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침전31 / 수부(兪府)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Aktualisiert: 1. Sept. 2020


수부 (兪府) :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KI-27 定位 : 쇄골하면(鎖骨下面)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效能 : 관흉리기(寬胸理氣), 강기화담(降氣化痰).

主治 : 흉협창만(胸脇脹滿), 흉통(胸痛), 복부창만(腹部脹滿), 해수(咳嗽), 기천(氣

喘), 담다(痰多), 각혈(咯血), 구토(嘔吐), 번조(煩躁), 납매(納 呆), 식욕부진

(食欲不振), 기관지염(氣管支炎), 복부팽창(腹部膨脹, 腹脹).

臨床 : ① 해수(咳嗽), 기천(氣喘) -

加 풍문(風門), 폐수(肺兪), 고황(膏肓), 전중(顫中).

操作 : 0.5~0.8寸 사자(斜刺) 혹은 평자(平刺), 가구(可灸). 침을 깊게 찌르는(深刺)

것을 금(禁)한다.

수분 (水分) : 임맥(任脈)

CV-9 定位 : 전정중선(前正中線) 배꼽 위(臍上) 1寸.

主治 : 복창장명(腹脹腸鳴), 설사(泄瀉), 수종(水腫), 복수(腹水), 냉연구역(冷涎嘔

逆), 소변불리(小便不利), 신염(腎炎), 장산통(腸疝痛). 암병(癌病) 복수(腹

水).

臨床 : ① 장명(腸鳴), 설사(泄瀉) - 加 음능천(陰陵泉), 족삼리(足三里).

② 소변불리(小便不利) - 加 관원(關元).

操作 : 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수삼리 (手三里)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0 定位 : 팔목을 측면으로 팔굽은 굽히고 양계(陽溪)와 곡지(曲池) 련선 위에 곡

지혈(曲池穴)아래 2寸 되는곳.,

作用 : 소통경락(疏痛經絡), 행기지통(行氣止痛).

主治 : 위통(胃痛), 복통(腹痛), 설사(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견비통 증(肩

臂痛症), 상지불수(上肢不遂, 麻痹), 치통(齒痛), 협통증(脇 痛症), 각종

안병(各種眼病), 실음(失音), 연주창(連珠瘡), 궤양성 질환(潰瘍性疾患).

臨床 : ① 종기(腫氣) - 加 합곡(合谷), 양로(養老).

② 설사(泄瀉) - 加 중완(中脘), 족삼리(足三里).

③ 상지불수(上肢不遂) - 加 비노(臂臑), 곡지(曲池).

④ 궤양성질환(潰瘍性疾患) - 加 중완(中脘), 족삼리(足三里).

⑤ 식벽기괴(食癖氣塊) - 加 족삼리(足三里).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수소양삼초경 (手少陽三焦經)(TE)

穴名 : 關衝 → 絲竹空 23個穴 : 關冲(관충)TE1, 液門(액문)TE2, 中渚(중 저)TE3,

陽池(양지)TE4, 外關(외관)TE5, 支溝(지 구)TE6, 會宗(회종)TE7,

三陽絡(삼양락)TE8, 四瀆(사독)TE9, 天井 (천정)TE10, 淸冷淵(청

냉연)TE11, 消濼(소락)TE12, 臑會(노회)TE13, 肩髎(견료)TE14,

天髎(천료)TE15, 天牖(천유)TE16, 翳風(예풍)TE17, 瘈脈(계

맥)TE18, 顱息(로식)TE19, 角孫(각손)TE20, 耳門(이문)TE21, 耳

和髎(이화료)TE22, 絲竹空(사죽공)TE23.

循行 : 주로 上肢外側(상지외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无名指(무명지) 말단 關冲穴(관충혈)에서 시작되어 작은 손가락과 무

명지 사이에 있는 液門穴(액문혈)에 올라와

② 손등을 따라 中渚(중저)를 거쳐 腕骨(완골)의 陽池穴(양지혈)에 이르러

尺骨(척골)과 橈骨(요골) 두뼈 사이에 나와서 위로 향하여 外關(외관),

支溝(지구), 會宗(회종)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을 지나

③ 팔굽의 天井穴(천정혈)을 통과한 후 上臂外側(상비외측)을 따라 淸冷

淵(청냉연), 消濼(소락), 臑會(노회)를 거쳐 위로 어깨를 통과하여 肩髎

穴(견료혈)에 이르러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후면에서 天髎穴(천료

혈)에 이르는 사이에서

④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秉風穴(병풍혈)과 足少陽膵經(족소양

췌경)의 肩井 穴(견정혈),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⑤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진입되어 膻中(전중)에

분포되고, 흩어져서 膈(격)에 絡(락)하며

⑥ 橫膈(횡격)을 통과하여 광범하게 上中下(상중하) 三焦(삼초)에 屬(속)한

다. 그 支脈(지맥)은

⑦ 膻中(전중)에서 상행하여 쇄골 위 오목한 곳 缺盆穴(결분혈)에 나와서

⑧ 목옆으로 향하여 귀 뒤에 연계되는 天牖(천유), 翳風(예풍), 瘈脈(계맥),

顱息(로식)을 지나

⑨ 귀 위 角孫(각손)에 올라와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頷厭(함염), 懸厘

(현리), 上關(상관)에 會(회)하고 아래로 굽혀져서 뺨과 눈 아래 觀髎穴

(관료혈)로 나온다. 그 支脈(지맥)은

⑩ 귀 뒤에서 귀속에 들어가며 다시 귀 앞으로 나와 耳門(이문)에서 足少

陽膵經(족소양췌경)의 聽會穴(청회혈)과 會(회)하고 和髎(화료), 上關

(상관)앞을 경과하여 눈 외각의 絲竹空 (사죽공)에서 足少陽膵經(족소

양췌경)의 瞳子髎(동자료)에 會(회)하며 接(접)한다.

病候 : 본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耳聾(이농), 耳鳴(이명), 목구멍이 붓는 咽喉痛

症(인후통증)이다. 본경의 수혈은 氣(기)에 관계되는 病證(병증)의 발생을

주치한다. 예를 들면 땀이 흐르는 증상, 눈 외각의 통증, 뺨이 붓는 증상,

귀뒤, 어깨, 팔, 팔굽 외측에 발생하는 모든 통증, 小指(소지)와 无名指(무

명지) 활동장애 등 이다.

수소양삼초경별락 (手少陽三焦經 別絡)

外關 : 팔목위 2寸에서 갈라져서 팔 외측을 행하여 가슴속에 진입되어 膈

(격)에 會合한다.


病候(병후) - 實證(실증) : 팔굽 경련,

虛證(허증) : 팔굽 굴신불리


수소음심경 (手少陰心經)(HT)

穴名 : 極泉 → 少沖 9個穴 : 極泉(극천)HT1, 靑靈(청령)HT2, 小海(소해)HT3, 靈道

(령도)HT4, 通里(통리)HT5, 陰郄(음극)HT6, 神門 (신문)HT7, 少府(소

부)HT8, 少冲(소충)HT9.

循行 : 上肢內側(상지내측) 后緣(후연)에 분포되었다.

① 心臟(심장)에서 시작되어 기타 臟(장)과 상호 연계된 系列(계열)에 속하며

② 아래로 橫膈膜(횡격막)을 지나서

③ 小腸(소장)에 絡(락) 한다. 그의 支脈(지맥)은

④ 心系(심계)에서 상행하여 肺(폐)에 도달한 후아래로 향하여 겨드랑이로

나와서 極泉(극천)

⑤ 上臂(상비, 上腕(상 완)) 내측 后緣(후연)을 따라 手太陰(수태음), 手厥陰

(수궐음)의 뒤 靑靈穴(청령혈)로 가며

⑥ 아래로 팔굽 少海穴(소해혈)에 와서 下臂 (하비, 下腕(하완)) 내측 후연을

따라 靈道(령도), 通里(통리), 陰郄(음 극), 神門(신문)으로 이어져서

⑦ 손바닥 뒤에 腕豆骨(완두골)에 도달 하여 손바닥 후변 少府穴(소부혈)에

진입된 후 새끼손가락의 橈側(요 측)을 따라 말단 少冲穴(소충혈)에 나와

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 경)과 접한다.

病候 : 본경의 병리변화는 咽部(인부)가 마르고 心臟(심장)에 통증이 생기고, 입이

마르며 물을 많이 마시는 증상과 또 下腕(하완)이 차고 저리며 시큰한 통증

(酸痛)이 생기는 등 이다.

본경수혈은 心(심)에 유관되는 병증을 주치한다. 즉 눈이 누렇고 가슴과 그

옆구리에 동통(胸脇痛(흉협통)이 생기고, 팔 내측 후변의 통증 혹은 차가운

증상, 손바닥에 열이 나며 뜨거운 증상 등이다.

수소음심경별락 (手少陰心經 別絡)

通里(통리) : 팔목 위 1寸 에서 갈라져서 上行되며 本經(본경)을 따라 心臟(심

장)속에 들어가서 上向하여 舌尖(설첨)에 연 계되며 눈에 속하여 腦(뇌)에 연

계된다.

본락은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으로 간다.

病候 - 實證(실증) : 胸膈部位(흉격부위) 脹滿(창만)

수양명대장경 (手陽明大腸經)(LI)

穴名(혈명) : 商陽 → 迎香 20個穴 : 商陽(상양)LI1, 二間(이간)LI2, 三間(삼 간)LI3,

合谷(합곡)LI4, 陽溪(양계)LI5, 偏歷(편 력)LI6, 溫溜(온유)LI7, 下廉

(하렴)LI8, 上廉(상렴)LI9, 手三里(수 삼리)LI10, 曲池(곡지)LI11, 肘髎

(주료)LI12, 手五里(수오리)LI13, 臂臑(비노)LI14, 肩髃(견우)LI15,

巨骨(거골)LI16, 天鼎(천정)LI17, 扶突(부돌)LI18, 口禾髎(구화

료)LI19, 迎香(영향)LI20.

循行(순행) : 주요 분포는 人体(인체)의 上肢(상지) 外側(외측) 앞쪽이다.

① 食指(식지) 끝 (商陽(상양)에서 시작되어 食指(식지) 橈側(요측)

옆(二間(이간), 三間(삼간))을 따라 第一二掌骨(제일이장골)사이

合谷(합곡)을 나와서

② 두 힘줄 사이에 진입하여 陽溪(양계)아래 팔 橈側(요측, 偏歷(편

력), 溫溜(온유), 下廉(하렴), 上廉(상렴), 手五里(수오리))를 따라

③ 팔굽 외측에 진입되어(曲池(곡지), 肘髎(주료), 윗팔 외측 앞쪽에

手五里(수오리), 臂臑(비노)를 지나

④ 어깨에 올라와서 肩峰(견봉) 부위의 앞면에 肩髃(견우), 巨骨(거

골)을 지나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秉風(병풍)에 交會

(교회)하고 나와 위로 향하여 督脈(독맥)의 大椎(대추)에서 交會

(교회)되어

⑤ 아래로 쇄골 오목한 곳 缺盆(결분)으로 내려와서

⑥ 肺(폐)에 絡(락)하고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大腸(대장)에 속

한다. 支脈(지맥)은

⑦ 缺盆(결분)에서 목옆까지 상행하여 天鼎(천정), 扶突(부돌)과 面

部 아래 뺨을 통과하여 아래 잇몸을 거쳐서 입 주위를 끼고 地倉

(지창)에 會(회)하는데 왼쪽 경맥은 오른쪽으로, 오른쪽 經脈(경

맥)은 왼쪽으로 향하여 콧구멍 옆 和髎(화료), 迎香(영향)에 이르

러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과 接(접)한다.

⑧ 이외에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은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의 上巨虛(상거허)와 脈氣(맥기)가 통한다.

病候(병후) : 본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생기면 齒痛(치통)이 생기며, 목이 붓

는다. 본경의 腧穴(수혈)은 津(진) 방면에 발생된 병증을 주치하는데

눈이 노랗고, 입이 마르며,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거나 코피가 나며, 목구멍이

아프고 어깨와 윗팔통증 및 식지동통으로 인한 식지 활동장애 등이다. 본경의 氣

(기)가 盛(성)하면 實證(실증)인데 경맥이 지나가는 부위에 熱(열)이 나며 붓는다.

본경의 氣(기)가 虛(허)하면 추워서 떨며 용이하게 復溫(복온 되지 않는다.

13 Ansichten0 Kommentare

Aktuelle Beiträge

Alle ansehen

침전73 / 활육문 (滑肉門) - 흠침 (欽針)

활육문 (滑肉門) :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ST-24 定位 : 배꼽위(臍上) 1寸,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2寸. 主治 : 구토(嘔吐), 위통증(胃痛症),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신장 염(腎 臟炎),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설하선염(舌下腺炎), 부종 (浮腫), 정신 병(精神病), 전간(癲癎). 腸癌(장암)의 配合穴位(배합혈위). 臨床

침전71 / 합곡자 (合谷刺) - 현종 (懸鍾)

합곡자 (合谷刺) : 【령추․관침편】에 “비병(脾病)에 응용하는 고대(古代)의 침법(針法)이다.”라고 한 오자법(五刺法)의 일종으로써 기비(肌痹)를 치료하는데 쓴 다. 자법(刺法) 은 환부(患部)의 좌우 양쪽 외면으로부터 직접 근육(筋 肉) 부분에 사자(斜刺) 한다. 찌르는 모양이 마치 닭의 발톱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한다. 합양 (合陽) : 족태양방광경(

bottom of page