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명대장경별락(手陽明大腸經 別絡)
偏歷(편력) : 팔목 관절위 三寸이며 手太陰經脈 (수태음경맥)에 향하여 가고 그 가
지는 위로 팔을 따라 견우부위를 지 나서 下頜角(하합각)에 이르러
齒根(치근)에 散布(산포)되며 그 지맥은 귀속에 들어가서 귀와 눈에
모인 허다한 經脈(경맥)과 會合(회합)한다.
病候(병후) - 實證(실증) : 齒痛(치통), 耳聾(이농).
虛證(허증) : 이 시린 증상
수오리 (手五里)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3 定位 : 곡지(曲池)와 견우(肩髃)의 연선위에 곡지혈(曲池穴)위 3寸.
主治 : 완비경련(腕臂痙攣), 연주창(連珠瘡), 해수(咳嗽), 토혈(吐血), 각 혈(咯
血), 기와(嗜臥), 피부황색(皮膚黃色), 학질(瘧疾), 폐염(肺 炎), 복막염
(腹膜炎), 경부임파절결핵(頸部淋巴節結核), 주비통 (肘臂痛).
臨床 : ① 주관절통증(肘關節痛證) - 소해(小海).
治法 : 0.5~1寸 직자(直刺), 침자시(針刺時) 동맥(動脈)을 피해야 한다, 가구
(可灸).
§ 소문(素問)과 침구갑을경(針灸甲乙經)에 침(針)을 금(禁)한다 고 하였다.
수전 (垂前) : 이혈(耳穴)
定位 : 耳垂(이수)
主治 : 神經衰弱(신경쇠약), 齒牙痛(치아통).
수족음양경맥자론 (手足陰陽經脈刺論)
手足(수족)의 陰陽經脈(음양경맥)을 조절시키는 經脈刺法(경맥자법) 을 설
명하는 것이다.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모든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水谷之海(수곡지해)이다.
그러 므로 脈(맥)이 크고, 血(혈)이 많고, 氣(기)가 盛(성)하며 壯熱(장열)하
다. 針刺時(침자시) 胃經(위경)은 얕게 찔러야 하고 또 氣(기)를 흩트리 지
말아야 하며 너무 오래 꽂아 놓고 있어도 안 되고 瀉法(사법)을 써도 안 된
다.
針(침) 깊이가 六分(육분 0.6촌)이어야 하고. 十呼(십호, 10번 호흡)동안 머
물러야 한다고 하는 說이다. 계속하여 아래와 같다.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 針의 깊이가 五分이어야 하고 留針은 七呼間이다.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 針의 깊이가 四分이어야 하고 留針은 五呼間이다.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 針의 깊이가 三分이어야 하고 留針은 四呼間이다.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 針의 깊이가 二分이어야 하고 留針은 三呼間이다.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 針의 깊이가 一分이어야 하고 留針은 二呼間이다.
손에 있는 三陰(삼음), 三陽經脈(삼양경맥) 즉 肺(폐), 大腸(대장), 心(심), 膈(격),
三焦(삼초), 小腸經脈(소장경맥)은 內臟(내장)과 心臟(심장)에서 가까운 곳에 있으
므로, 그 氣運(기운)을 가까이서 받고 그 氣(기)도 빨리 오기 때문에 針(침)의 깊이
는 2分을 넘지말아야 하며 留針(유침)도 一呼(일호)를 넘겨서는 안 된다. 이것을
지나치면 脫氣(탈기)되어 효험을 얻기 어렵고, 또는 위험할 수도 있다.
수지동신촌취혈법 (手指同身寸取穴法)
分部折寸(분부절촌)의 基礎(기초)에서 醫師(의사)의 手掌(수장)으로 제 어
取穴(취혈)하는 방법인데 이를 또 指寸法(지촌법)이라 부른다. 사람의 손가
락과 人体(인체)는 일정한 비례가 있는데 取穴(취혈)할 때 患者(환자)의 손
가락을 標準(표준)으로 하는 것을 同身寸(동신촌)이라 부른다.
1) 中指同身寸 : 환자의 中指(중지)를 굽혔을 때 중간관절의 내측을 양 쪽으
로 젠 가로선을 1寸으로 정하고 四肢(사지) 및 脊 椎(척추)와
背部(배부)의 橫寸換算(횡촌환산)에 사용한 다.
2) 拇指同身寸 : 환자의 毋指關節(모지관절) 가로를 1寸으로 정하고 四肢 部
(사지부)의 直寸取穴(직촌취혈)에 사용한다.
3) 橫指同身寸 : 一夫法(일부법)이라고도 한다. 患者(환자)의 食指(식지) 中指
(중지) 无名指(무명지)와 小指(소지)를 합하여 中指 (중지)의
둘째 관절을 표준으로 食指(식지)와 中指(중지) 의 가로를 1.5寸, 네 손가락
의 가로를 3寸으로 한다. 이 방법은 下肢(하지), 下腹部(하복부) 및 背部(배
부)의 橫寸(횡촌)에 많이 사용한다.
수천 (水泉)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 극혈(郄穴)
KI-5 定位 : 태계혈(太溪穴) 직하(直下) 1寸.
效能 : 통조경혈(通調經血), 소설하초(疏泄下焦).
主治 : 경폐(經閉), 무월경(无月經), 월경이상(月經異常), 월경통(月經痛), 눈 어두
운 증상, 근시(近視),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임력(小便淋瀝), 방광경련
(膀胱痙攣), 자궁탈수(子宮脫垂).
臨床 : ① 월경이상(月經異常), 경폐(經閉), 통경(痛經). - 加 관원(關元), 귀래(歸來),
삼음교(三陰交).
操作 : 03~0.5 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수침 (水針) : 침과 약물을 결합한 일종의 치료방법으로서 혈위주사(穴位注射)라 한다.
針具 : 침구(針具)는 주요로 주사기인데 1, 2, 5, 10, 20ml의 종류가 있고 주사침은
5~6.5를 많이 사용 하며 때로는 치과(齒科)의 침(針) 5호나 봉폐(封閉)에 사용하
는 긴침(長針)을 사용한다.
葯物 : 약물은 중의(中醫)와 서의(西醫)약물제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의(中醫) : 복방단삼주사액(復方丹參注射液), 서장향주사액(徐長薌注射液), 판
람근주사액(板藍根注射液), 당귀주사액(當歸注射液), 어성초 주사액(魚腥草注射
液), 위령선주사액(威靈仙注射液) 등이며
서의(西醫) : 25% 유산마그네슘, 비타민 B1, B6, B12, C, K, D 교성칼슘, 0.25-2%
염산노브카인, 아트로핀, 리혈평, 생리염수(生理鹽水) 등으로 계속 연
구 개발하고 있다.
使用方法 : 수침응용은 반드시 각기 다른 병증(病證)에 의하여 유효한 주치혈(主
治穴) 을 취하는데 보통 2~4혈(穴)이 적합하며 될 수록 근육이 풍부한
곳에 혈 (穴)을 취하고 또 아시혈(阿是穴), 결절(結節), 긴 대(帶) 형의 양성반응점
(陽性反應点)을 취해도 된다. 침자부위를 소독하고 소독된 주사기와 침으로 급속
진침법으로 자입 시키어 천천히 내리눌러 침감(針感)을 얻은 후 주사 기 안으로
회혈(回血)이 없으면 곧 약물을 주입시킨다.
만약 주입해야 할 약물이 많으면 깊은 데로부터 낮은 데로 약물을 주입시키거나
혹은 약물을 몇 개 방향으로 주입시킨다. 주입속도는 치료요구에 의하여 실열증
(實熱證)은 좀 빠르게 허한증(虛寒證) 은 천천히 주입시킨다. 급성병(急性病)은 매
일 1~2차, 만성병(慢性病)은 매 일 1차 혹은 2일 1차 씩 6~10차를 한 개 료정(療
程)으로 한다.
使用範圍 : 비교적 광범위하다. 요고견배통(腰股肩背痛), 연조직손상(軟組織損
傷), 섬유직염(纖維織炎)에 많이 사용되고 기관지염(氣管支炎), 폐결핵
(肺結核), 고혈압(高血壓)과 위(胃), 간(肝), 담낭질환(膽囊疾患) 및 일반 침치료(針
治療)에 적당한 만성질병(慢性疾病)에도 사용 한다.
注意 : 수침치료 때에는 반드시 약물의 성능(性能), 약리작용(葯理作用), 약물의 질
량(質量), 약물(葯物)의 유효기간(有效期間), 배합금기(配合禁忌), 부작용(副
作用), 과민반응(過敏反應) 등을 주의 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노브카인 등은 반드시 과민실험(過敏實驗)을 하여 양성(陽性)인 사람은 사
용하지 말며, 자극성이 강한 약물은 심중히 사용해야 한다. 목, 가슴, 등어
리 부위에는 수침을 깊이 놓지 말고 소량(少量)으로 천천히 놓아야 한다. 신
경간 부근은 반드시 신경간을 피하거나 혹은 신경간에 도달하지 않도록
낮게 놓아야 한 다. 혈관, 관절강, 척수강에 약물을 주입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부의 하 지(下肢), 허리(腰), 꽁무니(骶部) 및 삼음교(三陰交穴), 합곡혈
(合谷穴) 등에는 수침(水針)을 사용하지 말고, 년노(年老)한 자, 허약자(虛
弱者)는 혈(穴)을 적게 취하며 약물도 적게 주입해야 한다. 주사기 바늘(針)
및 주사부위는 반드시 엄격히 소독해야 한다. 침 멀미와 침이 굽히거나 끊
어 지는 현상의 발생을 주의하며 만약 발생되면 마땅히 필요한 방법으로
제때 에 처리해야 한다.
수침 (手針)
수침(手針)과 족침(足針)은 손과 발의 혈위(穴位)에 침자(針刺)하여 질병(疾病)을 치료(治
療)하는 방법이다. 이미 일찍이《內經》에서 전신음양경락(全身陰陽經絡)과 수족(手足)의
밀접한 관계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인체 십이경맥(十二經脈) 맥기(脈 氣)의 분포를 말할
때 사지(四肢) 주슬(肘膝) 이하의 부위는 근(根) 혹은 본(本)이 라 부르고 이는 구간(軀干)
의 표(標) 결(結)등 부위와 상호 대응됨을 나타내었다. 때문에 수침(手針) 족침(足針)은 사
지(四肢)의 먼 곳에 그리고 또 부동(不同)한 혈 위(穴位)에 침(針)을 놓아도 전신 각 부위의
병통(病痛)에 치료작용을 나타내는 것 이다.
穴位 : 수침(手針)의 혈위(穴位)는 손등(手背)에 18혈, 손바닥(手掌)에 9혈이 있다.
1) 손등측(手背側) : 승압점(升壓点) 요퇴점(腰腿点) 과점(踝点) 흉점(胸点) 안점(眼
点) 견점(肩点) 전두점(前頭点) 정수리점(頂頭点) 편두점(偏頭
点) 애역점(呃逆点) 퇴열점(退熱点) 회음점(會陰点) 뒷머리점(后頭点) 척주점(脊
柱点) 좌골신경점(坐骨神經点) 인후점(咽喉点) 경항점(頸項点) 복사점(腹瀉点)등
18혈(穴)
2) 손바닥(手掌側) : 학질점(虐疾点) 편도체점(扁桃體点) 소아소화불량점(小兒消化
不良点) 급구점(急救点) 아통점(牙痛点) 야뇨점(夜尿点) 정경점
(定驚点) 위장염(胃腸炎) 등 9혈(穴)이다.
主治 : 침구사전 내에 각과를 참조 하시오!
수태양소장경 (手太陽小腸經)(SI)
穴名 : 少澤 → 聽宮 19個穴 : 少澤(소택)SI1, 前谷(전곡)SI2, 后溪(후계)SI3, 腕骨
(완골)SI4, 陽谷(양곡)SI5, 養老(양노)SI6, 支正(지 정)SI7, 小
海(소해)SI8, 肩貞(견정)SI9, 臑兪(노유)SI10, 天宗(천종)SI11
秉風(병풍)SI12, 曲垣(곡원)SI13, 肩外兪(견외유)SI14, 肩中
兪(견중유) SI15, 天窗(천창)SI16, 天容(천용)SI17, 觀髎(관
료)SI18, 聽宮(청궁)SI19.
循行 : 주요분포는 上肢外側(상지외측) 后緣(후연)에 있다.
① 새끼손가락 외측 끝 少澤穴(소택혈)에서 시작되어 손바닥 尺側(척측)
을 따라 前谷(전곡), 后溪(후계)을 거쳐 팔목을 향하여 腕骨(완골), 陽谷
(양곡)에 이른다. 尺骨小頭(척골소두)의 養老穴(양노혈)에 나와서 곧게
올라와 척골아래 支正(지정)을 따라
② 팝굽내측 肱骨內上髁(굉골내상과)와 尺骨鷹嘴(척골응취)사이 少海(소
해)에 나와서 위로 향하여 上腕(상완) 外后側(외후측)을 따라
③ 견관절의 肩貞(견정), 臑兪(노유)에 나오고 肩胛(견갑)을 돌아서 天宗
(천종), 秉風(병풍), 曲垣(곡원)에 이르러 어깨 위에 교회된 후 肩外兪
(견외유), 肩中兪(견중유)를 거치는 동안 膀胱經(방광경)의 附分穴(부
분혈)과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④ 缺盆(결분)에 진입되어心(심)에 絡(락)하고, 식도를 따라 橫膈膜(횡격
막)을 통과하여 胃(위)에 도달한 후 任脈(임맥)의 上脘(상완), 中脘(중
완)에 會(회)하고 小腸經(소장경)에 속한다. 그 支脈(지맥)은
⑤ 쇄골에서 위로 목옆을 따라 天窗(천창), 天容(천용)을 거쳐 뺨의 觀髎
(관료)를 향하여 뻗어나간 후 눈 외각에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瞳子髎(동자료)에 會(회)하고 뒤로 향하여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
경)의 和髎(화료)에 會(회)한 후 聽宮(청궁)을 거쳐 귀속에 진입된다.
病候 : 본경의 病理變化(병리변화)는 咽喉痛(인후통), 턱이 부어서 돌리지 못하
고, 어깨가 당기는 동통, 上腕(상완)이 끊어지는 뜻한 동통이다. 본경수혈
은 液(액) 방면에 유관되는 병증 발생을 주치한다. 예를 들면 耳聾(이농),
目黃(목황), 面頰浮種(면협부종), 목과 아래 뺨의동통, 肩胛(견갑), 下腕外
側(하완외측) 后面(후면)의 痛症(통증)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