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곡 (然谷)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KI-2 오수혈(五輸穴)의 형혈(滎穴)(火)
定位 : 족주골조융(足舟骨粗隆) 전하면(前下面) 오목한 함요(陷凹).
效能 : 자음보폐(滋陰補肺), 청열이습(淸熱利濕), 익음청열(益陰淸熱). - 加 퇴신열
(退身熱), 소궐기(疏厥氣), 리하초(理下焦).
主治 : 월경이상(月經異常), 붕루(崩漏), 대하(帶下), 음정(陰挺), 음양(陰痒), 유정
(遺精), 양위(陽痿), 각혈(咯血), 기천(氣喘. 喘息), 인후종통(咽喉 腫痛), 인후
염(咽喉炎), 만성(慢性) 편도선염(扁桃腺炎), 심근염(心筋 炎), 당뇨병(糖尿
病), 소변불리(小便不利), 유뇨(遺尿), 방광염(膀胱 炎), 황달(黃疸), 흉협창통
(胸脇脹痛), 자한(自汗), 도한(盜汗), 아관긴 폐(牙關緊閉), 구금(口噤), 파상
풍(破傷風)(角弓反張 厭氧菌(O2 不 足), 설사(泄瀉), 하지마비(下肢麻痹), 족
배통(足背痛). 암병(癌病)의 주요배합혈(主要配合穴).
臨床 : ① 발과 발가락 통증 -
加 ㉠ 태충(太冲), 용천(湧泉).
㉡ 태충투용천(太冲透湧泉),
② 인후종통(咽喉腫痛) - 加 태계(太溪).
③ 유연(流涎) - 加 복류(復溜).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연액 (淵腋)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22 定位 : 배꼽 아래(腋下) 3寸, 액중선(腋中線) 제 4늑간(肋間), 거비(擧臂) 취혈(取穴).
主治 : 흉부창만(胸部脹滿), 흉막염(胸膜炎), 흉부(胸部) 근육경련(筋肉痙攣), 늑간
신경통(肋間神經痛), 협통(脇痛), 액와부종대(腋窩部腫大), 액와 임파절염
(腋窩淋巴節炎), 견비통(肩臂痛), 해수(咳嗽), 발열(發熱). 유방암(乳房癌) 배
합혈(配合穴).
臨床 : ① 흉협통(胸脇痛) - 加 첩근(輒筋), 거료(巨髎), 지음(至陰).
② 비통불거(臂痛不擧) - 加 천종(天宗), 견우(肩髃), 조구(條口).
操作 : 0.5~0.8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심하부(心下部)에 폐장(肺臟)이 있으므
로 심자(深刺)하지 말것.
연중 (緣中) : 이혈(耳穴)
定位 : 대이병(對耳屛) 끝과 륜병절적(輪屛切迹) 사이의 중점(中點)에 있다.
主治 : 유뇨(遺尿) 실면(失眠) 등 대뇌피질(大腦皮質)의 흥분과 억제(抑制) 를 조절
하는 작용이 있다. 신경계통(神經系統) 내분비계통(內分泌系統)의 疾病을
치료하며 또 주유증(侏儒症) 자궁공능성출혈(子宮功能性出血) 신경성다뇨
(神經性多尿), 메니에르綜合證 등에 사용한다.
열결 (列缺) :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LU-7 락혈(絡穴)(원혈(原穴)은 태연(太淵)) → 양명경(陽明經),
팔맥교회혈(八脈交會穴), 임맥(任脈)에 통(通)
定位 : 요골경돌(橈骨莖突)위, 완횡문(腕橫紋) 위 1.5寸에서 취혈(取穴)한다. 간편
한 정위법(定位法)은 양 손의 모지와 식지를 벌려 교차(交叉)한 후 한손의
식지를 다른 한손의 橈骨 경돌(莖突) 위에 올려놓으면 식지 끝이 닫는 오목
한 부위
作用 : 선폐평천(宣肺平喘), 이인윤장(利咽潤腸), 거풍(祛風), 소통경락(疏痛 經絡),
통조임맥(通調任脈).
效能 : 보법(補法) - 보폐익기(補肺益氣) 사법(瀉法) - 소위해표(疏衛解表), 선통폐
기(宣通肺氣)
主治 : 주로 심(心), 복(腹), 협(脇), 륵골(肋骨), 육장병(六臟病)을 다스리고, 조해혈
(照海穴)과 주객상응(主客相應)한다.
경항강통(頸項强痛), 해수(咳嗽), 각혈(咯血), 기천(氣喘), 효천(哮喘), 후두
염(喉頭炎), 인후종통(咽喉腫痛), 기관지염(氣管支炎), 감모(感 冒), 두통(頭
痛), 신경성두통(神經性頭痛, 血管神經性頭痛), 담마진 (蕁麻疹), 안면신경
마비(顔面神經麻痹), 구금(口噤), 구안괘사(口眼喎 斜), 삼차신경통(三叉神
經痛), 치통(齒痛), 경한(驚閑), 혈뇨(血尿), 소변열감(小便熱感), 소변난(小便
難), 단백뇨(蛋白尿), 수관절(手關節) 주위연부조직질병(周圍軟部組織疾
病), 완관절염(腕關節炎). 소양증(瘙痒症), 좌창(痤瘡), 단순포진(單純疱疹),
주사비(酒渣鼻), 석면상피염(石棉狀皮炎)
폐암(肺癌)의 배합혈(配合穴).
치질(痔疾), 학질(瘧疾), 가래톳, 설사(泄瀉), 이질(痢疾), 복통(腹痛), 목구멍
이 막힌 것, 산후에 설강(舌强)으로 말을 못하는 것, 요통(腰 痛),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배꼽의 냉증(冷症), 사태불하(死胎不下), 횡격막(橫膈膜)과 중
초(中焦)가 차가운 것, 유방(乳房)의 종기(腫氣) 는 열결혈(列缺穴)이 흩어준
다.
臨床 : ① 인후종통(咽喉腫痛) - 加 조해(照海).
② 두항강통(頭項强痛), 두통(頭痛), 경항강통(頸項强痛), 해혈(咳血).-
加 후계(后溪).
③ 협착성건초염(狹窄性腱鞘炎) - 加 양계(陽溪), 압통점(壓痛点).
④ 장중열(掌中熱) - 加 경거(經渠), 태연(太淵).
操作 : 침첨(針尖)을 팔굽을 향해 비뚤게 0.2~0.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영충 (營衝) : 기혈(寄穴) - 하지부(下肢部) : 一名 영지(營池)
定位 : 내과(內踝)아래 전후(前後) 함요부(陷凹部)
主治 : 적백대하(赤白帶下), 뇨폐(尿閉)(ischuria).
治法 : 침자(針刺) 0.3寸, 혹 뜸(灸) 30壯
영향 (迎香)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20 【甲乙】에 수족양명(手足陽明)의 교회혈(交會穴).
定位 : 비규(鼻竅) 외측 0.5寸, 비순구(鼻脣區)에서 취한다.
效能 : 통비규(通鼻竅), 산풍사(散風邪), 청기화(淸氣火). 보법(補法) - 장근보허(壯
筋補虛). 사법(瀉法) - 선통비규(宣通鼻竅), 선산울열(宣散鬱熱)
主治 : 비색무취(鼻塞无臭, 嗅覺減退), 비색(鼻塞), 비식육(鼻息肉), 뉵혈(衄 血), 급
만성(急慢性) 비염(鼻炎), 부비강염(副鼻腔炎), 구괘(口喎), 면양(面痒), 면
신경마비(面神經麻痹), 두통(頭痛), 담도회충증(膽道蛔 虫症), 주사비(酒渣
鼻), 좌창(痤瘡), 구주위피염(口周圍皮炎), 피지일출(皮脂溢出). 비인두암(鼻
咽竇癌)의 배합혈위(配合穴位).
臨床 : ① 뉵혈(衄血), 비색(鼻塞)- 加 합곡(合谷), 상성(上星), 인당(印堂).
② 만성비염(慢性鼻炎) - 加 인당(印堂), 합곡(合谷).
③ 부비강염(副鼻腔炎) -
加 상성(上星), 영향투비통(迎香透鼻通), 곡 지(曲池), 합곡(合谷).
④ 안면소양(顔面瘙痒), 부종(浮腫) - 加 합곡(合谷).
⑤ 담도회충증(膽道蛔虫症) -
加 투사백(透四白), 인중(人中), 담낭혈 (膽囊穴), 족삼리(足三里), 중완(中
脘).
操作 : 비(鼻) 방향으로 0.3~0.5寸 사자(斜刺), 금구(禁灸).
예명 (翳明) : 기혈(寄穴)EX - 두경부(頭頸部)HN
EX-HN14 定位 : 흉쇄유돌기(胸鎖乳突肌) 정지부(停止部) 유돌하방(乳突下方) 예풍혈 (翳風
穴) 뒤 1寸.
主治 : 안질병(眼疾病), 근시(近視), 원시(遠視), 야맹증(夜盲症), 시신경위축 (視神
經萎縮), 백내장(白內障), 이명(耳鳴), 현운(眩暈), 이하선염(耳 下腺炎), 두통
(頭痛), 불면(不眠), 정신병(精神病).
臨床 : ① 실면(失眠) - 加 인당(印堂), 내관(內關), 삼음교(三陰交).
② 조기경증(早期輕症)의 백내장(白內障)- 加 구후(球后), 정명(睛明)
③ 시신경위축(視神經萎縮) - 風池 上睛明 球后,
④ 內耳性眩暈(내이성현운) -
加 사독(四瀆), 풍지(風池), 아문(啞門), 내관(內關), 태충(太冲).
治法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예풍 (翳風)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17 수족소양(手足少陽)의 會
定位 : 귀밥뒤 하합각(下頜角)과 유돌(乳突)사이의 오목한 함요부(陷凹部).
效能 : 거풍통락(祛風通絡), 통규총이명목(通竅聰耳明目).
主治 : 신경성(神經性) 이명(耳鳴), 이농(耳聾),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아 관긴폐
(牙關緊閉), 아통(牙痛), 안통(眼痛), 협종(頰腫), 하합관절탈 구(下頜關節脫
臼), 악하선염(顎下腺炎), 연주창(連珠瘡, 瘰癧), 외이 도염(外耳道炎), 중이
염(中耳炎), 모든 풍병(一切風病).
現代 :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이하선염(耳下腺炎. 사선염), 하합 관절염
(下頜關節炎, 顎關節炎). 청신경종양(聽神經腫瘍)의 주요혈위(主要
穴位). 비인두암(鼻咽竇癌)의 배합혈(配合穴).
臨床 : ① 이농(耳聾) 이명(耳鳴) -
加 합곡(合谷), 이문(耳門), 청회(聽會), 삼리(三里).
② 이하선염(耳下腺炎) - 加 협거(頰車), 합곡(合谷).
③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痹) .-
加 ㉠ 협거(頰車), 지창(地倉), 사백(四白).
㉡ 견정(牽正), 지창(地倉), 영향(迎香).
④ 하악관절통(下顎關節痛) - 加 하관(下關).
⑤ 이명(耳鳴) - 加 청궁(聽宮), 청총(聽聰), 청혈(聽穴).
⑥ 폭음실어(暴音失語) - 加 통리(通里).
操作 : 0.5~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오십일호 (五十一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뒤꿈치의 정중선 앞 4 촌에서 외측으로 2.5 촌이다. 삼호혈(三号
穴) 뒤로 1 촌이다.
主治 : 륵간신경통(肋間神經痛), 흉통(胸痛), 가슴이 답답한 증상 (胸悶)
操作 : 0.5寸 직자(直刺)한다.
오십호 (五十号) : 족침(足針)
定位 : 외과(外踝)와 내과(內踝)를 연선한 발바닥 중점인 일호혈(一号 穴)에서
내측으로 1 촌이다.
主治 : 삼차신경통(三次神經痛)
操作 : 0.5~1.5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오자론 (五刺論)
본편은 다섯 종류의 침자법(針刺法)으로서 육장(六臟) 그 반응 나타내는 침자법(針 刺
法)으로 반자법(半刺法), 표문자(豹文刺), 관자법(關刺法), 합곡자(合谷刺), 수자법 (輸
刺法)을 말한다
⑴ 半刺法 : 피부에 얕게 살짝 찔러 넣었다가 속히 빼는 것으로 침 끝이 기육(肌 肉)까
지 들어가서는 안 되고 피(皮)에서 기(氣)를 취(取)하여야 만이 폐(肺)와 격
(膈)에 응(應)하는 것이다.
⑵ 豹文刺 : 혈맥(血脈)을 치료할 목적으로 좌우, 전후에서 혈맥(血脈)을 향하여 찌 르
고 혈맥(血脈)의 락맥(絡脈)에서 출혈시키면 심주혈(心主血)로서 심 장(心
臟)에 응(應)하게 하는 방법이다.
⑶ 關刺法 : 관절(關節)의 근상(筋上)을 찌르는 것으로 관절(關節)의 좌우 근상(筋 上)을
직자(直刺)하여 근의 통증과 저린 것을 치료할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출
혈(出血)되지 않도록 신중히 하여야 한다. 간주근(肝主筋) 이므로 간(肝)에
응(應)하는 방법이다.
⑷ 合谷刺 : 기육(肌肉)사이를 찌르되 가운데 침 1 개, 좌우에 침 2 개를 닭다리처 럼 찔
르는 방법이다. 기육(肌肉)의 통증(痛症), 마비(痲痹) 등을 치료 한다. 비주
기(脾主肌)이므로 비(脾)에 응(應)하는 치료방법이다.
⑸ 輸刺法 : 이것은 소통시키고자 하는 방법이다. 직자(直刺)해서 직출(直出)하는 방법
으로 뼈에 닿도록 깊이 찔러서 골통(骨痛), 골의 저린 것 등을 치료한다. 신
주골(腎主骨) 이므로 신(腎)에 응(應)하는 치료 방법이다.
오처 (五處)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5 定位 : 곡차(曲差)에서 위로 5푼, 발제(髮際)속으로 1寸, 두중선(頭中線)에서 1.5
寸.
主治 : 두통(頭痛), 현운(眩暈), 목현(目眩), 근시(近視), 간질병(癎疾病), 소 아경풍
(小兒痙風), 전간(癲癎), 비염(鼻炎).
臨床 : ① 두통(頭痛) - 加 합곡(合谷), 백회(百會).
② 경련(痙攣) - 加 신주(身柱), 위중(委中), 곤륜(崑崙).
操作 : 0.3~0.5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오추 (五樞)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27 【素問․氣府論】에 족소양(足少陽) 대맥(帶脈)의 會
定位 : 가전상극(髂前上棘) 앞 0.5寸 배꼽 아래(臍下) 3寸과 평행(平行).
主治 : 산기(疝氣), 하복통(下服桶), 월경이상(月經異常), 적백대하(赤白帶 下), 대
하과다(帶下過多), 요관골통(腰髖骨痛), 자궁내막염(子宮內膜 炎), 고환염
(睾丸炎), 비뇨기계(泌尿器系) 질환(疾患), 위경련(胃痙 攣), 변비(便秘). 자
궁경부암(子宮經部癌)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 ① 하복통(下服桶) - 加 대맥(帶脈), 관원(關元).
② 산기(疝氣) - 加 태충(太冲), 곡천(谷泉).
③ 대하(帶下) - 加 삼음교(三陰交), 관원(關元).
④ 요, 관골통(腰, 髖骨痛) - 加 위중(委中), 거료(居髎).
⑤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 加 대맥(帶脈), 자궁(子宮).
⑥ 고환염(睾丸炎) - 加 곡천(谷泉), 태충(太冲).
⑦ 음낭위축(陰囊萎縮) - 귀래(歸來)을 각각 배용(配用)한다.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