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40 / 십이경지해 (十二經之海) - 안면 (安眠)

Aktualisiert: 13. Aug. 2019


십이경지해 (十二經之海)

經脈之海(경맥지해)는 冲脈(충맥)의 別稱(별칭)이다. 충맥의 순행은 足少陰腎 經

(족소음신경)과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連繫(연계)가 가장 밀접하다. 腎 (신)은

인체에 先天(선천)의 根本(근본)이고, 胃(위)는 인체에 後天(후천)의 根本(근본)이

다. 때문에 冲脈(충맥)에는 인체에 先天(선천)과 后天(후천)의 元氣(원기)가 겸하

여 있다. 그러므로 十二經之海(십이경지해)라 칭한다.

십이경표본 (十二經標本) : 표본 (標本) 참조

십이자론 (十二刺論)

《靈樞․官針篇》중에서 十二節刺法(십이절자법)을 발취한 것으로 十二經絡(십 이경락

의 병변에 따라 十二刺法(십이자법)을 적응시켜야 한다는 내용이다. 十二刺法(십이

자법)은 十二經(십이경)에 적응되는 것이다.

1) 偶刺 : 우자는 손으로 앞가슴이나 등줄기를 눌러서 제일 아픈 곳에 침자(針刺) 하

는데, 앞가슴에 한 穴(혈)과 등에 한 穴(혈)을 斜刺(사자)하여 心痛 (심통)과

心肌(심기)의 痲痹(마비)를 치료한다.

2) 報刺 : 보자는 報復(보복)한다는 뜻으로 痛症(통증)이 일정하지 않고 왔다 갔다 하

며, 상하로 이동이 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먼저 제일 아픈 점에 針(침)

을 찔러놓고 다음에 제 2 의 痛處(통처) 2 개소를 손으로 찾아서 주물러 주

고, 찔렀던 針(침)을 뽑는다. 그런 후 제 2 의 통처 2 개소를 다시 針(침)을 찌

른다.

3) 恢刺 : 회자인데 이것은 恢復(회복)시킨다는 뜻이다. 제일 아픈 지점의 전후좌 우

에 針을 꽂아 놓고 針을 돌려서 끌어올리고 다시 꽂는 提揷法(제삽 법)을 써

서 針氣(침기) 즉 針感(침감)이 오면서 당기던 근육이 풀어지므 로, 근육통

치료에 사용된다.

4) 齊刺 : 제자는 三刺法(삼자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최고 壓痛点(압통점)에 1 개

를 찔러주고 양쪽 옆에 2 개를 찔러주면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少氣 症(소기

증)에 좋다. 단 이것은 깊이 찌르는 방법이다.

5) 揚刺 : 양자는 최고 아픈 곳에 針(침) 1 개를 찔러주고, 전후좌우 사방에 4 개 를 꽂

아 주는데 얕게 찔러 表皮(표피)에 寒氣(한기)가 머물러 있을 때 적용시키

는 것으로, 단 아픈 곳이 넓을 때에 이용한다.

6) 直針刺 : 직침자는 皮膚(피부)를 잡고 針을 돌려서 옆으로 橫刺(횡자)했다가 바 로

빼는 방법인데 얕게 찌르는 것이다. 이것은 表皮層(표피층)에 있는 寒氣

(한기)를 없애는 방법이다.

7) 輸刺 : 수자는 곧바로 찌르고 빼는 것으로, 반드시 깊게 찌르는 것이다. 이는 邪氣

(사기)가 盛(성)하여 熱(열)이 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8) 短刺 : 단자는 骨(골)이 아프고 저린 것을 치료하는 것이므로 針을 찌를 때에 시계

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요동하면서 깊이 찔러 직접 뼈있는 데까지 찔러두는

것으로, 뼈를 상하로 마찰하는 형상의 방법이다.

9) 浮刺 : 부자는 얕게 찌르는 手法으로 제일 아픈 곳의 옆을 얕게 찔러 肌肉(기 육)의

경련과 당기는 증상에 적용된다. 비 病(병)은 寒症(한증)에서 오는 病(병)이

다.

10) 陰刺 : 음자는 腎經(신경)에서 冷氣(냉기)를 받아 가지고 中焦(중초)가 차가워 진

젓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좌우의 太溪穴(태계혈)에 찔러서 下肢(하지) 의 冷

症(냉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11) 傍針刺 : 방침자는 제일 아픈 지점에 針 1 개를 찌르고 그 양옆에 각 1 개씩 찔러

놓아 痲痹(마비), 神經痛(신경통), 오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12) 贊刺法 : 찬자법은 찬조적 의미를 가진 방법이다. 직접 바로 찔렀다가 곧바로빼는

것인데 여러개의 針을 얕게 찔렀다가 出血(출혈)을 시키면서 뺀다. 이는

腫氣(종기)를 치료하는데 이용한다.

십이지장 (十二指腸) : 耳穴(이혈)

定位 : 이갑정(耳甲艇) - 이륜각 后上方

主治 : 십이지장궤양(十二指腸潰瘍), 유문경련(幽門痙攣), 위산부족(胃酸

不足), 담낭염(膽囊炎), 담결석(膽結石).

십이피부 (十二皮部)

十二經脈(십이경맥)이 皮膚(피부)에서의 分屬部位(분속부위)이다. 皮部(피부)는 經

絡系統(경락계통)의 일부분으로 經脈(경맥)의 皮部(피부), 分區(분구)인 동시 에 絡脈

(락맥)의 分區(분구)이며, 絡脈(락맥) 특히 浮絡(부락)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

作用 1) 機體(기체)를 보위하며 外邪(외사)에 저항한다. 즉 皮部(피부)는 인체의 제일 외부에

있으므로 직접 외계와 접촉하며, 외계의 변화에 調節(조절)과 適應能 力(적응능력)이

있고, 또한 外邪(외사)의 침습은 대부분 피부가 接(접)하고 防 禦(방어)하므로 인체를

保衛(보위)하는 작용을 한다.

2) 皮部(피부)는 臟腑(장부)의 변화를 반영한다. 특히 浮絡(부락)이 皮部(피부)에 分布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臟腑(장부), 經絡(경락)의 病理變化(병리변화)는 皮部(피부)

에 나타나며 皮部(피부)와 浮絡(부락)의 色變化(색변화)로써 臟腑 (장부)의 疾病(질

병)을진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例 ① 靑色(청색)은 腫氣(종기)의 반응,

② 蒼白色(창백색)은 寒症(한증)과 虛症 (허증)의 반응

③ 黃赤色(황적색)은 熱症(열증)의 반응이다.

耳廓(이곽)의 일정한 부위의 色變化(색변화)를 보고 疾病(질병)을 判斷(판단) 하는 耳

廓診斷法(이곽진단법)이라 한다. 또 유관되 經絡(경락), 腧穴(수혈)에 皮膚(피부)의

개변 예를 들면 丘疹(구진), 色素沈着(색소침착), 皮下水泡(피하 수포), 皮膚感覺異常

(피부감각이상), 皮膚道電点(피부도전점)의 개변 등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것을 經絡

診斷法(경락진단법)이라 부른다.

針灸治療(침구치료)중 皮部(피부)에 침을 놓으면 衛氣(위기)를 일으키는 작용이 있

으며, 灸法(구법)은 皮部(피부)에 溫熱刺戟(온열자극)을 일으키어 氣血(기혈) 을 通

(통)하게 하고 經絡(경락)을 調動(조동)하며 陽氣(양기)를 振奮(진분)하게 하여 祛邪

扶正(거사부정)의 작용을 한다.

십일호 (十一号) : 足針(족침)

定位 : 발바닥 모, 식지 사이에서 뒤로 3 촌이다.

主治 :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위경련(胃痙攣).

操作 : 1寸 직자(直刺)한다.

십칠추 (十七椎) : 기혈(氣血)EX - 십칠추(十七椎) 아래 - 배부(背部)B

EX-B8 定位 : 제 5 요추(腰椎) 극돌(棘突) 아래.

主治 : 요통(腰痛), 요뉴상(腰扭傷), 생리통(生理痛), 하지마비(下肢麻 痹), 좌골

신경통(坐骨神經痛),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항문질환(肛門

疾患), 소아마비후유증(小兒麻痹后遺症).

臨床 : ① 하지마비(下肢麻痹) - 加 요부(腰部)의 협척혈(夾脊穴),

② 요천통(腰薦痛) - 加 질변(秩邊), 관원수(關元兪).

③ 통경(痛經) - 加 중극(中極), 삼음교(三陰交), 태계(太溪).

操作 : 상향(上向) 1~1.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십칠호 (十七号) : 족침(足針).

定位 : 해계혈(解溪穴) 아래로 2.5 촌이다.

主治 : 심교통(心絞痛), 천식(喘息), 감기(感氣).

操作 : 0.1~0.5 촌 직자(直刺) 혹은 점자(點刺)한다.

십호 (十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바닥 제 3, 4 발가락 사이에서 뒤로 3 촌이다.

主治 : 복통(腹痛),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월경통(月經痛).

操作 : 1~1.5寸 직자(直刺) 혹은 내측으로 사자(斜刺)한다.

아 (牙) : 이혈(耳穴) : 치아수술시(齒牙手術時) 마취혈(麻醉穴)(電氣痲醉)

定位 : 이수(耳垂)

主治 : 치주염(齒周炎), 저혈압(低血壓).

아문 (啞門) : 독맥(督脈)

GV-15 【甲乙】에 독맥(督脈) 양유(陽維)의 會,

定位 : 후두(后頭) 발제(髮際) 정중(正中)에서 위 0.5寸 함요부(陷凹部).

效能 : 식풍지경(息風止痙), 통경개규(通經開竅), 소풍활락(疏風活絡), 통규청신(通

竅淸神).

主治 : 설강불어(舌强不語), 중설(重舌), 嘶啞(시아-쉰소리), 히스테리성 실 어(失

語), 중풍실어(中風失語), 두중두통(頭重頭痛), 항강증(項强症), 척추강직경

련(脊椎强直痙攣), 정신병(精神病), 간질증(癎疾證), 계종 (瘈瘲).

現代 : 농아(聾啞), 신경성구토(神經性嘔吐), 대뇌발육부전(大腦發育 不全),

뇌성마비(腦性麻痹), 간질(癎疾), 정신분렬증(精神分裂 症), 파상풍

(破傷風), 무도병(舞跳病, 風濕性), 신경성두통(神 經性頭痛). 폐암(肺

癌)의 주요 배합혈(主要配合穴).

臨床 : ① 농아(聾啞) -

加 렴천(廉泉), 이문(耳門), 청궁(聽宮), 청회(聽會),예풍(翳風),합곡(合谷).

② 중풍실어(中風失語) - 加 렴천(廉泉), 통리(通里).

③ 간질병(癎疾病) - 加 대추(大椎), 수구(水溝), 요유(腰兪).

④ 전간(癲癎) - 加 인중(人中), 후계(后溪), 풍륭(豊隆).

⑤ 파상풍(破傷風) -

加 대추(大椎), 근축(筋縮), 요양관(腰陽關), 인중(人中), 후계(后溪), 신맥

(申脈).

⑥ 설완불어(舌緩不語) - 加 관충(關冲).

⑦ 대뇌발육부전(大腦發育不全) -

加 대추(大椎), 예명(翳明), 내관 (內關), 족삼리(足三里), 척삼혈(脊三穴).

⑧ 각궁반장(角弓反張) - 加 풍부(風府).

⑨ 뇌좌상(腦挫傷) 후유증성(后遺症性) 치매(痴呆) -

加 흥분(興奮) 인중(人中), 족삼리(足三里)를 각각 배용(配用)한다.

操作 : 침첨(針尖)을 아래턱 방향으로 서서히 0.5~1寸 자입(刺入), 대폭 제 삽염전

(提揷捻轉)을 금한다. 연수(延髓)의 자상(刺傷)으로 인한 생명 의 위험을 피

하기 위하여 심자(深刺)를 금한다. 고서(古書)에 금구혈(禁灸穴)이라 했다.

아시혈 (阿是穴) : 천응혈(天應穴) 참조

아통점1 (牙痛点1) : 이침(耳針)

定位 : 이수(耳垂)에 1區의 외하방 이다.

主治 : 치통(齒痛), 아주염(牙周炎 치아주위염), 이를 뽑을 때 마취혈.

아통점2 (牙痛点2) : 이혈(耳穴)

定位 : 이수(耳垂)에 1區의 중점(中點)이다.

主治 : 치통(齒痛), 아주염(牙周炎), 이를 뽑을 때 마취혈(痲醉穴)

아통점 (牙痛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손바닥 제 3,4 장골(長骨)사이 장지횡문(長指橫紋)뒤

약 1寸.

主治 : 치통(齒痛).

안 (眼) : 이혈(耳穴)

定位 : 이수(耳垂)의 중간(中間) 5區의 중점(中點)에 있다.

主治 : 녹내장(綠內障), 가성근시(假性近視), 맥립종(麥粒腫), 산립종(散粒腫), 급성결막

염(急性結膜炎), 전광염(電光炎).

안면 (安眠) : 기혈(寄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흉쇄유돌기(胸鎖乳突肌), 정지부(停止部) 유돌(乳突)아래 오목한 함요부

(陷凹部) 앞 0.5寸.

主治 : 실면(失眠), 현운(眩暈),편두통(偏頭痛),심계(心悸),정신병(精神病),히스테리.

臨床 : ① 불면(不眠) - 加 내관(內關), 삼음교(三陰交).

②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 加 인중(人中), 대추(大椎), 도도(陶道).

③ 현훈(眩暈) - 加 곡지(曲池), 풍륭(豊隆).

操作 : 0.5~1寸 직자(直刺).

32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