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utorenbild서선영

약전53 / 술패랭이꽃 - 식풍지경약 (熄風止痙葯)

Aktualisiert: 1. Sept. 2020


술패랭이꽃 : Dianthus superbus L. var. longicalycinus Max

成分 : gypsogennic acid(oleanane triterp.)

葯效 : 消炎(소염), 利尿葯(이뇨약), 治濕(치습)

숭람 (菘藍) ⇒ 판람근 (板藍根)쉽사리 : 全草(전초) - 택란 (澤蘭)

씀바귀 : 황과채(黃瓜菜) lxeris dentata Nakai

成分 : alkaloid 樣物質(양물질)

葯效 : 胃熱(위열), 安心神(안심신), 胃炎(위염), 副鼻腔炎(부비강염), 五臟邪氣(오장사

기) 等

승강부침 (升降浮沈)

1. 升降浮沈(승강부침)이란 葯物作用(약물작용)의 趨向(추향)을 가리켜 말하는 것이다.

升(승)은 上升(상승), 降(강)은 下降(하강), 浮(부)는 浮越(부월)을 가리키는 것으로써

즉 위로 뜨며, 밖으로 향하고 發散(발산)하며, 沉(침)은 아래로 가라 않는 것 즉 泄利

作用(설이작용)을 말한다.

2. 葯物(약물)의 氣味(기미) 및 質(질)의 輕重(경중)과 密接(밀접)한 關係(관계)가 있다.

氣味(기미) : 일반적으로 辛(신), 甘(감), 溫(온), 熱(열)한 葯物(약물)로써 桂枝(계지),

生姜(생강) 같은 類(류)는 대부분 升浮(승부)하며 苦(고), 酸(산), 寒(한)한

葯物(약물)인 大黃(대황), 芒硝(망초), 芍葯(작약), 牡蠣(모려)와 같은 類(류)는 대부분

沈降(침강)한다.

質(질) : 花(화), 葉(엽) 및 体質(체질)이 가볍고 성긴 약물로써 細辛(세신), 荷葉(하엽),

桔梗 (길경), 升麻(승마) 같은 類(류)는 대부분 升浮(승부)하며, 種子(종자), 果

實(과실)이나 質(질)이 重濁(중탁)한 葯物(약물)인 蘇子(소자), 枳實(지실), 磁石(자석),

熟地(숙지) 같은 類(류)는 대부분 沈降(침강)한다. 그러나 이런 情况(정황)이 절대적

인 것이 아니다. 예로는 諸花皆升(제화개승), 旋覆濁降(선복탁강), 諸子皆降(제자개

강), 蒼耳蔓荊獨升(창이만형독승)” 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일반적인 共同性(공동성)이

있으면서 또한 不同(부동)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1) 升浮(승부) : 升浮(승부)하는 葯物(약물)은 上行外向(상행외향)하는 性質(성질)이

있어 陽(양)에 屬(속)하며 升提(승제), 發散(발산), 通絡(통락), 祛風(거

풍), 透疹(투진), 疏泄(소설), 催吐(최토), 溫裏(온리), 散寒(산한), 開竅(개규) 등 작용

을 하며 臨床(임상)에서는 外感表證(외감표증), 中氣下陷(중기하함), 誤食毒物(오

식독물), 腹痛(복통), 中風麻痹(중풍마비), 四肢疼痛(사지동통) 등 主(주)로 病(병)이

上(상)과 表(표)에 있는 것을 다스린다.

2) 沈降(침강) : 沈降(침강)하는 葯物(약물)은 일반적으로 下行內向(하행내향)하는 性

質(성질)이 있어 陰(음)에 屬(속)하며 陽氣阻滯(양기조체), 逆氣下降

(역기하강), 收斂(수렴), 澁利(삽리), 瀉下(사하), 安神(안신) 작용을 가지고 있어 臨

床(임상)에서는 肝陽上亢(간양상항), 頭痛眩暈(두통현운), 呃逆嘔吐(애역구토), 咳

喘(해천), 水腫(수종), 熱結便秘(열결변비), 心神不安(심신불안) 등 主(주)로 病(병)

이 下(하)와 裏(리)에 있는 것을 다스린다.

3) 升降浮沈(승강부침)의 작용은 配伍(배오) 또는 炮制(포제)에 따라 轉化(전화)한다.

配伍(배오) - 升浮葯(승부약)이 多數(다수)의 沉降葯(침강약) 가운데에 들어가면 升

浮葯(승부약)은 沉降葯(침강약)을 따라서 下降(하강)하며, 沉降葯(침

강약)도 역시 다수의 升浮葯(승부약) 가운데 들어가면 따라 上升(상승)한다.

炮製(포제) - 酒製(주제)는 升(승), 姜汁炒(강즙초)는 散(산), 醋炒(초초)는 收斂(수

렴), 鹽水炒(염수초)는 下行(하행), 蜜製(밀제)는 葯性(약성)을 緩和(완

화)하게 하는 등 작용을 한다.

▷ 升降浮沈(승강부침)은 葯(약)을 사용하고 方劑(방제)를 造成(조성)하는 가운데 각

기 不同(부동)한 條件下(조건하)에서도 가히(可以) 상호 전화(互相轉化)할 수 있다

는 것을 李時珍(이시진)은 本草綱目(본초강목) 序例(서예)에서 “升降(승강)은 葯物

(약물)에 있고 亦是(역시) 사람에게 있다” 고 설명하였다.

승검초 : 당귀 (當歸)

승독초 (蠅毒草) : 파리풀의 根(근) - Phryma leptostachya Linne

成分 : 根(근)에 leptostachyol acetate(殺虫性分), phrymarolin II 를 含有(함유)

葯效 : 黃水瘡(황수창), 瘡毒(창독), 根(근)을 煎汁(전즙)하여 파리(蠅), 殺蟲劑(살충제)로

사용 한다.

승마 (升麻-辛凉解表) Cimicifuga Foetida L. 根莖

性味 : 味微苦 甘, 性微寒. 歸經 : 肺 脾 大腸 胃. 用量 : 1.5 ~ 4.5g

葯理 : 解熱(해열), 解毒(해독), 鎭痛(진통) 등 작용이 있다. 膓筋(장근), 膀胱(방광) 및 肛門

括約筋(항문괄약근) 弛緩(이완)에 대하여 效果(효과)가 있다.

動物實驗證明(동물실험증명) : 升麻(승마)는 心臟(심장), 心率(심율) 慢性减少(만성

감소), 血壓(혈압)을 降低(강저)하는 작용이 있다. 升麻(승마)는 离体腸管(리체장

관)과 姙娠子宮(임신자궁)을 잘 抑制(억제)하며 未孕子宮(미잉자궁)과 膀胱(방광)

에 흥분작용을 나타낸다. 升麻(승마)는 모든 抗菌作用(항균작용)이 있다. 升麻(승

마)의 興奮(흥분)과 安定(안정), 異阿魏酸(이아위산)은 体溫(체온)을 降低(강저)하

는 작용이 있다. 升麻(승마)의 興奮(흥분)과 安定(안정)은 抗驚厥(항경궐), 解痙(해

경), 鎭痛(진통), 抗炎(항염)과 强壓作用(강압작용?)이 있다.

功能 : 散風熱(산풍열), 透疹(투진), 升提中氣(승제중기)

主治 : 風熱頭痛(풍열두통), 齒齦腫痛(치은종통), 麻疹不透(마진불투), 胃下垂(위하수), 子

宮下垂 (자궁하수).

臨床 : 1) 發表透疹(발표투진) ; 熱毒盛(열독성) 痲疹(마진), 疹出不暢(진출불창)

⑴ 麻疹初起(마진초기), 透疹不暢(투진불창)

① 加 葛根(갈근). . . ≒ 升摩葛根湯(승마갈근탕)

⑵ 痲疹熱毒盛(마진열독성)

① 加 紫草(자초), 牛蒡子(우방자), 大靑葉(대청엽)

2) 升陽擧陷(승양거함)

⑴ 氣虛子宮脫垂(기허자궁탈수), 脫肛(탈항), 氣短(기단), 倦乏(권핍)

① 加 柴胡(시호),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 . ≒ 補中益氣湯(보중

익기탕), 擧元煎(거원전)

3) 淸熱解毒(청열해독)

⑴ 陽明熱瀉(양명열사) 引起(인기) - 胃熱(위열), 口舌生瘡(구설생창), 牙痛(아통),

咽痛(인통), 頭痛(두통).

① 加 黃連(황련), 生地黃(생지황), 丹皮(단피). . . ≒ 淸胃散(청위산)

⑵ 風熱上壅(풍열상옹), 咽喉腫痛(인후종통)

① 加 桔梗(길경), 玄參(현삼) . . .≒ 甘桔湯(감길탕)

⑶ 熱毒瘡毒(열독창독) 및 皮膚瘙痒症(피부소양증)

① 加 金銀花(금은화), 連翹(연교), 蒲公英(포공영)

⑷ 溫病發斑(온병발반)

① 加 石膏(석고), 大靑葉(대청엽), 犀角(서각), 玄參(현삼), 知母(지모). . .

≒ 化斑湯(화반탕)

☆ 升麻(승마)는 升陽透疹(승양투진)시키는 작용이 柴胡(시호), 葛根(갈근)과 類似

(유사)하나 그 효능이 더욱 强(강)하며 柴胡(시호)와 배합하면 升提(승제)하고 葛

根(갈근)과 배합하면 透疹(투진)시키는 作用이 더욱 增强(증강)돤다.

☆ 椹(심) : 養血補肝(양혈보간), 升陽擧陷(승양거함)에 柴胡(시호)와 함께 작용을

加强(가강)한다.

☆ 透疹(투진)과 解毒(해독) : 生用(생용)을 陽氣升擧(양기승거) : 黃精汁(황정즙)에

炙(자)하여 사용한다.

用法 : 水煎服(수전복).

注意 : 升浮(승부)하는 效能(효능)이 있어 무릇 陰虛(음허)하고 陽(양)이 浮(부)하며 喘滿氣

逆(천만기역) 및 痲疹(마진)이 已透(이투)한데는 모두 服用(복용)을 忌(기)한다.

승약 (升約-外用) 水銀(수은)을 위주로 火硝(화초), 白礬(백반) 各等分(각등분), 混合(혼합) 升華

而成(승화이성). 紅色者称(홍색자칭) 紅升(홍승), 黃色者称(황색자칭) 黃升(황

승).

性味 : 味辛, 性熱. 有大毒. 歸經 : 肺 脾 用量 :

臨床 : 1) 外用(외용) ; 拔毒去腐(발독거부) 癰疽潰后(옹저궤후), 膿出不暢(농출불창), 腐肉

不去(부육불거), 新肉難生(신육난생)

加 煅石膏(단석고)

1 : 9 = 拔毒力(발독력) 比較的(비교적) 輕(경) ≒ 九一丹(구일단)

1 : 1 = 拔毒力(발독력) 比較的(비교적) 强(강) ≒ 王王丹(왕왕단)

9 : 1 = 拔毒力(발독력) 比較的(비교적) 加重(가중) ≒ 九轉丹(구전단)

注意. : 1) 外用葯(외용약) - 內服(내복) 絶對不可(절대불가)

2) 服用(복용)을 禁(금)하며 外用時(외용시)에도 단독사용을 금한다.

3) 拔毒去腐(발독거부)작용이 强烈(강열)하므로 外瘍腐肉(외양부육)이 除去(제거)

되였거나 膿水(농수)가 깨끗하게 되면 不適合(부적합)하다.

시로미 : 果實(과실) - 암고란(岩高蘭), 高蘭(고란)

시체 (柿蒂-理氣) Diospyros Kaki L. f. Calyx. 宿存花萼(숙존화악)

性味 : 味苦 澁, 性溫. 歸經 : 胃. 用量 : 4.5 ~ 9g

性分 : 감꼭지에 betulinic acid, oleanolic acid, ursolic acid 等이 含有

功能 : 降氣止呃(강기지애) - 降逆下氣(강역하기) ☆ 止呃的要葯(지애적요약)

主治 : 胃寒氣滯(위한기체)적 呃逆(애역) - 딸꾹질, 夜尿症(야뇨증), 血壓降下(혈압강하)작

용, 治(치) 百日咳(백일해), 治(치) 血淋(혈림) 等

臨床 : 1) 降氣止呃(강기지애); 胃失和降(위실화강)으로 인한 胃氣上逆(위기상역),呃逆症

(애역증) 胃氣上逆(위기상역) 呃逆(애역) : 結合辨證(결합변증), 配伍(배오) 相應

葯物(상응약물)

시초 (蓍草) Achillea alpina L. 地上部分

性味 : 味辛 苦, 性平., 小毒. 用量 : 9 ~ 15g

葯理 : 蓍草(시초)의 酸性乙醇(산성을순), 乙醇乙酯(을순을지)와 乙醚(을미) 提取物(제취

물)은 金黃色葡萄球菌(금황색포도구균), 大腸杆菌(대장간균), 綠膿杆菌(녹농간균),

痢疾杆菌(이질간균)과 乙鏈球菌(을연구균)은 균등한 억제작용이 있다. 動物實驗

表明(동물실험표명)에서 蓍草(시초)는 전 有機酸(유기산) 부분은 모두 抗炎作用(항

염작용)이 명현하걠, 鎭靜(진정), 止痛(지통), 解熱作用(해열작용)이 있다. 蓍草(시

초)를 통 털어 酸分(산분)만 나오는 單一性分(단일성분) α-味喃酸(미남산), 丁二酸

(정이산), 反丁烯二酸(반정희이산) 등 不同(부동)한 程度(정도)의 抑菌(억균), 消炎

(소염), 解熱(해열), 鎭靜(진정)과 止痛作用(지통작용)이 있음을 實驗證明(실험증

명)하였다. 이 蓍草(시초)는 약간의 有機酸成分(유기산성분)이 있고 모두 抗菌(항

균) 消炎(소염)적 有效成分(유효성분)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功能 : 活血祛風(활혈거풍), 止痛(지통), 解毒(해독), 止血(지혈).

主治 : 風濕疼痛(풍습동통), 經閉腹疼(경폐복동), 牙痛(아통), 胃痛(위통), 腸炎(장염) 痢疾

(이질) 跌打損傷(질타손상) 毒蛇咬傷(독사교상) 癰腫瘡

用法 : 外用(외용)-外用適量(외용적량), 搗敷(도부), 硏末調敷(연말조부), 혹 泡酒涂擦(포

주도찰).

시호 (柴胡-辛凉解表). Bupleurum chinense DC. 根

性味 : 味微苦 微辛, 性微寒. 歸經 : 肝 膽 脾 胃 三焦. 用量 : 3 ~ 9g

葯理 : 柴胡煎劑(시호전제)는 解毒作用(해독작용)이 있고, 結核桿菌(결핵간균), 流感病毒

(유감병 독), 牛痘病毒(우두병독) 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柴胡皂苷(시호조감)

에는 鎭痛(진통), 鎭靜(진정), 解熱(해열), 鎭咳(진해) 등 中樞神經(중추신경) 억제작

용 및 抗炎(항염)이 명현한 것과 消化 道潰瘍(소화도궤양)을 預防(예방)하는 작용

을 한다. 肝(간)을 保護(보호)하는 작용, 免役(면역)을 增强(증강)시키는 작용이 있

다.

解熱(해열), 鎭靜(진정), 鎭痛(진통), 抗菌(항균) 抗Virus 등 작용이 있다.

Saponin의 抗炎强度(항염강도)는 Prednisolonum과 비슷하다. 그러나 溶血作用

(용혈작용)이 있어서 靜脈注射(정맥주사)는 不適合(부적합)하다.

1) 스테롤과 a-스파나스테롤은 血漿(혈장) 콜레스테롤 含量(함량)을 减少(감소)시

킨다.

2) 사포닌 性分(성분) : 鎭痛(진통), 鎭靜作用(진정작용), 解熱(해열), 止咳作用(지해

작용), 抗炎症(항염증), 肝機能改善(간기능개선), 蛋白(단백) 및 脂質代謝(지질대

사) 작용에좋은 影響(영향)을 준다.

3) 柴胡(시호)사포닌 : 抗炎症(항염증) 즉 항육아작용과 抗滲出(항삼출), 血管透過

性抑制(血管透過性抑制(혈관투과성억제)

抗炎症(항염증) : 毛細血管(모세혈관) 透過性(투과성), 자외선홍반, 下肢浮腫

(하지부종)에 대해 比較(비교)하여 본 結果(결과) 抗滲出(항

삼출)작용보다 항육아작용이 强(강)하다. 이것은 炎症末期(염증말기)에 효과

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柴胡(시호)사포닌은 抗炎症葯으로 쓰는 腎上腺皮質(신상선피질) 글루코코티

크이드와 같은 副作用(부작용)이 없다. 즉 흰쥐에게 柴胡(시호)사포닌을 하루

0.5mg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하루 0.025mg씩 1週日(주일) 注射(주사)하고 1

週日后(주일후) 甲狀腺(갑상선) 腎上腺(신상선) 胸腺(흉선)의 무게를 달아본

결과 사이코사포닌에서는 늘어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에서는 减少(감소) 되

었다.

따라서 柴胡(시호)사포 닌의 抗炎症作用(항염증작용)은 흉샘의 機能亢進(기

능항진)과 關聯(관련)되며 스테로이드계 抗炎症葯(항염증약)과는 다르다.

항육작용 : 총사포닌 특히 시호사포닌 a, d에서 强作用(강작용)이 있고, c에서

없으며 b에서 弱(약)하고 사포켄닌에서는 作用(작용)이 없었다.

이 작용은 動物(동물)에게 筋肉注射(근육주사)하는 것이 먹일 때 보다 1/10

小量(소량)에서도 같은 효과로 나타냈다.

4) 柴胡(시호)사포닌과 桃仁抽出液(도인추출액, 부탄올)

柴胡(시호)사포닌 : 炎症末期(염증말기)

桃仁抽出液(도인추출액) : 炎症初起(염증초기)

§ 두 物質(물질)을 同量(동량)으로 섞은 것은 炎症(염증)의 매 단계에서 폭넓은 抗

炎作用(항염작용)이 있으며 桃仁抽出液(도인추출액, 부탄올)을 多量(다량)으로

섞은 것은 炎症初起(염증초기)에 항염활성이 强(강)해진다.

5) 柴胡(시호)사포닌과 桃仁抽出液(도인추출액) : 慢性膀胱炎(만성방광염), 慢性肝

炎(만성간염) 患者(환자)에게 一日 3mg (柴胡根(시호근)도 2.3g) 사용한 결과 慢

性膀胱炎(만성방광염)

① 15-30日 만에 浮腫(부종)이 없어지고 GOT GPT 數値(수치)가 正常(정상)으로

恢復(회복)되였다.

② 桃仁抽出液(도인추출액) : 17-20日만에 治療(치료)되었다.

功能 : 和解退熱(화해퇴열), 疏肝解鬱(소간해울), 升提中氣(승제중기).

主治 : 感冒發熱(감모발열), 寒熱往來(한열왕래), 胸脇脹痛(흉협창통), 虐疾(학질), 脫肛

(탈항), 子宮脫垂(자궁탈수), 月經不調(월경불조).

臨床 : 淸凉性(청량성) 解熱(해열), 胸脇苦滿(흉협고만), 寒熱往來(한열왕래), 心下煩熱

(심하번열), 退熱升陽(퇴열승양), 頭痛(두통), 感冒(감모), 鎭痛(진통), 鎭靜(진정),

强肝(강간), 膽熱(담열), 黃疸(황달)

1) 和解泄熱(화해설열) : 傷寒病(상한병)에서 邪氣(사기)가 少陽(소양)에 있는 半

表半里證(반표반리증) - 寒熱往來(한열왕래), 胸脇苦滿

(흉협고만), 咽乾(인건), 目眩(목현) 等 證

⑴ 外感風寒(외감풍한) : 口苦(구고), 脇痛(협통), 脈弦(맥현)

① 加 黃芩(황금), 半夏(반하). . . ≒ 小柴胡湯(소시호탕)

⑵ 外感風熱(외감풍열), 半表半里(반표반리), 少陽證(소양증)

① 加 甘草(감초). . . ≒ 柴胡散(시호산)

② 加 葛根(갈근). . . ≒ 葛根解肌湯(갈근해기탕)

2) 疏肝解鬱(소간해울)

⑴ 肝鬱氣滯(간울기체), 胸脇脹痛(흉협창통) - 頭痛(두통) 月經不調(월경불

조), 痛經(통경)

① 加 白芍(백작), 當歸(당귀). . . ≒ 柴胡散(시호산)

⑵ 肝氣鬱滯(간기울체), 胸腹脇肋脹痛(흉복협늑창통)

① 加 香附子(향부자), 川芎(천궁),枳殼(지각). . ≒ 柴胡疏肝散(시호소간산)

3) 升陽擧陷(승양거함) : 脫肛(탈항), 子宮下垂(자궁하수), 內臟下垂(내장하수)

⑴ 補脾益氣(보비익기) - 氣虛下陷(기허하함), 脫肛(탈항), 子宮脫垂(자궁탈

수) 및 氣短(기단), 倦怠乏力(권태핍력)

① 加 升麻(승마),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 補中益氣湯(보중

익기탕)

☞ 和降少陽(화강소양) 升陽擧陷(승양거함) 要葯(요약)

☞ 少陽經(소양경)을 治療(치료)하는 要葯(요약)

用法 : 單用(단용) 혹은 配伍(배오), 水煎服(수전복). 葯量이 5g 정도면 益氣作用(익기

작용)을 돕게 되나 葯量(약량)을 增加(증가)시키면 和解(화해) 退熱(퇴열) 작용

을 하게 된다.

注意 : 升發性(승발성)이 있어서 眞陰虧損(진음휴손)된 者(자)와 肝陽上升症(간양상승

증)에는 服用(복용)을 忌(기)한다.

식물명실도고 (植物名實圖考) : 淸道光年間(청도광년간) 著者(저자) 吳其__(오기__) - 葯用植物

(약용식물)의 描寫(묘사)가 確實(확실)하고 精品(정품)을 수재

하였다.

식풍지경약 (熄風止痙葯)

決明子(결명자)(微寒), 羚羊角(영양각)(寒), 牛黃(우황)(微寒), 鉤藤(구등)(微寒), 紫

貝齒(자패치) (平), 天麻(천마)(平), 地龍(지용)(寒), 全蝎(전갈)(平), 蜈蚣(오공)(溫),

僵蚕(강잠)(平).(附葯 僵蛹).

歸經 肝 : 決明子(결명자), 羚羊角(영양각), 牛黃(우황), 鉤藤(구등), 紫貝齒(자패치), 天

麻(천마), 全蝎(전갈), 蜈蚣(오공), 白僵蚕(백강잠).

心 : 羚羊角(영양각), 牛黃(우황).

肺 : 白僵蚕(백강잠).

心包 : 鉤藤(구등).

大腸 : 決明子(결명자).

11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약전101 / 활혈료상약(活血療傷葯) - 황백 (黃柏-淸熱燥濕)

활혈료상약 (活血療傷葯) 蟅虫(자충)(寒), 自然銅(자연동)(平), 蘇木(소목)(平), 骨碎補(골쇄보)(溫), 馬錢子(마 전자)(寒), 血 竭(혈갈)(平), 兒茶(아차)(凉), 劉寄奴(유기노)(溫). 歸經 肝 : 蟅虫(자충), 自然銅(자연동)....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