮膚)에 습기(濕

氣)가 많은 것은 외관혈(外關穴)에 침(針)을 가하면 유효하다.

現代 : 감기(感氣), 유행성독감(流行性毒感), 폐염(肺炎), 시선염(腮腺 炎), 급

성결막염(急性結膜炎), 수건관절(手腱關節, 腕關節)하수(下垂), 중이

염(中耳炎), 유뇨(遺尿), 종양발열증(腫瘍發熱症)

臨床 : ① 편두통(偏頭痛) - 加 족림읍(足臨泣).

② 견비통(肩臂痛) - 加 곡지(曲池), 견료(肩髎).

③ 수관절동통(手關節疼痛) - 加 투내관(透內關),

④ 감기(感氣) :

加 ㉠ 대추(大椎), 곡지(曲池), 합곡(合谷).

加 풍한(風寒)에 열결(列缺). 풍열(風熱)에 척택(尺澤),

㉡ 백회(百會), 합곡(合谷), 열결(列缺).

⑤ 이농(耳聾) - 加 청회(聽會)를 각각 배용(配用)한다.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외구 (外丘)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① 옛 담경(膽經).

GB-36 ② 극혈(郄穴).

定位 : 외측과골(外側踝骨)위 7寸, 비골전면(腓骨前面)에서 취혈(取穴).

主治 : 흉협창만(胸脇脹滿), 흉막염(胸膜炎), 측부흉통(側部胸痛), 경항견통 (頸項

堅痛), 하지마비(下肢麻痹), 우울증(憂鬱症), 편마비(偏麻痹)(파킨슨病), 좌

골신경통(坐骨神經痛), 비복기경련(腓腹肌痙攣), 두통(頭 痛), 항강(項强),

전간(癲癎).

臨床 : ① 흉협창만(胸脇脹滿) - 加 간수(肝兪), 담수(膽兪), 태충(太冲).

② 경항견통(頸項堅痛) - 加 풍지(風池), 후계(后溪).

操作 : 1-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외노궁 (外勞宮) : 기혈(寄穴)EX - 상지부(上肢部)UE

EX-UE8 定位 : 상팔사(上八邪) 중에 제 2와 제 3 중수골(中手骨) 사이, 제 3 과 제 4

중수골(中手骨)사이를 혈처(穴處)로 하고 있다.

主治 : 지불능신(指不能伸), 영아(嬰兒) 파상풍(破傷風), 설사(泄瀉).

操作 : 침자(針刺) 5 分, 뜸(灸) 3 장

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