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약전57 / 약물복용법 (葯物服用法) - 약물포제 (葯物炮制)

Aktualisiert: 7. Aug. 2019

약물복용법 (葯物服用法)

1) 돈복(頓服) : 단번에 약의 전량을 마시는 것을 말한다.

2) 송복(送服) : 송하(送下)라고도 하며, 환약(丸葯)등의 효과(效果)를 더욱 높이기 위해

온수(溫水)나 탕약(湯藥) 등으로 복용하는 것을 말한다.

⑴ 온수(溫水)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복용법이며, 특히 청열약(淸熱葯)일 때

⑵ 생강탕(生姜湯) : 청열약(淸熱葯)일 때

⑶ 생강탕(生姜湯) : 온약(溫葯)이나 한(寒)을 제어할 때 복용법(服用法)

⑷ 청차(淸茶) : 두목(頭目)을 청(淸)하게 할 목적으로

⑸ 담염탕(淡塩湯) : 보약(補葯), 준약(峻葯)을 조제(調劑)한 약이나, 보신약(補腎葯)

을 복용할 때

⑹ 술(酒) : 거어활혈약(祛瘀活血葯)을 복용할 때

3) 평단복(平旦服) : 이른 아침(早朝) 飮食(음식)을 먹기전(空腹時)에 服用(복용)하는것.

약물포제 (葯物炮制)

1) 포제의 목적(炮制的目的) 炮制(포제)를 예로부터 炮灸(포구)라고 하였다. 炮制(포제)

는 약물(植物, 動物, 鑛物등의 葯劑)을 의료상(醫療上) 조제(調劑)와 제제(制劑)의 요구

에 따라 가공 및 처리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약제의 整形(정형), 잡질제거, 가열처리, 보조재료(鹽, 酒, 食醋, 蜜, 生姜 等)를 가하는

것과 보기 좋게 精制(정제)하는 것을 가리킨다. 약재의 포제에 관해서는 일찍이《神農

本草經》에서부터 이후의 남북조, 류송시대의 雷敲(뇌고)의《雷敲炮灸論》이 있으며

이 책은 제일 오래된 葯材炮制(약재포제)의 선구적인 저작이 된다. 후세의 사람들이

이를 기초로 하여 현제와 같은 炮制論(포제론)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그 방법

도 다양하고, 내용도 풍부하게 발전시켰다.

炮制(포제)의 目的(목적)은 아래와 같이 몇 가지로 歸納(귀납)된다.

⑴ 葯物(약물)의 毒性(독성), 熱性(열성) 혹은 부작용을 消去(소거)하고 降下(강하)케

한다.

① 川烏(천오), 草烏(초오)를 生(생)으로 內服(내복)하면 쉽게 中毒(중독)되기 때문

에 炮制(포제)가 要求(요구)되며, 炮制(포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② 巴豆(파두)는 泄瀉作用(설사작용)이 매서움(苛烈)으로 炮制(포제)를 하여 기름

을 빼고 霜(상)을 除祛(제거)한 후에 사용하면 毒性(독성)이 减少(감소)된다.

③ 常山(상산)은 毒(독)이 있으므로 酒炒(주초)한 후에 사용함으로써 부작용으로

吐(토)하게 되는 것을 輕减(경감)시킨다.

⑵ 葯物(약물)의 性質(성질)과 機能(기능)을 개변시켜서 病症(병증)에 적합한 作用(작

용)을 求(구) 함으로써 治愈(치유)에 도달한다.

① 地黃(지황)을 生(생)으로 사용하면 凉血作用(량혈작용)을 하고, 熟地黃(숙지황)

으로 만들어 쓰면 성질이 약간 溫(온)하게 되며 補血作用(보혈작용)이 强(강)해

진다.

② 蒲黃(포황)을 生(생)으로 사용하면 行血破瘀(행혈파어)하는 작용이 있고, 炭(탄)

으로 사용하면 止血作用(지혈작용)이 있게 된다.

⑶ 制劑(제제) 및 保管(보관)과 貯藏(저장)에 편리하다.

① 일반적으로 음편은 썰어서 사용하고, 鑛物(광물), 動物(동물)의 甲角(갑각), 혹은

어떤 種子類(종자류)의 약물은 가루를 내어 처리하면 有效成分(유효성분)이 잘

溶解(용해)되어 調配(조배)와 制劑(제제)에 편리하게 된다.

② 龍骨(용골), 瓦楞子(와릉자) 등은 불에 구워야 하며, 어떤 약은 貯藏 前에 말리어

야 하는데 生(생)으로 말리거나, 볶아서 말려 變質(변질) 또는 섞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枸杞子(구기자)는 말려야 하며, 槐花(괴화)는 볶아야 한다.

⑷ 葯物(약물)을 精制(정제)한다.

① 植物葯劑(식물약제)의 뿌리와 줄기에 훍과 잡질 등을 모두 제거하므로 순수한

약의 효능을 높인다.

② 枇杷葉(비파엽)의 털은 씻어 버려야 하고, 遠志(원지)는 씨를 없애야 하며, 海藻

(해조), 昆布(곤포)는 싱거운 비린내를 없애야 口服(구복)하기 편하다.

2) 포제의 방법(炮制的方法)

⑴ 修劑(수제)

① 純凈處理(순정처리) : 고르고(도(桃)), 가려서 줏고(간(揀)), 키질하며(파(簸)), 채

로 치고(사(篩)), 칼로 깍고(괄(刮)), 쓸거나 닦아서 맑게 씻는(쇄(刷)) 등 방법으

로 먼지와 잡질 및 쓸모없는 제거하여 葯物(약물)을 淨潔(정결)하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 : 枇杷葉(비파엽), 石葦葉(석위엽)은 뒤의 털(보슴털)을 씻어 버리고, 厚朴(후

박)은 두꺼운 질을 벗겨 버리며, 杏仁(행인)의 껍질을 벗기는 등이 純凈處理

(순정처리)이다.

② 粉碎處理(분쇄처리) : 敲碎(고쇄) 방아나 절구로 찧고(도(搗)), 맷돌로 갈고(년

(碾)), 깎고(방(鎊)), 줄로 쓸(좌(銼))는 등방법으로 약물을 粉碎(분쇄)하여 制劑

(제제)함으로써 기타 炮制(포제)에 적합한 葯劑(약제)가 되도록 한다.

예 : 牡蠣(모려)와 龍骨(용골)은 찧어야 湯劑(탕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며, 犀

角(서각), 羚羊角(영양각)은 대패 편으로 깎거나 줄로 쓸어서 가루를 내는

制劑(제제)를 통해 口服(구복)에 편리하게 한다.

③ 切制處理(절제처리) : 切碎(절쇄) 자르고(절(切)), 작두로 썰고(찰(鍘)) 하는 방법

으로 약을 일정한 규격으로 制成(제성) 시키므로 炮制(포제)에 편리하게 하며,

乾燥(건조)와 貯藏(저장) 및 조절에 편리하게하는 것이다.

예 : 天麻(천마)는 엷게 切制(절제)해야 하며, 澤瀉(택사), 白朮(백출)은 두텁게

切制(절제)하고, 白茅根(백모근), 麻黃(마황)은 한 단락씩 작두로 썰어서 사

용하는 등이 切制處理(절제처리)이다.

⑵ 水制(수제) 물(水) 혹은 술(酒)이나 식초(醋) 및 生薑汁(생강즙)과 같은 液體(액체)로

葯劑(약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水制(수제)라고 한다. 水制法(수제법)의 목적은 약

물을 淨潔(정결)하게하고, 毒性(독성)을 除祛(제거)하며, 軟化(연화)시켜서, 葯性

(약성)을 개변시키는데 있다. 흔히 사용하는 方法(방법)으로는 液体(액체)를 뿌리

고(淋), 액체로 씻으며(洗), 액체의 거품에 담그고(泡), 액체에 띄우며(漂), 액체에

담그고(侵), 액체에 적시며(潤), 액체에 행구는(水飛)등의 방법이 있다. 또 水制方法

(수제방법)으로는 아래와 같다.

① 洗漂法(세표법) : 맑은 물로 葯材(약재)를 씻어서 깨끗하게 한 후 乾燥(건조)시킨

다. 昆布(곤포), 海藻(해조) 등은 洗漂(세표)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② 潤法(윤법) : 液体(액체)로 葯物(약물)을 濕潤(습윤)하여 水分(수분)이 葯物組織

(약물조직) 內部(내부)에 滲入(삼입)되어 葯劑(약제)의 葯性(약성)

을 높이고, 軟化(연화)하여 切制(절제)에 편리하게 한다.

③ 侵泡(침포) : 맑은 液体(액체)에 오랫동안 담가서 葯材(약재)의 毒性(독성)을 减

(감)하는 것을 말한다. 生薑汁(생강즙)에 生半夏(생반하)를 侵泡(침

포)하는 등이 이에 속한다.

④ 水飛(수비) : 液体(액체)에 溶解(용해)되는 葯(약)을 液体(액체)와 함께 갈아서 가

루를 내어 물속에 가라앉은 가루를 가리킨다. 朱砂(주사)를 水飛

(수비)한다든가, 滑石(활석)을 水飛(수비)하는 등을 말한다.

⑤ 水洗(수세) : 葯劑(약제)를 물에 씻어서 쓰는 것으로 水洗甘草(수세감초), 水洗半

夏(수세반하)등이 있다.

⑥ 酒洗(주세) : 葯物(약물)을 술(酒)로 씻어서 쓰는 酒洗當歸(주세당귀), 酒洗地黃

(주세지황) 등이 있다.

⑦ 姜制(강제) : 약물의 효능을 높일 목적으로, 혹은 毒性(독성)을 除祛(제거)시킬

목적으로 半夏(반하)를 法制(법제)할 때 쓰는 것 등등이 있다.

⑶ 火制(화제) 葯材(약재)를 불에 가열하여 처리하며, 혹은 輔料(보료)를 加入(가입)해

서 불에 통째로굽는 炮制方法(포제방법)을 火制(화제)라고 한다.

① 炙(자) : 불에 구운 것을 炙(자)라 하는데 예로 甘草(감초), 黃芪(황기) 등을 炙(자)

함으로써 葯性(약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

② 炒(초) : 葯材(약재)를 가마에 넣고 저어가며 加熱(가열)해서 볶아 낸 것을 말한

다.

㉠ 淸炒(청초) : 輔料(보료)를 加(가)하지 않고 炒(초)한 것

㉡ 熬(오) : 炒(초)하여 노릇노릇하게 볶은 것을 炒黃(초황)이라 한다.

㉢ 焦(초) : 炒焦(초초) - 炒(초)하여 좀 검게 된 것.

㉣ 炭(탄) : 炒(초)하여 탄이된 것

방법(方法)

㉠ 炒黃(초황) : 種子葯(종자약)은 흔히 炒黃(초황)하며, 牛蒡子(우방자), 蘇子(소

자)를 炒(초)하여 健脾消食(건비소식) 작용을 增强(증강)시키다.

㉡ 炒焦(초초) : 炒(초)하여 좀 검게 한다. - 焦山楂(초산사, 炒山楂), 焦麥芽(초맥

아, 炒麥芽) 등이다.

㉢ 炒炭(초탄) : 炒(초)하여 炭(탄)이 되게 한다. - 대부분 止血葯(지혈약)은 炒炭

(초 탄)한 것으로써 지혈작용을 증강할 수 있다. 地楡炭(지유탄),

艾葉炭(애엽탄) 등이 이에 속한다.

㉣ 輔料(보료)를 섞어서 炒(초)하는 방법으로 刺戟性(자극성)을 减少(감소)시키

고, 葯效(약효)를 增强(증강)시킨다.

㉮ 흙에 白朮(백출)을 炒(초)하면 - 健脾(건비)하는 效能(효능)이 높아지고

㉯ 쌀에 斑蝥(반모)를 炒(초)하면 - 葯效能(약효능)이 增强(증강)되며

㉰ 滑石(활석)에 蛤蚧(합개)를 炒(초)하면 - 效能(효능)을 增强(증강)시키고,

㉱ 모래에 穿山甲(천산갑)을 炒(초)하고,

㉲ 蛤蚧粉(합개분)에 阿膠(아교)를 炒(초)하면 - 有效成分(유효성분)을 뽑는

데 편리하고, 口服(구복)하는데도 편리하다.

㉤ 炒珠(초주) : 잘게 해서 볶는 것

③ 구(灸) : 液体輔料(액체보료)를 葯材(약재)와 섞어서 輔料(보료)가 葯材組織(약

재조직) 내부에 들어가 약성을 개변시키고 효능을 높이며 약물의 부작

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灸(구)라고 한다.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꿀

(蜜), 술(酒), 식초(醋), 생강즙(姜汁), 소금물(鹽水), 어린애의 소변(童便)

등이다.

㉠ 꿀에 百部(백부)를 灸(구)하면 潤肺止咳(윤폐지해) 作用(작용)을 증강

시키고,

㉡ 술(酒)에 川芎(천궁)을 灸(구)하면 活血作用(활혈작용)이 增强(증강)

하며,

㉢ 醋(초)에 香附(향부)를 灸(구)하면 疏肝止痛(소간지통) 작용이 增强

(증강)하며,

㉣ 鹽水(염수)에 杜仲(두중)을 灸(구)하면 補腎(보신) 功能(공능)이 增强

(증강)한다.

④ 단(煅)

㉠ 葯物(약물)을 猛火(맹화)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빨갛게 달구어서 바삭하게

건조시키면 분쇄하기 쉽게 되고, 葯效(약효)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만드

는 것이다. 단단한 礦物葯(광물약) 혹은 背殼類(배각류)의 葯(약)은 흔히 직

접 불에 달구어 빨갛게 煅(단) 후에 사용한다.

㉮ 直接煅(작접단) : 紫石英(자석영), 海蛤殼(해합각) 등은 모두 煅(단)하여 사

용한다.

㉯ 間接煅(간접단) : 葯物(약물)을 耐火容器(내화용기)중에 밀봉하여 용기 밑

이 빨갛게 될 때까지 달구어 제작하는 것이다. 血余炭(혈

여탄)을 제작하는 방법이이에 속한다.

㉡ 약한 불로 葯物(약물)을 가열(加熱)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써 葯(약)을 깨

끗한 기왓장(瓦片) 위에 놓거나 혹은 냄비에 넣고 타지 않게 말리는 것이다

(焙燥). 焙(배)는 烘(홍)보다 열(熱)을 좀 더 강하게 한다.

⑤ 외(煨)

㉠ 잿불 속에 넣고 굽는 것.

㉡ 濕面粉(습면분) 혹은 젖은 종이에 葯材(약재)를 싸서 뜨거운 불 혹은 재속에

넣어 濕面粉(습면분) 가루와 젖은 종이가 모두 타서 검게 되었을 때 까지 굽

는다. 약물의 烈性(열성) 副作用(부작용)을 輕减(경감)시킨다.

⑷ 수화공제(水火共濟)

① 자(煮) : 맑은 물 혹은 液体輔料(액체보료)와 葯物(약물)을 함께 加熱(가열)하는

方法(방법)이다.

㉠ 醋(초)에 芫花(원화)를 삶으면 毒性(독성)이 减少(감소)되고,

㉡ 酒(주)에 黃芩(황금)을 삶으면 淸肺熱(청폐열) 작용을 增强(증강)시킨다.

② 증(蒸) : 水蒸氣(수증기) 혹은 물위에 葯物(약물)을 찌는 것을 가리킨다. 맑은 물

로 찌는 것과 輔料(보료)를 添加(첨가)가여 찌는 것으로 나눈다.

㉠ 맑은 물에 元參(원삼)을 찌는 것과

㉡ 酒(주)에 山茱萸(산수유)를 찌는 것은 葯效(약효)를 增强(증강)시키고 葯性

(약성)을 개변시키기 위한 것이다.

③ 단(單) : 葯物(약물)을 꿇는 가마에 迅速(신속)하게 넣었다가 즉시 꺼내는 方法

(방법)을 가리킨다. 흔히 種子類(종자류)의 葯物(약물)을 껍질을 벗기거

나 肉質多汁類(내질다즙류) 葯物(약물)을 말리기 위해 처리하는 방법으

로 사용한다. 杏仁(행인), 扁豆(편두), 天門冬(천문동) 등이 이에 속한다.

④ 쉬(淬) : 葯物(약물)을 불에 빨갛게 구은 후 迅速(신속)히 冷水(냉수) 혹은 液体輔

料(액체보료)에 넣어 바삭바삭하게 만드는 방법을 가리킨다. 醋(초)로

自然銅(자연동)을 淬(쉬)하며, 黃連汁(황련즙)으로 爐甘石(로감석)을 淬

(쉬)하면 葯效(약효)를 增强(증강)시키게 한다.

⑤ 蜜炙(밀자) : 약물을 구울 때 蜂蜜(봉밀)을 첨가하여 구운 炙甘草(자감초), 炙黃

芪(자황기) 등과 같은 약물을 예로 들 수 있다.

⑥ 醋炒(초초) : 약물을 볶을 때 食醋(식초)를 첨가해서 볶은 것으로 醋炒陳皮(초초

진피)같은 것이다.

⑦ 酒炒(주초) : 약물을 볶을 때 술(酒)을 添加(첨가)해서 볶는 것으로 活血化瘀(활

혈화 어)의 효능을 얻게 된다.

⑧ 其他(기타)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싹을 내거나, 醱酵(발효)시키거나, 상제

를 만드는 등 法制(법제)법을 말한다. 이 같은 法制(법제)의 목적은 약물의 성질

을 改善(개선)시켜서 效果(효과)를 增强(증강)시키고, 毒性(독성)과 副作用(부작

용)을 减少(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 밀은 싹을 내어 쓰고,

㉡ 神曲(신곡)은 醱酵法(발효법)으로 制劑(제제)한 것이며

㉢ 巴豆(파두)는 기름을 없애고 霜(상)을 사용하는 등이 이상의 法制(법제)에 속

한다.

양귀비 : 乳液乾燥(70℃ 以下) - 아편 (阿片), 씨방 - 앵속각 (罌粟殼)

48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약전102 / 황약자(化痰止咳 淸化熱痰) - 흰독말풀

황약자 (黃葯子-化痰止咳 淸化熱痰) Dioscorea bulbifera L. 塊莖(괴경) 性味 : 味苦, 性平. 有毒. 歸經 : 肺 肝. 用量 : 3 ~ 6g 葯理 : 本品(본품)은 動物(동물)에게 缺碘食物(결전식물 : 요드 함량이 부족한 음식)에 의한

약전101 / 활혈료상약(活血療傷葯) - 황백 (黃柏-淸熱燥濕)

활혈료상약 (活血療傷葯) 蟅虫(자충)(寒), 自然銅(자연동)(平), 蘇木(소목)(平), 骨碎補(골쇄보)(溫), 馬錢子(마 전자)(寒), 血 竭(혈갈)(平), 兒茶(아차)(凉), 劉寄奴(유기노)(溫). 歸經 肝 : 蟅虫(자충), 自然銅(자연동). 蘇木(소목). 骨碎補(골쇄보), 馬錢子(마전자), 血竭 (혈갈), 劉寄奴(유기노). 心 : 蘇木(소목), 血竭

약전100 / 화두충(和杜冲)- 활혈거어제 (活血祛瘀劑)

화두충 (和杜冲) : 사철나무 樹皮(수피) - Euonymi Cortex 成分 : 葉(엽)에 flavone pigments, friedelanol, friedelin, epifriedelinol, 根(근)에 alkaloid 水 種類(종류)가 알려져 있다. 葯效 : 强壯(강장), 鎭靜(진정), 神經痛(신경통), 腰痛(요통), 關節痛(관절통) 등 화마인 (火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